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 시그러워,국내도 국제도 온통 싸움질이야. 전쟁터에서 죽어 나가는 사람들이 무슨 죄가 있다고... 머리좀 식히자고..
살아오면서 문득 문득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말(언어)이 언제부터 일까? 史劇이나 옛날 전쟁 영화를 보면,그당시도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말을 사용했을까 궁금했었거든. 글자야 우리모두가 알듯이 위대한 대왕 세종께서 창제하신것은 아는데,
그럼 언어는 어찌했을까 궁금했어. 그래 좀 찿아봤어..우리 언어의 유래를..
한국어의 생성시기는 특정된 시점에 생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역사와 문화적 흐름 속에서 점진적으로 형성되고 발전해온 언어라고 해. 일반적으로 고대 알타이족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 언어로 발전하기 시작한 시기를 그 시작으로 본다고해. 역사적 기록과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한국어의 생성 과정은 삼국(고구려,신라,백제)시대의 출현 이전 부터이미 진행중 이었다고해. 15세기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1443년, 반포는 1446년) 은 한국언어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전환점 중의 하나라고해. 이 점에서 한국어는 고유의
문자 체계를 가지게 되었고,이를 통해 한국어가 더 널리 기록되고 발전할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고해. 발전 과정을 보면...
1. 고대 한국어( 삼국시대 이전~~10세기)
--한국어의 기원은 고대 알타이 계열의 언어와 연관성이 있고
--삼국시대(고구려,백제, 신라) 이전에는 언어 체계가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각 지역별로 방언적 특성이 존재 했을것으로 보이고 ..
--삼국시대에 이르러 기록물에서 한자 사용이 활성화 되였고,한국어와 한자가 혼용되며 한국어의 어휘와 문법이 점차 발전..
2. 중세 한국어(10세기~~16세기)
--고려시대(10세기~16세기)에는 한자어의 유입이 늘어나며, 한국어 어휘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불교와 유교의 전래로 인해 종교적, 학문적 용어들이 한국어에 스며 들었고
-15세기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는 언어사에서 결정적 전환점.. 한국어가 독자적으로 문자 체계를 통해 공식적으로 기록될수 있도록 한 혁신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서민들도 자신의 언어를 읽고 쓸수 있게 되었다.
3 근대한국어(17세기~~19세기)
--조선 후기에는 한글 사용이 꾸준히 늘어 났으며,특히 실학자들 사이에서 실용적 언어 연구가 발전.
--한글 소설과 같은 문학 작품이 널리 퍼지며, 대중 문화 속에서 한국어의 사용이 확대..
--그러나 상류층에서는 여전히 한문 사용이 일반적 이였으며 한글은 비공식 상황에서 주로 사용..
4. 현대 한국어(20세기~~)
--20세기 일본 식민지 시기를 거치면서 일본어와의 혼영이 이루어 지기도.. 이 시기의 영향으로 일부 일본어가 기반 어휘로 정착..
--1945년 해방이후 한글이 공식 문자로 자리잡으며 표준어 제정을 통해 국어 체계가 정비.
--오늘날에는 외래어, 특히 영어의 유입이 활발해지며 인터넷,SNS의 발달로 새로운 단어와 표현이 지속적으로 만들어 지고 있다.
-- 예를들어, 신조어와 줄임말이 현대 언어의 특징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 알타이 문화
--알타이 산맥을 중심으로 한 유라시아 지역의 고대 유목 문화를 말한다. 이문화는 투르크, 몽골, 퉁구스 민족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의 생할방식,언어,종교,예술등을 포함하고 있다. 알타이 문화는 유라시아 대륙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나 종교(샤머니즘)와 청동기 시대와 초기 철기시대에 문화적 영향을 빋았다..
*** 고전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언어(말)는 지금 언어로, 개량형이라는 말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