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르클레르 [Leclerc, Jacques-Philippe, 1902.11.22~1947.11.28]
필립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1902. 11. 22~1947. 11. 28]
요약
본명 : 필립 프랑수아 마리(Philippe Fran?ois Marie)
제2차 세계대전 시기 프랑스 자유군 사령관으로 활약했던 레지스탕스 운동가이자 군인이다. 독일에 점령당한 프랑스 도시를 해방시키는데 큰 공을 세웠으며 사후에 프랑스 군대원수로 추대되었다. 샤를 드골, 장 물랭과 함께 프랑스의 레지스탕스 국민 영웅으로 꼽히고 있다.
본문
1902년 프랑스 북부에서 오트클로크 백작 아드리앙(Adrien de Hauteclocque, 1864~1945)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많은 중세 기사들과 군 장교를 배출한 명망 높은 귀족가문이었다. 1924년 22살의 나이로 생 시르 육군사관학교(École spéciale militaire de Saint Cyr)를 졸업한 뒤 곧바로 군에 입대하였다. 본명은 필립 프랑수아 마리(Philippe François Marie)였으나 프랑스에 남아있는 가족들에게 피해가 갈 것을 염려해 자크 필립 르클레르(Jacques Philippe Leclerc)란 예명을 사용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 영국으로 후퇴해 전선을 유지했던 자유프랑스군 제2기갑사단을 이끌었다. 그의 부대는 샤를 드골의 지휘 아래 있었던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핵심 군대였다. 영국군과 힘을 합친 르클레르의 부대는 독일과 연대했던 이탈리아군을 공격했다. 또한 연합군과 함께 독일에 빼앗겼던 프랑스 도시들을 하나씩 해방하기 시작했다. 프랑스 북부 도시들에 이어 1944년 8월 파리 탈환에도 성공을 거두었다. 르클레르의 부대는 몽파르나스 지역에 거점을 두고 활약했는데 오늘날 몽파르나스 역사 건물에는 르클레르의 업적과 승리를 기념하기 위한 ‘파리 해방의 날과 르클레르 드 오트클로크 기념관(Mémorial du maréchal Leclerc de Hauteclocque et de la Libération de Paris)’이 들어서 있다. 파리 탈환에 성공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1947년 알제리에서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였다. 세상을 떠난지 5년 뒤인 1952년 르클레르는 프랑스 군대원수(Maréchal de Franc)로 추대되었다. <주나미> /네이버
르클레르[ Jacques-Philippe Leclere ]
본명은 Philippe-Marie, Viscomte(Viscount) de Hauteclocque. Jacques-Philippe Leclere de Hauteclocque라고도 함(1945~).
1902. 11. 22 프랑스 벨루아생레오나르~1947. 11. 28 알제리 콜롱베샤르.
파리의 해방자로 명성을 얻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전쟁 영웅.
귀족 집안에서 태어나 명문 군사학교인 생시르(1924)와 소뮈르를 졸업했다. 1939년 보병 대위로 독일군에게 부상을 입고 생포되었지만 용케 영국으로 탈출했다. 샤를 드골 장군이 런던에서 자유 프랑스군을 재편하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는 르클레르라는 가명으로(프랑스에 있는 가족이 보복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임) 드골군에 가세했다. 드골에 의해 대령으로 승진된 그는 프랑스령 적도아프리카에서 많은 전공을 세웠다. 장군으로 승진된 후, 그는 영국의 제8군과 합류하기 위해 차드에서부터 리비아의 트리폴리까지 장장 1,600㎞의 대행군을 감행했으며, 중도에서 이탈리아 요새를 몇 개나 함락시켰다.
그는 1944년의 노르망디 상륙전에 프랑스 기갑사단의 사령관으로 참가했다. 1944년 8월 25일 파리 주둔 독일군 사령관이 그에게 항복했고, 8월 26일에 그는 드골과 개선장군으로서 파리에 입성했다. 또한 스트라스부르를 해방시키고(1944. 11. 23) 이어서 군대를 이끌고 독일로 진격하여 베르히테스가덴을 점령했다. 1945년 7월 프랑스 극동 주둔군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그해에 그는 오트클로크 자작(子爵) 필리프마리라는 이름을 전시중 사용한 가명을 이용, 오트클로크의 자크 필리프 르클레르로 정식으로 바꿨다.
1946년 3월 프랑스 점령지인 인도차이나로 파견되었다. 그곳의 문제점들이 군사적이기보다는 정치적인 것임을 파악하고 그런 취지의 통지를 보내 프랑스 국내에 논란을 일으킨 후 직위를 사퇴했다. 1946년 7월 북아프리카 주둔 프랑스군의 감찰관으로 군에 복귀한 후 현지에서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프랑스에서는 그를 프랑스 육군원수로 추서했다. /브리태니커
-------------------------------------------------------------------------------
1902 - 프랑스의 장군, 전쟁 영웅 필립 르클레르(Leclerc, Philippe) 출생
르클레르 [Leclerc, Jacques-Philippe, 1902.11.22~1947.11.28]
-------------------------------------------------------------------------------
|
새로운 전차 프로젝트는 프랑스국방성의 육상병기부인 DAT (Direction des Armements Terrestres)의 관할아래 프랑스 국방성의 한부분이였던 GIAT Industries ( Groupement des Industries de l'Armée de Terre, Army Industries Group) 가 실질적인 개발에 관여하였습니다.
르클레르 전차는 1986년에 처음으로 공개되었는데 3대분의 차체와 2개의 포탑을 먼저 제작하였으며 세번째 차체에 포탑을 탑재하여 각종 실험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시작차를 기능원형차량이라 하며 이는 르클레르 전차의 기본적인 기능이나 성능을 확인하는 차량수준으로 생산을 위한 배려는 전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이 1호차가 실험되던 당시에는 아직 설계가 확정되지 않은 부분이 많았으며 실례로 현가장치의 경우 이 1호차의 경우 종래의 토션바와 로터리식 댐퍼형 현가장치와 새로운 유압식도 고려중에 있는등 이것저것 사정을 알아보는 일종의 맛보기 수준이였습니다.
이후 본격적인 생산형에는 약 50~53t 의 중량을 가지는 새로운 개념의 전차를 개발하는데 뜻을 맞추게 됩니다.
본격적인 르클레르 생산형은 1986년 중반에 결정되어 생산시작차 6대가 발주되게 되는데 이 생산시작차량 1호차는 1989년말에 완성되어 1990년도부터 본격적인 테스트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어 1989년에 생산형배치1 (series 1) 17대가 발주되는데 이를 Leclerc T1 과 T2라 부르게 됩니다.
이어 생산형배치1 (series 1) 의 Leclerc T3, T4 그리고 T5 로 불리는 최종 양산형 모델(final production configuration )이 1992~ 1996년 사이에 총 132대가 발주되어 배치되기에 이릅니다.
이 생산형 1호차는 1990년에 개최된 프랑스무기전시회( SATORY 90) 에 공개되어 일반에 알려졌으며 모쥴형 주장갑이 탑재되어 전혀 다른 형태로 공개되게 됩니다.
르클레르 전차는 동시대의 다른 3세대 전차보다 약 15년정도 늦게 개발되기 시작하였는데 이로인해 당시 3새대 전차들이 가진 주요장점과 더불어 여러가지 획기적인 요소들이 개발과정중에 반영되었는데, 내부적으로도 상당히 진보된 시스템인 ‘베트로닉스(Vetronics)’와 ‘자동장전(裝塡)장치’, 그리고 혁신적인 동력장치등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베트로닉스는 전차장용의 선회형 잠망경, 포수용 안정화 조준•시찰장치, 레이저 거리측정장치, 모듈러형 디지털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네요 이들 장치는 미국 육군의 M1A2나 챌린저 2와 같은 규격의 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의 전차 단위로서뿐 아니라 부대 단위로서의 전투력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르클레르 전차의 특징으로 대변되는 것이 바로 베트로닉스(Vetronics)라 불리는 데이터버스개념 입니다.
이는 항공기의 전자장비에 쓰이는 에비오닉스 (Avionics; 항공기를 의미하는 Aviation와 전자공학을 의미하는 electronics의 합성어) 에서 따온것으로 베트로닉스(Vetronics )는 차량을 의미하는 Vehicle 과 전자공학을 의미하는 electronics의 합성어로 비행기의 레이더를 비롯한 조종장치 및 무기장치등이 컴퓨터로 관리되고 보고되는것과 마찬가지로 전차의 모든 차내 시스템이 하나의 데이타버스 시스템으로 묶여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차에서는 세계최초로 도입된 개념으로 비행기의 모든 장비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여 관리되듯 르클레르의 전차를 구성하는 차내 시스템은 서로 유기적으로 묶여 있으며 현재의 상태와 고장상태 및 문제점을 한눈에 알수 있게 구성되어진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르클레르 전차에는 한대의 대형컴퓨터가 이를 집중관리하는 체계가 아닌 여러 개의 크고작은 중소형 컴퓨터가 각각의 시스템에 배치되어 각각의 정보를 전송하며 이를 하나의 강력한 중앙 컴퓨터가 맡아 필요한 정보를 데이터 처리하는 병렬데이타 처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를 위해 각 시스템에는 각 8,16,32 비트의 마이크로 중앙처리시스템 (일종의 CPU) 30여개가 각각 장비들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들 마이크로 중앙처리시스템 은 디지털 데이터버스라 불리는 고속통신망을 통해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이 문제가 있을시 바로 문제점이 중앙처리 시스템으로 알려지도록 설계되어져 있습니다.
데이터버스시스템은 나토규격인 미군의 군용규격인 MIL-STD-1553B 규격으로 되어 있어 미군 및 이를 따르는 나토의
모든장비와 호환이 가능하며 2개의 케이블에 최대 32개의 서브시스템을 연결하여 신호를 전송하는것으로 쌍방향으로 매
초 1Mhz (1M 비트) 속도로 16비트 신호를 전송할수 있는 구조 입니다. (이는 쉽게 486 PC 초기 수준의 속도지만 큰 데이
터 전송이 필요치 않고 오히려 안정성이 생명인 군용장비에는 아직도 과분한 수준~ 참고로 최신의 F-22 나 F-35 라이
트닝의 버스데이타 처리속도는 겨우 팬티엄4 초기형 수준이다. 이것도 과거 군용장비의 버스데이터 수준에 비하면 엄청
난 수준이다 하물며 최근 매체에 문제시 되던 K9이나 K1A1 의 탄도컴퓨터가 속도가 늦다고 보도하는 기자색휘들의 개념
을 보면.. 한심하기 이를 때 없다)
이들 전송신호가 혼란되는 것을 막고 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버스컨트롤러인데 이 버스
컨트롤러는 2개의 중형컴퓨터가 담당하고 있으며 이들 중형켬퓨터의 본래기능은 사격통제장치 제
어와 주포의 제어임무 입니다.
르클레르의 중앙컴퓨터는 약 1000MB 의 기억용량 (ROM과 RAM방식으로 반반)을 가지고 있습니
다. 이는 최근 개발된 한국군의 K2흑표나 레오파트IIA6EX 그리고 M1A2 SEP 등 개량형 최신 전
차등에서 겨우 개발 배치중에 있지만 이 시스템의 원류가 되는 기술이 바로 르클레르 전차였습니
다.
Leclerc 전차는 특히 세계 최초로 파인더스 (FINDERS ;Fast Information, Navigation, Decision and Reporting
System) 전장관리 시스템을 장착한 전차로 유명하며, 르클레르 전차에는 진보된 베트로닉스 와 더불어 미국 육군의
M1A2나 챌린저 2와 같은 규격의 데이터 버스와 연결되어 있어서, 실시간으로 아군의 전차나 보병으로부터 얻어진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는 각각의 전차 단위로서뿐 아니라 부대 단위로서의 공유 및 하늘의 아군 전투기나 같은 데이터
버스규격을 가진 공격헬기등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 받는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심지어 보병에서로 이
런 데이터 버스 장비를 가졌다면 실시간 적의 위치와 규모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는 오늘날 미군등이 개발중인 랜드 워리어(Land Warrior) 시스템 이나 C4I 시스템과 상당히 유사한 시스템 으로 프랑스군은 르클레르 전차를 통해 세계최초로 실전화시킨 유일한 나라중 하나 입니다.
실제로 르클레르 전차는 전차가격의 50% 이상이 이런 전자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전차로 베트로닉스(Vetronics) 라는 단어가 의미하듯 현대의 전투기의 가격중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는 에비오닉스 가격과 유사합니다. 참고로 AMX-30 전차의 전자장비의 가격은 전차총 가격의 약 10% 수준으로 이는 다른 2세대 전차들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르클레르 전차는 이런 전자장비외에 다른 3세대 전차들이 갖는 중요특징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120밀리 활강포와 1500마력급의 디젤엔진이 갖는 최대속도 시속71km/h 의 고속능력 그리고 모쥴형으로 이탈착이 용이한 복합장갑등 혀내 전차가 갖추어야할 공수의 밸런스가기가막히게 잘 맞추어져 있는 전차중 하나 입니다.
공격력
르끌레르의 주포는 프랑스 GIAT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구경장 52인 120mm 활강포(French smooth-bore 120mm GIAT G1 gun )입니다.
이 포는 다른 국가의 3세대 전차들이 44구경장을 가진데반해 훨씬 긴 52구경장의 포신을 가짐으로써 포구속도가 다른 3세대 전차들의 주포인 독일의 라인메탈사의 Rh-120 (44구경) 의 1,650m/sec 보다 훨씬 강력한 1,800m/sec의 포구속도를 가짐으로써 보다 뛰어난 관통력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르끌레르의 120mm 활강포는 GIAT의 CN-120-26(CN-120-F1)으로 탄약은 라인메탈 120mm활강포와 규격이 같습니다.
즉 레오파트2나 M1A1과 탄약의 인터오퍼러빌리티(inter operability-공동작전성)이 있지만 포 자체의 규격은 그것과는 다르기 때문에 라인메탈(44구경)보다 긴 52구경의 포신을 채용하였습니다.
이 덕분에 같은 탄약을 사용하더라도 초속이 빨라 APFSDS-T의 경우 1750m/s이다.
참고로 라인메탈120mm포의 초속은 1650m/s로 GIAT에 의하면 CN-120의 유효사정거리는 이것을 1000m이상 상회한다고 합니다.
GIAT에서는 CN-120 후에 OFL120를 개발하였고, 초속은 1790m/s에 달합니다.
CN-120은 다른 다용도성형작약탄(HEAT-T)또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현재 GIAT사는 OFL-120이라는 APFSDS탄을 개발하였으며 이 포는 관통체로 텅스텐 합금을 이용하지만 열화 우라늄을 사용한 탄도 개발배치중에 있습니다. OFL-120 APFSDS탄은 약 650mm 를 넘어가는 관통력을 보여주며 개발당시 상당히 뛰어난 관통력을 가진 포탄이였지만 이후 라인메탈사등이 개발한 신형포탄들이 이미 700밀리 이상 (800밀리까지 가능) 을 관통하는 수준을 보여주기 때문에 빛이 바랜감이 없지 않습니다. 이는 포탄의 개량을 통해 충분히 이루어낼수 있는 것이지만 프랑스군은 현재 이에 대한 어떤한 포탄개량도 실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르클레르에 사용된 주포는 특이하게 발사가스가 포탑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배연기 대신 압축 공기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방출합니다. 이는 프랑스 전차포의 특징이기도 한데 배연기가 없이 일체화된 포신은 발사된 포탄에 보다 긴 시간동안 운동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 관통력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비슷한 방식을 러시아의 125밀리 주포에도 적용중이나 러시아의 주포는 포신 가공기술이 떨어져 포탄의 위력이 서방제에 비해 떨어진다고 한다. GIAT사의 주장에 의하면 배연기가 없는 이 포신은 사거리가 라엔메탈사의 주포보다 1000 미터 정도 더 상회한다고 하며 이는 같은 주포방식을 도입한 우리의 흑표전차에도 채용되어 약 5킬로의 사정거리를 확보한 것으로 보아 틀린 이야기는 아닌것으로 보인다.)
르클레르 전차에는 특히 자동장전장치(AutoLoader)를 채용하고 있는데 프랑스는 이미 1950년대 개발된 AMX-13에도 자동장전 장치를 장착하여 큰 덕을 봤으며 르클레르 전차에도 AMX-13과 AUF-1 자주포에 장착된것과 같은 버슬방식의 밸트매거진방식으로 구동되는 자동장전장치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는 러시아전차가 채용하고 있는 카로젤 방식보다 기계적으로 구조가 단순하여 신뢰성이 높은 것이 특징인데 포탄의 장전은 -1.8도에서 이루어지며 발사 후에는 자동으로 장전각도로 복귀하는 구조 입니다.
이는 정지상태나 이동중에서 속도의 저하없이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무게 40킬로에 윽박하는 120밀리 포탄을 인력으로 그것도 이동중에 장전하기는 무척이나 어렵다) 탄창은 벨트매거진 방식이라는 방식으로 벨트에는 원통형 포탄 격납통이 적재되어 있으며 각 포탄은 컨베이어 벨트로 회전하는 구조 입니다.
각 포탄은 상하 22발씩 탄약을 적재하며 주포탄약 탑재량은 40여발로 잔여 18발은 차체앞의 조종실 옆에 적재하게 됩니다.
포탄의 적재는 실내와 실외에서 모두 할 수 있으며 적재된 각 탄약은 탄종이 자동으로 입력되며 컴퓨터에 위해 관리되는 이 탄약들은 탄종을 선택하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필요한 탄약이 자동으로 장전되는 구조 입니다. (포수는 오락하듯 필요한 탄종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알아서 장전해줌)
르클레르 전차의 개발사인 GIAT사는 통상 분당 15발을 사격할 수 있다고 하나 실제로는 12발 정도로 알려지고 있다. 이 자동장전장치는 피탄이나 고장시 속도를 조절할수 있는 장전모드가 있으며 개발당시 4개의 모크업과 10개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철저하게 실험하는등 신뢰성면에서는 매우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군이 K2 흑표전차의 개발시 프랑스제 자동장전장치를 구입해 실험해보고 한국형 자동장전장치를 개발한것으로 유명합니다.
주포의 부양각은 -10도~+15도 정도로 다른 3세대 전차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르클레르 전차는 120밀리 주포외에 2문의 기관총을 장착하고 있는데 한정은 12.7mm 기관총으로 동축기관총으로 사용중이여 다른 한정은 유선 리모콘으로 작동되는 7.62밀리로 포탑의 차장석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이는 과거 AMX-30전차에 장착된 20밀리 기관포에 비해 위력이 다소 약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탄탑재량을 오히려 더 늘어났고 어차피 무겁고 장갑이 강화된 현대의 APC 등에는 20밀리 기관포 정도는 충분히 막아낼 수 있기에 이보다 탑재량을 늘린 12.7 밀리 기관총을 장착한것으로 보입니다.
사격통제장치
르클레르 전차의 사격통제장치는 3세대 전차의 기본적인 기능인 헌터-킬러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차장용 조준경, 포수용조준경, 탄도컴퓨터와 각종 정보전송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포수용 조준경은 SAGEM사의 HL-60이며 주포의 왼쪽에 탑재되어 있습니다.
이 장치는 주간용의 CCD TV카메라, 야간용의 열영상 야시장치,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의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직/수평에 대하여 안정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
|
그리고 전차장용 조준경은 SFIM사의 HL-15파노라마식입니다.
이는 주간용 광학시스템과 야간용 영상증폭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전차용 사격통제장비들은 미제에 비해 가격도 저렴하면서 상당히 성능이 뛰어난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데 (우리의 K1전차들도 프랑스제 장비를 많이 이용중이다) 르클레르 전차에 장착된 것도 이중 하나 입니다.
대표적인 SAGEM사의 포수용 조준경인 HL-60은 주간용의 CCD TV카메라, 야간용의 열영상 야시장치, 레이저 거리측정기 등의 3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학계는 3.3배율과 10배율중 택일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광학계와 열영상은 같은 반사판을 사용하며 수직/수평에 대하여 안정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이동시에도 정확한 조준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
|
|
|
열영상장비는 야간에 최대 5,000 미터 까지 관측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탐지거리는 2500~3000미터로 주포의 사정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관측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차장용 조준경은 SFIM사의 HL-15 파노라마식 조준경으로 주간용 광학시스템은 2.5 배율과 10배율중 택1이 가능하며 야간에는 광증폭 야시장비로 목표를 수색하며 최대 4,000 미터까지 목표물을 수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용 탐지거리는 약 2500미터 정도로 알려져 있으며 눈이나 비 그리고 안개등의 악천후에는 탐지거리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전차장용 조준경은 차체의 레이져거리측정기로 거리를 측정하며 목표물에 대한 독자적인 정보를 획득할수 있기 때문에 포수용 조준경과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조준 사격할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포수용 열영상시스템의 영상을 전차장 차장용 모니터로 출력시켜 이용할수 있는 완벽한 헌터킬러 기능을 가지고 있씁니다.
이를위해 차장과 포수햇치 주변에는 여러 개의 페리스코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르끌레르는 전투기와 비슷한 완전히 디지털화된 사격통제장치를 탑재하여 전차로는 처음으로 리얼타임으로 전투를 할 수 있습니다. 장착된 탄도계산컴퓨터는 32비트 체계로 운용되는 완벽한 디지탈데이터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바람과 습도 그리고 온도등 외부요인을 자동으로 측정 가장 완벽한 탄도를 자동으로 계산 모니터에 표시해줌으로서 쉽고 정확한 조준을 가능케 해줍니다.
여기에 앞서 이야기했듯 차장석과 포수석등으로 통해 입수된 여러정보들은 사격통제컴퓨터로 입력되며 빠른시간내에 가장 이상적인 탄도와 명중각을 보여줌으로 포수는 발사버튼 하나만 누름면 바로 적의 전차를 격파할수 있게 되어진 뛰어난 사격통제장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센서장비들이 포탑 앞부분에 밀집되어 있어 소구경탄의 직격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경우 대부분의 기능을 할수 없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기도 합니다.
주포와 포탑을 제어하는 시스템은 전기식 입니다. 이는 기존 전차들의 전기유압식에 비해피탄시 고압의 높은 온도의 유압용 기름이 새어나와 승무원을 다치게 하는 문제점이 거의 없어 현재의 3세대 전차에는 거의 필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식으로 구동되는 포탑의 경우 육중한 포탑을 돌릴려면 보다 강력한 모터와 많은 전기를 소모하므로 별도의 발전기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기동력
르클레르 전차에는 V8X 디젤엔진과 ESM500 자동변속기가 파워팩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1500마력을 내는 다른 전차용 엔진에 비해 크기가 콤팩트하면서 출력은 1500마력을 내는것으로 르클레르전차는 이 파워팩으로 인해 다른 3세대 전차보다 길이는 1미터 이상 무게 역시 5톤 정도 가벼운 것이 특징입니다.
르클레르에 장착되는 V8X 디젤엔진은 크기는 작지만(현재 레오파트II 전차에 사용되는 MB783 엔진의 2/3 수준) V형 8기통 엔진으로 출력은 1500마력을 내며 이처럼 크기는 작지만 고출력을 낼낼 있는 것은 뛰어난 터보제트시스템 (프랑스는 1차대전 이전부터 영국과 더불어 엔진부분에 상당한 기술력을 가진 나라중 하나이다) 입니다.
V8X-1500 Hyperbar DISEL ENGINE
Leclerc 전차는 2500rpm에서 1500마력의 출력을 내는 고압개스터빈연소실에 의해 최적화된 Wärtsilä (과거 SACM) V8X-1500 Hyperbar 고압 디젤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SAGEM사에 의한 전자식 엔진 관리 시스템은 엔진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시동 계통및 연료시스템을 관리한다. 자동변속기는 SESM ESM 500 제품으로 전진5단 후진2단이다. Leclerc 전차의 동력계통은 이전차가 포장도로에서 70km이상, 기타 도로이외의 상황에서 50km이상의 속력으로 기동 할수 있게 해준다.
이밖에 Leclerc 전차는 보조 파워유니트 - Turbomeca의 type TM-307B를 가지고 있다. 서스펜션시스템은 유압식서스펜션으로 Societe d'Applications des Machines Motrices (SAMM)사로부터 공급된다.
기타 엔진부와 승무원 거주구역은 자동 화기 감지및 소화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아랍에미레이트에 공급된 Leclerc 전차에는 상기사양이외에 열대및 사막지역에 최적화된 보조 파워팩을 장비하고 있으며, 이때문에 외관은 기준형에 비해 길이가 뒤쪽으로 증대되었으며, 또한 연료탱크의 용량 역시 증가되었다. 이 열대사양의 전차에는 기존의 엔진과 변속기 대신 MTU(독일 레오파드II 전차용 디젤도 공급하고 있다.)사의 1500마력의 출력을 내는 883 V-12 엔진과 Renk社의 전진5단 후진 3단 HSWL295 변속기를 장착하고 있다. 또한 HL-70 전차장용 조준기는 열영상조준경과 레이져 거리측정기가 포함된 HL-80조준기로 대체되었다. 이 열대버젼에는 새로운 냉방장치및 공기정화기가 장착되었으며 휠과 캐터필러를 보호하기위한 측면장갑판이 추가되었다
|
하이퍼바 (Hyperbar)라 불리는 이 새로운 터보시스템은 디젤엔진과 개스터빈엔진의 복합기관으로 알려져 있는데 V8X의 하이퍼바 터보는 치리포매카사가 개발한 기술로 TM307 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이는 주엔진과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보조발전기 없이 보조동력 (APU)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젤엔진의 시동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소형에다 회전저항이 작아 한냉지에서도 용이하게 시동을 걸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스웨덴에서 치루어진 차기 전차 실험에서 이 복잡한 구조는 큰 잇점을 발휘하지 못했다 구조가 단순하고 성능도 우수한 레오파트II 전차의 MB783 엔진이 너무나 뛰어난 전차용 엔진이였기 때문인데 결국 스웨덴의 차기 주력전차는 레오파트II A5 형이 선정되었다)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자동변속기는 전진 5단 후진 2단으로 전진시 최고 4단으로 1속 아래에는 초저속으로 이동할수 있는 모드가 존재합니다. 브레이크 패드는 카본& 카본복합체로 수명이 매우 긴 것이 큰 특징입니다.
르클레르의 현가장치는 초기생산형에는 토션바와 유기압식을 각각 탑재하여 성능을 면밀하게 확인한후 최종적으로는 유기압식을 채용하였는데 각각의 현가장치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독립식 유기압현가장치) 두개의 유압식실린더로 구성되어진 매우 뛰어난 성능을 가진 현가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유기압식 현가장치를 시속 55킬로 이상으로 고속이동하면서도 정확한 조준이 가능합니다.
르클레르 전투중량이 54.5 톤에 불과 다른 3세대 전차들이 60톤이 넘는 것이 비해 출력중량비는 27.5 hp/t 으로 매우 높은 편 입니다. 이로인해 최고속도는 무려 71Km/h 를 낼 수 있으며 이는 동급의 3세대 전차들이 60~65Km/h 의 속도를 내는것에 비해 무척 빠른 속도 입니다. 특히 작지만 뛰어난 출력을 가진 엔진덕에 0~32Km/h 까지 가속하는데 불과 5.5 초만 소요되는 현용 전차중에서는 기동력이나 순간속도면에서는 상당히 뛰어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더 뛰어난 부분은 이런 속도를 가진 전차임에도 기본 항속거리 약 550킬로.. 보조연료 탱크 장착시 650킬로라는 상당히 우수한 항속거리를 가졌다는 점으로 이는 차체의 무게가 가볍고 연료효율이 우수한 디젤 엔진의 덕이 크다 하겠습니다.
방호력
르클레르 전차를 이야기 할 때 베트로닉스와 더불어 모쥴화된 장갑을 도입한 전차라는 점을 꼭 부각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전차의 장갑은 한번 생산되면 페기하지 않는한 영원히 교체할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르 클레르 전차의 장갑은 기본장갑구조 위에 모듈식으로 된 장갑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피탄시 그 부분만 쉽게 장갑을 교체할 수 있으며 또 필요시 쉽게 장갑을 추가 &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임무에 따라 무게가 가벼운 경장갑부터 시가전등에 적합한 중장갑까지 다양한 장갑을 임무에 맞게 선택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새로운 전차용 장갑이 개발되었을 때 기존의 장갑을 쉽게 제거하고 새로운 장갑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이스라엘의 메르카바 전차가 이와 비슷한 개념을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런 모쥴식 장갑은 본장갑에 완전히 고정되지않으면 (고정이야 단단하게 하겠지만..) 피탄시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장갑의 재질은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치만 영국에서 개발된 초범아머와 비슷한 복합장갑으로 세라믹장갑을 기초로 각기 다른 여러재질을 샌드위치식으로 적층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인해 무게는 다른 3세대 전차보다 5~10톤가량 가볍지만 다른 3세대 전차와 비슷한 1,000밀리 급의 방호력을 가진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르클레르 전차는 차체의 높이가 낮고 엔진의 고효율화로 엔진이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어 차체가 짧은데다가, 자동장전 장치의 채택으로 포탑 높이마저 낮아 실루엣이 낮은덕에 피탄률 역시 상당히 작은것이 특징입니다.
르 클레르 전차는 미국의 M1A1보다는 10톤 정도 가볍지만 전체적으로 전차 높이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비슷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르클레르 전차에는 여기에 포탑 후방 좌우에 그레레이드 런처를 장착하여 이곳을 통해 연막탄과 유탄을 장착 발사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이 런처에는 연막탄과 유탄등을 발사할수 있으며 연낙탄 4발 대인용 유탄 3발 기타 적기만용 유탄 2발을등 선택발사할 수 있습니다.
배치 및 활동
르클레르 전차는 1992년부터 프랑스육군에 도입 배치중에 있습니다. (고로 1991년 걸프전에는 참전하지 못해고 대신 AMX-30B2 타입이 다국적군 자격으로 참전했다)
초기에는 약 1,400여대가 생산될 예정이었지만 바로 프랑스 경제가 어려워진탓에 1,000대 이하로 줄었으며 이로인해 가격도 10%가 초과된 초기 생산분이 배치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2010년 현재 프랑스군에 406대만이 생산되어 배치되었으며 추가로 20대의 구난전차가 도입예정에 있습니다.
수출 역시 부진한 편인데 아랍에미레트에만 436대(388 + 46(구난전차) + 2(훈련용전차)) 를 발주하였으며 2006년까지 모두 납품완료하였습니다. 아랍에미레이트는 프랑스군보다 10여대가 많은 르클레르 전차를 운용중이며 대신 엔진은 V8X 대신에 독일 MTU사의 MB883 엔진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카타르가 르클레르 전차 도입을 살피고 있고 (프랑스는 40여대 정도를 사주길 희망) 콜럼비아가 30~40여대 도입을 고려중이나 가격 때문에 거의 희박한 수준 입니다.
뛰어난 성능에도 불구하고 수출이 부실한 이유는 역시 높은 가격으로.. 르클레르 전차의 가격은 약 최신 사양의 경우 200억 수준으로 (₣ 104,304,000 in 1993, ? 15,900,000 in 2001 according to the Cour des comptes.[1] ? 17 million in 2008 ) 수준으로 이는 비슷한 성능을 내는 레오파트 A5 를 능가하는 가격이고 최신 M1A2 전차를 능가하는 수준입니다. (이정도 가격이라면 차라리 검증받은 레오파트II 나 M1A2 전차를 사는게 낫지.. 거의 두대 가격인데..) 아무리 성능이 우수한들 가격이 두배차이면 (그것도 최신 미제 전차에비해.) 도입을 꺼리는게 당연하죠..
심지어 개발 당사자인 프랑스군조차 당초 도입분 1,400대에서 1,000여대 그리고 다시 600여대로 줄였지만 결국에는 406대만(2006년 도입완료) 도입하였으며 현재는 다른 도입국가가 없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더 오른편 입니다. (이로인해 프랑스군은 퇴역시킬 예정이였던 AMX-30 을 여전히 계속 운용하게 생겼다. )
르클레르 전차는 프랑스가 개발 배치 중인 3.5 세대 전차이며 현재 기술적으로 가장 뛰어난 설계를 가진 전차중 하나 입니다.
데이터버스와 FINDERS (Fast Information, Navigation, Decision and Reporting System) 전장관리 시스템을 장착한 시대를 앞설 설계로 인해 다른 3세대 전차와 구분하기 위하여 3.5세대 전차라고도 합니다.
이뿐 아니라 모쥴화된 장갑과 배연기가 없는 52구경장의 120밀리 활강포 그리고 안정성이 검증된 자동장전장치와 컴팩트한 크기로 전차승무원을 3명으로 줄이는 한편 뛰어난 연비 그리고 우수한 출력을 자랑하는 1500마력급의 V8X 엔진과 작은차체 그리고 동급성능 가진 다른 3세대 전차보다 5~10톤 가량 가벼운 무게를 가진 전차로 현재 다른 3세대 전차를 비롯 차기전차개발사상을 제대로 반영한 전차로 알려져 있습니다.
르클레르 전차의 이런 독창적인 전차설계사상은 각국의 전차개발에도 큰 영향을 끼쳤는데 특히 한국의 차기 주력전차인 K-2 흑표에 개발에 이런 르클레르의 개발개념은 좋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한국군의 차기 주력전차로 개발중인 흑표의 경우 K1~K1A1의 설계로 얻은 노하우에 르클레르 전차의 설계사상과 러시아 전차 (불곰사업으로 도입된 T-80U 전차를 운용경험) 도입과 운용에 따른 경험 그리고 이스라엘 전차의 운용개념등을 두루 종합하여 설계된 전차로 특히 흑표전차의 설계에 있어 르클레르 전차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했습니다. (일부 일본 군사전문가들은 심지어 흑표전차를 르클레르 전차의 카피로 폄하하기도 하는데 이는 외형에서 오는 느낌에서 그런느낌을 받을수 있지만 기본설계 자체는 전혀 다르다 오히려 이스라엘이나 러시아 전차 설계사상이 많이 들어가 있다)
[한국군이 120밀리 이상의 주포를 장착한 전차를 맛본것은 90년대 초반 러시아의 대협차관으로 들여온 러시아제 T-80U 전차가 처음이였다. 러시아제 125밀리 활강포를 장착한 이 전차는 20여년 가까인 운용하면서 새로운 전차 개발에 대한 많은 기술을 축적할 수 있었다고 한다]
르끌레르 전차는 원래 기존의 AMX-30전차를 모두 대체할 예정이고, 21세기에 프랑스 기갑부대의 주력전차가 될 예정이였지만, 아시다시피 프랑스가 현재 극심한 경제사정을 겪고 있는지라 406대만 (2006년기준) 생산납품되었고 추가로 20여대의 구난전차 타입을 추가 납품할 예정입니다.
한편 꾸준히 성능 개량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각 타입별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series 1: (르클레르 초기형 차량으로 헬레르 제품이 이를 재현중)
Leclerc T1 and T2: 선행양산형 17대만 제작 Leclerc T3, T4 and T5: 최종양산형1992년부터 1996 사이 132대 생산
series 2: (르클레르 후기형 차량으로 타미야 제품이 이를 재현중)
Leclerc T6 to T8: 포탑후방에 작은 지붕이 생기고 에어컨이 장비됨 전면 헐 부분에 흙받이용 스플래쉬 가드추가 (splash guard )
Leclerc T9: 원래 장비된 Athos 제 열상카메라 대신 (Athos thermal camera) 아이리스(Iris)로 불리는 신형 열상카메라 장착
series 3(XXI):
Leclerc T10 and T11: 이 차량은 차장석 디스플레이에 미군이 사용하는 IVIS 시스템이나 독일이 사용하는 TCCS ( Tank Command and Control System , 줄여서 TCCS 일종의 C4I 시스템)과 비슷한 Icone (Ergonomic Communications and Navigation Interface)로 불리는 Terminal Information System (TIS)를 EADS와 함께 개발하여 100여대에 추가한 버젼 그밖에 성능이 강화된 장갑추가와 더불어 이에 맞추어 기존 생산형의 탄도컴퓨터를 개량함
|
시가전용으로 개발한 프랑스의 Leclerc AZUR
Leclerc AZUR는 Action en Zone Urbaine, 즉 시가전 환경에 특화시킨 전차라는 의미입니다.
차체전반적으로 방어력이 추가되었고 근접 시가전을 위한 원격조작식 무장을 추가되었습니다
프랑스 GIAT社가 단독으로 투자하고, 프랑스 육군의 기술지원을 받아 개발한 르끌레르 AZUR 전차는 2006년 말, 프랑스 육군에 인도되어 운용평가에 들어갔습니다.
이 전차는 原르끌레르 전차에 장착된 52구경장 120mm 활강포와 자동장전기를 그대로 장착하여서, [미익안정 분리 장갑관통탄]과 [불완전 연소 탄피 장갑파괴탄]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포탄들은 시가전에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GIAT社와 프랑스 방산 조달국은 [120 HE F1]이라는 새로운 포탄을 개발하였으며, 프랑스 육군은 이 포탄을 총10,000발 구매할 계획입니다.
르끌레르 AZUR 상부에는 7.62mm 기관총 1정이 장착되어 있는데, 원격조종식이어서 차내에서 조준과 사격이 가능하며, 신형 파노라마식 광학조준경은 차장에게 360도 감시능력을 제공합니다.
르끌레르 AZUR는 생존력 제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 전차로서, 전차측면과 후방의 방호능력 증강을 위하여 증강형 방호 킷트를 장착하였습니다. 선진적인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측면 스커트는 승조원室과 동력장치에 대한 방호능력을 제고시켰으며, 차대 및 포탑 후방부에는 로켓탄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팬스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 밖에 엔진 상부에는 추가 방호 조치를 취하여 화염병 공격을 방어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전차에 장착된 근거리 통신 시스템은 하차보병과 통신연락을 확보하는데 사용되며, 차량 후방에는 탈착식 보급박스 2개가 장착됩니다.
르끌레르 AZUR 시스템은 전문적인 장비 없이 12시간 內에 전체 업그레이드 셋을 표준형 르끌레르 전차 1대에 장착할 수 있습니다
계열차량 Leclerc AZUR:Action en Zone Urbaine, "Improve fighting ability in urban environments" Leclerc EPG: Engin Principal du Génie, "main engineering vehicle": armoured engineering Leclerc DNG: Dépanneur Nouvelle Génération: repair tank Leclerc MARS: Moyen Adapté de Remorquage Spécifique: tugboat tank
Leclerc used by the Army Forces of United Arab Emirates.Leclerc EAU: "Tropicalised" version of the United Arab Emirates; it is fitted with: EuroPowerPack with the MTU 883 diesel engine of 1,100 kW. The United Arab Emirates have interests in the German company which builds them (MTU) and preferred an engine of their own. This powerplant is more reliable than the French UDV 8X (1,500 HP), though it has small problems with the clutch. Externally mounted auxiliary power unit Remote-controlled mount for 7.62 mm machine-gun, allowing under-armor operation Completely automated driving and turret functions, for use by crew with onl y basic training. Mechanical air-conditionning, to cool the tank without the use of electric current which could reveal the position of the tank |
프랑스 Leclerc DNG 구난전차
프랑스육군의 주력전차 Leclerc의 파생형인 DNG 구난전차로 공병용인 이런 파생형은 다음과 같은 종류가 개발되었습니다.
Leclerc EPG: Engin Principal du Gnie, "Main vehicle of Engineering": armoured engineering 장갑공병전차 Leclerc DNG: Dpanneur Nouvelle Gnration: repair tank 구난수리용 전차 Leclerc MARS : Moyen Adapt de Remorquage Spcifique: tugboat tank 견인용전차
프랑스 Leclerc DNG 구난전차
Leclerc 전차를 지원하기 위해서 프랑스의 Giat사가 개발한 새로운 세대의 구난전차인 DNG(Depannage Nouvelle Generation)는 광범위한 적용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육군은 지아트사에 222대의 르크렐 전차를 주문했으며 MLC 70 (Military Load Class 70) 전차 또는 다른 장갑 차량들을 구난하거나 지원이 가능한 DNG 구난전차 초도 주문량은 20대를 (옵션으로 10대 별도)도입키로 계약하였고 UAE가 Leclerc 전차 지원용으로 46대를 주문하였습니다.
프랑스 육군에서 운영하던 표준 구난전차(ARV : Armoured Recovery Vehicle)는 AMX-30D로 AMX-30 전차에 비해 50% 이상 비대해진 (55톤) 르크렐 전차를 구난하거나 견인할 수 없었기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Giat사는 Leclerc 를 베이스로 독일산 장비를 장착한 최초의 DNG 1 시제 2대가 1994년에 완성되었으며, 이어 DNG 2가 개발되었습니다.
자체방어용으로 12.7mm 기관총을 차장석 큐폴라에 장착하며 GPS를 바탕으로 한 항법시스템이 장착되어 복잡한 전장에서도 정확한 운행이 가능합니다.
DNG는 전장에서 3가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데, 가동 불능의 전차 구난, 파손된 전차의 견인 및 전방 지역에서의 전차 수리 작업 수행등입니다. 또한 DNG는 DCL로도 알려졌는데 이는 지뢰제거용으로 K2D라는 장비나 Minotaur 대전차지뢰 살포기를 장비할 수도 있습니다.
DNG의 승무원실은 전방 좌측에 있으며, 그 아래쪽의 우측에 윈치가 있고 엔진실은 후방에 있습니다. 또한 DNG의 전방에는 윈치나 크레인이 사용될 때 차량을 안정화시키거나 전장의 장애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3.42m 폭의 Blade가 장착되어 있고, 윈치와 크레인을 포함하는 구난장비는 독일의 MaK사가 제작하여 독일 육군의 뵈펠(Buffel) 구난전차에 사용된 것과 동일합니다. 이장비는 우리의 K-1 ARV에도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차체의 우측에는 최대 35톤의 용량을 갖는 크레인이 장착되는데, 이것은 260도 선회될 수 있으며, 후크가 인양가능한 최대 높이는 7.9m입니다. 때문에 구난하는 전차의 포탑이나 동력장치를 들어 올릴 수 있게 합니다. 주 윈치는 35톤의 견인력(single cable)을 제공하며 이중활차 사용시 70톤(double cable)까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1,500kg 용량의 보조윈치가 있습니다.
DNG는 통상 차장, 조종수 및 윈치/크레인 조작자로 구성되는 3명의 승무원에 의해서 운영되지만 4번째 승무원을 위해서 하나의 접절식 좌석이 장착되어 있으며 승무원실은 냉/난방 및 화생방 시스템이 장비되어 있고 자동화재 탐지 및 진압 시스템이 엔진, 윈치 및 승무원실에 장비되어 있습니다. 또한 수리후 교체할 수 있는 Leclerc 전차용 파워팩을 차량 후부의 상부에 운반할 수 있습니다
제원 승무원 3명 ( + 1명 가능) 야지횡단속도 ; 55 kph 노상최대속도 72 kph 최대중량 59,000 kg 접지압 : 0.82 kg/㎠ 폭(도저삽날 포함) : 3.42m 폭(궤도포함) : 3.38m 높이(상판) : 2.6m 길이(전체): 9.15m 도섭수심 : 1m 참호통과 폭 : 3m 수직장애물 통과높이 : 0.7m 횡경사 : 30% 등판능력: 60% 최저지상고 : 0.485m 궤도폭 : 635mm 연료탱크용량: 1,300liters 최대항속거리 : 500 km 현수장치: 2-실린더, 유기압식 전기장치 : 24 V 축전지 : 8×12 V, 125Ah 엔진 : MTU 883 과급 V-12 디젤 출력 :1,500hp 중량대 출력비 : 25.4hp/t 변속기: 통합 토크 컨버터와 유체 동력학 리타더, 전진 5단 후단 3단의 기어를 갖는 Renk HSWL 295 자동변속기 무장 : 1×12.7 mm M2 HB 기관총, Galix 자체방어 시스템
마지막 6번째 사진은 MARS, 7번 사진은 EBG형이며 마지막은 DNG가 여러가지 용도로 변형될 수 있는 옵션장비들 모습입니다. |
◈AMX-56 LECLERC MBT【프랑스】
길이×폭×높이:9.87m×3.71m×2.38m
중량: 54.5t
엔진: SACM V8X-1500 V형8기통 디젤
1,500hp/2,500rpm
최고속도: 71km/h
항속거리: 550km
승조원: 3명
무장: 52구경 120mm활강포 CN-120-26×1
12.7mm중기관총×1
7.62mm기관총F1×1
장갑: 복합장갑
참고싸이트 및 실기체 자료출처
미라지의 콤프방 (www.compmania.co.kr)
아카데미 홈페이지 (http://www.academy.co.kr)
트럼페터 홈페이지 (http://www.trumpeter-china.com/)
유용원의 군사세계(http://bemil.chosun.com/)
비겐님의 블로그
(http://kr.blog.yahoo.com/shinecommerce/2227.html?p=1&t=3)
위키백과사전 영문판 (http://en.wikipedia.org/wiki/AMX-56_Leclerc)
Leclerc program update
내쇼날지오그래픽스 특집 다큐멘터리 메가팩토리 ‘에이브람스’편
http://www.1999.co.jp/eng/10071049
참고서적
세계의 전차 (주식회사 군사정보 2000.9.1)
98 전차연감 (주식회사 군사정보 1998.5.1)
세계의 전차 1946~2000 (주식회사 군사정보 2000.9.1 )
취미가 17호 (1993년 1월호)
M1A1 에이브람스 주력전차 (주식회사 군사정보 1999.8.30 )
컴뱃암스 24호 (1998.9월 주 군사정보)
발췌/출처 전쟁속의 영화이야기: http://www.cyworld.com/undercoverbrother
글 주소: http://www.cyworld.com/undercoverbrother/2848143
한국군 매거진 2001년도 10월호 (주 군사정보)
ㅇ 한상철, 한기상, CD 롬 : 세계 각국 전차 소개, 현대정공 기술연구소, 1999
ㅇ 유승식, 21세기의 주력병기, (주)군사정보, 1998,
* Wrighten By Mirageknight (2011.12.20 Ver 1.0) *
(본 게시물의 권리는 미라지콤프(www.compmania.co.kr) 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게재를 엄격히 금합니다. 게재를 원할시는
King331@hanmail.net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 사용하시는건 마음껏 퍼가
셔도 됩니다. 다만 출처는 꼭 밝혀주시길… 틀린내용이나 수정부분의 대한 지적은 언제
나 환영 합니다.
첫댓글 좋은 리뷰잘봤습니다.^^ 르꼴레르 디자인은 XK2와 비슷한면이 있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