"이어도(離於島) 이야기 "
섬을 뜻하는 한자 를 보면 섬도(島)
자는 바다에서 새(鳥)가 앉아있는 산(山)이고, 섬서(嶼)자는 도(島)에 더불어
(與) 있는 산(山) 이다.
이 두가지를 구분 하는 기준은 사람 이다.
사람이 살 수 있는 큰 섬은 도(島) 이고,
살 수 없는 작은 섬은 서(嶼)이다. 그래서 도서 (島嶼)는 ‘크고 작은 온갖 섬’을 뜻한다.
물에 잠겨 섬이 되지 못하는 바위 를 초(礁)라 하는 데, 잠길 듯 말 듯 아슬아슬 애를 태우는(焦) 바위 (石)라는 의미다.
드러난 바위가 노초(露礁)이고, 잠긴 바위가 암초(暗礁)다. 배가 다니다가 초(礁)에 올라 앉으면 좌초 (坐礁)다.
그러면 밀물에 잠기고 썰물에 드러나는 바위를 뭐라고 할까? 간출암(干出巖) 이다.
초(礁)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여’다. 물에 잠겨 보이지 않는 바위다.
썰물에 드러나는 바위가 ‘'잠길여'’, 드러나지 않는 바위가 '‘속여'’다.
물때에 따라 잠기 느냐 드러나느냐 를 놓고 이름을 다르게 붙인 것 이다.
같은 뜻인 '여'와 초(礁)와 rock을 비교해 보면 우리 민족이 바다를 얼마나 유심히 관찰했고, 우리말 이 얼마나 과학적 으로 만들어졌는 지 알 수 있다.
제주 사람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마라도 서남쪽 149km 지점에 매우 큰 ''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동서로 1.4km, 남북으로 1.8km 의 크기(수심 50m 기준)에 가장 높은 곳이 수심 4.6m 정도라, 파도가 매우 사나워지면 가끔 모습을 드러 내기도 한다.
그들은 이 ''여''를 ‘'여섬’'이라 불렀다.
''여섬''은 용궁으로 떠나는 ‘나루터’ 였다.
그물질 나간 어부 나 물질 나선 해녀 가 돌아오지 않으면 ''여섬''에 들러 용궁으로 갔다고 믿었다.
''여섬''은 바닷속에 있는 '‘저쪽 언덕'’, 곧 피안(彼岸) 이었던 것이다.
소설가 이청준의 작품에는 ''여섬''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섬을 본 사람은 모두가 섬으로 가버렸기 때문이다.’'라고 표현돼 있다.
가수 정태춘은 ‘'떠나가는 배’'에서 ''여섬''을 '‘평화의 땅’', ‘'무욕의 땅’' 이라 불렀다.
민담 속의 ''여섬'' 이 역사의 수면 위로 드러난 것은 100년쯤 전이다.
영국 해군이 "소코트라 록 (Socotra Rock)"이라 부른 데 이어 난데없이 일본이 "파랑도 (波浪島)" 라는 딱지를 붙였다.
제주대와 KBS는 1984년 공동 탐사 를 통해 "소코트라 록 (Socotra Rock)"과 "파랑도 (波浪島)"가 ''여섬''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3년 뒤 해운항만 청이 부표를 설치 하고 2001년 국립 지리원이 지명을 확정하면서 ''여섬'' 은 공식 명칭을 갖게 됐다. 바로 '‘이어도’'다.
장모음 ‘'여’'를 '‘이어(離於)'’로 쓰고, ‘'섬'’을 도 (島)로 붙인 것 이다.
* 1993년 김시중 과학기술처 장관 은 해양연구소
이동영 박사의 건의를 받아들여 10년 만에 ''이어도 (離於島)'' 해양 과학 기지를 건설 했습니다.
30년 뒤인 지금 벌어지고 있는 동아시아의 해양 분쟁을 내다 본 선견지명(先見之明)이었습니다.
해양 과학 기지 건설을 주도한 한국해양과학 기술원의 심재설 박사는,
“분쟁이라고요? 세계적으로 알만한 해양학자 들은 ''이어도''가 한국의 영토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라고 전합니다.
해양과학기지가 생긴 뒤 '이어도'에 관한 논문이 매년 30편 정도 국제 학술지에 실리고 있고, NASA
(미국항공우주국)에도 ''이어도''에서 관측한 해양 기상 정보가 시시각각 업데이트 되고 있습니다.
이 논문과 자료 에는 '‘이어도 코리아(Ieodo Korea)’' 라는 출처가 따라 붙는답니다.
민담에서 ‘'저쪽 언덕 (저승)'’ 이었던 ''여섬''인 ''이어도(離於島)'' 를 대한민국의 영토로 만든 것은 우리 과학자들인 것입니다.
사랑합니다! 응원합니다! 함께합니다!
대한민국 국민 이면 누구나 어려운 시대를 잘 이겨내고 오늘날 의 현실을 만들어 낸 조국의 의미를 잊지말고 더불어 평소의 은혜를 되새기는 이 가을 이 되시기를 소망 합니다.
미래를 내다보는 눈초리를 先見之 明이라합니다.
"이어도"에 과학 기지를 세우듯 우리나라 앞날을 위한 좋은 방안은 모든일에 우선 하여 나라를 생각 하고 나라를 위하는 일부터 하는 것입니다.
앞날을 위해 과거 를 잊지 마십시다.
정진하시는 여러분의 노고를 되새기고 존경 합니다!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받은 글 고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