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프레소] ‘크리스마스의 기적’ 같은 일이었어요
직장내 괴롭힘 금지법 4년 5개월… 증거·증언 수집은 피해자의 몫
신고 3만 건 중 인정은 12.8%뿐 “그래도 사회는 계속 바뀔 겁니다”
송혜진 기자
입력 2023.12.19. 03:00
“제겐 크리스마스의 기적 같은 일이었습니다.” 수화기 너머 그의 단정한 목소리가 가늘게 떨렸다.
성탄절을 앞두고 제보 몇 건을 받았다. 직장 내 괴롭힘으로 회사에서 오래 힘겨운 시간을 보냈다는 피해자들의 사연이었다. 국내 대기업에서 일하는 이도 있었고, 유명 글로벌 기업 직원도 있었다. 이들 사연을 취재하면서 종종 가슴이 갑갑했고, 또 먹먹했다. 피해자들이 자신이 피해자임을 입증하는 것은 얼마나 어려운지 다시금 깨달아서였다.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
/일러스트=조선디자인랩 이연주
한 대기업 팀장은 지난 2년 동안 매일 일기를 썼다. 직속 상사에게 매일 오전 6시부터 밤 11시까지 텔레그램으로 폭언 섞인 문자를 받으면서부터였다. ‘네 목 위에 있는 게 머리 맞냐’ ‘변기에 대고 얘기해도 너랑 얘기하는 것보단 시원하겠다’ 같은 내용의 메시지가 아침이고 밤이고 날아들었고, 그때마다 A씨는 ‘나는 정말 그토록 무능한가’ ‘살아 있는 게 의미 있나’라고 자문했다고 한다. 참고 견디다 고용노동부에 신고했지만 회사는 가해자를 징계하는 대신 피해자를 다른 부서로 옮기려 했고, 그는 사표를 썼다.
상황을 뒤집은 건 동료들이다. “부끄러운 선례를 남길 순 없다”고 동료들이 항의했고 결국 가해자가 부서를 옮기게 됐다. A씨는 “전 정말 운이 좋은 경우임을 안다”고 말했다. “증언해줄 동료 한 명이 없어 직장 내 괴롭힘을 인정 못 받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지 알거든요....” 그가 다시 울먹였다.
작년 12월부터 올해 7월까지 유명 글로벌 시계 S그룹에서 일했던 B씨는 반면 아직 힘겨운 싸움 중이다. 그는 이 회사에서 7개월가량 시계 테크니션으로 근무하며 고객이 본사에 시계 수리를 맡기면 이를 조사하고 견적을 내는 일을 맡아왔다. 입사 초기부터 그는 직속 상사인 부장에게 끊임없는 괴롭힘과 언어 폭력에 시달렸다. 부장은 고객이 무상 수리 보증 기간에 시계 수리를 신청하면 B씨에게 “이런 (돈이 안 되는) 것은 그냥 돌려보내라”고 했고, 고급 쿼츠 시계 수리가 들어오면 배터리만 교체해도 될 시계를 놓고 “전체 부품 교체 수리로 다 바꾸라”고 했다고도 했다. 이 경우엔 고객이 수리 비용을 받아들이면 내야 할 돈이 5만원에서 95만원으로 불어났다. B씨가 이를 거부하면 “말을 못 알아듣는다”고 호통쳤고, 나중엔 화장실 다녀오는 횟수까지 제한하며 괴롭혔다. B씨는 부장을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했지만 회사는 이를 받아 들여주지 않았다. 관할 노동지청에 진정서를 제출했지만, 노동청은 “사내 조사가 미흡한 것은 맞지만 어쩔 수 없다”고 했다. B씨는 “1차 조사에서 사측이 일을 키우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대충 덮으면 이를 뒤집을 방법은 별로 없다”고 했다.
2019년 7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근로기준법 개정안)’이 시행된 지 4년 5개월. 그러나 여전히 객관적 증거나 증언을 찾는 건 피해자의 몫이다. 회사에 입사하는 순간부터 상사에게 괴롭힘을 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서 매일 사진을 찍고 녹음하고 다닐 직원이 대체 몇이나 될까. 실제로 지난 4년 동안 고용노동부에 접수된 신고 3만843건 중 괴롭힘으로 인정받은 경우는 12.8%, 검찰 송치·기소까지 이어진 경우는 0.7%에 불과하다.
그래도 A씨 사례를 보면서 희망을 품어본다. 한 고용노동부 근로감독관은 말했다. “물론 직장 내 괴롭힘을 제대로 조사하긴 쉽지 않아요. 그렇지만 성범죄 피해도 예전엔 신고하는 것 자체가 금기였고 눈총 받을 일이었지만 이젠 아니잖아요. 사회는 계속 바뀔 겁니다.”
기도한다. 오늘 크리스마스 기적이 내일은 당연해지길. A의 기적이 언젠간 일상이 되길.
송혜진 기자
송혜진 기자 조선일보 산업부 유통팀
유통팀. 모든 B2C를 취재합니다.
기사 전체보기
많이 본 뉴스
[기자의 시각] 김오랑 명예 회복, 민주당은 뭘 했나
[기자의 시각] 김오랑 명예 회복, 민주당은 뭘 했나
[사설] 與 비상 초래한 대통령실이 비상대책위원장 고른다니
[조용헌 살롱] [1426] 산삼의 잎사귀 수
100자평2
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청진Kim
2023.12.19 06:23:39
이런 갑질은 인권 의식 부재에서 생긴다. 미국 독립선언문에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 이들은 창조주로부터 양도 불가한 권리를 부여 받았다. 이것들 중에 생명, 자유, 행복 추구권이 있다." 생명과 자유 즉 인권은 신으로부터 부여 받은 아무도 침해할 수 없는 권리라는 것이다. 따라서 각 개인은 상호 존중해야 하고, 이러한 인권 교육이 학교로부터 이루어 져야 한다. 학생 인권만 강조할게 아니라 인간의 권리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이 있어야 한다.
답글작성
1
0
밥좀도
2023.12.19 04:34:37
직장인은 회사에서 길러지는 가축인 '사축'이자 직장에서 시집살이 하듯이 '직장살이'를 하는 것이다.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는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답글작성
1
0
많이 본 뉴스
1
‘민주당 돈봉투’ 송영길 구속... 법원 “불법자금 관여, 사안 중대”
2
동업자 배신, 10년 설움 날린 ‘욕실 온풍기’ 대박
3
검찰, 조국 2심서도 징역 5년 구형 “내로남불 반성 안해”
4
BTS·블핑·임영웅이 이낙연 지지? 포스터 논란에…친낙 “친명의 공작”
5
MBC 패널 “나라 안 망하려면 민주당 과반 돼야”… 진행자 “하하하”
6
건축주 실수로 ‘옆 동’ 잘못 입주… 20년 넘게 산 주민들
7
대리기사가 했다더니...이경 민주 부대변인, 보복운전 벌금 500만원
8
日 일본제철, US스틸 인수 발표…18조원에 ‘122년 美 철강사’ 접수
9
정경심 “아들 상장·수료증, 위조는 아니지만... ‘셀프 수여’ 반성”
10
134조 눈덩이 굴러온다… 떨고있는 2금융권
오피니언
정치
국제
사회
조선경제
스포츠
건강
컬처·
스타일
조선
멤버스
DB조선
조선일보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개인정보처리방침
앱설치(aos)
사이트맵
Copyright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