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xit Wave
How China’s reopening will disrupt the world economy
중국의 국경 재개방이 세계 경제에 미칠 파급력
A tale of death, growth and inflation
Jan 5th 2023
For the better part of three years—1,016 days to be exact—China will have been closed to the world. Most foreign students left the country at the start of the pandemic. Tourists have stopped visiting. Chinese scientists have stopped attending foreign conferences. Expat executives were barred from returning to their businesses in China. So when the country opens its borders on January 8th, abandoning the last remnants of its “zero-covid” policy, the renewal of commercial, intellectual and cultural contact will have huge consequences, mostly benign.
지난 3년 동안, 정확히는 1,016일 동안 중국은 나라의 문을 걸어 잠갔다. 팬데믹이 시작되자 유학생 대부분이 중국을 떠났고 관광객의 발길은 끊어졌으며 중국 과학자들은 해외 회의 참석을 중단했다. 해외 파견 임원의 중국 복귀도 금지되었다. 그렇다 보니 1월 8일 ‘제로 코로나’ 정책의 전면 폐지와 더불어 빗장이 풀리면 상업적, 지적, 문화적 접촉 재개는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대부분은 긍정적인 효과일 것이다.
First, however, there will be horror. Inside China, the virus is raging. Tens of millions of people are catching it every day . Hospitals are overwhelmed. Although the zero-covid policy saved many lives when it was introduced (at great cost to individual liberties), the government failed to prepare properly for its relaxation by stockpiling drugs, vaccinating more of the elderly and adopting robust protocols to decide which patients to treat where. Our modelling suggests that, if the virus spreads unchecked, some 1.5m Chinese will die in the coming months.
하지만 먼저 공포가 찾아올 것이다. 중국 내부에서는 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수천만 명의 매일 바이러스에 감염되고 있다. 병원은 이미 포화상태이다. 물론 개인의 자유를 볼모로 한 제로 코로나 정책 도입으로 많은 생명을 구한 것은 사실이지만, 당국은 의약품 비축, 노인 예방접종 확대, 치료 대상 환자와 치료 시설 결정을 위한 강력한 프로토콜 도입 등 정책 완화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했다. 본지 모델링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가 통제되지 않은 채 확산되면 앞으로 몇 달 안에 약 150만 명의 중국인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not much outsiders can do to help. For fear of looking weak, the Chinese government spurns even offers of free, effective vaccines from Europe. But the rest of the world can prepare for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ommunist Party’s great u-turn. These will not be smooth. China’s economy could contract in the first quarter, especially if local officials reverse course and seal off towns to keep cases down. But eventually economic activity will rebound sharply, along with Chinese demand for goods, services and commodities. The impact will be felt on the beaches of Thailand, across firms such as Apple and Tesla, and at the world’s central banks. China’s reopening will be the biggest economic event of 2023.
다른 나라가 도와줄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EU가 효과적인 백신을 무료로 제공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약점이 잡힐 것을 두려워 그 제안을 거절했다. 전 세계 모든 국가는 중국의 정책 대반전이 가져올 경제효과에 대비할 수 있다. 물론 매끄럽지만은 않을 것이다. 지역 관리들이 감염 억제를 위해 방향을 바꿔 마을을 봉쇄한다면, 1분기에는 중국 경제가 위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경제 활동은 중국의 상품, 서비스 및 원자재 수요와 함께 급격히 반등할 것이다. 그리고 그 영향은 태국의 해변 휴양지, 애플과 테슬라 같은 테크 기업, 전 세계 중앙은행, 즉 관광, 기업, 금융 부문에서 가시화될 것이다. 중국의 국경 개방은 2023년 최대 경제 관련 사건이 될 것이다.
As the year progresses and the worst of the covid wave passes, many of the sick will return to work. Shoppers and travellers will spend more freely. Some economists reckon that gdp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2024 could be a tenth higher than in the troubled first quarter of 2023. Such a sharp rebound in such a huge economy means that China alone could power much of global growth over the period.
한 해가 저물고 최악의 코로나 파동이 지나가면 코로나를 앓았던 많은 사람이 일터로 복귀하고 쇼핑객과 여행객은 더욱 자유롭게 지출할 것이다. 일부 경제전문가는 2024년 1분기 GDP가 문제가 많은 2023년 1분기보다 1/10 더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거대 경제(중국)의 이러한 급격한 반등은 중국이 해당 기간 동안 세계 경제 성장의 상당 부분을 주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arty is banking on it. It hopes to be judged not on the tragedy its incompetence is compounding, but on the economic recovery to follow. In Xi Jinping’s year-end address, the party chief thanked pandemic workers for bravely sticking to their posts and, while nodding to “tough challenges” ahead, promised that “The light of hope is right in front of us.” He sounded eager to look past the pandemic, emphasising the chances of a swift economic revival in 2023 and offering reasons to be proud of living in a rising China under party rule.
중국 공산당정부는 이 점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 무능으로 가중되고 있는 비극이 아니라 앞으로의 경제 회복에 따라 평가받기를 바라고 있다. 신년연설에서 시진핑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12월 31일 신년사를 통해 용감하게 각자의 자리를 지켜준 팬데믹 노동자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고난’이 사라지지 않았음을 인정하면서도 “곧 서광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다짐했다. 2023년 경제 회복 가능성을 강조하고 공산당 체제하에서 부상하는 중국에 사는 것을 자랑스러워할 이유를 제시하며 이제 팬데믹을 뒤로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냈다.
The ending of China’s self-imposed isolation will be good news for places that depended on Chinese spending. Hotels in Phuket and malls in Hong Kong suffered as Chinese were locked up at home. Now would-be travellers are flocking to travel websites. Bookings on Trip.com rose by 250% on December 27th compared with the previous day. Economists are pencilling in a gdp boost for Hong Kong of as much as 8% over time. Exporters of the commodities that China consumes will also benefit. The country buys a fifth of the world’s oil, over half of its refined copper, nickel and zinc, and more than three-fifths of its iron ore.
‘차이나 머니’에 의존하는 지역에게 중국의 자발적 봉쇄 종료는 반가운 소식이다. 푸켓의 호텔과 홍콩의 쇼핑몰은 봉쇄조치로 중국인의 발이 묶이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제 여행을 준비하는 중국인들이 여행 웹사이트로 몰려들고 있다. Trip.com 예약은 12월 27일 전후로 250% 증가했다. 경제전문가들은 시간이 지나면 홍콩의 GDP가 최대 8%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중국이 소비하는 원자재 수출업자들 역시 수혜를 입을 것이다. 중국은 전 세계 원유의 1/5, 고순도 구리, 니켈 및 아연의 1/2, 철광석의 3/5 이상의 수요처이다.
Elsewhere, though, China’s recovery will have painful side-effects. In much of the world it could show up not in higher growth, but in higher inflation or interest rates. Central banks are already raising rates at a frenetic pace to fight inflation. If China’s reopening increases price pressure to an uncomfortable degree, they will have to keep monetary policy tighter for longer. Countries that import commodities, including much of the West, are at the greatest risk of such disruption.
하지만 다른 부문에서는 중국의 회복이 고통스러운 부작용을 낳을 것이다. 성장률 상승이 아니라 인플레이션 또는 금리 상승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전 세계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이미 미친듯이 금리를 올리고 있다. 중국의 재개방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걱정스러운 수준으로 가중되면 중앙은행은 더 오랫동안 긴축 통화정책을 유지할 수밖에 없다. 대부분의 서방 국가를 포함해 원자재 수입국은 이러한 혼란이 발생할 위험이 가장 크다.
Take the oil market. Rising Chinese demand should more than compensate for faltering consumption in Europe and America, as their economies slow. According to Goldman Sachs, a bank, a rapid recovery in China could help push the price of Brent crude oil to $100 a barrel, an increase of a quarter compared with today’s prices (though still below the heights reached after Russia invaded Ukraine). Rising energy costs will prove another hurdle to taming inflation.
원유시장을 예로 들면, 중국의 원유 수요 증가는 경기 둔화에 따른 유럽과 미국의 주춤한 소비를 상쇄하는 것 이상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중국의 빠른 경기 회복이 브렌트유 가격을 현재 수준보다 25% 상승한 100달러(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도달한 최고가 보다는 낮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는 것이 골드만삭스의 예측이다. 에너지 비용 상승은 인플레이션을 잡는데 있어서 또 따른 장애물이 될 것이다.
For Europe, China’s reopening is another reason not to be complacent about gas supplies later in the year. Zero-covid, by suppressing China’s demand for gas, made it less costly than it otherwise would have been for Europe to fill its storage tanks in 2022. A strong recovery in China will mean more competition for imports of liquefied natural gas. In December the International Energy Agency, a forecaster, warned of a scenario in which winter starts punctually in 2023 and Russia cuts off piped gas to Europe entirely. That could result in shortages amounting to as much as 7% of the continent’s annual consumption, forcing it to introduce rationing.
유럽 입장에서 중국의 국경 재개발은 연말 가스 공급에 안주해서는 안 되는 또 다른 이유이다. 제로 코로나는 중국의 가스 수요를 억제함으로써 유럽의 2020년 천연가스 비축 비용을 낮추는 역할을 했다. 중국의 경기 회복은 LNG 수입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는 의미이다. 지난 12월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예년과 같이 겨울이 시작되고 러시아가 대 유럽 가스 공급을 전면 중단하는 시나리오에 대해 경고했다. 이로써 유럽은 연간 가스 소비량의 7%가 부족해져 가스배급제를 도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
For China itself, the post-pandemic normal will not be a return to the status quo ante. After watching the government enforce zero-covid in a draconian fashion and then scrap it without due preparation, many investment houses now see China as a riskier bet. Foreign firms are less confident that their operations will not be disrupted. Many are willing to pay higher costs to manufacture elsewhere. Inbound investment in new factories seems to be slowing, while the number of companies moving business outside China has jumped, by some accounts.
중국만 놓고 볼 때, 포스트 팬데믹의 정상 상태(normal)는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을 것이다. 중국 정부가 너무나 엄격한 방식으로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한 후 적절한 준비 없이 그 정책을 폐기하는 모습을 지켜본 많은 투자회사는 이제 중국을 더 위험해진 투자처로 인식하고 있다. 중국내 비즈니스가 중단되지 않을 것이라는 외국 기업들의 확신도 줄었다. 상당수의 기업이 더 많은 비용을 들여서라도 탈중국화를 추진하려 하고 있다. 신규 제조시설에 대한 인바운드 투자 역시 둔화세를 보이는 반면, 기업의 탈중국화는 크게 늘었다.
Normal not normal
As Chinese officials struggle to repair the damage, they should remember some history. China’s previous great reopening, after the stultifying isolation of the Mao years, led to an explosion of prosperity as goods, people, investment and ideas surged across its borders in both directions. Both China and the world have benefited from such flows, something politicians in Beijing and Washington seldom acknowledge. With luck, China’s current reopening will ultimately succeed. But some of the paranoid, xenophobic mood that the party stoked during the pandemic years will surely linger. Exactly how open the new China will be remains to be seen. ■
이러한 피해 상황 복구 노력 속에서 중국 당국은 지난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 마오쩌둥 시대 강력한 고립주의를 끝낸 중국의 개방 정책은 국경을 넘은 양방향 자본과 물적, 인적, 지적 교류 급증으로 폭발적인 번영을 가져왔다. 중국과 세계 모두 이러한 흐름의 혜택을 입었지만 중국과 미국의 정치인들은 이점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운이 따른다면, 중국의 이번 개방 정책 역시 결국은 성공할 것이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이 팬데믹 기간 동안 조장했던 피해 망상적인 외국인 혐오 분위기는 한동안 계속될 것이다. 중국이 어느 정도로 문을 열지는 두고 볼 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