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2월 대성]
It can be easy to become stuck in a rut. And when you're in a rut, the only things you can see are the other things in that rut. Yes, it takes a little effort and courage to climb out of that rut. Yet when you do, the view expands tremendously. Go somewhere new, and countless opportunities suddenly appear. Do something different, and all sorts of great new possibilities spring up. Be open to new, and different people, places, methods, and things. Energize your mind and your spirit on a continuing basis. Climb out of your rut, and take a look around at the big, wide, beautiful world.
① 틀에 박힌 삶에서 벗어나라.
②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마라.
③ 성실한 생활 태도를 가져라.
④ 인생의 밝은 면을 보아라.
⑤ 어려움을 극복하는 능력을 길러라.
[해석]
틀에 박힌 생활을 하게 되기가 쉬울 수 있다. 그리고 틀에 박힌 생활을 할 때 당신이 볼 수 있는 유일한 것들은 그 틀에 박힌 생활 속에 있는 다른 것들이다. 그렇다. 그 틀에 박힌 생활 밖으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약간의 노력과 용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당신이 그렇게 할 때 시야는 아주 넓어진다. 새로운 어떤 곳으로 가라. 그러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기회들이 갑자기 나타난다. 다른 어떤 일을 하라. 그러면 온갖 종류의 훌륭하고 새로운 가능성들이 갑자기 생긴다. 새롭고 다른 사람들, 장소들, 방법들과 일들에 개방하라. 당신의 마음과 당신의 정신에 계속적으로 활력을 불어넣어라. 당신의 틀에 박힌 생활 밖으로 나와서 크고 넓으며 아름다운 세상을 한 번 둘러보아라.
[어휘]
rut 상례, 틀에 박힌 생활
tremendously 굉장히, 아주
spring up 갑자기 나타나다, 생기다
on a continuing basis 계속적으로
[해설]
Yet when we do. 이하는 틀에 박힌 삶에서 벗어나라고 조언하는 내용으로, 특히 Climb out of your rut.에 필자가 주장하는 바가 잘 나타나 있다.
[정답] 1
(2~3)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2월 대성]
2.
It's human nature. We look at the situations of our friends, neighbors, and colleagues and come to believe they have "it" better or more lucrative than we do. No matter what "it" happens to be - material possessions, lifestyles, work situations.... We are never satisfied with our own situation; we always think others have it better. It seems that no matter what we have, who we are, what kind of car we have, or where we live, we think the next person has something better. Why is that? What in our human nature causes this type of thinking? Is it greed? Low self-esteem?
① 고생 끝에 낙이 온다.
②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③ 남의 떡이 더 커 보인다.
④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한다.
⑤ 바늘 구멍으로 황소 바람 들어온다.
[해석]
그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우리는 우리의 친구, 이웃과 동료들의 처지를 보고 그들이 우리가 가진 것보다 더 좋게 또는 더 유리하게 “그것”을 가지고 있다고 믿게 된다. “그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ㅡ 물질적 소유물이건, 삶의 방식이건 근무 여건이건 ㅡ 우리는 그렇게 믿는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상황에 결코 만족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그것을 더 잘 가지고 있다고 항상 생각한다. 우리가 무엇을 가졌든, 우리가 누구이든, 우리가 어떤 종류의 차를 가졌든 또는 우리가 어디에 살든 우리는 옆 사람이 더 좋은 무언가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왜 그런가? 우리 인간의 본성에 있는 무엇이 이런 종류의 생각을 하게 하는가? 그것은 탐욕인가? 낮은 자존심인가?
[어휘]
lucrative 돈이 되는, 유리한
greed 탐욕
self-esteem 자존심, 자부심
[해설]
자기 자신이 소유한 것보다 다른 사람들이 소유한 것이 더 좋아 보인다는 의미를 잘 나타내는 속담은 ③이다.
[정답] 3
3.
One year I had a greenhouse and my tomato vines grew like weeds, but they had such thin and long stems I had to brace them. Later I noticed a smaller plant growing outside the greenhouse, apparently from a dropped seed. I couldn't believe the difference in the plants. The stem on the outside plant was thick and sturdy. That convinced me of the value of harsh weather. When things come too easily to children, there is no lesson to develop character traits such as courage or perseverance. How can children possibly become strong if they have an easy life? The tougher their life is, the tougher they have a chance to become.
① 어렸을 때 고생을 해 보아야 한다.
② 아이들을 건강하게 키워야 한다.
③ 아이들에게 창의력을 길러 주어야 한다.
④ 어렸을 때 자연의 섭리를 배워야 한다.
⑤ 아이들에게 모험심을 길러 주어야 한다.
[해석]
어느 해에 나에게는 온실이 있었는데 내 토마토 덩굴이 잡초처럼 자랐지만 너무나 가늘고 긴 줄기를 가져서 나는 그것들을 받쳐 주어야 했다. 나중에 나는 분명히 떨어진 씨앗에서 나온 더 작은 식물이 온실 밖에서 자라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 나는 그 식물들의 차이를 믿을 수 없었다. 바깥에 있는 식물의 줄기는 두껍고 튼튼했다. 그것은 나에게 혹독한 날씨의 가치를 확신시켜 주었다. 일들이 어린이들에게 너무 쉽게 될 때 용기나 인내와 같은 인성의 특징들을 개발시켜 줄 교훈이 없다. 어린이들이 안락한 삶을 산다면 어떻게 강해질 수 있단 말인가? 그들의 삶이 힘들면 힘들수록 그들은 더 강인해질 기회를 갖는다.
[어휘]
vine 줄기, 덩굴
brace 떠받치다, 보강하다
sturdy 튼튼한, 기운찬
trait 특성, 특질
perseverance 인내
[해설]
How can children possibly become string if they have an easy life? 와 The tougher their life is, the tougher they have a chance to become.에 글의 요지가 잘 나타나 있다.
[정답] 1
4. 다음 글이 주는 교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2월 대성]
In 1994 Intel discovered that its Pentium processing chip had a flaw. Instead of fixing or exposing the flaw, Intel continued to promote and aggressively sell the defective computer chip. Within five months, rumors of the flaw spread throughout the computer world. Intel's cover-up was exposed, but they continued to downplay the significance. A dramatic step by IBM to stop selling units with the Pentium chip finally got Intel's attention and they agreed to exchange the chip when requested. Coming clean ultimately helped the company reclaim their positive image.
① 희망을 갖고 살아라.
② 잘못을 솔직히 시인하라.
③ 다른 사람을 비난하지 마라.
④ 시대의 변화에 빨리 적응하라.
⑤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라.
[해석]
1994년 Intel은 펜티엄 프로세서 칩에 결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결함을 수정하거나 드러내는 대신에 Intel은 결함이 있는 컴퓨터 칩 판매를 계속 장려하고 적극적으로 판매했다. 5개월 이내에 그 결함에 대한 소문들은 컴퓨터 업계에 퍼졌다. Intel의 은폐는 발각되었지만, 그들은 그 중요성을 계속 간과했다. 펜티엄 칩을 장착한 장치의 판매를 중단시킨 IBM의 극적인 조치는 마침내 Intel의 관심을 끌었고 그들은 요구가 있을 때에는 그 칩을 교환해 주는 데 동의했다. 진실(잘못)을 밝힌 것이 궁극적으로는 그 회사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개선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어휘]
aggressively 공격적으로
cover-up 은폐, 은닉
downplay 경시하다, 간과하다
come clean 자백하다, 사실을 말하다
reclaim 개선하다
[해설]
Intel이 결함을 은폐한 채 펜티엄 프로세서 칩을 판매한 사례를 거울삼아 잘못을 솔직히 시인하라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정답] 2
5.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3월 서울시]
Apparently, the government is running out of money for repairing the nation’s road system. In order to correct the problem, higher gas tax has been proposed. In addition to this measure, the government is suggesting a new tax for those who drive environment-friendly alternative energy vehicles. The reasoning here is simple: All drivers “should have to pay their fair share” to fix potholes, bridges, etc., “regardless of what kind of fuel they use.” But before charging progressive-minded drivers a new tax, shouldn’t the government take a more progressive attitude? The government needs to assist the environmentally conscious drivers rather than charge them.
① 에너지 관련 세금 인상이 필요하다.
② 신속한 도로 복구 작업이 필요하다.
③ 배기량에 따른 차등 과세는 부당하다.
④ 미래를 위한 대체 에너지 개발이 필요하다.
⑤ 친환경 차량 운전자에 대한 과세는 부당하다.
[해석]
분명히, 정부에서는 국가의 도로체계를 정비하기 위한 자금이 부족하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더 높은 휘발유 세를 부과하기로 입안되었다. 이 조치에 이어, 정부는 친환경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는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려고 한다. 그들의 논거는 간단하다: 모든 운전자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연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도로에 움푹 파인 곳이나 교량 등을 정비하기 위해 “공평한 몫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운전자들에게 새로운 세금을 부과하기 전에, 정부가 좀 더 진보적인 자세를 취해야 하지 않을까? 정부는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운전자들에게 세금을 부과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들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정답] 5
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3월 서울시]
Some years ago, a magazine conducted a survey of the chief executive officers(CEOs) of 500 leading companies. The goal was to try to find traits that these CEOs had in common. Surprisingly, there weren’t many! Some of these top executives had gone to excellent universities, others did not. Some brought years of experience to their jobs, while others had enjoyed a quicker rise to success. One of the few things they shared was that, along the way, they had each experienced a major career setback. Most of them, in fact, had been fired from at least one job. Understandably, many at the time felt they had been treated unfairly. In spite of life’s unfairness and cruelties, these CEOs learned to move beyond setbacks. We might even say that, without confrontation with negative events, they would not be where they are today.
① 기업 경영자는 지식과 경험이 필수적이다.
② 꾸준한 노력은 성공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③ 최고경영자는 인재 양성을 가장 중시한다.
④ 성공은 좌절을 극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⑤ 최고 경영자의 학력은 경영 성과와 무관하다.
[해석]
몇 년 전, 한 잡지사가 500개 선도 회사들의 최고 경영자들에 대한 조사를 실행했다. 목적은 이들 최고 경영자들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특성들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놀랍게도, 공통점들이 많지 않았다! 이들 정상급 간부들의 일부는 우수한 대학을 다닌 반면에, 다른 일부는 그렇지 않았다. 일부는 다년간의 경험을 그들의 업무에 끌어들인 반면에, 다른 일부는 성공으로의 고속 상승을 즐겼다. 그들이 공유한 몇 안 되는 것 중 하나는, 성공으로 이르는 도중, 그들이 각각 큰 좌절을 경험했다는 것이었다. 사실, 그들 중 대부분은 적어도 한 직장에서 해고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다수가 부당하게 대우받았다고 느끼는 것도 이해가 된다. 인생의 많은 부당함과 잔혹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최고 경영자들은 좌절 극복하기를 익혔다. 우리는 심지어 부정적인 사건들과의 직면이 없다면 그들이 오늘날의 위치에 서 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할 지도 모른다.
[정답] 4
7.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점) [2006년 3월 대성월례]
Whether military or civilian, most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stress the importance of self-confidence. Believe in yourself and you will succeed. But, in some cases, the opposite is true. There are people whose success stems not from self-confidence but from feelings of failure. Feeling inadequate, they push themselves harder and harder, forcing themselves to achieve. In this way, failure becomes, paradoxically, a source of success. At least this was the view of the famed writer and critic Edmund Wilson. As examples, Wilson cited the philosopher Karl Marx and the poet Edna ST. Vincent Millay, two people driven to succeed by a sense of inadequacy and failure.
① 훈련 프로그램은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쪽에 맞추어져야 한다.
② 성공하려면 자신의 존재 가치를 믿어야 한다.
③ 성공에 대한 자신감으로 실패를 극복하자.
④ 경우에 따라서는 실패감이 성공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⑤ 성공하려면 훌륭한 선인들을 본받아야 한다.
[해석]
군사적이건 비군사적이건, 대부분의 전문 훈련 프로그램들은 자신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자신의 존재 가치를 믿어야 성공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그 정반대가 맞다. 그들의 성공이 자신감에서가 아니라 오히려 실패감에서 비롯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능력이 모자란다고 생각하여, 자신을 더더욱 세차게 채찍질하고, 성취하도록 몰아친다. 이렇게 하여, 실패가 역설적으로 성공의 원천이 된다. 적어도 이것은 그 유명한 작가이자 평론가인 Edmund Wilson의 견해였다. 예로서, Wilson은 철학자인 Karl Marx와 시인인 Edna ST. Vincent Millay를 인용하였는데, 그 두 사람은 능력 부족감과 실패감에 의해서 성공하도록 자극받았다.
[어휘]
.stress 강조하다
.inadequate 부족한
.cite 인용하다
[해설]
넷째 줄, but 이하가 주제문이다.
[정답] 4
[8~9]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3월 대성월례]
8.
The experts ─ online dating services, psychologists, and New York matchmakers ─ say to act naturally. It is also the advice of every mother: "Be yourself." But if you are shy, it's wise to try to be a bit more assertive, to speak and act more confidently. On the other hand, if you come on too fervent, it's best to be gentler and to refine your speech and actions. Certainly, showing individual character traits and personal qualities is openness and desirable; nevertheless, personalities can be adjusted to show positive sides in the best possible ways.
① 원래 성격 그대로 나타내도록 전문가와 부모는 충고한다.
② 긍정적인 면만 보이도록 자신을 감추어야 한다.
③ 성격은 때로는 조절이 필요하다.
④ 자신을 드러내는 모습이 가장 바람직하다.
⑤ 부드러운 인품을 가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해석]
온라인 데이트 업체들, 심리학자들, 그리고 뉴욕의 중매쟁이와 같은 전문가들은 자연스럽게 행동하라고 말한다. ‘침착해라.’는 또한 모든 어머니들의 충고다. 그러나 당신이 수줍은 성격이라면 보다 적극적이고 확신 있게 말하고 행동하려고 노력하는 게 현명하다. 반면, 당신이 너무 열정적이라는 인상을 풍긴다면 보다 부드럽고 말과 행동을 세련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물론 개인의 특성과 인성을 그대로 보이는 것은 숨김이 없는 것이고 바람직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격은 가장 좋은 방법으로 긍정적인 면을 보여 주도록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어휘]
.assertive 단정적인, 완강히 주장하는
.fervent 열렬한, 뜨거운
.come on ~하다는 인상을 주다
[해설]
상황에 따라서 성격을 조절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정답] 3
9.
Most of the things people worry about never come to pass. The French essayist Montaigne made a point that, "My life has been a series of catastrophes ─ most of which never happened." Challenge your fear. How likely is it to happen? I used to become highly stressed when I was called to the hospital to see patients with medical emergencies. I'd picture images of people in heart attack or in a coma only to find them looking much better than I feared. Eventually I reminded myself on these mad dashes to the emergency ward that my imagination almost always created a scenario worse than the reality.
①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② 자라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③ 가지 많은 나무 바람 잘 날 없다.
④ 걱정은 작은 것을 크게 보이게 한다.
⑤ 해결 못할 걱정은 하지도 마라.
[해석]
사람들이 걱정하는 대부분의 일들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프랑스의 수필가 Montaigne는 “나의 삶은 대이변의 연속이었지만 그것들의 대부분은 결코 실제로는 일어나지 않았다.” 라고 힘주어 말했다. 당신이 갖고 있는 두려움을 거부하라. 어떻게 하면 될까? 나는 응급 환자들을 진료하기 위해 병원에 호출을 받았을 때, 스트레스를 굉장히 많이 받곤 했다. 나는 심근경색증이나 혼수 상태에 빠진 사람들의 모습을 상상하곤 했지만, 두려워했던 것보다 훨씬 상태가 나은 사람들을 발견하게 될 뿐이었다. 드디어 나는 응급실로 정신없이 달려가면서, 거의 항상 현실보다 더 나쁜 시나리오를 상상을 통해 만들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어휘]
.come to pass 일어나다, 실현되다
.make a point 의견을 말하다
.a series of 일련의 계속된
.catastrophe 대재해, 불행
.coma 혼수 상태
.emergency ward 응급실
[정답] 4
10.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3월 종로월례]
Enjoy the life you've been able to achieve. Remind yourself that wanting more doesn't breed contentment, but it breeds more wanting. Think about that once-a-year raise you typically receive in the working world. It's only a matter of weeks before you're spending to match the new level of income. And a few months later you can no longer imagine how you lived on less, which brings you right back to where you started. People who overwant believe that money buys happiness. Happiness doesn't hinge on how much money you make. It hinges on how you handle the money you have.
① 자신의 인생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② 만족한 삶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돈을 벌어야 한다.
③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말고 현실에 충실해야 한다.
④ 직장에서의 자신의 지위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⑤ 인생의 행복은 돈과 전혀 관계없음을 깨달아야 한다.
[해석]
여러분이 얻을 수 있게 된 생활을 즐겨라. 더 많은 것을 욕망한다는 것은 만족감을 낳는 것이 아니라, 더욱 더 많은 욕망을 낳는 것이다. 직장 사회에서 보통 받게 되는 정기 승급에 대해서 생각해보라. 몇 달 정도는 새로운 수입 수준에 맞춰서 지출을 하게 될 것이다. 그러다가 몇 달쯤이 지나면 그 전에 더 적은 수입으로 어떻게 살았었던가를 까맣게 잊어버리게 되고, 그러다가 결국 원래의 시작점으로 돌아가 버리고 만다. 지나치게 많은 것을 원하는 사람들은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고 생각한다. 행복은 얼마나 많은 돈을 버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있는 돈을 어떻게 관리 하느냐에 달려 있다.
[어휘]
achieve 성취하다
remind 상기시키다
breed 낳다
contentment :만족
raise 승급
a matter of : 몇
hinge on ~에 달려 있다
[해설]
첫 문장부터 욕심 부리지 말고 자기의 처지를 알아야한다고 한다.
[정답] 3
[11~1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3월 종로월례]
11.
For decades, modern technology neglected the thumb. As the other fingers danced together on a typewriter or computer keyboard, the thumb had nothing to do but press the space bar. The Internet revolution failed to put the thumb back to its past glory. It did play a large part in moving the computer mouse (along with the little finger),but that was nothing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the index and middle fingers, which got the honor of"clicking." Now that the era of ubiquitous communication has come, the thumb is starting to get !he respect it deserves. The volume of mobile phone text messages, which are mainly transmitted by the thumb, has surpassed the volume of actual mobile phone voice conversations.
① 인류 역사를 통틀어 엄지의 효용이 제대로 인식된 적은 없었다.
② 엄지야말로 인류 문명 형성 과정에서 항상 변화의 주역이었다.
③ 컴퓨터 시대에 비로소 손가락을 다 사용하는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④ 유비쿼터스 시대에 이르러 엄지가 다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⑤ 인터넷 혁명은 엄지의 역할을 중시하게 된 최초의 계기가 되었다.
[해석]
수 십 년 동안 현대 기술은 엄지를 무시했다. 다른 손가락들이 타자기나 컴퓨터 자판 위에서 화려한 군무를 출 때 엄지는 고작 스페이스 바를 누르는 정도였다. 인터넷혁명 시대에서도 역시 엄지는 과거의 영광을 되찾지 못했다. 새끼손가락과 더불어 마우스를 움직이는 중요한 역할을 맡기는 했지만, 클릭을 맡은 검지나 중지와 같은 중요한 역할에 비해서는 보잘 것 없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유비쿼터스 정보 통신 시대가 도래에 따라 엄지는 다시 정당한 대접을 받기 시작하고 있다. 휴대전화를 통하여 엄지가 주연한 문자 메시지의 발신량이 음성 통화의 발신량을 앞질렀다
[어휘]
glory 영광
index finger 검지
era 시대
deserve : ~을 가질 자격이 있다
transmit 전달하다
surpass 우월하다
[해설]
Now that the era of ubiquitous communication has come, the thumb is starting to get the respect it deserves. 이 부분이 이 글의 요지이다.
[정답] 4
12.
It turns out that a scientist can see the future by watching four-year-olds interact with a marshmallow. There searcher invites the children into a room and brings the gentle torment. You can have this marshmallow right now, he says. But if you wait while I run an errand, you can have two marshmallows when I get back. Some children grab for the treat the minute he's out the door. Some last a few minutes before they give in. But others are determined to wait. By the time the children reach highschool, something remarkable has happened. Those who as four-year-olds had the fortitude to hold out for the second marshmallow generally grew up to be better adjusted, more popular, and more dependable teenagers. The children who gave in to temptation early on were more likely to be lonely, easily frustrated and stubborn.
① 될 성 부른 나무 떡잎부터 안다.
②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
③ 매를 아끼면 아이를 버린다.
④ 습관은 제 2의 천성이다.
⑤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해석]
네 살 박이가 마쉬맬로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함으로써 아이의 미래를 알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이들을 방에 불러 은근히 고문을 가하는데, 지금 당장 마쉬맬로를 하나 먹든지 연구자가 나중에 돌아 왔을 때 둘을 먹든지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어떤 아이들은 그가 나가자마자 먹어버리고, 어떤 아이들은 몇 분 참다가 먹어 버리고, 끝까지 기다리는 아이들도 있다. 아이들이 고등학교에 진학할 무렵 놀랄만한 일이 일어났는데, 인내심 있게 기다린 아이들은 적응도 잘했고, 인기도 많고, 퍽 믿을만한 청소년이 되었고, 일찍 유혹에 굴복한 아이들은 외로움도 많이 타고 쉽게 좌절하고 고집이 센 청소년이 되었다.
[어휘]
torment 고문
fortitude 인내. 불굴의 의지
treat : 대접. 접대
remarkable 놀라운
hold out 견디다. 굴복하지 않다
adjust 적응하다
errand :심부름, 용무
stubborn :완고한
[해설]
어릴 때의 나쁜 버릇이 나중까지 계속된다는 이야기가 아니고 어릴 때의 행동거지로 미래를 판단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정답] 1
13.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3월 중앙유웨이]
How do you praise someone? Instead of telling someone directly of your admiration, tell someone who is close to the person you wish to complaint. For instance, suppose you want to praise Jane Smith. Don't directly compliment Jane. Go to her close friend Diane Doe and say, "You know, Jane is a very dynamic woman. She'll be running this company." I am sure your comment will get back to Jane in twenty-four hours. Diane will tell her friend, "You should hear what Mary said about you the other day." A compliment one hears is never as exciting as the one a person overhears.
① 가식적인 칭찬은 하지 말라.
② 다른 사람의 대화를 엿듣지 말라.
③ 칭찬은 제삼자를 통해 듣게 하라.
④ 상대방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말하라.
⑤ 의사를 전달할 때는 예문을 많이 사용하라.
[해석]
당신은 사람을 어떻게 칭찬하는가? 누군가에게 직접적으로 칭찬하지 말고, 당신이 칭찬하고자 하는 사람과 가까운 사람에게 말하라. 예를 들어, 당신이 Jane Smith를 칭찬하려고 한다고 가정해 보자. 직접적으로 Jane에게 찬사를 던지지 말라. 그녀의 친한 친구인Daine Doe에게 가서. "Jane은 참 역동적인 사람이야. 그녀는 며칠 전 모임에서 대단히 훌륭한 말을 했어. 언젠가는 그녀가 이 회사를 경영하게 될 거야."라고 말하라. 24시간이 지나면 당신의 말은 분명히 Jane의 귀에 들어갈 것이다. Diane은 그녀의 친구에게, "Mary가 며칠 전에 너에 대해서 한 말을 들어봐야 해."라고 전할 것이다 우리가 (직접적으로) 듣는 칭찬은 간접 적으로 듣는 칭찬만큼 결코 우리를 흥분시키지는 못한다.
[어휘]
*admiration : 칭찬, 찬양
*compliment : 칭찬(하다) 찬양(하다)
*brilliant 훌륭한
[해설]
필자는 간접적으로 전해 듣는 칭찬이 더 기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을 칭찬할 때는 제삼자에게 말함으로써 간접적으로 듣게 하라고 주장한다.
[정답] ③
14.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3월 중앙유웨이]
There are two great times of happiness ― when you are *haunted by a dream, and when you realize it. Between the two there's a lot of uncertainty and a strong urge to let it all drop. But you have to follow your dreams to the end. Thee are abandoned bicycles in every neighborhood because their owner's backsides got too sore the first time they rode them. They didn't understand that pain is a necessary part of learning. Before you can play a Bach sonata, you must first learn to play scales. It takes long time to learn how to play scales. It is only thorough this attitude that we can accomplish something.
*haunted 사로잡힌
① 현실적인 목표설정이 성공의 열쇠이다.
② 목표 달성을 위해 기초 체력이 필요하다.
③ 지나친 성취 욕구는 오히려 고통을 낳는다.
④ 유연한 사고로 목표를 수정할 줄도 알아야 한다.
⑤ 인내를 통한 노력만이 목표 성취를 가능케 한다.
[해석]
두 번의 아주 행복한 시간이 있다. 그것은 꿈에 도취되어 있을 때와 그 꿈을 실현할 때이다. 이 두 시간 사이에는 많은 불확실성, 모든 것을 그만두고 싶은 강한 충동이 있다. 하지만 끝까지 꿈을 추구해야 한다. 자전거를 처음 탔을 때 엉덩이가 너무 얼얼해서 버려진 자전거들이 어느 동네에나 있다. 그들은 고통이 학습에 있어서 필요한 일부분임을 이해하지 못했던 것이다. 바하의 소나타를 연주하기 전에, 먼저 음계를 연주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음계를 연주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는 꽤 오랜 시간이 걸린다. 우리가 무언가를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이러한 태도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어휘]
*urge : 충동
*let ~ drop : ~을 중단하다. 그만두다
*abandon : 버리다
*scale 음계, 눈금; 규모
[해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고통을 끝까지 참고 인내해야 한다는 것이 글의 요지이다.
[정답] ⑤
15.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4월 대성]
The strongest trees are found not in the thick shelter of the forest but out in the open, where winds from every direction bear down upon them. These are the trees that toolmakers seek for handles because of their great strength. It is the same in your life. The road you must travel is not one where the sun always shines. Instead, the way is a steep, rocky, and narrow path, where severe winds will try to knock you off your feet. But times of great calamity, when handled in the correct way, can produce tremendous results beyond your imagination. Just like the trees that toolmakers seek, your character is made strong by times of struggle.
①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다르다.
② 목표가 있는 삶이 의미가 있다.
③ 인간은 환경의 영향을 받게 마련이다.
④ 인생은 자기 스스로 개척해 나가는 것이다.
⑤ 역경은 인간을 더 강인하게 만들어 준다.
[해석]
가장 튼튼한 나무들은 울창한 숲의 은신처에서 발견되지 않고 바람이 사방에서 세차게 불어오는 트인 공간에서 발견된다. 이것들이 그것들의 높은 강도 때문에 연장 제작자들이 손잡이를 만들기 위해 찾는 나무들이다. 그것은 당신의 삶에서도 마찬가지다. 당신이 가야 할 길은 햇빛이 언제나 비치는 길이 아니다 대신에 그 길은 세찬 바람들이 당신을 쓰러뜨리려 하는 가파르고 돌투성이인 좁은 길이다. 하지만 큰 불행의 시기는 올바른 방식으로 다루어졌을 때 당신의 상상을 초월하여 엄청난 결과들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연장 제작자들이 찾는 바로 그 나무들처럼 여러분의 인격은 고투의 시기에 의해 강인해진다.
[어휘]
*shelter 은신처, 보호
*bear down upon -을 덮치다
*knock a person off his feet ~를 쓰러뜨리다, ~를 몹시 놀라게 하다
*calamity 재난. 불행
*tremendous 엄청난
[해설]
필자는 나무를 사람에 비유하여, 온갖 풍상을 견딘 나무가 연장으로서 쓸모가 있듯이 사람도 역경을 이겨 내면 더 강인해진다고 즉 역경은 인간을 더 강인하게 만들어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답] 5
1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4월 대성]
Darwin's survival of the fittest is the basis of modern evolutionary theory. However, animals often behave in ways that seem to endanger the individual and decrease its chance of surviving and passing on its genes in reproduction. Certain birds have been observed to throw themselves in front of the predator so as to protect their young or even to sacrifice themselves for the entire flock. Even in colonies of Belding ground squirrels, certain organisms sacrifice their lives just to warn the rest that danger is nearing. Naked mole rats do not reproduce but instead devote their lives to caring for offsprings of the queen.
① 동물들도 종종 희생적인 행동을 한다.
② 환경에 잘 적응하는 개체만이 살아남는다.
③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해석은 다양하다.
④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새끼를 사랑한다.
⑤ 대부분의 동물들은 위험을 느낄 때 서로 협력한다.
[해석]
다윈의 적자 생존은 현대 진화론의 기초이다. 그러나 동물들은 개체를 위험에 빠뜨리고 생존의 가능성과 번식시에 그 유전자를 전할 가능성을 줄일 것 같은 방식으로 종종 행동한다. 어떤 새들은 자신의 새끼를 보호하기 위해서 또는 심지어 전체 무리를 위해 자기 자신을 희생하기 위해서 포식자 앞에 자신의 몸을 던지는 것이 관찰되어왔다. 심지어 Belding 북미산 얼룩 다람쥐 떼에서 어떤 생물들은 나머지 무리에게 위험이 다가오고 있다는 것을 단지 경고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을 희생한다. 털이 없는 두더지 쥐들은 번식을 하지 않고 대신에 여왕의 새끼들을 돌보는 데 자신의 삶을 바친다.
[어휘]
*survival of the fittest 적자 생존
*evolutionary 진화의
*gene 유전자
*reproduction 생식, 번식
*predator 포식자, 포식 통물
*sacrifice 희생하다
*colony 집단, 군생
*ground squirrel 북미산 얼룩 다람쥐
*organism 유기체, 생물
*mole rat 두더지 비슷한 설치류
[해설]
위 글은 동물들도 종종 희생적인 행동을 한다고, 다시 말해 동물의 이타적인 행동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정답] 1
17.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4월 종로월례]
Since the 1960s, Americans over sixty-five years of age have been living better lives because of the government programs. Older people in America are richer and more self-sufficient today. But self-sufficiency should not mean isolation from the rest of society. Because of the pressures of modern life, many older people no longer live with, or even near, their extended families. Some may be isolated from the wider community because they live in “retirement communities” or in nursing homes. But many small towns and suburbs need the financial and moral support of their senior citizens, especially to improve the educational system, and many communities are actively seeking more solid links across the generations to strengthen the fabric of American life.
① 정부는 소외된 사람들을 보살펴야 한다.
② 정부는 노인들의 복지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③ 사회는 노인들의 도덕적 지원을 받아야 한다.
④ 노인들은 사회로부터의 고립에서 벗어나야 한다.
⑤ 사회의 변화를 위해서 모든 사람들이 변해야 한다.
[해석]
1960년대 이래로 65세 이상의 미국인은 정부 프로그램 때문에 더 나은 삶을 살았다. 미국의 노인들은 오늘날 더 부유하고 자급자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급자족이 사회의 나머지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해서는 안 된다. 현대 생활의 압력 때문에 많은 노인들은 더 이상 그들의 대가족과 함께 살지 않으며 심지어 대가족 근처에서도 살지 않는다. 일부 노인들은 "은퇴 공동체"나 양로원에서 살기 때문에 더 넓은 공동체로부터 고립될지 모른다. 그러나 많은 도시와 교외는 특히 교육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 거기에 사는 노인들의 재정적 그리고 도덕적인 지원을 필요로 하고, 많은 공동체들은 미국인의 삶의 구조를 강화하기 위해서 세대 사이의 더 굳건한 연결 고리를 찾고 있다.
[어휘]
self-sufficient : 자급자족할 수 있는
isolation : 고립
rest : 나머지
extended family : 대가족
community : 공동체
retirement : 은퇴
nursing home : 양로원
financial : 재정적인
senior citizen : 노인
solid : 굳건한
fabric : 구조
[해설]
필자는 자급자족이 사회의 나머지로부터의 고립을 의미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정답] 4
[18~19]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4월 종로월례]
18.
Today there is abundant food, yet one eighth of the world’s population is chronically undernourished. In the next 20 years, the global population is likely to double. Some believe biotechnology will enable this larger population to feed itself. But biotechnology - especially when taken to mean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 is not essential to meeting the challenge. It could play a minor part in developing new agricultural products, but other factors - including traditional breeding technologies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s - will be much more important. Thus it is important not to pour all resources into developing genetic engineering while neglecting other necessary actions and technology that will do more to address this problem.
① 유전 공학 연구를 윤리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② 유전자 변형 식물이 가지고 올 폐해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③ 풍부한 식량이 있지만 인류의 일부는 영양 부족 상태이다.
④ 생물 공학은 식량 문제의 해결에서 사소한 역할을 할 것이다.
⑤ 생물 공학은 유전학적으로 곡물을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해석]
오늘날 풍부한 식량이 있지만 세계 인구의 1/8은 만성적으로 영양 부족 상태에 있다. 앞으로 20년 후에 세계인구는 두 배가 될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생물 공학 때문에 더 많은 인구가 자급자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생물 공학 - 특히 유전적으로 조작된 곡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때 - 이 도전을 만족시키는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것은 새로운 농작물을 개발하는 데 사소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요소들 - 전통적인 양육 기술과 기초 구조 개선을 포함하여 -이 훨씬 더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다루는 데 더 많은 역할을 할 다른 필요한 조치들과 기술을 소홀히 하면서 유전 공학을 발전시키는 데 모든 자원을 쏟아 붓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어휘]
abundant : 풍부한
chronically : 만성적으로
undernourished : 영양 부족의
biotechnology : 생물 공학
take : 이해하다
genetically : 유전적으로
engineered : 조작된
crop : 곡물
breeding : 앙육
infrastructure : 기초 구조
pour : 붓다
neglect : 소홀 하다
address : 다루다
[해설]
마지막 문장에서 전통적인 기술을 소홀히 하면서 유전 공학을 발전시키는 데 모든 자원을 쏟아 붓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답] 4
19.
Poverty of today is terrible in that suffering exists alongside tremendous wealth. Such inequality and poverty will inevitably lead to armed conflicts. Therefore, we must embrace our human obligations and invest in health, education and the well-being of all people. Hence, the primary challenge of development lies in the sphere of values. That is, global citizens must demand a new code of ethics for the new millennium. We must realize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rational, compassionate, and just societies that will afford every human being his or her dignified peace.
① 세제 개편을 시급히 해야 한다.
② 빈부 격차는 필연적 현상이다.
③ 사회 안전망을 확충해야 한다.
④ 교육의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
⑤ 국제 사회의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
[해석]
고통이 존재하는 다른 한쪽에는 엄청난 부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빈곤은 끔찍하다. 그러한 불평등과 빈곤은 필연적으로 무장 투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의 인간으로서의 도리를 품으면서, 모든 사람들의 건강, 교육, 그리고 행복에 대한 투자를 해야한다. 그래서 발전의 중대 난관은 가치관의 영역에 있다. 즉, 세계 시민들은 새로운 천년에 맞는 새로운 도덕률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는 모든 인간들에게 그 사람의 고귀한 평화를 줄 수 있는 합리적이고, 온정적이고 공정한 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깨달아야만 한다.
[어휘]
tremendous : 엄청난, 거대한
obligation : 책임, 의무
sphere : 구, 구역, 영역
code : 법전, 규약, 규율
compassionate : 동정하는, 인정 많은
afford : 제공하다, 감당하다
dignified :위엄있는, 고귀한, 당당한
[해설]
부와 빈곤이 상존하는 현실에서 불평등(inequality)과 빈곤(poverty)은 무장 투쟁(armed conflicts)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가 모든 인간들이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므로, 이는 빈곤층들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될 수 있다.
[정답] 3
20. 다음 글쓴이의 주장을 광고 문구로 표현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4월 경기도]
We choose to live like monks anyway, rooting ourselves to a home or a career. In this way, we end up spending the best part of our lives earning money in order to enjoy a questionable liberty during the least valuable part. “We’d love to drop all and explore the world outside,” we tell ourselves, but the time never seems right. Thus, given an unlimited amount of choices, we make none. Therefore it’s time to vagabond yourself. Vagabonding is gaining the courage to loosen your grip on the so-called certainties of this world; refusing to postpone travel to some other time of your life. Vagabonding is taking control of your circumstances instead of passively waiting for them to decide your fate.
① 당신이 선 자리가 당신이 있어야 할 자리입니다.
② 여행, 철저한 준비가 당신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③ 안정된 미래는 안전한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④ 무엇을 망설이는가, 지금 떠나라!
⑤ 스트레스, 당신의 영원한 적!
[해석]
우리는 우리 자신의 뿌리를 집이나 직장에 두고서도 어쨌든 수도승처럼 살기를 선택한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결국 인생에서 가장 가치 없는 기간 동안 자유같지 않은 자유를 즐기기 위해 우리 삶의 가장 좋은 시간을 돈을 버는 데에 보내게 된다. “우리는 모든 것을 버리고 바깥세상을 탐험하고 싶어” 라고 우리 자신에게 말하지만 그러나 그럴만한 시간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무한한 선택이 주어지지만 우리는 아무 것도 선택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제 스스로 여행 (vagabonding)을 시작할 때다. 여행(vagabonding)이란 이 세계의 소위 말하는 확실한 것으로부터 손을 뗄 수 있는 것이며 당신 인생에서 여행을 미래로 연기하지 않는 것이다. 여행(vagabonding)이란 지금 처해있는 상황이 당신의 운명을 결정하도록 기다리는 대신에 자신이 관리하는 것이다.
[어휘]
monk 수도승
questionable 문제가 되는
vagabond 유랑하다
[해설]
여행을 자꾸만 미루는 사람들에게 미련 없이 결정을 내리라는 말을 하고 있다.
[정답] 4
2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4월 경기도]
When you have a backache, probably all you want to do is lie down, put your head on some pillows and remain still. You can think of nothing better than having your spouse deliver ice packs and the latest issue of your favorite magazine directly to your bed. But your spouse shouldn’t play nurse. Why? Attentive mates may be doing the right thing emotionally, but by encouraging you to stay in bed they’re doing the wrong thing physically. If you stay in bed more than two or three days, your back muscles weaken and can slow your recovery. In order to recover from strain, your muscles need to grow stronger and stay active, and the only way they’ll do that is by working, even if it’s just a little bit.
① 적당한 운동이 요통 치료에 효과적이다.
② 충분한 휴식이 가장 좋은 요통 치료법이다.
③ 요통은 가족의 도움으로 빨리 치료될 수 있다.
④ 요통은 정확한 진단이 우선되어야 한다.
⑤ 요통 치료에는 얼음찜질과 마사지가 필요하다.
[해석]
요통이 있을 때 아마도 당신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이라곤 누워서 머리를 베개에 대고서 움직이지 않고 가만있는 것 뿐일 것이다. 당신은 배우자에게 얼음찜질팩을 가져오게 하거나 당신이 좋아하는 잡지의 가장 최신호를 직접 침대로 가져오게 하는 것보다 더 나은 것을 생각할 수가 없다. 그러나 당신의 배우자가 병구완을 해서는 안 된다. 왜 그런가? 세심한 배우자는 정서적 관점에서는 올바른 일을 하고 있을지 모르지만 당신을 침대에 누워있도록 부추김으로써 신체적 관점에서는 잘못된 일을 하고 있다. 만약 당신이 2-3일 이상 누워 있다면 허리 근육이 약해져서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다. 경직된 근육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당신의 근육은 더 강해지고 활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그렇게 하는 유일한 방법은 비록 아주 조금일지라고 운동을 하는 것이다.
[어휘]
attentive 세심한
strain 긴장, 당김
[해설]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그냥 누워있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정답] 1
22.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5월 진학에듀]
Many Americans now want to exclude those who want to come to America. They argue that illegal immigrants are the cause of our unemployment, they drain our social services, and they cause the crime rate to go up. The truth is that immigrants often work harder than anyone. They don't drain the welfare pool because many of them are afraid even to apply for the service due to the fear of being caught. And the U.S. crime rate has been falling steadily since 1991. My immigration policy is simple. We've got a lot of room here. Have you ever driven through Kansas? It seems like it's never going to end. West Texas, Montana, and Alaska are the same. Let's fill it up with people who really want to be here!
① 폭넓은 이민정책을 펴야 한다.
② 불법 이민자들을 추방해야 한다.
③ 직업 선택의 폭을 넓혀야 한다.
④ 사회복지체제를 강화해야 한다.
⑤ 고용 촉진을 위해 불법 이민을 막아야 한다.
[해석]
현재 많은 미국인들은 미국으로 오고 싶어 하는 사람들을 못 오게 하고 싶어 한다. 그들은 불법 이민자들이 실업의 원인이고, 사회 보장 제도를 고갈시키고, 범죄율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이민자들이 그 누구보다도 더 열심히 일을 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잡힐까봐 두려워 사회 보장 서비스를 신청조차 하지 않으므로 그들이 사회 보장 재원을 고갈시키지는 않는다. 그리고 미국의 범죄율은 1991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내가 생각하는 이민 정책은 간단하다. 여기 미국에는 공간이 많다. Kansas주를 차를 타고 달려 본 적이 있는가? 끝이 없을 것처럼 느껴진다. Texas서부, Montana 그리고 Alaska도 마찬가지이다. 그 곳을 여기 오고 싶어 하는 사람들로 채우자!
[어휘]
*immigrant: 이민자
*drain: 고갈시키다
*welfare: 복지
*pool: 공동 기금
[해설]
이민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에 대해 조목조목 반대하면서 My immigration policy is ~이후에서 이민을 찬성하는 입장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답] 1
23.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5월 진학에듀]
Frequently we hear people say that when setting a goal they need to be SMART which is an *acronym for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alistic, and timely. So let's assume that you have a goal and say, "Oh, one day I'm going to climb Mt. Everest," and then five years later you still say,"Oh, yeah, that's right. I want to climb Mt. Everest." It's not really a goal. That's more like a dream. To be a goal, it should include when you're going to climb it, and what process you're going to put into place. Then you can bring all your energies to focus on achieving your goals. *acronym: 두문자어(頭文字語)
① 꿈은 인생을 의미 있게 만든다.
② 목표는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③ 목표가 수단을 정당화하지는 않는다.
④ 목표 못지않게 그 실현 과정도 중요하다.
⑤ 좋은 계획도 상황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해석]
우리는 목표를 세울 때 SMART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SMART는 specific (구체적인), measurable(측정 가능한), achievable(성취 가능한), realistic(현실적인), timely(적시의)의 첫 글자를 따온 단어이다. 따라서 당신에게 목표가 있는데, "아, 언젠가는 에베레스트 산에 오를 거야,"라고 말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5년 뒤에도 "아, 그래, 맞아. 나는 에베레스트 산에 가고 싶어."라고 한다고 해보자. 그것은 사실 목표가 아니다. 그것은 차라리 꿈일 뿐이다. 목표가 되려면 언제까지 오를 것인지, 어떤 과정을 거칠 것인지의 계획이 있어야 한다. 그렇게 되면 목표를 성취하는 데에. 당신의 모든 에너지를 집중할 수 있다.
[어휘]
*assume: 가정하다
*process: 과정
[해설]
목표는 SMART해야 하며, SMART란 결국 목표가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정답] 2
24.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5월 종로월례]
The problem with psychoanalysis is not with Freud. Subsequent generations have failed to make it a more rigorous, biologically based science. Psychoanalysis as a therapy has declined in popularity because it is timeconsuming and expensive. Most importantly, people have lost confidence in whether or not it works. I think it’s going to go down the tubes if the psychoanalytic community doesn’t make a serious effort to verify its concepts and show which aspects of therapy work, under what conditions, and for what patients. We need to look for the biological effectiveness of all kinds of psychotherapy, in the same way we do for drugs. I think that’s the leitmotif of the next 15 years. If we can do it, it will revolutionize the field.
① 정신 분석에서 치료법으로서의 측면을 배제해야 한다.
② 정신 분석은 더 이상 존재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③ 정신 요법의 생물학적 유효성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④ 정신 요법은 약물과 병행되어야 한다.
⑤ 정신 분석은 생물학의 한 분야로 연구되어야 한다.
[해석]
정신 분석에서의 문제는 프로이드에게 있는 것이 아니다. 뒤따른 세대들이 그것을 활기차고 생물학적 기초를 갖춘 과학으로 만들지 못했던 것이다. 치료법으로서의 정신 분석은 시간이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인기가 줄었다. 더 중요한 것은 그것이 효과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믿음을 잃었다는 것이다. 만약 정신 분석계가 개념을 입증하고 치료법의 어느 측면들이 어떤 조건하에서, 어떤 환자에게 효과가 있을지를 보여주려는 진지한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도산해 버릴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약물에 대해 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우리는 정신 치료법의 생물학적 유효성을 찾을 필요가 있다. 그것이 다음 15년의 주제라고 나는 생각한다. 우리가 해낼 수 있다면 그것은 그 분야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어휘]
psychotherapy 정신 요법(심리 요법)
go down to the tubes : 못쓰게 되다, 도산하다
leitmotif 주제
[해설]
to make it a more rigorous, biologically based science. We need to look for the biological effectiveness of all kinds of psychotherapy. 등의 표현을 통해 필자는 정신 분석의 생물학적 기초를 확립하고 특히 정신 요법의 생물학적 유효성을 탐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답] 3
[25~2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5월 종로월례]
25.
Today, tens of thousands of people are swabbing their cheeks and mailing DNA to companies nationwide hoping to find the secret to their roots. In this gene-testing phenomenon, as much as there are concerns about dangerous stereotyping and ethnic and racial divisions, there is also hope that by learning more about our lineage, we will learn to appreciate our common heritage. Most scientists support the theory that all humans evolved in Africa and then some groups migrated out around the world. And then there’s the fact that any two people share DNA that is 99.9 identical. All of this argues for a radical step away from old ideas about race and nationality and a giant step toward unity.
① 유전자 검사는 인종과 민족 사이의 갈등을 초래할 것이다.
② 유전자 검사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③ 유전자 검사는 혈통을 찾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④ 유전자 검사는 인종과 민족 간의 갈등 극복에 기여할 수 있다.
⑤ 유전자 검사는 진화론의 입증에 기여하고 있다.
[해석]
오늘날 전국적으로 수만의 사람들이 뺨을 훔쳐내서 그들의 DNA를 회사에 보내고 있다. - 그들의 뿌리에 대한 비밀을 찾아내기를 희망하며. 이런 유전자 검사현상 속에 위험한 전형화와 민족적 그리고 인종적 나누기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이나, 또한 우리의 혈통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됨으로써 우리의 공통의 유산을 인식하는 것을 배우게 될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모든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진화해서 세계 도처로 이주해 나갔다는 이론을 지지한다. 그리고 어떤 두 사람도 99.9% 동일한 DNA를 공유한다는 사실이 있다. 모든 이러한 것은 인종과 국적에 관한 옛 관념들로부터 벗어나는 근본적인 한걸음과 하나 됨을 향한 거대한 한검음을 지지하고 있다.
[어휘]
swab :훔쳐내다
stereotyping 고정관념화
lineage : 혈통
heritage 유산
identical : 동일한
[해설]
there is also hope that by learning more about our lineage, we will learn to appreciate our common heritage.라는 문장이 이글의 요지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전자검사가 인류가 하나임을 입증해 인종적, 민족적 갈등을 극복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로 적당하다.
[정답] 4
26.
If an individual learns three nonsense syllables in one reading of three seconds’ duration, how many readings will he require to learn six syllables? It might be expected that he would take just twice as long, that is, six seconds. In fact, this expectation is not borne out. In one study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mount of material and the time required to memorize, different lengths of syllable lists were presented to adult subjects. Lists of 12, 24, 48, 100, 200 and 300 nonsense syllables required, on the average, 1.5, 5, 14, 37, 93 and 195 minutes for learning. These typical figures show that, as the amount of material increase, learning time not only increases but increases by a disproportionate amount. This rule also applies to the learning of meaningful material such as prose or poetry.
① 기억력은 자료의 의미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② 기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자료의 양과 정비례한다.
③ 기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자료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
④ 기억은 자료의 양이 적을수록 오래 남는다.
⑤ 기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자료의 양에 따라 점점 더 높은 비율로 증가한다.
[해석]
만일 어떤 사람이 3개의 무의미 철자를 3초 동안 한번 읽어서 외울 수 있다면 6개의 무의미 철자를 외우는 데는 얼마나 시간이 걸릴까? 아마 우리는 정확히 그 시간의 두 배 즉 6초가 걸릴 거라고 기대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입증되지 않는다. 기억할 자료의 양과 기억하는데 필요한 시간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마련된 한 연구에서, 피 실험자들에게 다른 길이의 철자를 제시해 주었다. 제시된 12개, 24개, 48개, 100개, 200개, 300개의 무의미 철자를 외우는데 평균 1.5분, 5분, 14분, 37분, 93분, 195분이 걸렸다. 이러한 수치는 암기한 자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암기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비례적으로가 아니라 더 큰 비율로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규칙은 또한 산문이나 시와 같은 의미 있는 자료의 학습에도 적용된다.
[어휘]
nonsense syllable 무의미 철자
that is 즉
bear out : 입증하다
subject 피 실험자
prose : 산문
[정답] 5
27.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5월 경기도]
People often feel miserable and second-rate because they habitually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Underlying this tendency is the mistaken belief that worth is determined by achievement. However, your worth as a human is a separate issue from what you do. For example, being an inferior dancer or an inferior cook does not make you an inferior person. Memorize the following statement. “I am not inferior. I am not superior. I am simply me.” Whenever you notice yourself comparing yourself with others, recall this saying. Then, use the rational self-talk you have developed to remind yourself that your value as a human being has no relationship to others. You are unique and because of this uniqueness it is impossible to do anything exactly like someone else. You can only do things in your own style and to the best of your ability. That is enough.
① 타인과 비교하기보다는 자신의 고유성을 유지해야 한다.
② 매사에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자세를 가져야 한다.
③ 대화를 통해 좋은 인간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④ 실현 가능한 분명한 목표 의식을 가져야 한다.
⑤ 성공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기계발을 해야 한다.
[해석]
사람들은 습관적으로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기 때문에 때때로 비참하고 이류라고 느낀다. 이런 경향의 기저에는 가치가 성취에 의해 결정된다는 잘못된 믿음이 있다. 그러나 인간으로서의 당신의 가치는 당신이 하는 일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예를 들어 춤을 못 추거나 요리를 못하는 것이 당신을 열등한 사람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 다음 말을 기억해라. “나는 열등하지 않아. 나는 뛰어나지도 않아. 나는 다만 나일 뿐이야.” 당신 스스로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는 것을 자각할 때마다 이 말을 상기해라. 그런 다음 인간으로서의 당신의 가치는 다른 사람과 관계가 없다는 것을 상기시킬 수 있도록 합리적인 자신과의 대화(self-talk)를 사용해라. 당신은 유일한 존재이며 이런 독특함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똑같은 일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당신은 당신 자신의 스타일로만 일을 할 수 있고 능력을 최상으로 발휘할 수 있다. 그것이면 충분하다.
[어휘]
second-rate 이류의
inferior 열등한
rational 합리적인, 이성적인
[해설]
자신의 가치는 다른 사람과 관계가 없고 자신의 스타일대로 할 때 능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는 말에서 주장을 알 수 있다.
[정답] 1
[28~29]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5월 경기도]
28.
People tend to behave in a way that reinforces their personal image of how successful or unsuccessful they are. In looking over applications for an M.B.A. program, an admission director noticed that some students had answered questions about their future plans with phrases such as “I am” or “I can.” Other students had written “I hope to” or “I might.” The words used by members of the first group represented a statement of belief that they could achieve specific goals. Not surprisingly, their academic records and outside accomplishments showed that these students had set and reached high performance levels. The students in the second group had lower expectations and less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accomplish their goals. That may be one reason why their grades were somewhat lower than the grades in the more confident group.
① 구체적인 목표 설정이 학업성취에 중요하다.
② 사람들은 첫 인상을 중요하게 받아들인다.
③ 기대감과 자신감이 높을수록 성취도가 높다.
④ 이미지를 잘 관리하는 것이 성공의 요인이다.
⑤ 자신감을 길러주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해석]
사람들은 그들이 얼마나 성공적인지 혹은 성공적이지 못한지에 개인적 이미지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 M.B.A 프로그램 지원서를 검토하면서 한입학 담당자는 어떤 학생들은 그들의 미래 계획에 대한 질문에 “I am", "I can"과 같은 구절을 사용하여 대답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다른 학생들은 ”I hope to", "I might"를 썼다. 첫 번째 집단이 쓴 단어들은 그들이 구체적인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는 자신있는 진술을 제시해 주었다. 당연히 그들의 학교 성적과 외적 성취는 이 학생들이 높은 성취 수준을 세우고 도달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 집단의 학생들은 목표를 이루는 능력에 있어서 낮은 기대감과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이 아마도 그들의 성적이 좀 더 자신감을 가진 집단의 성적보다 다소 낮은 하나의 이유일 것이다.
[어휘]
reinforce 강화하다
accomplishment 업적
specific 특정한, 구체적인
[해설]
자신에 대한 높은 기대감과 자신감을 가진 사람들이 성취수준이 높다는 것이 주된 요지이다.
[정답] 3
29.
As we get older, we seem to get more set in our ways. This is often because we like what we like and in any case don't feel the need to branch out and try other things as much as we did when we were younger. However, in talking to centenarians, I found that many of them had mad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lives and felt that this was one of the reasons for their longevity. These changes did not need to be obvious ones, such as stopping smoking or improving a poor diet, but could involve anything different from what they were used to. Examples were learning computer skills or a foreign language,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nd taking up writing or painting. * centenarian 100살 이상의 사람
① 건강을 위해 지속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② 사람의 나이와 학습 능력은 연관성이 없다.
③ 금연과 식생활 습관의 개선이 장수의 요건이다.
④ 대인관계가 원만한 사람이 비교적 건강하게 산다.
⑤ 삶에 있어서의 새로운 시도가 장수와 관련이 깊다.
[해석]
나이가 들어가면서 우리는 자신의 방식에 더 고정되는 것 같다. 이것은 때때로 우리가 좋아하는 것을 하고 어떤 경우에는 우리가 더 젊었을 때 하던 것만큼 많이 다른 것을 하고자 하는 필요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100세 이상을 사는 사람들에 대해 얘기를 하면서 나는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삶에서 중대한 변화를 했다는 것을 알았고 이것이 그들의 장수 이유 중 하나라고 느꼈다. 이런 변화들은 반드시 담배를 끊는다든지 나쁜 식습관을 개선한다든지 하는 것과 같은 명백한 것일 필요는 없고 그들이 과거에 익숙해 있던 것과는 다른 어떤 것을 포함하고 있었다. 컴퓨터나 외국어를 배운다든지, 악기를 연주하거나 글쓰기나 그림을 배우는 것과 같은 것들이 그 예이다.
[어휘]
set 고정된
longevity 장수
[해설]
장수를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도가 도움이 된다는 것이 주된 요지이다.
[정답] 5
30. 다음 글에서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5월 고려]
The "winning-at-all-costs" philosophy of sports today has had a bad effect on athletes.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participation in sports actually blocks the normal development of moral reasoning in athletes. In a study of 10,000 athletes in both high school and college, it was found that athletes in general scored lower on tests of moral development than non-athletes. Additionally, male athletes scored lower than female athletes. And the worst news of all, the longer athletes participated in sports, the lower their moral reasoning scores on the test.
① 스포츠 참여는 도덕심을 고취시킨다.
② 개인의 도덕적 판단력은 운동을 통해 향상된다.
③ 경쟁을 통해 얻어지는 승리는 성취감을 일깨워 준다.
④ 운동을 많이 하면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아진다.
⑤ 운동 선수들은 도덕적인 사고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해석]
오늘날 스포츠의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이긴다"라는 철학은 운동 선수들에게 나쁜 영향을 미쳐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스포츠 참여가 실제로 운동선수들의 도덕성 판단의 정상적인 발전을 방해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중인 10,000명의 운동 선수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운동 선수들이 비운동 선수들보다 도덕성의 발달에 대한 시험에서 더 낮은 점수를 기록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게다가, 남자 선수들은 여자 선수들보다 더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그리고 가장 최악의 소식은, 운동 선수들이 스포츠에 더 오랫동안 참여하면 할수록, 시험에서 그들의 도덕성판단 점수는 더욱 더 낮다는 것이다.
[해설]
운동 경기에서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이긴다" 라는 철학은 실제 사람의 도덕성 판단 기준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내용이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이다.
[어휘]
have a bad effect on : -에 나쁜 영향을 미치다
athlete : 운동 선수
participation : 참여
moral : 도덕(상)의
reasoning : 추리, 추론
in general : 일반적으로
additionally : 게다가
[정답] 5
3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2006년 5월 고려]
Whatever the reasons may be, television has taken over our leisure time more than any other modern invention. We are not free up to move at our own pace. We are in step with the carefully planned network schedules. Children may be most at risk by watching constant television. With television as a main activity, children are not developing their own minds and imaginations. Remember the silly games you would invent to occupy an afternoon? Our children are losing this skill. As long as they keep sitting and watching, it is clear that our children will lose the ability to entertain themselves.
① TV는 가족 간의 대화 시간을 빼앗고 있다.
② TV를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다.
③ TV로 인해 아이들의 상상력이 발전되기 못하고 있다.
④ TV는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⑤ TV는 놀이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해석]
이유가 어떻든 간에 TV는 현대의 다른 어떤 발명품보다 우리의 여가 시간을 더 많이 빼앗아 갔다. 우리는 자신의 페이스대로 생활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는 주의 깊게 짜여진 방송 계획표에 보조를 맞추고 있다. 지속적인 TV 시청으로 인해 가장 위험에 처하게 된 것은 아마 아이들일 것이다. TV 시청을 주요 활동으로 여기는 아이들은 자신들의 생각과 상상력을 계발하지 못하고 있다. 오후 시간을 때우기 위해 당신이 고안해 내곤 했던 우스운 놀이들을 기억하는가? 우리의 아이들은 이러한 기술을 잃어가고 있다. 아이들이 앉아서 TV를 계속 보고 있는 한, 아이들은 자기 자신을 즐겁게 할 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리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해설]
아이들이 TV 시청에 따른 가장 큰 피해자로서 아이들의 생각과 상상력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내용이다. 단서는 마지막 문장에 제시되어 있다.
[어휘]
take over : 양도받다, 접수하다
pace : (일이 행해지는) 속도
in step 보조를 맞추어
constant : 계속적인
occupy 점령하다
entertain 즐겁게 하다
[정답] 3
32.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5월 대성월례]
If you already feel inside you the urge of self-expression, then the first thing that you have to do is to study the means of expressing yourself. You will have to study very carefully the English Language and especially its grammar. Although most people do not understand the art of good writing, they unconsciously understand ideas more easily which are expressed in correct English. It should be pointed out that good English is not necessarily flowery English, and the simple phrase ─ which looks so easy to write ─ is often the most difficult to construct. I cannot stress too strongly the desirability of writing your sentence word by word.
①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많은 독서가 필요하다.
② 글쓰기에서는 정확한 표현을 쓰는 것이 가장중요하다
③ 문법에 너무 얽매서는 안 된다.
④ 화려한 묘사가 글을 돋보이게 만든다.
⑤ 한 단어의 여러 의미가 주는 묘미를 살려야 한다.
[해석]
만약 마음속에서 자기표현의 욕구를 이미 느낀다면, 여러분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여러분은 영어를, 특히 영어의 문법을 아주 세심하게 공부해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른 문장을 쓰는 방법을 모르지만 정확한 영어로 표현된 생각들을 무의식적으로 보다 쉽게 이해한다. 훌륭한 영어가 반드시 미사여구를 사용한 영어가 아니라는 점과 쓰기 쉬워 보이는 간단한 어구가 종종 만들어 내기에 가장 어렵다는 점이 강조되어야 한다. 문장은 단어 하나하나 써야 한다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해설]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이 이해하기 쉬우며, 쓰기 쉬워 보이는 문장이 실제 쓰기에 가장 어려운, 다시 말하면, 가장 좋은 문장이라는 내용이 있다. 즉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하는 글이다.
[정답] 2
(33~34)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5월 대성월례]
33.
While there are. many great things in life, some of them have less and less value the more you do them. At some point, in fact, the value of benefit disappears and the activity begins to work against you. For example, it can be fun to stay up really late, but without some sleep, you become so tired that you ruin the experience. A chocolate may be delicious, but eating three of them might make you sick. Having friends is one of the greatest gifts of life, but what would happen to your life if you had a hundred good friends?
① 때로는 손해를 감수해야한다.
② 사물의 가치를 제대로 파악하라
③ 무엇이든 지나친 것은 좋지 않다.
④ 좋은 친구는 쉽게 얻어지지 않는다.
⑤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가져야 한다.
[해석]
인생에서 많은 위대한 것들이 있지만 그것들 중의 몇몇은 우리가 그것을 하면 할수록 점점 더 가치를 덜 지니게 된다. 사실, 어느 정도에서는, 이로움의 가치가 사라지고 그 활동이 당신에게 해를 끼치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밤늦게 자지 않고 있는 것이 즐거울 수는 있지만, 잠을 자기 않으면 당신은 너무 지쳐 당신의 체험을 망치게 될 것이다. 초콜릿 하나는 맛있을지는 모르지만 세 개를 먹으면 질릴 것이다. 친구를 갖는 것은 인생의 가장 큰 선물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만약 당신이 백 명의 좋은 친구들을 가진다면 당신의 삶에 어떤 일이 벌어질까?
[어휘]
*benefit 이로움
*stay up 자지 않고 밤늦게 있다
*delicious 맛있는
[해설]
좋은 것도 그 정도가 지나치면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글이다.
[정답] 3
34.
Crime has become a constant threat to the society and individuals' property and life. It is a major social problem of the world. There are indications that murders, assaults, robbery and house breaking are all on the rise. Is there any way to deal with crime? Should the people tolerate or surrender to criminals? No, of course not. There is an efficient solution to stop crime. To guarantee a secure society, our legislative body should enforce the law very strictly. Death penalty and stiffer sentences should be frequently used. They are effective in reducing crime. At the thought of being sentenced to death, those who want to commit crimes will hesitate to do so.
① 범죄에 대한 엄격한 처벌을 내려야 한다.
② 범죄자들을 재교육하는 기관이 필요하다.
③ 범죄의 증가 추세는 경제난과 관련이 있다.
④ 청소년에 대한 윤리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⑤ 정부차원에서 사형제도를 폐지해야한다.
[해석]
범죄는 사회와 개인의 재산과 생명에 끊임없는 위협이 되어 왔다. 그것이 세계의 주요한 사회적 문제 중의 하나다. 살인, 폭행, 강도, 주택침입이 모두 증가하고 있다는 지표가 존재한다. 범죄에 대처하는 어떤 방법이 있는가? 사람들이 범죄자들을 견디고 굴복해야 하는가? 아니다. 물론 아니다. 범죄를 중단시키는 효율적인 해결책이 있다. 안전한 사회를 보강하기 위해서, 우리의 입법부는 법을 매우 엄격하게 강화해야 한다. 사형과 더 엄격한 형벌이 자주 사용되어야 한다. 그것들은 범죄를 줄이는데 효율적이다. 사형을 받을 거라는 생각에 범죄를 저지르려는 사람들은 주저하게 될 것이다.
[어휘]
*constant 끊임없는
*threat 위협
*property 재산
*indication 지표
*assault 공격. 폭행
*robbery 강도
*surrender 굴복하다
*criminal 범죄자
*enforce 강화하다
*death penalty 사형
*stiff 엄격한. 단호한
*sentence 평결. 형벌
*commit (범죄 등을) 저지르다
*hesitate 주저하다
[해설]
법률을 강화하여 범죄를 줄여야 한다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1
35.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5월 중앙유웨이]
The only obstacle hindering web surfing is the language barrier. You may not like it, but the world’s common language today is English. In the borderless cyber world, I think it is absurd to insist on the use of the Korean language only or to remain preoccupied with “domain names in Korean” in a globalized world. Exclusive use of hangul on the Internet would be like putting up a language barricade in cyber space and thus keep ourselves from being with the rest of the world. A truly interactive communication will occur when we too record everything in English and make it accessible by other peoples.
① 지나친 인터넷 사용을 삼가야 한다.
② 인터넷에서 실명제를 실시해야 한다.
③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를 구분해야 한다.
④ 홈페이지의 정기적인 검열을 강화해야 한다.
⑤ 인터넷에서 한글 전용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해석]
웹 서핑의 유일한 장애는 언어의 장벽이다. 인정하기 싫을지는 몰라도, 지금 세계의 공용어는 영어다. 국경이 없는 사이버 세계에서, 순우리말만을 고집한다든지,‘한글로 된 도메인 네임’에 집착하는 것은 국제화된 세계에서 어리석은 일이다. 인터넷에서의 한글 전용은 사이버 세계에 언어의 벽을 두르고 다른 세계와의 고립을 자초하는 일이다. 우리도 영어로 모든 것을 기록해서 다른 민족들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할 때, 진정한 쌍방향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어휘]
*hinder:방해하다, 훼방하다
*absurd:불합리한, 어리석은
*preoccupied:몰두한, 열중한
*domain:도메인; 영토, 영역
*exclusive:배타적인, 독점적인
*interactive:상호 작용하는, 서로 영향을 미치는
*accessible:접근(가까이)하기 쉬운, 가기 쉬운
[해설]
필자는 국경이 없는 사이버 공간의 공용어는 영어이므로, 순우리말만을 고집한다든지, 한글로 된‘도메인 네임’에 집착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고립을 자초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답] 5
3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5월 중앙유웨이]
The superficial value of English as a mere instrument for college admissions has overwhelmed the importance of it as a verbal medium to the world. We are probably the only nation in which a person with over 10 years of public English education has no choice but to go through additional English education at a private institution. It’s time to change. We have seen how English as an official language in education has enormously contributed to the rise of Singapore and India in the economic area. These countries would not be considered as competitive as they are today if they had not made English an official language in their schools
① 외국어는 조기 교육이 효과적이다.
② 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이 절실하다.
③ 학교에서의 영어 공용화가 필요하다.
④ 실용 영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⑤ 영어 사교육비 지출이 급증하고 있다.
[해석]
단지 대학 입학을 위한 도구로서의 영어의 피상적인 가치가 전 세계의 언어 매개체로서의 그 중요성을 압도해 왔다. 우리는 아마도 10년이 넘게 영어 공교육을 받은 사람이 사설기관에서 또 영어 교육을 받을 수밖에 없는 유일한 나라일 것이다. 이제는 변해야 할 때이다. 교육 분야의 공용어로서의 영어가 싱가포르와 인도의 경제 발전에 얼마나 크게 기여했는지를 우리는 보아 왔다. 학교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도입하지 않았다면, 이 나라들은 오늘날처럼 경쟁력이 있는 나라로 간주되지 않았을 것이다.
[어휘]
*overwhelm:압도하다
*have no choice but to~:~하지 않을 수 없다
*contribute to~:~에 기여하다, ~에 공헌하다
*competitive:경쟁의, 경쟁력이 있는
[해설]
교육 분야의 공용어로서의 영어가 싱가포르와 인도의 경제 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사실을 예로 들면서, 학교에서의 영어 공용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답] 3
37.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6월 평가원]
Imagine how nice it would be if you had a whole extra hour in the morning to do some things you’ve been waiting to do, like taking a walk. Adding an extra hour to the day, especially if you use it to do something other than work, is an effective way to relieve stress and to give yourself the feeling of having much more time and energy throughout the day. This may mean going to bed an hour earlier, but having an extra hour in the morning is so much more productive than staying up an hour later at the end of the day.
① 한 시간의 아침 산책은 건강에 좋다.
②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③ 시간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살아야 한다.
④ 한 시간의 아침 여유는 생활에 활력을 준다.
⑤ 일은 아침보다 저녁에 하는 것이 생산적이다.
[해석]
만약 당신이 평소에 하고 싶었던 어떤 일 - 산책과 같은 - 을 할 수 있도록, 아침에 순전히 여분으로 한 시간을 더 가지게 된다면 얼마나 멋질 것인지 상상해 보라. 하루에 한 시간을 더 추가적으로 갖는다는 것은, - 특히 그 시간을 업무가 아닌 다른 일에 사용한다고 하면, 스트레스를 풀고, 그날 하루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갖고 있다는 느낌을 당신에게 주게 될 것이다. 이런 얘기가 어쩌면 한 시간 더 일찍 잠자리에 든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겠지만, 아침에 한 시간을 더 갖는 것은 밤늦도록 한 시간 더 깨어 있는 것보다 훨씬 더 생산적이다.
[해설]
오전에 한 시간을 업무가 아닌 다른 활동에 사용할 수 있다면, 그것이 생활에 활력을 준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정답] 4
[38~39]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6월 평가원]
38.
A man who had been a poor shepherd in his early years became a very wealthy, respected diplomat, and he was appointed as an ambassador to a country in Africa. In his residence near the embassy, he had one room known as “the shepherd’s room.” In that room were reproductions of hills, valleys, running streams, rocks, barns and fences for the sheep. Here were the sticks he had carried and the clothes he had worn as a shepherd when looking after the sheep. When asked one day the reason for this, he replied, “If ever my heart is tempted to arrogance and pride, I go into that room and remind myself of what I once was.”
① 사회적 신분이 높아지더라도 겸손할 필요가 있다.
② 사회적 지위로 인생의 성공을 평가해서는 안된다.
③ 외교관은 사회 각 분야의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
④ 부유한 사람은 나눔의 덕목을 갖출 필요가 있다.
⑤ 경험 많은 어른이 존경받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해석]
젊은 시절 가난한 목동이었던 한 남자가 나중에 부자가 되고, 존경받는 외교관이 되어 아프리카의 어느 나라의 대사로 임명되었다. 그의 대사관 근처에 있는 그의 거주지에, 그는 “목동의 방”이라는 이름의 방 하나를 마련하였다. 그 방에는 언덕이나 계곡, 흐르는 냇물, 바위, 양을 위한 헛간이나 울타리 등을 복제한 모형들이 있었다. 여기에는 그가 목동 시절 양떼를 돌보면서 지니고 다녔던 지팡이들과 입었던 옷들도 있었다. 어느 날 이런 물건들을 비치해둔 이유가 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내 마음이 오만과 자만의 유혹을 받을 때, 나는 이 방으로 들어와 한 때 내가 무엇이었던 지를 스스로에게 일깨워준답니다.”
[해설]
목동에서 외교관으로 사회적 신분이 높아진 이 남자는 젊은 시절 자신이 목동이었다는 사실을 끊임없이 상기함으로써, 오만이나 자만의 마음을 스스로 경계하고 있다.
[정답] 1
39.
This morning I had a longing for some orange juice. I knew there must be some in the refrigerator since my roommate went shopping yesterday. I took an orange- labeled can out of the refrigerator and made myself a glass. When I tasted it, it was strange. I spat it out in the sink since I was sure that it was spoiled. I decided that I might as well take it back to the grocer’s and get our money back. I fished the can out of the garbage and looked at the label. To my surprise, it said, “Tangerine Juice.” I couldn’t believe it. I tasted some of the juice left in the glass and ... it was good tangerine juice!
*tangerine: 감귤
① 모든 것에는 그에 어울리는 장소가 있다.
② 소비자는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아야 한다.
③ 보기 좋은 음식이 건강에는 해로울 수 있다.
④ 선입견이 우리의 감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⑤ 절약을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해석]
오늘 아침 나는 오렌지 주스를 먹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나는 어제 내 룸메이트가 장을 보았기에 냉장고에 분명히 오렌지 주스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오렌지 상표가 붙어 있는 캔 하나를 냉장고에 꺼내어 글라스에 따라 마셨다. 순간 나는 맛이 이상하다고 느꼈다. 나는 틀림없이 상한 주스라고 생각했기에, 마셨던 것을 싱크대에 뱉어내었다. 나는 그 주스 캔을 식료품점에 되가져가서 환불받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는 쓰레기 틈에 있던 그 캔을 찾아내어 상표를 보았다. 놀랍게도, 거기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감귤 주스”. 나는 믿을 수가 없었다. 나는 글라스에 남아 있던 주스를 다시 맛보았는데, 그건 정말 맛있는 감귤 주스였다!
[해설]
필자는 냉장고에 있던 것이 당연히 오렌지 주스일거라고 생각하고, 자신이 마신 주스가 감귤 주스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그러한 선입견이 필자로 하여금 맛있는 감귤 주스를 상한 오렌지 주스라고 여기게 한 것이다.
[정답] 4
40.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6월 종로]
Those who have seen rice transplantation will know that the seedling is uprooted, taken off the water bed, and left on dry soil for two or three days. It will feel a sense of threat to life when the roots start to dry. When it is replanted into the soil, it sends roots deep down into the soil with double vigor. The plant grows and yields sometimes eight to ten times as much rice as a plant that was not transplanted. Adversity strengthens us. After overcoming an obstacle, we emerge stronger. Had it not been for the imprisonment of John Bunyan, he would not have written "Pilgrim's Progress." Without the early blindness that seized Helen Keller, she would not have been able to contribute so much to improve the lives of the blind.
①누구나 정신적인 고통을 겪는다.
②모든 것은 자신의 마음에 달렸다.
③인간은 시간을 겪으며 강해진다.
④자연에서는 강자만이 살아남는다.
⑤실패가 성공의 발판이 될 수 있다.
[해석]
벼 이삭을 본 사람들은 수분이 많은 흙에서 모를 뿌리째 뽑아 마른 땅에 2~3일 놓아둔다는 것을 알 것이다. 뿌리가 마르기 시작할 때 모는 생명의 위협을 감지할 것이다. 다시 흙 속에 심을 때 그것은 두 배의 힘으로 흙 속으로 뿌리를 깊이 내린다. 그 식물은 때때로 성장해서 옮겨 심지 않은 식물보다 8배 내지 10배나 더 많은 쌀을 생산한다. 역경은 우리를 강하게 만든다. 장애를 극복한 다음에 우리는 더 강해져서 나타난다. John Bunyan이 감옥에 갇히지 않았다면 ‘천로역정’을 저술하지 못했을 것이다. 어린 시절에 Helen Keller에게 닥쳤던 실명이 없었다면 그녀는 맹인의 삶을 개선하는 대 그렇게 많은 공헌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어휘]
transplantation 이식
seedling 묘목
uproot 뿌리째 뽑다
water bed: 수분이 많은 토양
replant 다시 심다
vigor 활기, 원기
yield: 산출하다
adversity 역경
obstacle 장애, 장애물
emerge: 나오다, 나타나다
imprisonment 투옥, 감금
seize : (병이) 덮치다, 엄습하다
[해설]
‘Adversity strengthens us. After overcoming an obstacle, we emerge stronger.’에 필자가 말하려는 요지가 가장 잘 나타나 있다.
[정답] 3
[41-4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6월 종로]
41.
Almost every dog views its human owners as pack members that require protection and considers the human house where it lives to be its den. Dogs, like wolves, prefer to huddle together. That is why dogs like to sleep near their owners. Sharing a bed with a dog may not be the greatest idea, but keeping the dog in a basement or outdoor kennel far away from the human pack isn't wise either. In the wild, only outcast members sleep away from the pack, usually because they are driven away. A domestic dog which is forced to sleep in isolation from its adopted pack will feel and act like an outcast. Human owners do best when they find a way to let dogs sleep as near to them as possible, without letting them become annoyances.
① 개와 한 침대에서 자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다.
② 개가 어릴 때 용변 훈련을 시티는 것이 필요하다.
③ 주인에게 절대 복종하도록 개를 훈련시켜야 한다.
④ 개를 주인과 가까운 곳에서 자게 하는 것이 좋다.
⑤ 개를 키우는 것은 아이들의 정서에 좋은 영향을 준다.
[해석]
거의 모든 개는 사람 주인을 보호가 필요한 무리 구성원으로 보며 자신이 사는 사람의 집을 자신의 보금자리로 여긴다. 늑대와 마찬가지로, 개는 함께 떼 지어 모여있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개는 주인 가까이서 잠을 자는 것을 좋아한다. 개와 함께 침대에서 자는 것이 가장 훌륭한 생각은 아니겠지만, 개를 사람들로부터 열리 떨어진 지하실이나 야외의 개집에 두는 것 또한 현명한 것은 아니다. 야생에서는 오직 내쳐진 구성원들만 무리와 떨어져서 잠을 자는데, 이것은 주로 쫓겨났기 때문이다. 개를 기르는 사람들로부터 고립되어서 자야 하는 길들여진 개는 추방자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행동할 것이다. 개로 하여금 귀찮은 존재가 되지 않으면서, 가능한 인간과 가깝게 자게 하는 방법을 찾을 때, 사람 주인이 가장 잘 하는 것이다.
[어휘]
pack: 일당, 한 패
den 동굴, 보금자리
huddle 떼지어 모이다
basement : 지하실
outdoor 야외의
kennel: 개 집
outcast: 추방된 자
isolation 고립
adopt : 양자로 삼다. 채택하다
annoyance 성가신 것
[해설]
필자는 여건이 허락하는 한 개를 인간과 가깝게 재우는 것이 좋다고 말하고 있다.
[정답] 4
42.
Some of the activities that occupy your children may seem foreign to you, but they give you a wonderful opportunity to display curiosity and concern about them. Say, your son is taking electric guitar lessons and spends hours practicing. You may not especially enjoy his type of music, but you know it's his passion, so ask questions about his progress and request that he play something for you. Alter you listen attentively, find a way to compliment him on his skill and then ask him more about the music. If your son likes to take pictures, now you know what you should do. Talking with your children about their concerns is a good opportunity to connect you and them.
① 자녀의 관심사를 주제로 대화하라.
② 자녀에게 꾸지람보다는 칭찬을 하라.
③ 자녀의 일상생활을 꼼꼼히 살펴보라.
④ 취미의 중요성을 자녀에게 심어 줘라.
⑤ 음악의 소중함을 자녀에게 알려 줘라.
[해석]
아이들이 몰두하고 있는 활동 중 어떤 것들은 당신에게 낯설지도 모르지만 그 활동은 아이들에 대한 당신의 호기심과 관심을 보여 줄 수 있는 훌륭한 기회를 당신에게 준다. 예를 들어, 당신의 아이가 전기 기타 수업을 받고 연습하면서 몇 시간 동안 보낸다고 생각해 보자. 당신은 아마도 이런 형태의 음악을 특별히 즐기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그것이 그가 좋아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그가 발전하는 것에 대해 묻고, 당신을 위해 연주를 해달라고 그에게 요청하라. 열심히 들은 후에 그의 기술에 대해 칭찬할 방법을 찾고 음악에 대해 좀 더 그에게 물어라. 당신의 아이가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한다면, 이제 당신은 무엇을 해야 할지 알 것이다. 아이들의 관심사에 대해 아이들과 이야기하는 것은 당신과 아이들을 연결하는 좋은 기회인 것이다.
[어휘]
occupy 차지하다, 점령하다
display 보이다, 전시하다
curiosity 호기심
say 예를 들어
passion: 열중, 열정
attentively 열심히
compliment 칭찬하다
[해설]
자녀가 좋아하는 일에 관심을 갖고 그 일에 대해 대화를 나누라고 말하고 있다.
[정답] 1
43.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6월 케이스]
No country can live alone today. Korea, for example, depends on many countries. We make lots of things and sell them to the world. We sell cars, computers, television sets, VCRs, stereos, clothes and shoes to other countries. At the same time, we buy oil, food and many other things from foreign countries. Sometimes countries compete with each other, but more often, they help each other. In the twenty-first century, Korea must be activ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s about time that w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world. In order to do that, we have to learn about other people and other countries. English makes it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world.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use English as a means of communication. So we need to master how to speak English.
① 세계는 상호간에 독립과 평화를 인정하고 있다.
② 국제사회에서 이익을 위하여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③ 국제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 영어가 필요하다.
④ 한국은 외국으로부터 TV, 신발, 의류 등을 수입하고 있다.
⑤ 세계는 경쟁과 이해를 통해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해석]
어느 나라도 오늘날 혼자 살아갈 수 없다. 예를 들어 한국은 많은 나라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는 많은 물건을 만들고 그것들을 세계에 판다. 우리는 자동차, 컴퓨터, 텔레비전, 비디오, 스테레오, 의복, 신발을 다른 나라로 수출한다. 동시에 우리는 다른 나라로부터 석유, 식량 그리고 많은 다른 것을 수입한다. 때때로 나라들끼리 서로 경쟁하지만 그보다 더 자주 서로 돕는다. 21세기에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능동적이어야 한다. 지금이 바로 우리가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때이다.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다른 나라에 대해 배워야 한다. 영어는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은 영어를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어로 말하는 방법을 숙달할 필요가 있다.
[구문]
.English makes it possible for us to understand the world.: it은 가목적어이고, to 이하가 진목적어이다.
[어휘]
lots of 많은 (=a lot of)
at the same time 동시에(=at one time)
community 공동 사회, 공동체
compete with ~와 경쟁하다
It’s about time that ~ 지금이 바로 ~할 때다
[해설]
글의 앞부분에서 어느 나라도 세계에서 혼자 살 수 없음을 설명하고, 뒤에서 한국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고 많은 것을 배우기 위해서는 영어가 필요하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실수 탈출]
글의 요지는 글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는 것이므로 지엽적인 내용을 말하고 있는 ④는 오답이 된다.
[정답] ③
44.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2006년 6월 케이스]
History tells us that there were wars, great and small, in every century, in every decade. Throughout the ages, from the Stone Age to the Atomic Age, men have been fighting. But, in spite of all the fights, it is still my belief that war can be prevented and peace can be won, but it requires the effort of each and every one of us, and everyone in the world. I am sure that we would not like to experience another world war. If it ever happens, two-thirds of the world and much of the civilization which men have gained through time, patience and effort will be destroyed. Will then the remaining one-third of the world be able to survive on its own?
① We should avoid war at any cost.
② The third world war is coming soon.
③ War can be prevented by human efforts.
④ War is an inborn nature of human beings.
⑤ War is an inevitable way of life for human beings.
[해석]
역사는 우리에게 매세기 10년마다 크고 작은 전쟁이 있었다고 말한다. 석기시대부터 원자시대까지 여러 시대에 걸쳐서 사람들은 싸워 오고 있다. 그러나 모든 싸움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전히 전쟁은 막을 수 있고, 그리하여 평화를 이룰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그것은 우리들 각자 모두와 세계 모든 사람들의 노력을 요구한다. 나는 우리가 또 다른 세계대전을 겪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확신한다. 만일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세계의 3분의 2, 여러 세기를 통해서 인간이 이루어 놓은 문명, 그리고 지금까지의 인내와 노력이 파괴될 것이다. 그런 후 세계의 남아있는 3분의 1이 과연 스스로 살아남을 수 있을까?
[구문]
.~, it is still my belief that war can be prevented and peace can be won: it은 가주어이고, that절이 진주어이다. that절에서 war가 사물이기 때문에 동사는 수동태의 형태(be prevented)로 온다.
[어휘]
decade 10년
Stone Age 석기시대
Atomic Age 원자시대
in spite of ~에도 불구하고
prevent 예방하다
require 요구하다
two-thirds 2/3
civilization 문명
patience 인내
destroy 파괴하다
remaining 남아 있는
survive 살아남다
on one’s own 자기 스스로
at any cost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inborn 타고난 (=innate)
inevitable 불가피한
[해설]
글에서 필자의 주장을 나타내는 표현인 my belief, I am sure 등이 속한 문장을 살펴보면, 세계대전이 다시 일어날 경우 발생할 비극을 말해주고 있으며 이것을 막기 위해서라도 전쟁은 피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수 탈출]
전쟁을 인간의 노력으로 막을 수 있다는 것은 필자의 믿음으로 지극히 지엽적인 것이다.
[정답] ①
45.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6월 대성월례]
Some policy-makers, including economists, sociologists and politicians, insist on looking at us in terms of groups or averages. But no family has 2.3children; hardly anyone in the entire country earns the "average income." Too often those who are unaware of the nature of statistics make decisions that adversely affect millions of people. This approach toward policymaking recalls the story of the man who stuck one foot in a bucket of scalding water and placed the other on a block of ice: on average, his feet were 37 degrees Celsius comfortable.
①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② 평균 임금을 받는 근로자들은 거의 없다.
③ 통계의 정확성이 정책 결정에 필수적이다.
④ 통계 수치가 현실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⑤ 정치 논리에 의해 경제 정책이 왜곡될 수 있다.
[해석]
경제학자, 사회학자, 정치가 등을 포함한 일부 정책 결정자들은 집단 또는 평균의 관점에서 사람들을 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어떤 가족도 2.3명의 자녀들 갖고 있지 않으며 전국에서 어떤 사람도 '평균 임금'을 버는 사람은 거의 없다. 너무도 자주 통계학의 본질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수 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내린다. 정책 결정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은 한 발은 뜨거운 물 양동이 속에 넣고 다른 한 쪽은 얼음 덩어리 위에 둔 사람의 이야기를 생각하게 한다. 평균하면 그의 두 발은 섭씨 37도의 편안한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어휘]
be unaware of ~을 모르다
statistics 통계학
adversely 불리하게
Celsius 섭씨
[해설]
이 글은 거시적 분석이 빠지기 쉬운 오류를 비유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정답] 4
[46~47]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6월 대성월례]
46.
No one can claim to be a "pure American." Even the Indians whom Columbus found here have been traced to the tribes that invaded the lands now occupied by the Chinese. Our people have come from all nations and all races. They came here to establish a home that they could be proud of, a home for their children. Unfortunately the word minority creeps too often into the speech of some communities that claim to have a majority group. The majority group looks upon their minority neighbors with doubt or suspicion. We must ever remember that if we want our nation to be strong we cannot afford the luxury of having second-class citizens. A man or woman must be judged as an individual, as one of the many who make up our nation.
① 순수한 미국인의 개척 정신을 잃지 말아야 한다.
② 소수 민족에게 국가에 대한 자부심을 갖게 하자.
③ 경제적 약자인 소수 민족에 대해 지원을 해야 한다.
④ 소수 민족에 대한 편견을 없애 국민 통합을 이루자.
⑤ 모두가 잘 살기 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자.
[해석]
어느 누구도 '순수한 미국인'이라고 주장할 수 없다. Columbus가 여기서 발견한 인디언들조차도 현재 중국인들이 점유하고 있는 땅을 침략한 부족으로 그 기원이 거슬러 올라간다. 우리의 국민은 모든 나라와 모든 인종으로부터 왔다. 그들은 자신이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집, 자기 아이들의 집을 건설하러 이곳에 왔다. 불행하게도 '소수 민족'라는 말은 다수 집단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는 일부 지역 사회의 연설에 너무도 자주 슬며시 들어간다. 다수 집단은 소수 이웃들을 의심스럽게 쳐다본다. 우리의 국가가 튼튼하기를 원한다면 우리는 이등 시민을 갖는 사치를 부릴 여유가 없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남자든 여자든 개인으로서, 즉 이 나라를 구성하는 다수 중 하나로_서 평가받아야한다.
[어휘]
trace 추적하다
invade 침략하다
creep into ~에 슬며시 들어가다
luxury 사치, 호사
[해설]
마지막 두 문장에 필자의 주장이 나타나고 있다.
[정답] 4
47.
It is the nature of opportunity that it simply refuses to attach itself to negative thinkers. Negative minds cannot conceive excit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invent innovative new products, solve difficult problems, or create beautiful music or works of art. All of these activities require a positive belief in yourself and your abilities. When you approach every challenge with a positive mental attitude, you will always discover opportunities that others have overlooked. Relish your achievements and recall them when the going gets tough. Take comfort in the knowledge that you have succeeded in the past and you can do it again.
① 뚜렷한 목표를 세우자.
② 긍정적인 자세를 갖자.
③ 한 가지 일에 집중하자.
④ 창조적인 정신을 기르자.
⑤ 기회가 오면 놓치지 말자
[해석]
부정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애착을 주기를 거부하는 것이 기회의 속성이다. 부정적 사고가들은 흥미로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맘에 품을 수 없으며, 혁신적인 신상품을 개발해 낼 수 없으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거나 아름다운 음악이나 예술품을 창조해 낼 수 없다. 이런 모든 행동들은 당신 자신과 당신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을 필요로 한다. 당신이 모든 도전에 대하여 긍정적인 정신 자세로 접근한다면, 당신은 언제나 다른 사람들이 간과해 왔던 기회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당신이 성취한 것을 즐겁게 여기고 상황이 어려워질 때 그것들을 떠올려라. 당신이 과거에 성공을 한 적이 있고 다시 그것을 해 낼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편안한 마음을 가져라.
[어휘]
attach oneself to ~에 애착하다
conceive 아음에 품다. 느끼다
innovative 혁신적인
overlook 빠뜨리고 보다. 간과하다
relish 즐기다. 맛있게 먹다
going (일 등의) 진전, 진행: 상황
[해설]
'positive mental attitude(긍정적 정신 자세)' 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글이다.
[정답] 2
48.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7월 대성]
Before water produces enough steam to power an engine, it must boil. The steam engine won't move a train an inch until the steam gauge registers 100℃. Likewise, the person without enthusiasm is trying to move the machinery of life with lukewarm water. Only one thing will happen: that person will stall. Enthusiasm is the electricity in the battery. It's the breath in living things. Successful people are enthusiastic about what they do. Good work is never done by those who are lukewarm; heat is needed to forge anything. Every great achievement is the story of a flaming heart. You may have sufficient skill, training and experience. Add passion to those assets!
① 끊임없이 배워라
② 매사에 열정을 갖고 임하라.
③ 삶의 목표를 찾아라.
④ 주어진 기회를 놓치지 마라.
⑤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해석]
엔진에 동력을 공급할 충분한 증기를 만들기 전에 물은 끓어야 한다. 증기 기관은 증기 계기가 섭씨 100도를 가리킬 때까지 기차를 조금도 움직이지 못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열정이 없는 사람은 미지근한 물로 삶이라는 기계를 움직이려고 하는 것이다. 단 한 가지만 일어날 것이다. 즉, 그 사람은 옴짝 못할 것이다. 열정은 배터리에 있는 전기이다. 열정은 살아있는 것에 있는 호흡이다. 성공한 사람들은 그들이 하는 것에 대해 열정이 있다. 열의가 없는 사람들은 결코 좋은 일을 해낼 수 없고 어떤 것이든 그것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열이 필요하다. 모든 위대한 성취는 타오르는 감정의 이야기이다. 당신은 충분한 기술, 훈련 그리고 경험을 가지고 있을지 모른다. 그 자산에 열정을 더하라!
[어휘]
gauge 계량기. 계기(計器)
lukewarm 미지근한
stall 옴짝 못하다
forge (노력하여) 만들어 내다
flame (정열 따위가) 불타오르다
sufficient 충분한
asset 자산, 재산
[해설]
미지근한 물로 증기 기관을 움직일 수 없듯이 열정이 없이는 일을 해낼 수 없으므로 매사에 열정을 갖고 임하라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2
49.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7월 대성]
You wake with a start to the alarm, and the day gets only more hectic. You're so busy you skip lunch and before you know it, it's 7 p.m. Sound familiar? Apparently you suffer from hurry sickness. This 21st century disease is the result of working and living too fast. We are faced with the "worry-go-round" of daily obligations and the competitive race. We travel the express lane through life. The subliminal message from the clock is: Please hurry, because time is running out and life is winding down.
① 현대 사회는 생존 경쟁이 치열하다.
② 현대인은 시간에 쫓기며 살고 있다.
③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④ 시간에 대한 인식은 사람마다 다르다.
⑤ 과로로 인한 질병이 증가하고 있다.
[해석]
자명종 소리에 깜짝 놀라 잠에서 깨고 하루가 단지 더 바쁘게 될 뿐이다. 너무 바빠서 점심을 거르고 순식간에 저녁 7시이다. 귀에 익은 것처럼 들리는가? 분명히 당신은 조급증을 앓고 있다. 21세기의 이 질병은 너무 빨리 일하고 너무 빨리 사는 것의 결과이다. 우리는 매일 해야만 하는 의무들로 인한 걱정의 연속과 경쟁적인 경쟁에 직면해 있다. 우리는 급행 차선을 통해 삶을 살아간다. 시계로부터의 잠재의식적인 메시지는 "시간이 다 되어가고 있고 삶의 태엽은 풀리고 있으니 서두르십시오."이다.
[어휘]
with a start 깜짝 놀라서
hectic 몹시 바쁜
before you know it 어느덧, 순식간에
worry-go-round 회전목마의 뜻을 갖는 merry-go-round로 만든 신조어로 '걱정의 연속' 정도의 뜻이다.
subliminal 잠재의식의
run out 다 써버리다, 바닥나다
wind down 태엽이 풀리다, 서서히 끝나다
[해설]
현대인들이 조급증이라는 질병에 걸려 시간에 쫓기며 살고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2
50.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7월 종로월례]
Cultural differences may be too much for students to succeed in their new environment. Therefore, strong communication skills are essential for any student. It is not sufficient in this modern world to merely understand the subject matter. University graduates must also be able to demonstrate the capacity to speak and write well. It is especially true in the international arena. With the Internet and globalization of business,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be able to understand how to communicate well in foreign languages. Most of the universities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provide the servic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needs. What may seem perfectly clear to a native English speaker, may be too complex for a student whose second or third language is English.
① 최신 정보 환경을 접해야 진정한 국제인이 될 수 있다.
② 유창한 영어회화만이 성공적인 유학 생활을 보장해준다.
③ 문화적인 차이를 극복하려면 외국어를 익혀야 한다.
④ 원어민의 수준으로 외국어를 구사하는 것은 어렵다.
⑤ 전공과목에 정통해야 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해석]
학생들이 그들의 새로운 환경에서 성공함에 있어서, 문화적인 차이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강력한 의사소통의 기술은 모든 학생에게 필수적이다. 현대세계에서 관련된 주제(과목)를 이해하는 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대학 졸업생들은 자유자재로 말하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해 보일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한 일은 국제무대에서는 특히 그러하다. 인터넷과 사업의 세계화 덕택에 외국어로 의사소통을 잘 해 내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더욱 더 중요하게 되었다. 영어사용권 국가들 대부분의 대학들은 국제 감각을 가진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영어 원어민 사용자에게는 매우 명확해 보이는 것이 제2, 제3국어로 영어를 사용하는 학생에게는 너무나 복잡해 보일 것이다.
[어휘]
*too much for:~에게는 감당이 되지 못하는
*subject matter:주제, 과목
*graduate:졸업생
*demonstrate:입증하다
*arena:활동의 무대, 원형경기장
*globalization:세계화
[해설]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면 문화적인 차이를 극복해야 하고, 문화적인 차이를 극복하려면 외국어를 익혀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이다.
[정답] 3
5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7월 종로월례]
How do people respond to a reproach? To find out, a researcher conducted an experiment. He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a group of students and told them that the survey was to test their creativity. After the survey, he told half of the respondents that their brains were outstanding. The rest were told that their intelligence was below average. Of course, the results had been fabricated by the researcher. He then handed out another questionnaire asking whether capital punishment should be taken against an offender who was a minor. Many of the students who had been branded "below average" in the previous survey responded that the minor should still be punished. The students who had been angry and frustrated expressed their opinions more aggressively.
① 창조적 사고와 긍정적 사고는 상호 비례한다.
② 지능 지수가 낮을수록 부정적 성격이 형성 된다
③ 미성년자에게도 사형 제도를 실시해야한다.
④ 인간은 비난으로 좌절하면 공격적이 된다.
⑤ 미성년자를 꾸중하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해석]
사람들은 비난을 받으면 어떻게 반응할까? 이를 알아 보기 위해 어느 학자가 실험을 했다. 일단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나눠 주고 그 검사는 창조성 테스트를 하는 것 이라고 말해 주었다. 조사 후 그 결과를 발표하면서 절반의 학생들에게는 두뇌가 우수하다고 말하고, 나마지 학생들에게는 지능이 평균 이하라고 말해 주었다. 물론 이 결과는 조작한 것이었다. 그런 다음 그는 다른 설문지를 돌려 미성년 범법자에게 사형을 실시할 것인가를 물어 보았다. 그 전 조사에서 평균 이하라고 낙인찍힌 학생들 중 많은 이들은 미성년자라도 처벌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화가 나고 좌절감을 느낀 학생들은 보다 공격적인 의견을 표출했던 것이다.
[어휘]
*reproach:비난
*conduct:실시하다
*creativity:창조성
*outstanding:뛰어난
*intelligence:지능
*fabricate:조작하다
*hand out:배부하다
*capital punishment:사형
*offender:범법자
*minor:미성년자
*brand:낙인찍다
*previous:이전의
[해설]
사람이란 자신이 비난을 받아 좌절하게 되면 남에게
공격적인 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정답] 4
52.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8월 종로]
Have you ever tried the big-rock experiment? You put small pebbles in a bucket first and then big rocks. But they don't all fit. So you empty the bucket and start over. This time you put the big rocks in the bucket first, followed by the pebbles. The pebbles neatly fill in all the spaces around the big rocks. The difference is the order in which the rocks and pebbles were placed in the bucket. Big rocks represent your important things. Pebbles represent all the little everyday things that suck up your time. If you don't schedule your big rocks in first, they won't get done. Don't let your time be taken by things that aren't important to you.
① 중요한 일부터 먼저 하라.
② 자투리 시간을 잘 이용하라.
③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하라.
④ 사소한 일도 경시하지 마라.
⑤ 지나간 일을 걱정하지 마라.
[해석]
“큰 돌” 실험을 해본 적이 있는가? 먼저 양동이에 작은
자갈들을 넣고 다음에 큰 돌을 넣는다. 그러나 그것들은 모두 다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양동이를 비우고 다시 시작한다. 이번에는 먼저 큰 돌을 양동이에 넣고 다음에 자갈을 넣는다. 자갈은 큰 돌 주변에 있는 모든 공간을 깔끔하게 채운다. 차이는 돌멩이와 자갈이 양동이에 넣어지는 순서이다. 큰 돌은 중요한 일들을 상징하고 자갈은 당신의 시간을 빨아들이는 일상의 작은 일들을 상징한다. 먼저 당신의 큰 돌을 예정에 넣지 않으면 그것들은 행해지지 않는다. 당신의 시간이 당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것들에 의해 빼앗기지 않도록 하라.
[어휘]
pebble 자갈
neatly 깔끔하게
represent : 상징하다
[해설]
자갈은 중요하지 않은 작은 일을 상징하고 큰 돌은 중요한 일을 상징한다고 하면서 먼저 큰 돌을 넣으라고 했으므로 ①의 "중요한 일부터 먼저 하라."가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하다.
[정답] 1
(53-54)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8월 종로]
53.
Since the Endangered Species Act became law in 1913, the snail darter, a type of fish, nearly prevented a Tennessee dam from being built in 1977. In 1991, logging companies were forced to stop cutting trees in vast areas of the Northwest forest to protect the habitat of the endangered northern spotted owl. In 1993, homeowners in southern California had to stand by and watch their houses burn. The law prevented residents from cutting down nearby brush that sheltered the endangered kangaroo rat. Montana ranchers are not allowed to harm the gray wolves that stray from the boundaries of Yellowstone National Park and prey on the ranchers' sheep and cattle. In Pennsylvania, preservation of the Indiana bat may prevent interstate highway from being extended.
① 자연 보호를 법제화하여 철저히 시행해야 한다.
② 자연 보호를 위한 운동은 많은 저항에 부딪쳤다.
③ 국토 개발은 자연 보호를 염두에 두고 해야 한다.
④ 멸종 위기 동물 보호법은 많은 효과를 거두었다.
⑤ 멸종 위기 동물 보호는 때로 인간에게 피해를 준다.
[해석]
1973년 멸종 위기 생물에 관한 법령이 제정된 이후로 물고기의 일종인 시어는 1977년의 테네시 댐 건설을 거의 막을 뻔하였다. 1991년 목재 회사들은 멸종 위기에 처한 북미산 얼룩무늬 올빼미의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광대한 북서부의 삼림 지역에서 벌목을 중단해야만했다. 1993년 남부 캘리포니아의 주민들은 자신들의 집이 불에 타는 것을 옆에 서서 지켜봐야만 했다. 법은 멸종 위기에 처한 캥거루 쥐를 보호해 주는 근처의 관목 숲에서 주민들이 나무를 베는 것을 불허하였던 것이다. 몬테나 주의 목동들은 옐로우스톤 국립공원 경계에서 벗어나 그들의 양과 소를 잡아먹는 회색 늑대에게 해를 가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펜실베이니아 주에서는 인디애나 박쥐의 보존을 위해 주와 주를 잇는 고속도로의 확장을 방해할 것이다.
[어휘]
endangered species : 멸종 위기에 처한 종
act : 법령, 조례
snail darter : 시어(북미 동부 산의 민물고기)
habitat : 서식지
resident : (거)주민
brush 숲, 관목림
shelter 보호하다
rancher : 목장 노동자, 목동
stray : 길을 잘못 들어서다
prey on : ~을 잡아먹다
interstate : 주 사이의
boundary : 경계
preservation : 보존, 보호
[해설]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 보호를 위한 법령으로 인해 사람들이 재산상의 피해를 감수해야만 되는 경우의 실례들을 들고 있음에 유의하여 답을 찾으면 ⑤가 가장 적절하다.
※ The law prevented residents from cutting down nearby brush that sheltered the endangered kangaroo rat.
prevent A from -ing : 'A가 ~하는 것을 막다(방해하다)'의 뜻이다. that sheltered 이하는 brush를 수식하는 관계사 절이다.
[정답] 5
54.
To people who are not physically fit, it sounds like a death sentence. Many people would rather perish than try to do fifty push-ups and two hundred sit-ups. For a couple of people, though, this workout is as easy as strolling down the street. They are in such good shape that they set records almost every time they exercise. For instance, gymnast Charles Linster once managed to do 6,006 push-ups in just under four hours. And Wayne Rollings put in almost an eight-hour day doing sit-ups. Were they this strong when they were young? No. Only with training and perseverance could they develop their unusual strength and endurance.
① 어렸을 때 건강한 사람이 평생 건강하다.
② 인내하면서 훈련하면 강인한 체력을 기를 수 있다.
③ 건강하지 못하면 사형 선고를 받은 것과 마찬가지이다.
④ 처음에는 가볍게 운동하고 나중에 격한 운동을 해야 한다.
⑤ 기록을 세우기 위해서가 아니라 건강을 위해 운동해야 한다.
[해석]
육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있어서, 이것은 사형 선고처럼 들린다. 50회의 팔굽혀 펴기와 200회의윗몸 일으키기를 하기보다는 많은 사람들은 차라리 죽기를 원할 것이다. 하지만 몇몇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이런 운동은 거리를 걷는 것과 마찬가지로 쉽다. 그들은 대단히 건강이 좋아서 운동을 할 때마다 기록을 세운다. 예를 들어서 체조 선수인 Charles Linster는 4시간도 안 되는 시간에 6,006회의 팔굽혀 펴기를 하였다. 그리고 Wayne Rollings는 윗몸 일으키기를 하는데 8시간을 투입하였다. 그들이 어렸을 때 이렇게 강했는가? 아니다. 훈련과 인내로 그들은 특이한 힘과 지구력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어휘]
sentence 판결
perish : 멸망하다. 죽다
push-up : 팔굽혀 펴기
sit-up : 윗몸 일으키기
workout : 운동
gymnast : 체조가
perseverance : 인내, 참을성
endurance : 인내, 지구력
[해설]
강인한 체력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인내와 노력으로 강인한 체력과 지구력을 갖게 되었다는 내용이다.
[정답] 2
55.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8월 중앙유웨이]
"You put your dirty clothes in the basket? Wow! You're the best!" To encourage self-esteem, parents sometimes turn kids into praise addicts. Praise-dependent children don't pursue goals for their own satisfaction. They may expect thanks for routine chores or be unable to finish a task without more praise. Overcriticizing can also be harmful, and you should give more praises than corrections by three to one. But if your ratio is far higher, your praise may be insincere. Often, a simple thank-you will do. And consider the child's age. A six-year-old child learning to wash windows should be praised despite some stains; not so for a ten- ear-old who knows he or she is capable of doing better.
① 독립심을 키워 주어야 한다.
② 잘못은 바로바로 지적해야 한다.
③ 칭찬과 꾸중을 적절히 해야 한다.
④ 칭찬을 통해 성취동기를 높여야 한다.
⑤ 나이에 알맞은 과제를 부여해야 한다.
[해석]
“네가 더러운 옷을 바구니에 넣었니? 와! 네가 최고야!” 자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부모들은 때로 자녀를 칭찬 중독자로 만든다. 칭찬에 의존하는 아이들은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 목표를 추구하지 않는다. 그들은 일상적인 집안일에도 감사의 말을 기대하거나 더 많은 칭찬이 없이는 일을 끝내지 못할 수도 있다. 지나치게 비판하는 것도 역시 해롭고, 3대 1의 비율로 교정보다 칭찬을 더 많이 해야한다. 그러나 그 비율이 훨씬 더 높으면 당신의 칭찬은 진실되지 않을 수도 있다. 흔히 단지 '고마워'라고 말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그리고 자녀의 나이를 고려하라. 창문 청소를 배우는 여섯 살짜리 아이에게는 얼룩이 있어도 칭찬을 해줘야 한다. 자신이 더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열 살짜리에게는 그렇지 않다.
[어휘]
addict : 중독자
pursue : 추구하다
insincere : 불성실한. 진실하지 않은
stain : 얼룩
[해설]
꾸중보다는 칭찬을 더 많이 해야 하지만 칭찬을 너무 많이 하면 자기만족보다는 칭찬을 듣는 것이 목표가 되고, 칭찬이 없으면 일을 제대로 못하게 된다고 했다. 따라서 '칭찬과 꾸중을 적절히 해야 한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정답] 3
5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8월 중앙유웨이]
Children's play is a very complex series of events and cannot be compared to the adult play which is a description of recreational activity. It has been seen as the child's way of getting rid of surplus energy or as a preparation for life, but it is more than that and should be valued for itself. Through play, children are helped to develop physically, and are encouraged to explore, experience, discover, practice skills and ideas, and interact socially. In play, children create other worlds where they can test out reality and discover who they are. And children's self-esteem grows and develops as they can succeed in what they do.
① 성인들에게도 적절한 놀이가 필요하다.
② 아이들의 놀이에는 다양한 가치가 있다.
③ 아이들에게 자부심을 길러 주어야 한다.
④ 여가 활동은 여러 가지 이득을 가져다 준다.
⑤ 아이들에게 적절한 놀이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해석]
아이들의 놀이는 아주 복잡한 일련의 사건이며, 여가 활동의 묘사인 어른의 놀이와는 비교될 수 없다. 그것은 남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아이들의 방법이나 삶에 대한 준비로 간주되어 왔지만, 사실은 그것 이상이고, 그 자체로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신체적으로 발달하도록 도움을 받고, 기술과 생각을 탐험하고, 경험하고, 발견하고, 연습하며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도록 격려 받는다. 놀이 속에서, 아이들은 실제 현실을 시험하고 그들이 누구인지를 발견해낼 수 있는 다른 세계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들이 하는 것에 성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아이들의 자존심이 성장하고 발달한다.
[해설]
아이들의 놀이가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한 글이다.
[정답] 2
57.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8월 중앙유웨이] [1점]
Bill Gargan's voice was the prime tool of his trade, acting. Then he got cancer and lost his *larynx. At first he was in despair. "But you can't spend your life feeling sorry for yourself," he said. So he worked for years to learn to talk again, until he could finally make speeches. Then he spent the rest of his life helping others like himself. Trying will not always make a great trouble or destruction go away. But it will make it more endurable and provide immense satisfaction. Don't ask, "Did I fail?" Ask, "What do I do next?" *larynx : 후두
① 현실에 충실해야 한다.
② 격코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③ 실수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④ 필요할 때는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⑤ 서로 돕고 사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해석]
Bill Gargan의 목소리는 그의 직업, 즉 연기에서 가장 중요한 도구였다. 그런데 그는 암에 걸려 후두를 잃었다. 처음에 그는 절망에 빠졌다. "하지만 평생 신세 한탄만 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는 일이지요." 그는 말했다. 그는 몇 년 동안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마침내 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여생을 자신과 같은 사람들을 돕는 일에 바쳤다. 노력한다고 항상 커다란 고통 또는 파괴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노력은 그러한 것을 견딜만한 것으로 만들어 주며, 또 엄청난 만족을 가져다 준다. "내가 실패했나?"라고 묻지 말고, "다음에 내가 할 일이 뭐지?"라고 물어라.
[해설]
암에 걸려 후두를 잃었지만 절망하지 않고 노력한 끝에 말도 할 수 있게 되고 남을 도울 수 있게 된 한 배우의 삶을 통해, '결코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정답] 2
58.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8월 대성월례]
More than 80 precent of high school seniors who took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SAT) in 2000 claimed to be A or B students, while only 30 percent of their 1990 counterparts made the same claim. Does it mean that our kids are just getting smarter? If that is the case, how can we account for the fact that during the same period, the average SAT score actually fell from 937 to 902? And what happens to these smart kids when they get to college? Well, they are likely to receive more inflated grades. Even elite, demanding schools like Harvard are giving out A’s and B’s to those who do little more than show up for class. The C grade no longer seems to exist.
①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심각하다.
② 학생들의 실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시험 제도가 필요하다.
③ 대학교에서 엘리트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④ 학생들의 성적이 과장되어 있다.
⑤ 학생들에게 학업에 대한 성취 동기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해석]
2000년도에 SAT를 치룬 고3 학생들의 80% 이상이 자신들이 A와 B를 맞은 학생들이라고 주장했다. 반면에 1990년대 고3 학생들은 30%만이 같은 주장을 했다. 이 말은 우리 학생들이 점점 더 똑똑해지고 있다는 뜻인가? 만약 그렇다면 같은 시기에 SAT 평균 점수가 실제로 937점에서 902점으로 떨어졌다는 사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 똑똑한 친구들이 대학교에 가면 어떻게 되는가? 아마 이 학생들은 대학에서 더욱 부풀려진 점수를 받게 될 것이다. 심지어 하버드와 같이 까다로운 일류 대학에서 조차 수업 시간에 출석하는 것 외에는 별반 노력도 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A와 B를 주고 있다. C학점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어휘]
✎senior 고학년
✎counterpart 상대방
✎be the case 그렇다
✎inflate 부풀리다
✎demanding 까다로운
✎little more than 단지
✎show up 나타나다
[해설]
글 중간에 ‘inflated grades’가 이 글의 핵심적 표현이다. 학생들의 성적이 과장되어 있다는 내용이다.
[정답] 4
59.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8월 대성월례]
Regardless of whether we know it, we all engage in a nearly constant subconscious monologue with ourselves. Sometimes we speak it aloud, but often it is silent thinking or an internal whisper we are scarcely aware of. Even though such self-talk may be quiet, its impact can be enormous. Our behavior, feelings and even sense of self-esteem are influenced by our inner speech. Everything we do begins as self-talk. Self-talk shapes our inner attitudes, our attitudes shape our behavior, and of course our behavior ─ what we do ─ shapes our future.
① 혼잣말을 삼가야 한다.
② 인간의 언어는 엄청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③ 밝은 미래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④ 무의식적인 혼잣말이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
⑤ 여러 사람들과 다양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해석]
우리가 인식을 하던지 안 하던지간에, 우리 모두는 우리 스스로에게 거의 끊임없는 무의식적인 독백을 한다. 이따금씩 우리는 그것을 큰 소리로 말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무언의 생각이나 혹은 우리가 거의의식하지 못하는 내적인 속삭임이다. 비록 그런 독백은 들리지 않을 지라도, 그것의 영향은 엄청날 수 있다. 우리의 행위, 감정들, 그리고 심지어 자존심까지도 자기 독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우리가 행하는 모든 것은 자기 독백으로 시작한다. 자기 독백은 우리의 내적 태도를 형성하며, 우리의 태도는 우리의 행위를 모양짓고, 물론 우리의 행위 — 지금 우리가 수행하는 일 — 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한다.
[어휘]
✎regardless of ~와는 상관없이
✎subconscious 무의식적인
✎internal 내적인
✎whisper 속삭임
[해설]
미래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결국 무의식적인 혼잣말이므로 무의식적인 혼잣말의 중요성이 이 글의 요지가 된다.
[정답] 4
60.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2006년 8월 정일]
Eleanore Swanson says she is "comfortable with grammar, but doesn't bother with rules. If it sounds right and flows well, it's fine!" She has the right idea! Don't be so stuck on writing correctly, do what works! Pretend you're calling the reader on the phone and type out exactly what you would say to them verbally. Then go back and check spelling, grammar, and punctuation, Don't try to make your writing something it isn't. You don't need to make your writing too detailed, or too long. Write to your readers like they are special friends. This will take out the anxiousness in your writing tasks, and make the tone much more pleasant and friendly. Use your own style and let your personality shine through!
① 규칙에 얽매이지 말고 자연스럽기 글을 써라.
② 항상 독자와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라.
③ 고객과 통화할 때에는 알맞은 예의를 갖추어라.
④ 유명 작가의 글을 반복해서 쓰는 연습을 하라.
⑤ 글의 흐름을 잃지 않도록 항상 긴장하며 읽어라.
[해석]
Eleanore Swanson은 자신이 “문법은 편안하게 생각하지만 규칙에는 개의치 않는다. 읽기에 이상이 없고 흐름이 자연스로우면 그건 괜찮은 것이다!”라고 말한다. 그녀는 올바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정확하게 글을 쓰는 데 너무 매달리지 마라, 되는 대로 하라! 독자에게 전화를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그들에게 말로 하는 것과 똑같이 글로 써라. 그 다음에 돌아가서 철자와 문법과 구두점을 살펴보아라. 여러분의 글을 여러분의 글이 아닌 어떤 것으로 만들려고 하지 마라. 여러분은 여러분의 글을 너무 세세하거나 너무 길게 만들 필요가 없다. 독자들이 여러분의 특별한 친구인 것처럼 글을 써라. 이것은 여러분의 글 쓰는 일에서 불안함을 제거해 주고 어조를 더 즐겁고 친절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여러분 자신의 스타일을 사용하고 여러분의 개성이 그것을 통해서 빛나도록 하라!
[어휘]
* comfortable : 편안한
* bother : 걱정하다
* be stuck : 꼼짝 못하다
* pretend : 가장하다
* verbally : 말로, 구두로
* punctuation : 구두점
* detailed : 자세한
* anxiousness : 불안감
* tone : 어조
* personality : 개성
* shine : 빛나다
[해설]
격식을 따지지 말고 친구에게 이야기하듯이 자연스럽게 글을 쓰라는 충고를 하고 있다.
[정답] ①
[61~6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8월 정일]
61.
I hear people of all ages say that they don't have enough time. But that's simply not the truth. What they really mean is that they don't know how to manage the time they have. Most people don't discover that effective use of time is a skill. Using time effectively, like operating a computer, is a skill that can be acquired. The better we become at the skill, the more efficient we become. Then we begin to realize that there really is plenty of time. The old expression that says "We can always make time for things that are important." is just as true today as it was the first time it was said.
① 컴퓨터의 사용은 시간을 절약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② 성공과 실패는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달려있다.
③ 시간은 효과적으로 사용하면 부족함을 느끼지 않는다.
④ 시간의 부족을 느끼는 사람들이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다.
⑤ 현대인의 시간에 대한 관념은 예전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해석]
나는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이 시간이 충분차지 않다고 말하는 것을 듣는다. 그러나 그것은 전혀 진실이 아니다. 그들이 정말로 뜻하는 것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시간을 관리하는 법을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간의 효과적인 사용이 하나의 기술이라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처럼, 획득할 수 있는 하나의 기술이다. 그 기술에 더 뛰어나면 뛰어날수록, 우리는 더 능숙해진다. 그리고 나면 우리는 시간이 정말로 풍부하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한다. “중요한 일에는 언제나 시간을 낼 수 있다.”는 옛날 표현은 그것이 처음 말해졌을 때처럼 지금도 역시 진리이다.
[어휘]
* efficient : 능률적인
[해설]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기술만 습득하면 시간이 정말로 풍부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③
62.
Think of a problem that you have struggled with for quite some time. How have you dealt with this problem until now? Most of you have probably struggled with it and analyzed it again and again, but have come up short. Where has all this struggle led you? Probably to even more confusion and stress. Now think of the same problem in a new way. Rather than push away the problem, try to embrace it. Mentally, hold it to your heart. Ask yourself what valuable lesson it might be able to give you. Could it be urging you to be more careful or patient? Does it have anything to do with greed, envy, or forgiveness? Give this strategy a try and you'll agree that most problems aren't the emergencies we think they are.
① 문제가 생기면 원인을 철저하게 분석하라.
② 한꺼번에 여러 가지 문제에 매달리지 마라.
③ 문제 해결을 위해 다른 사람들의 충고를 구하라
④ 다른 사람의 고민을 잘 들어주어라.
⑤ 문제가 생기면 거기서 교훈을 얻으려고 노력하라.
[해석]
당신이 꽤 오랫동안 씨름해 온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라. 이제까지ㅏ 당신은 이 문제를 어떻게 취급해 왔는가? 대부분은 아마 그것과 씨름하고 반복하여 분석해 왔지만 부족했을 것이다. 이 모든 씨름이 당신을 어디로 인도했는가? 아마 심지어 더 많은 혼란과 스트레스로 인도했을 것이다. 이제 그 똑같은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해 보자. 문제를 밀어내기보다 그것을 포옹하려고 노력하다. 정신적으로, 그것을 당신의 가슴 속에 품어라. 그것이 당신에게 무슨 귀중한 교훈을 줄 수 있는 지 자문해 보라. 그것이 아마 당신에게 좀 더 신중하고 인내심을 가질 것을 재촉하는가? 그것이 탐욕, 부러움, 또는 용서와 관계가 있는가? 이런 전략을 시도해 보라, 그러면 당신은 대부분의 문제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비상사태가 아니라는 점에 동의할 것이다.
[어휘]
* struggle : 분투하다, 노력하다
* analyze : 분석하다
* come up short : 미치지 못하다
* confusion : 혼란
* embrace : 포옹하다
* urge : 재촉하다, 촉구하다
* have anything to do with : (부정, 의문문에서)관계가 있다
* greed : 탐욕, 욕심
* envy : 부러움
* strategy : 전략
* emergency : 비상사태, 긴급 사태
[해설]
문제가 생기면 밀어내지 말고 당신에게 어떤 교훈을 주려고 하는지 생각하여 문제를 포용하라는 취지의 글이므로 ‘문제가 생기면 거기서 교훈을 얻으려고 노력하라’가 요지로 적절하다.
[정답] ⑤
63.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9월 평가원]
Recently, television-news coverage, assisted by the new satellite technology, began to bring “instant news” into our living rooms. The immediacy and intimacy of the media have somehow allowed the events and persons of so-called “fame” to precede those of worthiness.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echnology, thoughtful objectivity and measured delivery had been most trusted. The emphasis in news began to shift away from analysis and toward action. The prize for broadcast journalism often seems to be going to the first, as opposed to the best, coverage. Now, watching the news, we often find ourselves abandoned. It is time to think seriously about the true value of news coverage.
① 과도한 TV 시청을 자제해야 한다.
② 뉴스 보도 장비의 현대화가 시급하다.
③ 현장 취재가 사건의 분석보다 중요하다.
④ 뉴스 보도의 진정한 가치 정립이 필요하다.
⑤ 시청자의 알 권리를 위해 신속한 보도가 필요하다.
[해석]
최근에 텔레비전 뉴스 보도는 새로운 인공위성 기술의 도움을 받아 우리들 거실에 “실시간 뉴스”를 가지고 오기 시작했다. 여하튼 대중매체의 신속성과 친밀함은 이른바 유명하다고 불리는 사건과 인물이 가치 있는 사건과 인물보다 우선하게 해왔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기 전에는 사려 깊은 객관성과 정확한 전달이 가장 신뢰를 받았었다. 뉴스에 있어서 중점은 분석으로부터 벗어나 행동으로 방향을 바꾸기 시작했다. 방송 언론에 대한 포상은 종종 가장 훌륭한 보도와 반대되는 가장 빠른 보도에 주어지고 있는 것 같다. 오늘날 뉴스를 시청하면서 우리는 종종 우리 스스로가 버림받는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제 뉴스 보도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할 때가 되었다.
[해설]
오늘날의 뉴스 보도가 객관성과 정확성보다는 신속성만 강조하기 때문에 뉴스를 시청하는 사람들을 배제시키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마지막 문장에서 뉴스 보도의 진정한 가치에 대한 정립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어휘]
coverage 보도
satellite 인공위성
immediacy 즉시성, 신속성
intimacy 친밀함
so-called 이른바
precede ~에 우선하다, 선행하다
objectivity 객관성
measured 정확히 잰, 신중한
emphasis 강조, 중점
shift 자리를 옮기다
analysis 분석
abandon 버려두다
[정답] 4
64.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9월 평가원]
I was thrilled when your establishment moved into our neighborhood. I appreciate the convenience that your family-run business provides. Your store is always clean and well-stocked, and your workers are always attentive and knowledgeable. But I would like to bring one consideration to your attention, and that is the cost of your merchandise. I realize that a family-run business will be more expensive than a chain store, and I’ve been willing to pay that difference. Frequently, however, your prices are nearly double what I would have paid at other stores. I want to continue shopping at your store, but I’m not sure I can consistently afford to pay such high prices.
① 상점의 영업시간이 짧다.
② 상품 진열이 잘 되어 있다.
③ 상점을 이용하기 편리하다.
④ 점원들의 근무 자세가 좋다.
⑤ 상점의 물건 값이 너무 비싸다.
[해석]
귀사의 시설이 우리의 이웃에 들어 왔을 때 저는 아주 기뻤습니다. 가족에 의해 운영하는 귀사의 사업체가 제공하는 편리함에 감사드립니다. 귀사의 가게는 항상 깨끗하고 재고품도 잘 구비되어 있으며, 점원들도 늘 세심하고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그러나 귀사가 관심 있게 고려하기를 바라는 한 가지가 있는데, 그것은 상품의 가격입니다. 저는 가족에 의해 운영되는 사업체가 체인 가게보다 더 비쌀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으며 그래서 그 차액을 기꺼이 지불해 왔습니다. 하지만, 자주, 귀사의 가격은 내가 다른 가게에서 샀더라면 지불하게 될 금액의 거의 두 배나 됩니다. 저는 귀사의 가게에서 쇼핑을 계속하기를 원하지만 지속적으로 그렇게 높은 가격을 지불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해설]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가게의 물건 값이 다른 체인점에 비해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어휘]
thrilled 몹시 기쁜
establishment 시설
appreciate 감사하게 여기다
well-stocked 재고품이 잘 갖추어진
attentive 세심한, 주의 깊은
be willing to 기꺼이 ~하다
consistently 지속적으로
[정답] 5
65. 한 연구 보고에 관한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9월 평가원]
For most of the world’s plant lif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ver the past two decades have been productiv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climate and satellite data collected between 1982 and 1999. The research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global vegetation has responded to changes in rainfall, temperature, and cloud cover patterns. Such climate factors determine how vegetation grows. Previous studies have looked at vegetation’s response to climate change at regional scales, but this is the first study to look at it from a global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analysis, global climate change has eased climatic constraints on plant life around the globe, allowing vegetation to increase by six percent over the study period.
*constraint: 제약, 억제
① 강수량이 식물 생장의 주된 요인이었다.
② 기후 변화가 식물 생장에 도움을 주었다.
③ 기후 요인에 의해 식물 생장이 억제되었다.
④ 기후 변화로 인해 식물의 종류가 다양해졌다.
⑤ 지역적 관점에서 식물 생장의 요인이 규명되었다.
[해석]
1982년에서 1999년 사이에 수집된 기후와 위성 자료의 분석에 따르면, 세계 대부분의 식물 생명체에게 지난 20년간에 걸친 기후 변화의 영향은 생산적이었다. 그 연구는 지구의 식물이 강수량, 온도, 그리고 구름의 덮개 형태에 어떻게 반응해 왔느냐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한 기후의 요소들은 식물이 어떻게 성장하느냐를 결정한다. 이전의 연구들은 기후 변화에 대한 식물의 반응을 지역적인 규모로 살펴보았지만, 이것은 전 세계적인 관점으로부터 그것을 살펴보는 첫 연구이다. 그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는 지구 전체에 걸쳐 식물 생명체에 대한 기후의 제약을 완화시켜, 식물이 연구기간에 걸쳐 6퍼센트 정도 중가하게 해주었다.
[해설]
첫 문장이 주제문으로, 지난 20년간의 기후변화가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었고 식물이 6퍼센트 정도 증가하게 해주었다는 내용이 글의 요지이다.
[어휘]
analysis 분석
address ~을 역점적으로 다루다
vegetation 식물
respond 반응하다
factor 요인
regional 지역적인
scale 규모, 크기
perspective 관점, 시각
[정답] 2
66.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9월 대성]
Why do so many people have hard times In many parts of their lives? It is because they focus so much on their weaknesses instead of their strengths. Take a moment, and write down on a sheet of paper what your strengths are. After you do that, circle the strengths that you enjoy the most. Once you have identified them, then start looking for things where you can start implementing those strengths. For example, if you're a good communicator, strengthen your communication skills even more.
① 자신의 장점에 초점을 맞추어라.
② 한 번에 한 가지 일에 집중하라.
③ 주어진 여건에 최대한 만족하라.
④ 성공하기 위해 성실한 자세를 지녀라.
⑤ 자신이 세운 계획은 반드시 실천에 옮겨라.
[해석]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의 많은 부분에서 고생을 하는가? 그것은 그들이 지신의 장점들보다는 단점들에 너무나 많이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잠시 시간을 내서 당신의 장점들이 무엇인지 종이 한 장에 적어 보라. 당신이 그렇게 한 다음에 당신이 가장 즐거워하는 장점들에 동그라미를 쳐라. 일단 당신이 그것들을 확인했다면 그 장점들을 실행하기 시작할 수 있는 것들을 찾기 시작하라. 예를 들어, 만일 당신이 훌륭한 전달자라면 당신의 의사소통 기술을 훨씬 더 강화시켜라.
[어휘]
implement 이행하다, 실행하다
[해설]
circle the strengths that you enjoy the most와 Once you have identified them, then start looking for things where you can start implementing those strongs.에 필자의 주장이 잘 나타나 있다.
[정답] 1
67.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9월 대성]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 man named Joseph Palmer was snubbed by his neighbors. Tradespeople refused to serve him. Palmer was once ambushed by four men who attempted to forcibly shave him. When he fought them off, he was arrested on a charge of "unprovoked assault" and jailed for a year. The cause of all this hatred? Palmer wore a beard before beards became fashionable in the United States. People are fearful of those that are different. This irrational fear can lead to intolerance, oppression and violence. Basically we are all different. But difference is one of our greatest strengths. Our willingness to respect our differences is not only the right thing to do, but it is also the smart thing to do.
① 문제를 폭력으로 해결하려고 하지 마라.
② 외모보다는 내면적인 가치를 중시하라.
③ 자신을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평가하지 마라.
④ 다른 사람에게 불필요한 간섭을 하지 마라.
⑤ 다른 사람이 가진 차이점을 존중하라.
[해석]
19세기 초에 Joseph Palmer라고 하는 한 사람은 이웃들에게 무시를 당했다. 상인들은 그에게 주문받는 것을 거절했다. 한 번은 Palmer가 강제적으로 그를 면도시키려고 하는 네 사람에게 습격을 당했다. 그가 그들과 싸워 물리쳤을 때 그는 '정당한 이유가 없는 공격'의 죄과로 체포되어서 1년간 감옥에 갇혀 있었다. 이 모든 혐오의 원인은? Palmer는 턱수염이 미국에서 유행하기 전에 턱수염을 길렀다. 사람들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두려워한다. 이런 비이성적인 두려움은 편협, 압제 그리고 폭력을 낳을 수 있다. 근본적으로 우리 모두는 다르다. 하지만 다르다는 것을 우리의 가장 큰 장점들 중 하나이다. 우리의 차이를 기꺼이 존중하려는 것은 행하기에 올바른 일일 뿐만 아니라 현명한 일이다.
[어휘]
snub 무시하다, 냉대하다
tradespeople (소매) 상인들
ambush 매복하여 습격하다
forcibly 강제적으로
unprovoked 정당한 이유가 없는
assault 습격, 공격
jail 교도소에 들어가다
irrational 비이성적인
intolerance 편협
[해설]
Our willingness to respect our differences is not only the right thing to do, but it is also the smart thing to do.에서 글의 요지가 잘 나타나 있다.
[정답] 5
68.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9월 종로월례]
How often have you found yourself in precisely the situation that you said you didn't want? The principle is, "Think about something and you move toward it." Even if you are thinking about something you don't want, you will move toward it. This is because your mind moves toward things, never away from them. When you say to yourself, "I don't want to forget my book", you get a picture forgetting in your mind. Although you say "I don't want that," your mind still works on that picture and the result is you forget your book. However, when you tell yourself "I want to remember my book," you will have a mental picture of yourself remembering, and you will be in a far better position to remember.
① 기억력 개발에 힘써야 한다.
② 자율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
③ 독서를 생활화해야 한다.
④ 긍정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⑤ 계획적인 생활을 해야 한다.
[해석]
당신은 결코 원하지 않는다고 말한 바로 그 상황 속에 당신이 빠져있는 것을 얼마나 흔히 보고 있는가? 그 원리는 이런 것이다. “어떤 것을 생각하라, 그러면 당신은 그것을 향해서 움직인다.”비록 당신이 원하지 않는 어떤 것을 생각한다 하더라도 당신은 그것을 향해서 움직일 것이다. 이것은 당신의 마음이 결코 그것들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것들을 향해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당신이 당신 자신에게“나는 결코 내 책을 잊어버리고 싶지 않아.”라고 말할 때 당신은 마음속에서 잊어버리는 모습을 갖는 것이다. 비록 당신이“나는 그것을 원하지 않아.”라고 말할 때라도 당신의 마음은 여전히 그 잊어버리는 모습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당신은 그 책을 잊게 된다. 그러나 당신이“나는 내 책을 기억하고 싶어.” 라고 말할 때 당신은 당신 스스로 기억하는 마음속의 모습을 갖게 될 것이다. 그래서 당신은 훨씬 더 기억하기 좋은 위치에 있게 될 것이다.
[어휘]
*principle:원리
*precisely:정확하게
*far better:훨씬 더 좋은
[해설]
마음은 생각을 향해 움직이므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정답] 4
[69-70]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9월 종로월례]
69.
Shizuo Torii, a professor at Toho University in Japan, has studied the sense of smell. He studied the effects the odors have on the feelings and behaviors of humans. By measuring the brain waves of people after they smelled a particular odor, Torii found that some odors produced a brain wave pattern that showed the people were calm. Other odors produced a pattern that showed excitement. It was discovered, for example, that lemon and peppermint have an exciting effect; nutmeg and lavender reduce stress; and a mix of rosemary and lemon will improve concentration. Some Japanese corporations are u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o make the workplace more productive and pleasant.
① 로즈마리 냄새와 레몬 냄새를 맡을 때에는 뇌파가 다르다.
② 일본의 기업들은 직장을 더 즐겁고 생산적으로 만들고 있다.
③ Shizuo Torii는 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를 하고 있다.
④ 냄새가 뇌파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⑤ 슬플 때는 흥분할 때보다 뇌파의 변화가 더 크다.
[해석]
일본의 Toho 대학 교수인 Torii는 냄새 감각을 연구하고 있다. 그는 냄새가 감정과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사람들이 특별한 냄새를 맡은 후에 그들의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Torii는 몇몇 냄새가 사람들이 냉정해지는 것을 보여주는 뇌파 모양을 만든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냄새들은 흥분을 보여주는 뇌파 모양을 만들었다. 예를 들어 레몬과 박하는 사람을 흥분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고, 육두구(肉荳)라는 향신료와 lavender라는 향신료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또 로즈마리와 레몬을 혼합하면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몇몇 일본의 회사들은 그들의 직장을 보다 생산적이고, 즐겁게 만들기 위하여 이 연구결과를 이용하고 있다.
[어휘]
*odor:냄새
*brain wave:뇌파
*nutmeg:육두구(肉荳)(향신료)
*lavender:라벤더(향신료)
*peppermint:박하
*rosemary:로즈마리(향료)
[해설]
④가 요지이고 그 예가 몇 개 소개되어 있다.
[정답] 4
70.
When we say someone is "under stress," we actually mean under excessive stress, just as the statement "he is running a temperature" refers to an abnormally high temperature, that is, fever. Some heat production is essential to life. Similarly, no matter what you do or what happens to you, there arises a demand for the necessary energy required to maintain life and to adapt to constantly changing external influences. Even while fully relaxed and asleep, you are under some stress. Your heart must continue to pump blood, and your muscles to move your chest for respiration. Even your brain is not at rest while you are dreaming.
① 심리적 요인이 스트레스의 가장 큰 요인이다.
② 열병과 스트레스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③ 호흡 운동은 스트레스 관리에 아주 효과적이다.
④ 우리는 스트레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⑤ 스트레스도 지나치지 않으면 건강에 도움이 된다.
[해석]
“그 사람은 열이 난다.”라는 진술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체온 즉 열병을 가리키는 것처럼, 우리가 어떤 사람이‘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라고 말을 할 때에, 그것은 실제로 지나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이 약간 나는 것은 생명에 필수적이다. 비슷하게, 당신이 무엇을 하든지 또는 당신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든지, 생명을 유지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외부의 영향에 적응하는데 요구되는 필요한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발생한다. 완전히 긴장을 풀고 있거나 잠을 자고 있는 동안에도, 당신은 약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당신의 심장은 지속적으로 피를 내보내야 하며, 당신의 근육은 호흡을 위해 지속적으로 가슴을 움직여 주어야 한다. 꿈을 꾸고 있는 동안에는 당신의 두뇌조차도 휴식상태에 있는 것은 아니다.
[어휘]
*excessive:지나친
*statement:진술
*run a temperature:열이 나다
*refer to:~을 가리키다
*abnormally:비정상적으로
*fever:열병
*essential:필수적인
*arise:일어나다
*demand:수요
*maintain:유지하다
*adapt:적응하다
*external:외부의
*fully:완전히
*muscle:근육
*chest:가슴
*respiration:호흡
[해설]
완전히 긴장을 풀고 있거나 잠을 자고 있는 동안에도, 당신은 약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우리는 스트레스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정답] 4
7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서울시]
Poor eating habits developed at an early age lead to a lifetime of real health consequences. School is where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it is where we lay the foundation for healthy habits. That’s why some states adopt a comprehensive school nutrition policy that bans candy, soda, and other junk food. If you go to school, your vending machines and school stores will no longer be able to sell snacks that are high in fat and loaded with sugar. Some say that it limits the students’ option. But who can think of a better way than stopping students from approaching the source of junk foods? I think our government is fulfilling its responsibility to promote good nutrition and healthy eating.
① 청소년 비만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② 학교 급식에 학생들의 의견을 반영해야 한다.
③ 학교에서의 정크 푸드 판매 금지는 바람직하다.
④ 올바른 식습관 형성은 가정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⑤ 청소년기에는 충분한 단백질의 섭취가 필수적이다.
[해석]
어린 시절에 형성된 나쁜 식습관은 평생에 걸쳐 커다란 건강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학교는 아이들이 시간의 대부분을 보내는 곳이며 우리가 건강한 습관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곳이다. 그 이유로 몇몇 주(州)는 사탕, 탄산음료, 그리고 다른 정크 푸드를 금지하는 포괄적인 학교 영양 정책을 선택하였다. 만약 당신이 학교에 가면 자동판매기와 학교 매점은 지방 함유량이 높고 설탕으로 가득 찬 스낵을 더 이상 팔 수 없을 것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학생의 선택권을 제한한다고 말한다. 그렇지만 어느 누가 학생들이 정크 푸드의 근원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을 생각해낼 수 있겠는가? 나는 우리 정부가 충분한 영양 섭취와 건강한 먹을거리를 장려하는 책임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정답] 3
72.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0월 서울시]
Suppose that you are in your doctor’s office. You notice your doctor’s receptionist, the office hours, and the number of people sitting ahead of you in the waiting room. But you may fail to see the piece of modern art that is displayed on a wall. In your workplace, you often expect your boss to give you negative feedback. As a result, you miss hearing a few nice things your boss could say about you once in a long while. The same thing can happen when you eat at your friend’s house. You’ve always thought of him as a poor cook, so you only notice the poor parts of the meal that he has prepared. In the process, you may fail to appreciate the tasty apple pie that he learned to cook recently.
① 지나친 긴장은 논리적 판단을 약화시킨다.
② 직업이 세상을 보는 관점에 영향을 미친다.
③ 모든 일에는 순서와 규칙이 있기 마련이다.
④ 다른 사람의 단점을 지적하는 것은 쉽지 않다.
⑤ 고정관념은 사물의 다른 면을 보지 못하게 한다.
[해석]
당신이 병원 진료실에 있다고 가정해보자. 당신은 병원의 접수원과 진료 시간과 대기실에서 당신 앞에 앉아 있는 사람의 수에 주목한다. 하지만 벽에 걸려있는 현대 미술 작품을 보지 못할지 모른다. 당신은 직장에서 종종 당신의 상사가 부정적인 평가를 내릴 것으로 예상한다. 그 결과, 당신의 상사가 어쩌다가 한 번 당신에 대해 좋은 이야기를 하는 것을 놓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은 당신이 친구 집에서 식사를 할 때도 일어날 수 있다. 당신은 항상 그가 음식을 못한다고 생각해왔고, 그래서 그가 준비한 음식의 맛없는 부분에 주목한다. 그 과정에서 당신은 그가 최근 요리법을 배운, 맛있는 사과 파이를 음미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정답] 5
73.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중앙유웨이]
Those who place so great a value on highways or buildings apparently do not listen to the sound of nature. But a little lonesome space, where nature has her own way, where it is quiet enough to hear the murmuring of birds, can still be very valuable. The gift of calmness, wherever found, is beyond price. We see the destructive trend on a national scale invade the national parks with economic schemes such as the building of power dams. Is it the right of our generation to destroy these things because we are blinded by money? Beauty and all the values that derive from beauty are not measured and evaluated in terms of money.
① 외양보다 내면을 더 아름답게 가꿔야 한다.
② 개발로 인해 자연을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
③ 자연보존과 개발의 적절한 조화가 절실하다.
④ 번잡한 도시 생활보다 조용한 시골 생활이 좋다.
⑤ 재해방지를 위해 효율적인 국토관리가 필요하다.
[해석]
고속도로와 건물에 많은 가치를 두는 사람들은 분명히 자연의 소리를 듣지 않는다. 아주 작고 인적이 드문 곳, 자연이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존재하고, 새들의 지저귐까지도 들을 수 있는 아주 고요한 곳은 여전히 매우 값진 곳이다. 평온함의 선물은 어디에서 찾든지 가치를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귀중한 것이다. 전국적인 규모의 파괴적인 경향이 댐 건설과 같은 경제 계획으로 국립공원을 침범하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우리가 돈에 눈이 멀어 이러한 자연을 파괴하는 것이 우리 세대의 권리인가? 자연의 아름다움과 거기에서 생겨난 모든 가치가 돈이라는 척도로 판단되어서도 또 평가되어서도 안 된다.
[어휘]
murmuring : 지저귐, 중얼거림
beyond price : 매우 귀중한(가치를 헤아릴 수없을 만큼)
scheme : 계획
[해설]
건물, 고속도로, 댐 등을 건설하기 위해 자연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를 담고 있으므로, 개발로 인해 자연을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적절하다.
[정답] 2
[74~75]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0월 중앙유웨이]
74.
Do you know what happens during pregnancy? The most obvious changes are weight gain and many other physiological changes occur during those nine months. And how about exercising? Is it harmful to both the mother-to-be and the baby or doesn't it produce any side-effects? Participation in a wide range of recreational activities appears to be safe during pregnancy, the doctors say. They add women who continue to exercise through pregnancy have successful pregnancy outcomes. There is no scientific evidence to show that fit women have easier births than unfit women, but it is likely that exercise will help them recover from the experience of childbirth better.
① 건강한 산모가 출산을 수월하게 한다.
② 건강한 산모가 건강한 아이를 낳는다.
③ 임신 중 적당한 운동은 산모에게 이롭다.
④ 임산부에게는 많은 신체적 변화가 생긴다.
⑤ 임신 중 약물 복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다.
[해석]
임신 중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계십니까? 가장 분명한 변화는 체중이 느는 것이고, 많은 다른 생리적인 변화가 9달 동안 일어납니다. 그럼 운동은 어떨까요? 예비엄마와 아이 모두에게 해로울까요, 아니면 어떤 부작용도 없을까요? 임신 중에 다양한 종류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에 참가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의사들은 말합니다. 임신기간 중 운동을 계속한 여성들이 성공적인 임신 결과를 보인다고 의사들은 덧붙입니다. 건강한 여성이 건강하지 못한 여성들보다 출산이 더 쉽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습니다만 운동이 임신부들이 출산의 경험에서 좀 더 쉽게 회복하는 것을 도와 주는 것 같습니다.
[어휘]
physiological : 생리적인
mother-to-be : 임산부
outcome : 결과
[해설]
건강한 여성이 건강하지 못한 여성들보다 출산을 더 수월하게 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는 없지만, 임신 중 적당한 운동은 산모에게 이롭다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3
75.
A man was on vacation in Hawaii. He was a good man who had achieved a modest measure of success. One day, while driving around the island, he stopped to admire a gorgeous house set high on a hill. The property was complete with beautiful palm trees and a peaceful setting. As the man gazed at the magnificent home, something inside him said, Have you ever imagined living in a place like that? In fact, he never had. He thought he'd already reached his limits in life. He determined then and there to start thinking differently of himself and thinking differently of lift. It's the same with us. If you don't think you can have something good, then you never will. It's not your lack of talent that prevents you from prospering. The barrier is in your mind.
① 목표를 원대하게 가져야 한다.
② 자신을 소중하게 생각해야 한다.
③ 주어진 재능을 십분 살려야 한다.
④ 가진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⑤ 자신의 삶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해석]
한 남자가 하와이에서 휴가를 즐기고 있었다. 그는 어느 정도 성공을 이룬 착한 사람이었다. 어느 날, 섬 주위를 차를 타고 가다가, 그는 언덕 위에 높이 세워진 호화로운 집을 보고 감탄했다. 그 집은 아름다운 야자수 나무로 가득했으며, 평화로운 주위 환경을 가진 완벽한 곳이었다. 남자가 훌륭한 집을 바라다보고 있을 때 그의 내면에 있는 어떤 것이 '저런 집에서 살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까?'라고 말했다. 사실, 그는 그런 생각을 해 본 적이 없었다. 그는 삶에서 자신의 한계에 이미 도달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는 그 곳, 그 자리에서 자신에 대해 고쳐 생각하기 시작했고, 삶에 대해서도 고쳐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우리들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여러분이 좋은 것을 가질 수 없다고 생각하면, 여러분을 결코 좋은 것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여러분들이 성공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여러분의 능력의 부족 때문이 아니다, 장벽은 여러분의 마음속에 있다.
[어휘]
modest . 수수한, 겸손한
gorgeous : 호화로운
think(believe) ~ of a thing : 고쳐 생각하다
[해설]
삶에서 어느 정도 성공을 이루고 자신의 한계에 이미 도달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한 남자의 예를 통해, 목표(비전)를 크게(넓게) 가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정답] 1
76.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대성]
Over the past twenty years, the number of tractor-trailers on our nation's roads and interstates has doubled to 2.6 million, and that number is still increasing. But the capacity of our roads and highways has either remained the same or expanded only a little. Put these two factors together, and it becomes clear that the growing number of trucks is increasing the danger of accidents. Already, around 4,500 drivers and passengers die every year in truck-car accidents. Obviously,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limit trucks to traveling in truck-only lanes and to prohibit them from traveling during rush hours. By restricting truckers in these ways, state officials can make the roads safer for everyone.
① 자동차 수의 증가에 맞추어 도로를 확장하라.
② 산업 발전을 위해 트럭 전용차선을 만들어라.
③ 트레일러 트럭의 고속도로 운행을 금지시켜라.
④ 교통 안전을 위해 트럭의 도로 운행을 제한하라.
⑤ 트럭 전용 차선제를 전국의 모든 도로로 확대하라.
[해석]
지난 20년간에 걸쳐서, 우리나라의 도로와 주간(州間) 고속도로 상의 트레일러가 달린 트랙터의 수는 배로 증가해 2백 6십만 대가 되었고, 그 수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도로와 고속도로의 수용량은 여전히 똑같거나 혹은 아주 조금 증가했다. 이 두 가지 요소를 종합해 보면 증가하는 트럭의 수가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이미, 약 4,500명의 운전자들과 승객들이 매년 트럭과 자동차의 사고로 사망한다. 명백히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트럭을 전용차선으로만 다니게 제한하고 러시아워에 다니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럭 운전자들을 제한함으로써 주(州)의 관리들은 도로를 모두에게 보다 안전하게 만들 수 있다.
[어휘]
.interstate 주간(州間) 고속도로
.capacity 수용량
.prohibit 금지하다
[해설]
증가하는 트럭의 수가 사고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안전을 위해 트럭의 도로 운행을 제한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정답] 4
[77~78]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0월 대성]
77.
Have you ever played on a sports team that won a game by default, because the other team did not show up? It's an empty victory. After all, even though the goal is to win, the whole point is to play the game. Is the point of life to collect trophies? The trophies have value only when they represent the effort you have made. Seeking to obtain the rewards of life without paying the price is like buying someone else's trophies at a garage sale. They may look impressive on your shelf but they bring no fulfillment. If there is something you wish to have or to accomplish, you must pay the price.
① 노력하는 자에게 행운이 따른다.
② 성공의 의미는 사람마다 다르다.
③ 노력을 통해 얻은 것이 가치가 있다.
④ 경기에선 공정한 플레이가 중요하다.
⑤ 삶은 하나의 과정이지 목표가 아니다.
[해석]
상대 팀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부전승을 한 스포츠 팀에서 경기를 해 본 적이 있는가? 그것은 무의미한 승리이다. 결국, 목표가 승리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전체 요점은 경기를 하는 것이다. 삶의 목적이 트로피를 모으는 것인가? 트로피는 단지 그것이 당신이 했던 노력을 나타날 때만 가치가 있다.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서 삶에서의 보상을 얻으려고 하는 것은 차고 판매에서 다른 어떤 사람의 트로피를 사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것이 당신의 선반 위에서 인상적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성취감을 가져다 주지 않는다. 갖고 싶거나 성취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그 대가를 치러야만 한다.
[어휘]
.win by default 부전승하다
.fulfillment 달성, 성취
[해설]
필자는 대가를 치르지 않고 얻은 것은 성취감을 가져다 주지 않으므로 노력을 통해 얻은 것이 가치가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정답] 3
78.
In our busy society, many people multitask, or do several things at the same time. Are people who multitask more productive than people who do just one thing at a time? Researchers conducted four experiments in which young adults were asked to switch between different tasks like solving math problems or sorting objects. As subjects worked, researchers measured the speed at which they completed their tasks. The measurements indicated that subjects lost time whenever they had to shift their thinking to move from one task to another. The more complex or unfamiliar the tasks, the more time was lost as subjects shifted their attention and concentration.
① 발상의 전환은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
② 인터넷은 일의 능률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③ 복잡한 문제일수록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④ 한꺼번에 많은 일을 하려고 하는 것은 비능률적이다.
⑤ 현대인들은 한 가지 일에 대한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
[해석]
우리의 바쁜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은 다중 작업을 하는데, 즉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한다.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하는 사람들이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하는 사람들보다 더 생산적인가? 연구원들은 네 개의 실험을 실시했고 그 실험에서 젊은 사람들에게 수학 문제를 풀거나 물건을 분류하는 것과 같은 다른 일들을 교대로 하도록 요청했다. 피실험자들이 일을 할 때, 연구원들은 그들이 일을 완수하는 속도를 측정했다. 측정치들은 피실험자들이 한 가지 일에서 다른 일로 이동하기 위해 생각을 바꾸어야 할 때마다 시간을 낭비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그 일이 더 복잡하거나 낯선 것일수록, 피실험자들이 그들의 관심과 집중을 옮기면서 더 많은 시간을 낭비했다.
[어휘]
.multitask 여러 가지 일을 하다
.concentration 집중
[해설]
한 가지 일에서 다른 일로 옮겨 가면서 생각을 바꿀 때마다 시간이 낭비되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것은 비능률적이라는 내용이다.
[정답] 4
79.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진학에듀]
We all know how to use the remote control to switch channels on TV If we see something we don't like, we just flip channels. We also need to learn how to mentally switch channels when negative images of the past pop up in our minds unexpectedly. Unfortunately, when some people see those negative experiences on their minds, instead of quickly changing channels, they pull up a chair, as though they're going to watch a good movie. They willingly allow themselves to recall all those hurts and pains Then they wonder why they are upset, discouraged, or even depressed. Learn to switch the channel. Don't let your mind or your emotions drag you down into despair.
① TV채널을 너무 자주 돌리지 마라.
② TV를 통한 간접 경험도 중요하다.
③ 과거의 나쁜 일을 자꾸 회상하지 마라.
④ 과거의 일을 거울삼아 미래를 계획하라.
⑤ 단점보다는 장점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라.
[해석]
우리는 모두 TV 채널을 바꾸기 위해 리모컨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 보고 싶지 않은 것이 나오게 되면, 우리는 채널을 얼른 돌린다. 과거의 부정적인 영상이 갑자기 우리 마음속에 떠오르면 우리는 정신적으로 채널을 돌리는 방법도 배울 필요가 있다. 불행하게도, 마음속에서 이런 부정적인 경험을 보게 되면, 몇몇 사람들은 재빨리 채널을 돌리는 대신에 마치 좋은 영화를 보려는 듯이 의자를 당겨 앉는다. 그들은 그 모든 아픔과 고통을 기꺼이 다시 떠올리려 한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자신들이 화가 나고, 의욕이 없으며, 우울한 이유에 대해 궁금해 한다. 채널을 돌리는 것을 배워라. 여러분의 마음이나 감정이 여러분들을 절망으로 끌고 내려가지 않도록 해라.
[어휘]
* flip : 꽥 넘기다
* pop up : 튀어 나오다
* drag : 질질 끌고 가다
* despair : 절망
[해설]
과거의 부정적인 영상이 갑자기 우리 마음속에 떠오르면 그것에 빠져들지 말고 정신적으로 채널을 돌리라는 필자의 말은 곧 과거의 나쁜 일을 자꾸 회상하지 말라는 뜻이다.
[정답] ③
[80~8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0월 진학에듀]
80.
There is no magic age when one can teach children to read; while some children are ready in kindergarten, others, especially boys, may not be ready until the age eight or nine. Traditional schools have programs and quotas which expect them to teach a children to read the basics by the end of the first grade, but many children simply are not ready. A child should not be pressured or scolded if he/she struggles in reading; he/she should simply be helped along at his/her own learning pace. If a child still cannot read by the beginning of the 3rd grade, parents might consider home schooling so they can teach the child to read at his/her own pace without the pain of peer pressure.
① 집에서도 아이들을 가르쳐야 한다.
② 아이들에게 운동을 강요하지 마라.
③ 아이들은 친구와 자주 어울려야 한다.
④ 아이들의 읽기 교육은 빠를수록 좋다.
⑤ 아이들의 능력에 맞게 읽기를 가르쳐야 한다.
[해석]
아이들에게 기를 가르치기에 딱 맞는 나이란 없다. 어떤 아이들은 유치원에서 준비가 되지만 다른 아이들, 특히 남자 아이들은 8~9살까지도 준비가 안 될 수도 있다. 전통적인 학교 강의는 일 학년 말까지 아이들에게 기초 읽기를 가르쳐야 한다는 프로그램과 할당량이 있지만 많은 아이들이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아이가 읽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아이에게 압력을 가하거나 꾸짖으면 안 된다. 그 아이는 단순히 자신이 배우는 속도에 알맞은 도움을 받아야 한다. 만약 아이가 3학년이 시작할 때까지도 읽을 수 없다면 부모는 또래들로부터 받는 압박감 없이 본인에게 맞는 속도로 읽기를 가르칠 수 있도록 홈 스쿨을 고려할 수도 있다.
[어휘]
* quota : 몫, 할당
* struggle : ~하느라 애쓰다, 고투하다
* home-schooling : 자택 학습
* peer : 또래
[해설]
읽기를 아이에게 가르칠 적절한 시기가 있는 것은 아니고 아이들 각자가 배우는 속도에 따라 가르쳐야 한다고 하였으므로 능력에 맞게 가르치라는 내용이다.
[정답] ⑤
81.
Like most important events that mark our passage from one stage to another, retirement is surrounded by myths .Despite the abundance of retirement planning programs, an uneasiness still marks the beginning of retirement. The number of retirees is growing, and the ratio of workers to retirees is shrinking, which will bring reductions in social security benefits. So for a successful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is crucial. Of course, health is another crucial factor in joys and freedom in retirement years, but they will turn into stifling boredom if retirement is not affordable.
① 퇴직 수당 지급을 확대해야 한다.
② 퇴직 연령을 가급적 연장해야 한다.
③ 퇴직 후 재정 계획 수립이 가장중요하다.
④ 노년 건강 유지를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⑤ 퇴직자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해석]
우리가 한 단계에서 다른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을 표시하는 대부분의 중요한 사건들처럼, 퇴직도 신화들로 둘러싸여 있다. 퇴직 프로그램이 넘쳐나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퇴직의 시작은 불안함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퇴직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고 퇴직자 대 근로자의 비율이 줄어들고 있는 것은 사회보장 혜택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퇴직을 위해 재정적인 계획이 가장 중요하다. 물론 건강도 은퇴 기간의 즐거움과 자유에 있어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지만, 그 기간은 (재정적으로) 여유가 없다면 답답한 지루함으로 변할 것이다.
[어휘]
* abundance : 풍부함, 풍족함
* retiree : 퇴직자, 은퇴자
* ratio : 비율
* crucial : 결정적인, 중대한
* stifling : 질식할 것 같은(공기 따위); 답답한
* affordable : (재정적인) 여유가 있는
[해설]
필자는 성공적인 퇴직을 위해서는 재정적인 계획과 건강이 모두 중요한 요소이지만 퇴직 후 재정 계획수립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정답] ③
82.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고려]
Media has become increasingly negative by focusing only on violence. For example, you can't pick up a newspaper these days without reading about some outrageous or gruesome crime. The top television news story is usually about a murder or other violent incident. We need to read and hear about good news stories, too. Otherwise, we will continue sending the message that only violence is worth reporting. What kind of message is that for our children? Our children have a right to watch good news. They would like to watch and read about the bright side of the society through TV and newspapers.
① 언론매체의 여론에 대한 공정성은 지켜져야 한다.
② 정치 중립적인 언론 보도가 사회 정화 기능을 한다.
③ 건강한 언론을 위한 국민의 참여의식은 바람직하다.
④ 사회적 통합을 위한 건설적인 사회비판은 정당하다.
⑤ 사회적 현상에 대한 균형 잡힌 뉴스 선정이 필요하다.
[해석]
언론 매체는 폭력에게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점점 부정적이 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당신은 요즈음의 신문을 집을 때마다 난폭하고 소름끼치는 범죄에 관한 것을 읽지 않을 수 없다. 최고의 텔레비전 뉴스 이야기는 보통 살인이나 다른 폭력적인 사건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좋은 뉴스 이야기에 관해서도 읽고 들을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단지 폭력만이 보도될 만한 가치가 있다는 메시지를 끊임없이 보낼 것이다. 어떤 종류의 메시지가 우리 아이들을 위한 것일까? 우리 아이들은 좋은 뉴스를 시청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TV와 신문을 통해 사회의 밝은 면을 시청하고 읽고 싶어 한다.
[어휘]
* impartial : 공평한
* outrageous : 난폭한
* gruesome : 소름끼치는
* murder : 살인
[해설]
폭력에 초점을 둔 뉴스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면서 사회적 현상에 대한 균형 잡힌 뉴스선정이 필요하다는 취지를 말하고 있다.
[정답] ⑤
83.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2006년 10월 고려]
Hundreds of articles are published in the papers every day about healthy eating and what to eat and what not to eat. ‘Eat eggs’, one paper says, ‘No, don't’, says another. ‘Pasta makes you fat’, claims one, ‘Pasta makes you thin’, responds another. These reports make us divide foods up into good and bad. The problem with thinking about food like this is that you immediately place yourself in the following vicious circle : You imagine the food to be bad ― so you deny yourself it ― then you crave it ― so you give in and eat it ― then you imagine you've done something wrong, and so you end up feeling guilty and banning it again.
① 스트레스는 음식의 선택을 제한한다.
② 음식을 골고루 섭취해야 건강에 이롭다.
③ 음식 선택에 대한 주관을 가질 필요가 있다.
④ 영양 정보를 바탕으로 음식을 선택해야 한다.
⑤ 감사하는 마음으로 음식을 섭취해야 건강에 좋다.
[해설]
건강한 식사와 무엇을 먹어야 할지, 무엇을 먹지 말아야 할지에 대한 수 백 개의 기사들이 매일 신문에 실린다. ‘달걀을 먹어라’라고 한 신문은 말한다. ‘아니다. 먹지 마라’라고 다른 신문이 말한다. ‘파스타를 먹으면 살이 찐다.’라고 한 신문은 주장한다. ‘파스타를 먹으면 날씬해진다.’라고 다른 신문이 대꾸를 한다. 이러한 보고들로 인해 우리는 음식을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나누게 된다. 이처럼 음식에 대한 생각이 갖는 문제점은, 즉각적으로 당신 자신을 다음과 같은 악순환 속에 빠뜨린다는 것이다: 당신은 음식이 나쁘다고 생각한다. ― 그래서 직접 그것을 부인하게 된다. ― 그런 다음 그것을 갈망하게 된다. ― 그래서 굴복하게 되고 그것을 먹는다. ― 그런 다음 어떤 잘못된 일을 했다고 상상하고, 그래서 결국 죄책감을 느끼게 되고 그것을 다시 금하게 된다.
[어휘]
* article : 기사
* claim : 주장하다
* respond : 반응하다
* following : 다음에 나오는
* vicious : 옳지 않은, 악한
* deny : 부정하다
* give in : 굴복하다
* end up -ing : 결국 ~가 되다
* guilty : 죄책감의
* ban : 금하다
[해설]
글이 시사하는 것은 음식에 대한 많은 의견들이 신문의 기사를 통해 전달되는데, 이것은 음식에 대한 좋고 나쁜 기준을 갖게 만들어 음식에 대해 잘못된 대처를 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 음식에 대한 여러 가지 남의 의견을 듣는 것보다 자신의 주관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정답] ③
84.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정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종로]
A man worked at a computer store, but was reluctant to work on weekends. He was in the lower position of monthly sales compared to his peers. He then altered his attitude, and made the decision to work on weekends. The first Saturday he appeared at the store, the first customer he waited on placed the biggest order of his career! That in turn kicked off the highest sales month that he ever experienced in his life. Moreover, it also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sales month by a salesperson that the 4-store chain he worked at ever had witnessed. He not only rocketed to the top of the sales group, but made more money in the next few months than he had ever made in his life.
① 좋은 기회는 한 번 놓치면 디시 잡기 어렵다.
② 약속을 지키려는 노력은 성공의 밑거름이 된다.
③ 유능한 사람은 그에 맞는 지위를 얻기 마련이다.
④ 마음가짐에 따라 결과에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
⑤ 성공에 나무 집착하면 더 귀중한 것을 잃을 수 있다.
[해설]
한 남자가 컴퓨터 가게에서 일했는데 주말 근무를 꺼렸다. 그는 동료들에 비해 판매 실적이 매우 저조했다. 그러다가 그는 태도를 바꿨고 주말에 근무하겠다는 결심을 했다. 그가 가게에 나타난 첫 토요일에 그가 첫번째로 맞이해 안내한 고객이 그의 경력 사상 가장 많은 주문을 한 것이 아닌가! 그것은 결과적으로 평생 경험해 본 최고의 판매실적을 올린 달을 갈아 치웠다. 게다가 그것은 그가 일하는 4개의 체인 점포에서 지금까지 목격했던 한 판매원에 의한 최고의 판매 실적으로 밝혀졌다. 그는 판매진의 최고 위치로 급상승했을 뿐만 아니라 다음 몇 달 사이에 평생 그가 벌었던 것보다도 더 많은 돈을 벌었다.
[어휘]
be reluctant to do : ~하기를 꺼려하다
alter : 변경하다, 수정하다
wait on: 시중들다
kick off: 걷어차 버리다, 갈아 치우다
rocket: 벼락출세하다, 급상승하다
[해설]
판매 실적이 시원치 않던 한 판매 사원이 주말 근무를 하겠다는 결심을 하자마자 엄청난 실적을 올리고 승승장구했다는 내용의 글이다. 즉, 작은 태도의 변화가 엄청난 성공을 불러왔다는 내용이므로 ‘마음가짐에 따라 결과에 큰 차이가 생길 수 있다’가 글의 요지로 적절하다.
[정답] 4
(85~8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0월 종로]
85.
As the inflow of foreign workers grow, Korea should prepare itself for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Embracing foreigners into one's culture and society is no easy task. However, one thing to bear in mind is that the foreign workers are needed in Korea. They willingly take the "3D" - dirty, dangerous, and difficult - jobs that Korean workers have turned away from. Remembering the fact that Korea was exporting such cheap labor less than half century ago, we, as the host country, should learn to respect and welcome the new group of workers. It is about time we rid ourselves of the exclusivism which for so long has prevented us from embracing other cultures in our country.
①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복지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② 배타적인 국수주의가 한국을 세계에서 고립시킨다.
③ 외국인 노동자로 인해 청년 실업 문제가 심각해졌다.
④ 외국인 노동자를 포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⑤ 과거 값싼 노동력 수출이 경제 발전의 토대를 이루었다.
[해석]
외국인 노동자들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한국은 다문화 사회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해야한다. 외국인을 자국의 문화와 사회로 포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명심해야 할 것은 외국인들을 한국에서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한국 노동자가 외면하는 일인 더럽고, 위험하고 어려운 "3D"를 기꺼이 떠맡는다. 한국이 이런 값싼 노동력을 반세기도 안 된 과거에 수출했었다는 사실을 기억하면서, 주최 측 나라로서 우리가 새로운 노동자들을 존경하고 환영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오랫동안 우리로 하여금 우리나라에서 다른 문화를 포용하지 못하게 하는 배타주의를 없애야 할 때 이다.
[어휘]
inflow: 유입
embrace: 포용하다
exclusivism:배타주의
[해설]
글의 마지막 문장인 'It is about time we rid ourselves of the exclusivism which for so long has prevented us from embracing other cultures in our country.'에 글의 요지가 잘 표현되고 있다.
[정답] 4
86.
Sometimes your children think that if you're currently successful, you have always been that way. They don't realize that you have had your shape of flops, failures, and fumbles. Your children may feel frustrated, as a result, when they don't see immediate progress. Some will collapse at the first sign of trouble. To give your children a push and inspire them, you need to be an influential teacher, even when they're making mistakes of doing poorly. One good way to do that is to tell about your past troubles and failures. Show them that you are not perfect. When they know that you have failed and yet, still managed to succeed, they'll realize that it's okay to fail. And their confidence will remain intact.
① 책임과 권리의 의미를 자녀에게 올바르게 교육하라.
② 자녀가 실패하지 않도록 부모가 모범을 보여 주어라.
③ 자녀에게 자신감을 갖고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주어라.
④ 자녀에게 잘못을 인정할 수 있는 정직함을 길러 주어라.
⑤ 자녀에게 부모도 실패를 딛고 성공했다는 것을 알려 주어라.
[해석]
당신이 지금 성공하고 있다면 때때로 당신의 자녀는 당신이 언제나 그래왔던 것으로 생각한다. 그들은 당신이 실수와 실패와 실책을 했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그 결과로 그들은 그들이 즉각적인 진보를 보지 못할 때 좌절을 느끼게 될 것이다. 어떤 자녀들은 문제가 되는 첫 징후를 보고 무너질 것이다. 당신의 자녀를 압박하고 격려를 해 주기 위해서 그들이 실수를 하거나 일을 잘 못할 때도 영향력 있는 교사가 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것을 하는 한 가지 좋은 방법은 당신의 과거의 문제와 실패에 대해 말하는 것이다. 그들이 당신이 실패를 겪었지만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때, 그들은 실패해도 괜찮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그들의 자신감도 상처입지 않는다.
[어휘]
*flop: 실패. 쓰러짐
*fumble: 실책
*frustrate: 좌절하게 하다
*collapse: 무너지다. 실패하다
*inspire: 격려하다
*influential:영향력 있는
*trauma:마음의 상처
*intact:완전한
[해설]
마지막 문장에 글의 요지가 담겨 있다. 즉, 자녀에게 부모는 자신이 실패를 딛고 성공했다는 것을 알려 주라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정답] 5
87.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style is a way of thinking. It is not an ability, but rather how we use the abilities we have. People may be almost identical in their abilities, and yet have very different styles. Go to any high school or college reunion, and you will meet scores of people who went into the wrong jobs for them. Perhaps they did what their guidance or career counsellor told them to do, based on their abilities or interests, but many of them are in careers where they feel they are at a dead end. People often feel at a dead end when the work they do isn't a good fit with the best uses of their talents. Understanding styles can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why some activities fit them and others do not, and even why some people fit them and others do not.
① 생각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르다.
② 직업을 선택할 때 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③ 스타일을 고려하여 직업을 선택해야 한다.
④ 자신의 직업에 충실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⑤ 직업 선택은 직업 상담사의 지도에 따라야 한다.
[해석]
스타일은 생각하는 방식이다. 이것은 능력이 아니라, 우리가 지니고 있는 능력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사람들의 능력은 거의 같을 것이나, 스타일은 아주 다르다. 고등학교나 대학교 동창회에 가봐라. 그러면 그들에게 맞지 않는 일을 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될 것이다. 아마도 그들은 가이던스나 직업상담사가 그들에게 하라고 말한 것을 했지만, 그들 가운데 많은 이들이 그들이 막다른 곳에 있다고 느끼는 직장 생활을 하고 있다. 사람들은 그들의 재능을 가장 잘 사용하면서도 그들이 하는 일이 잘 맞지 않는다고 종종 느낀다. 스타일을 이해하는 것은 사람들이 어떤 활동이 그들에게 맞고 다른 것은 그렇지 않은 이유와 심지어는 어떤 사람들이 어떤 활동에 적합하고 다른 이들은 적합하지 않은 이유를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해설]
앞부분의 ‘identical in their abilities'에서 사람들의 능력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능력보다는 style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어휘]
reunion :(동창회 등과 같은) 모임
scores of :많은
at a dead end :막다른 상황에 처하여
[정답] 3
88.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Some people define themselves as individuals based on particular aspects: size, gender, vocation, education, etc. Others perceive and define themselves solely in negative terms: their incapability, unworthiness, faults and so on. I think both groups are wrong. In my case, I try to recognize the whole me. That includes the sum of all my experiences, good and bad. It concerns my present reality: not the me I want to be, nor the me I think others see, and certainly not the former me who no longer exists. By taking a hard, cool appraisal of myself, I am able to make sound decisions about my life and where I need to go.
① 사람들을 공평하게 대해야 한다.
② 자신에 대한 평가는 냉철해야 한다.
③ 타인에 대한 평가는 관대해야 한다.
④ 나에 대한 타인의 평가도 고려해야 한다.
⑤ 미래지향적인 사고방식을 가져야 발전이 있다.
[해석]
몇몇 사람들은 자신들을 특별한 측면에 기초한 개인들로 정의한다: 키, 성, 직업, 교육 등, 다른 이들은 그들을 단지 부정적 관점에서 자신들을 정의 한다: 그들의 무능력, 무가치, 결점 등등. 나는 이 두 집단 모두 틀리다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에, 나는 전체적인 나를 인식하려고 노력한다. 그것은 좋든 나쁘든 나의 경험 모두를 포함한다. 이것은 나의 현존과 관련이 있다: 내가 되고자하는 (미래의) 나도 아니고, 또한 내가 생각하기에 다른 사람들이 바라보는 나도 아니며, 그리고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이전의 (과거의) 나도 분명 아니다. 나 자신에 대해 냉철하게 받아들임으로써, 나의 인생과 내가 향해야 할 곳에 관하여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해설]
'the whole me'에서 치우치지 않은 자신에 대한 평가를 주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휘]
incapability:무능력
unworthiness:무가치함
appraisal:평가, 평정
[정답] 2
89. 다음 두 글 (A)와 (B)가 공통적으로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In a stationary shop in Seoul, a female customer wants to buy a disposable pen. It's a minor purchase, but the 56-year-old store owner takes the time to talk with her through a variety of different models. When she makes her purchase, he says a friendly "Thank you."
(B) Rain and wind are lashing the streets of Berlin, and estate agent Nicole, 34, struggles through the morning rush-hour crowds, with her broken right arm in plaster after she slipped on ice. Ahead of her, a young woman drops a yellow folder, scattering papers everywhere. Dozens of commuters walk on by, but Nicole rushes over and picks up the wet documents, gently shaking the water off each one. When thanked, she jokes, "Well, I still have one good arm!"
① 친절의 중요성
② 도시의 분주함
③ 건강의 중요성
④ 감사 표현의 중요성
⑤ 장애인 보호의 필요성
[해석]
(A) 서울의 어떤 문방구에서, 한 고객이 일회용 펜을 사기를 원한다. 이것은 사소한 물건이었지만 56살의 가게 주인은 많은 시간을 들여 다양한 여러 모델을 설명한다. 그녀가 물건을 구입하면, 그는 친절하게 "고맙습니다."라고 말한다.
(B) 비바람이 베를린 거리를 몰아치고 있는데 부동산 중개업자인 34인 Nicole은 빙판에 넘어져 부러진 오른쪽 팔에 깁스를 한 채 아침 출근 인파를 애써 헤치고 걸어가고 있다. 그녀 앞에, 한 젊은 여자가 노란 서류철을 떨어뜨려, 이곳 저곳에 서류가 흩어진다. 수많은 통근자들이 밟고 지나쳐갔지만, Nicole은 달려가 젖은 서류들을 세심하게 흔들어 물기를 없애가며 주워준다. 고맙다는 인사를 받자, 그녀는 "나는 아직도 온전한 한 팔이 있잖아요!" 하고 재치 있게 말한다.
[해설]
두 글 모두 사소한 일 또는 어려운 일에 대한 친절임을 알 수 있다.
[어휘]
disposal:1회용의, 쓰고 버릴 수 있는
minor purchase:보잘것 없는 물건의 구매
lash:세차게 몰아치다
[정답] 1
90.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Alex was a model student all the way through his senior years. He received outstanding grades, and went to a highly prestigious college. The first time he had academic problems was when he was in his senior year of college. For the first time, he had to really think for himself. Up to then, he had been able to get "A"s by doing what the teachers told him to do. But his senior essay was an independent project, and now he found himself at a loss. He was fine so long as other people told him what to do, but was in trouble when he had to come up with his own ideas. He probably could have come up with his own ideas if he really wanted to: he just didn't like doing it, and didn't feel comfortable doing things differently from others. So he was smart and able, just so long as there was someone to guide him.
① 안내자의 인도에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② 노력하면 결국에는 우수한 성적을 받을 수 있다.
③ 협동심을 키우는 것이 원만한 인간관계의 열쇠이다.
④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
⑤ 모범학생은 학업뿐만 아니라 여가 활동에도 충실하다.
[해석]
Alex는 상급 학년 동안 줄 곳 모범 학생이었다. 그는 뛰어난 성적을 받아, 명문 대학에 들어갔다. 그가 최초로 학업 문제에 어려움을 겪은 것은 대학 4학년 때였다. 처음으로, 그는 진정으로 스스로 생각해야 하였다. 그때까지는, 그는 선생님이 하라는 대로하여 "A"를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고급 에세이 수업은 독립적인 프로젝트이어서, 그를 당황스럽게 하였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그에게 무엇을 할지를 말하면 훌륭하게 잘했지만, 자신의 독창적인 생각으로 해결해야만 할 때는 곤란을 겪었다. 만일 그가 진정으로 하기를 원했다면 그는 아마도 독창적인 생각으로 처리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그는 단지 그 일을 하는 것을 정말로 좋아하지 않았고,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다르게 일을 하는 것을 불편해 하였다. 그래서 그는 단지 그를 인도해 주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만 똑똑하고 능력이 있었다.
[해설]
independent project, found himself at a loss 등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어휘]
at a loss:당황하여
come up with:생각해내다
[정답] 4
91.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중앙일보-케이스]
We are apt to forget that the man who owns land and cherishes it and works it well is the source of our stability as a nation. This is true not only in the economic but the social sense as well. We have been inclined in our wild industrial development, to forget that agriculture is the base of our whole economy and that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the nation it is always the cornerstone. In this respect, a good farmer is always one of the most intelligent and best educated men in our society. It has always been throughout history and it will continue to be so until there are no more men on this earth.
① 산업화가 국가의 안정성을 높인다.
② 농업의 중요성을 잊어서는 안 된다.
③ 과학적인 농업의 육성책이 필요하다.
④ 농업이 가장 오래된 직업 중의 하나이다.
⑤ 공업과 농업의 균형 있는 발전이 중요하다.
[해석]
땅을 소유하고 사랑하며 잘 경작하는 사람들이 국가 안정의 근원이라는 사실을 망각하기 쉽다. 이러한 사실은 경제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에서도 사실이다. 거친 산업화 과정에서 농업이 우리 나라 전체 경제의 근본이며, 우리 나라의 경제적인 구조에 있어서도 초석이라는 사실을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훌륭한 농부야말로 항상 우리 사회에서 가장 지적이며 가장 교육을 잘 받은 사람인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역사를 통해서 항상 그래왔고, 이 지구상에 사람이 살지 않게 되는 그 순간까지 그러할 것이다.
[해설]
첫 문장에서 필자의 주장이 나온다. 즉, 현대인들에게 농업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2
92.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중앙일보-케이스]
One of the good ways to test your attitude is to answer this question: "Do you feel your world is treating you well?" If your attitude toward the world is good, you will receive good results. If you feel so-so about the world, your response from the world will be average. Feel badly about your world, and you will have only negative feedback from people. Lincoln once said that most people are about as happy as they make up their minds to be. With positive thoughts you are a positive person. Make a conscious effort to stop yourself when negative thoughts pop up. Replace each negative thought with a positive one. Remember, a positive person can accomplish much more in life than a negative one.
① 넓은 안목을 장래를 계획하여라.
② 비판적 시각으로 사물을 보아라.
③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가져라.
④ 대접을 받고 싶으면 먼저 대접하라.
⑤ 성급하게 세상사를 판단하지 마라.
[해석]
당신의 태도를 시험하는 좋은 방법 중 하나는, “당신은 세상이 당신을 잘 대우하고 있다고 느낍니까?”라는 질문에 대답하는 것이다. 만일 세상에 대한 당신의 태도가 좋다면 당신은 좋은 결과를 받을 것이다. 만일 당신이 세상에 대해 그저 그렇다고 느낀다면 세상으로부터의 반응도 보통이 될 것이다. 세상에 대해 나쁘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삶으로부터 단지 부정적인 반응만을 얻을 것이다. 링컨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이 그렇게 하겠다고 마음에 결심한 만큼 행복하다고 말한 적이 있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면 긍정적인 사람이 된다. 부정적인 생각이 나올 때마다 스스로 멈추려는 의식적인 노력을 하여라. 부정적인 생각을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놓아라. 긍정적인 사람은부정적인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이 성취한다는 것을 명심하라.
[해설]
이 글의 후반부에 With positive thoughts you are a positive person. Make a conscious effort to stop yourself when negative thoughts pop up. 라는 말에 요지가 들어 있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삶을 태도를 가지라는 것이 이 글의 요지가 된다.
[정답] 3
93. 다음 글을 쓴 필자의 경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0월 중앙일보-케이스]
Just before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 had my first date with a girl. I can remember that the money for the date had to come out of my allowance. I was so foolishly pretentious at that time that I used my whole month's allowance on just one date. Because I was given enough money to buy what I wanted, I couldn't complain or beg for extra money for that month. If I had saved some of my allowance for the next date, it would not have been such a long month. I still remember how sad I was that I had to wait so long before dating again.
*pretentious 허세를 부리는
① 약속을 잘 지키자.
② 어려운 사람을 돕자.
③ 자신의 일에 만족하자.
④ 돈을 계획성 있게 쓰자.
⑤ 책임감 있는 사람이 되자.
[해석]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바로 전에 나는 여학생과 첫 데이트를 했다. 그 데이트 비용을 내 용돈으로 충당해야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 때 나는 너무도 어리석게 허세를 부리는 바람에 단 한 번의 데이트 비용으로 한 달 용돈을 다 써 버렸다.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살만큼 충분한 용돈을 받았기 때문에 불평을 하거나 그 달에 쓸 추가적인 돈을 요구할 수도 없었다. 내가 다음 데이트를 위해 용돈을 조금 절약했더라면 그 달이 그렇게 길지는 않았을 것이다. 내가 다시 데이트를 하기 전에 그렇게 오래 기다려야 했던 것이 얼마나 슬펐는지 지금도 기억이 난다.
[해설]
고등학교 졸업 직전, 한 여학생과 가진 단 한 번의 데이트에서 한 달 용돈을 다 써 버려 곤혹스러웠던 필자의 경험을 담은 글로, 이 글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으로는‘④ 돈을 계획성 있게 쓰자.’가 가장 적절하다.
[정답] 4
94.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1월 대성]
As the world becomes more and more connected, the media should not be biased about the way culture and religion are portrayed. For too long, the media has been accustomed to an attitude that views non-Western ideas and culture as inferior. The world is already trapped in a vicious cycle of misunderstanding due to the negative information received. It is time for the misinformation to stop. The world media should use their air time and print space to dispel the stereotypes that can be seen every day. If this isn't done, the freedom of speech that we value so much won't be worth the air time or the paper they are written on.
① 문화와 종교를 분리해서 생각해서는 안 된다.
② 대중 매체는 편견을 버리고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③ 대중 매체는 지나치게 상업성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
④ 보도 내용의 사전 검열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⑤ 서구적인 사고 방식과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해야 한다.
[해석]
세계가 점점 더 가까워지기 때문에 대중 매체는 문화와 종교가 묘사되는 방식에 대해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된다. 너무 오랫동안 대중 매체는 비서구적인 생각들과 문화가 열등하다고 보는 태도에 익숙해져 왔다. 세계는 제공되는 부정적인 정보로 인해 이미 오해의 악순환의 함정에 빠졌다. 이제는 오보를 막아야 할 때이다. 세계의 대중 매체는 매일 보여질 수 있는 고정 관념들을 없애기 위해 방송 시간과 지면을 활용해야 한다. 만약 이것이 행해지지 않는다면 우리가 몹시 소중히 여기는 언론의 자유는 방송 시간이나 그것들이 쓰여지는 지면만큼의 가치도 없을 것이다.
[어휘]
biased 편견을 가진, 치우친
portray 그리다. 묘사하다
inferior 열등한 (것)
vicious cycle 악순환
air time 방송 시간
dispel 없애다
stereotype 고정 관념
[해설]
대중 매체는 문화와 종교가 묘사되는 방식에 대해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되며 그러한 편견을 없애기 위해 방송 시간과 지면을 활용해야 한다는 내용의 글로 ②가 필자의 주장으로 적절하다.
[정답] 2
[95~96]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1월 대성]
95.
When you face a household problem, what do you do to solve it? Most parents think it is not so good to argue in front of their kids. However, kids can benefit by witnessing and listening to the arguing. In other words, there are some positive reasons why you should argue in front of the kids. Constructive arguing allows you to model respectful disagreement. When respect is present, there are no put-downs. Kids see conflict resolution in action. We don't have to pretend we're always in agreement as long as we resolve our differences constructively. It is important for kids to understand that Mom and Dad have their own ideas and views. Kids may need to see that emotions are part of life. Also, they need to know how to handle a range of emotions.
① 사물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② 부모의 건설적인 논쟁은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자녀의 규칙적인 생활 태도를 위해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 한다.
④ 다른 사람과 논쟁할 때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지 말아야 한다.
⑤ 부모는 자녀의 직업 선택에 있어 훌륭한 조언자가 될 수 있다.
[해석]
당신이 가정 문제에 직면하게 될 때,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무엇을 하는가?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 앞에서 논쟁하는 것이 그렇게 좋은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이들은 그 논쟁을 목격하고 듣는 것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당신이 아이들 앞에서 논쟁을 해야 하는 몇 가지 긍정적인 이유들이 있다. 건설적인 논쟁은 당신으로 하여금 의견 차이를 존중하는 것을 모범으로 보이도록 한다. 존중이 존재할 때는 강한 반박이 없다. 아이들은 갈등의 해결을 현장에서 보게 된다. 우리는 우리의 의견 차이를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한 항상 동의하는 척할 필요가 없다. 아이들이 엄마와 아빠가 그들 자신만의 생각과 관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아이들은 감정이 삶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들은 감정의 범위를 조절하는 법을 알 필요가 있다.
[어휘]
put-down 혹평. 강한 반박
resolution 해결
[해설]
부모의 건설적인 논쟁이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내용의 글이다.
[정답] 2
96.
Sports, if practiced with the right attitude, guidance and principles, can be of great benefit to those involved at different levels. For young people who are so full of youthful passion and energy, sports can be a useful means to channel such energy constructively. By doing their best, adhering to the rules and competing in good spirit, youths can mold their character and learn eternal lessons. It is in such environment that camaraderie, right conduct and sportsmanship can be fostered. In short, for young people sports can be a meaningful vehicle to contribute to the bigger goal of continual self-improvement.
① 스포츠에서는 과정보다는 결과가 더 중요하다.
② 승부에 대한 강한 집착은 스포츠 정신에 위배된다.
③ 스포츠는 젊은이들의 균형 있는 신체 발달에 이바지한다.
④ 젊은이들은 스포츠를 자기 발전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
⑤ 과도한 스포츠 열기는 사회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해석]
스포츠는 바른 태도, 지도 그리고 원칙을 가지고 실행된다면 다양한 수준의 사람들에게 매우 유익할 수 있다. 청년다운 열정과 에너지로 몹시 충만한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스포츠는 그러한 에너지를 건설적으로 쏟을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최선을 다하고 규칙을 고수하며 건전한 정신으로 경쟁함으로써 젊은이들은 인격을 형성할 수 있고 영원한 교훈을 배울 수 있다. 동지애, 바른 처신, 그리고 스포츠맨십이 함양될 수 있는 것은 바로 그런 환경에서이다. 요컨대, 젊은이들에게 있어서 스포츠는 계속적인 자기 향상이라는 더 큰 목적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어휘]
channel (관심 ·노력 등)을 쏟다
adhere to 고수하다
mold 형성하다
camaraderie 동지애, 우정
vehicle 전달 수단. 매개물
[해설]
마지막 문장에 글의 요지가 잘 나타나 있다.
[정답] 4
97. 다음 글의 요지로 기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1월 종로]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any form of assessment will result in educators "teaching to test." In other words, when assessment results are used to make important decisions, there is a danger that instruction will narrowly focus on what is assessed while other important curricular goals and content are neglected. For example, the skills usually assessed by multiple-choice testing are nothing but the acquisition of factual information and the simple application of that information. It is important for instructors to ensure that the content of the assessment matches the most important content in the curriculum.
① 선다형 평가는 지양되어야 한다.
② 새로운 평가 방식의 개발이 요구된다.
③ 평가는 원래 교사들의 고유한 권한이다.
④ 평가는 교육 과정 전반을 포괄해야 한다.
⑤ 객관적인 평가 기준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해석]
평가의 어떤 형식만을 너무 많이 강조하는 것은, 결국 교육자가 "평가를 위한 가르침"을 하게 만든다. 즉, 평가 결과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데 이용될 경우, 교수법이 되는 다른 중요한 교육 과정의 목표나 내용을 경시한 채, 평가되는 내용만을 한정적으로 강조하게 될 위험이 있다. 예를 들어, 선다형 시험에 의해 주로 평가되는 능력은 사실적 정보에 대한 습득과 그 정보의 단순한 적용에 불과하다. 교사가 평가의 내용을 교육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과 일치시키도록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휘]
*emphasis : 강조
*assessment : 평가
*make decision : 결정을 내리다
*narrowly : 한정하여
*multiple-choice test : (객관식) 선다형 시험
*acquisition : 습득
*factual : 사실의
*application : 적용
*curriculum : 교육 과정
[해설]
한 가지 평가 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배운 내용을 모두 평가에 포함해야 한다는 요지의 글이다.
[정답] 4
98.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6년 11월 종로]
Britain's "Top of the Pops," the world's longest-running weekly music show on TV, will be declared extinct today. Young, Internet-literate listeners are not waiting for a weekly digest of chart acts any more, and the preselected programming of 24-hour music channels has been losing its appeal in an age where music choice is greater than ever. Television must compete with pop stars' beaming live images from a concert to fans' mobile phones and MP3 players playing music videos. People are eagerly downloading and getting their information far quicker than sitting there waiting for a program to come around once a week on TV.
① 불법적인 내려받기로 인하여 음반 시장이 침체되고 있다.
② TV를 통한 문화의 습득이 젊은 세대에 의해 거부되고 있다.
③ 음악을 듣는 매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변화하고 있다.
④ 컴퓨터 기술의 진보가 대중 음악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⑤ 청취자들의 욕구에 맞는 새로운 음악 장르들이 생겨나고 있다.
[해석]
영국 TV에 방영되는 세계 최장수 주간 음악 쇼인 "Top of the Pops"가 오늘 종영될 거라는 발표가 났다. 인터넷을 하는 젊은 청취자들은 더 이상 일주일 동안의 음악 순위 발표를 기다리고 있지 않는다. 그리고 24시간 음악 채널의 선곡 프로그램도 음악의 선택의 폭이 어느 때 보다 넓은 이 시대에서 매력을 잃었다. 텔레비전은 콘서트에서부터 팬들의 이동전화와 뮤직비디오를 재생하는 MP3 플레이어에 이르기 까지 팝 스타들의 빛나는 라이브 이미지와 경쟁해야 한다. 사람들은 TV에서 일주일에 한 번 돌아오는 프로그램을 기다리며 앉아있기보다는 훨씬 더 빨리 팝 스타들에 대한 정보를 열심히 내려받고 얻고 있다.
[어휘]
* declare : 발표하다
* extinct : 활동을 그친, 끝난
* literate : 읽고 쓸 줄 아는
* digest : 요약
* chart : 주간 순위표
* preselected : 선별된
* appeal : 호소
* beam : 빛나다
[해설]
TV의 음악 프로그램이 인터넷이나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의 경쟁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내용이다.
[정답] 3
99.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6년 11월 중앙유웨이]
Discrimination against left handed people often began with language. For example, a business demotion in Japan is sasen, which literally means moved to the left. The Korean word jawcheon carries the same dual meaning. The major religions are also full of anti-left bias. Buddhism teaches that there are two roads in life - the right path, which is good, and the left path, which is bad. According to Hinduism, during meals everything should be done with the right hand, and the left should be used only when assistance is needed.
① 언어와 종교가 편견을 고착화시킨다.
② 왼손잡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하다.
③ 오른손잡이가 사회적으로 성공하기 쉽다.
④ 인생에는 옳고 그름이 분명하게 존재한다.
⑤ 왼손잡이에 대한 차별은 무지에서 비롯되었다.
[해석]
왼손잡이에 대한 차별은 흔히 언어로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면, 사업상의 강등을 일어로는 싸센이라고 하는데, 문자적 의미는 왼쪽으로 옮겨졌다는 뜻이다. 좌천이라는 한국말도 동일한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주요 종교들 역시 왼손잡이에 대한 편견으로 가득하다. 불교는 인생에 두 길이 있는데, 오른쪽 길은 올바른 길이요, 왼쪽 길은 그릇된 길이라고 가르친다. 힌두교에 따르면, 식사 중에는 모든 음식을 오른손으로 먹어야 하며, 왼손은 오로지 오른손을 보조할 필요가 있을 때만 사용해야 한다.
[어휘]
.discrimination:차별
.demotion:강등, 좌천
.literally:문자적으로
.dual:이중적인
.bias:편견(= prejudice), 성향
[해설]
왼손잡이(lefties)에 대한 반감과 편견이 언어와 종교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정답] 2
100.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만점 마무리 1회]
Success is not a finite state. There is no magic door labeled DESTINATION: SUCCESS that you enter and permanently remain on the other side. Success is like a spiral staircase that you ascend; it turns, bends, and curves its way through the different plateaus of your dreams. There are always new heights to reach, new vistas to explore, and new lessons to learn. When you arrive at "there," another "there" magically appears, and you become aware of the next level of fulfillment. As soon as you reach one level, you have a new vantage point that enables you to see a whole new world full o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at previously were hidden from your view. You might be inspired to reach for higher peaks in areas where you experience success, or you may turn your attention to another facet of your life in which you have unrealized goals.
① 성공은 결과보다 도달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
② 분명한 목표 설정은 성공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③ 성공은 계속적으로 자기 발전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④ 성공과 실패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가 있다.
⑤ 자신의 잠재력에 대한 믿음이 성공의 출발점이다.
[해석]
성공은 한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다. DESTINATION: SUCCESS(목적지: 성공)라는 딱지가 붙어 있고 들어가면 다른 쪽에 영원히 머물게 되는 그런 마법의 문은 없다. 성공은 우리가 올라가는 나선형의 계단과 비슷하다. 그것은 회전하고, 구부러지고, 곡선을 그리며 우리의 꿈의 다른 고원을 통과하여 나아간다. 항상 도달할 새로운 높이가 있으며, 탐구할 새로운 전망이 있고, 배워야 할 새로운 교훈이 있다. "거기"에 도달하면 또 다른 "거기"가 마술같이 나타나고, 그리하여 우리는 그 다음 수준의 성취를 인식하게 된다. 한 단계에 도달하자마자 이전에는 시야에서 보이지 않던 기회와 도전들로 가득차 있는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볼 수 있게 해 주는 새로운 유리한 위치를 우리는 가지게 된다. 우리는 성공을 경험하는 분야의 보다 높은 정상을 향해 발돋움하도록 자극을 받거나, 혹은 실현되지 못한 목표를 가지고 있는 인생의 새로운 측면에 관심을 향하게 할지도 모른다.
[해설]
성공은 한정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고 나선형의 계단과 비슷하며, 한 단계의 성취에 도달하면 추구할 기회와 도전으로 가득찬 또 다른 단계가 나타나는 끊임없는 과정이라는 것이 글의 중심 내용이다.
[구문]
As soon as you reach one level, you have new vantage point that enables you to see whole new world full o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at previously were hidden from your view.: 주격관계대명사 that이 이끄는 절 안에 다시 관계대명사 절이 들어 있는 구조로 두 개의 관계사 that이 이끄는 절은 각각 바로 앞의 선행사 a new vantage point와 opportunities and challenges를 수식하며, enables you to see a whole new world full of opportunities and challenges에는 <enable +사람 +to부정사(~에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다)>의 구문이 사용되고 있다.
[어휘]
finite 한정된
label 딱지를 붙이다
destination 목적지
permanently 영원히
spiral 나선형의
ascend 올라가다
bend 구부러지다
plateau 고원
vista 전망
fulfillment 성취
ventage point 유리한 지점
inspire 고무하다, 격려하다
facet 양상, 국면
[정답] 3
101. 다음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만점 마무리 1회]
Suppose a homemaker lost her life in a road accident. Her family may sue for the value of her services that were lost. Attorneys are often asked to estimate this value to present to the court. They add up the cost of purchasing babysitting, cooking, housecleaning, and tutoring services. The number turns out to be quite large, often in excess of $30,000 a year, Of course, one of the problems in measuring the value in such a way is that we could often purchase the services of a full-time live-in housekeeper for less money than if we paid for the services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housekeeping. And what about quality? Some homemakers serve fabulous gourmet meals; others simply warm up canned or frozen foods. Should they be valued equally?
① 자녀 양육비가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② 변호사를 잘 선임해야 재판에서 이길 수 있다.
③ 가사 노동의 가치는 금액으로 환산하기 어렵다.
④ 가정의 화목을 위해 가사 노동을 분담해야 한다.
⑤ 교통사고는 한 가족에게 엄청난 불행을 가져온다.
[해석]
한 가정주부가 교통사고에서 목숨을 잃는 상황을 가정해 보라. 그녀의 가족은 사라져 버린 그녀의 수고의 가치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것이다. 변호사들은 법정에 제출할 이러한 가치를 평가해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그들은 아기 돌보기, 요리하기, 집안 청소하기, 공부 가르치기 등을 돈으로 구입할 때의 비용을 계산해 낸다. 그 수치는 실로 엄청나서 연간 3만 달러를 초과한다고 입증된다. 물론 그러한 방식으로 그 가치를 측정하는 데 있어서의 한 가지 문제점은, 우리가 가정 관리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 돈을 지불하는 경우 보다 숙식하며 전일 근무하는 가정부의 서비스를 흔히 더 적은 돈으로 구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그 질적인 면은 어떠한가? 어떤 주부들은 엄청나게 맛있는 식사를 제공하지만 또 어떤 주부들은 캔에 든 식품이나 냉동된 식품을 그저 데워주기만 한다. 그들의 가치가 동동하게 평가되어야 하는가?
[해설]
가정주부가 사망한 경우 그 사람의 노동의 가치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평가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 글이다. 따라서 이러한 설명에 전제되어 있는 생각은 가사노동의 가치는 금액으로 환산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구문]
Of course, one of the problems in measuring the value in such a way is that we could often purchase the services of a full-time live-in housekeeper for less money than if we paid for the services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housekeeping.: 주어는 one of the problems이며 동사 is 다음에 that이 이끄는 보어절이 이어진 문장이다. that 이하는 비교급 구문(less ~ than)으로 이루어져 가사 노동의 각 분야에 대해 들이는 비용과 숙식형 가정부에 들이는 비용을 비교하고 있다.
[어휘]
sue 소송을 제기하다
attorney 변호사, 법률 대리인
present 제출하다
add up 합산하다
purchase 돈을 주고 구입하다
turn out 입증되다(= prove)
in excess of ∼를 초과하여
live-in 숙식하며 일하는
component 구성 요소
housekeeping 가정관리, 가사
quality 품질, 우수성
fabulous 멋진, 굉장한
gourmet 미식가를 위한, 매우 맛좋은
[정답] 3
102.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만점 마무리 1회]
Imagine yourself sitting on the beach looking down on the sand. Now look down very carefully and pick out one grain of sand. You see it? Okay. Now look up at the ocean and see the waves rolling in and the ships out on the horizon. Now look back down at the sand where you were looking a few moments before. Can you find that particular grain of sand again? No. The reason you can't pick out that single grain of sand is simply that they all look alike! If you painted your grain bright red, sure you could see it. So it is with people. People remember other people because of some distinct characteristic. Then, try to be nice, funny, friendly, or helpful to people. They'll remember you!
① 평범한 일상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라.
② 가까운 곳보다 먼 곳을 보는 사람이 되어라.
③ 타인에게 기억되기 위해서는 개성을 가져라.
④ 세상의 변화에 빨리 적응하는 사람이 되어라.
⑤ 타인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보도록 노력하라.
[해석]
해변에 않아서 모래를 내려다보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이제 아주 조심스럽게 내려다보다가 모래 한 알을 골라라. 그것이 보이는가? 좋다. 이제 바다를 쳐다보고, 밀려오는 파도와 수평선에 있는 배들을 보라. 이제는 조금 전에 살펴보던 모래를 내려다 보아라. 그 특정한 모래 한 알을 다시 찾을 수 있는가? 아니다. 그 특정한 모래알을 골라 낼 수 없는 이유는 단지 그들 모두가 같아 보이기 때문이다! 그 모래알에다 빛이 나는 빨간색을 칠해 놓는다면, 확실히 그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사람들은 어떤 뚜렷한 특징 때문에 다른 사람들을 기억한다. 그러니, 멋지거나, 재미있거나, 다정하거나, 혹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려고 노력하라. 사람들은 너를 기억할 것이다!
[해설]
수많은 모래알 중에서 눈에 뜨이려면 다른 색깔이 필요하듯이 타인에게 기억되기 위해서는 독특한 특성을 가진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구문]
Now look up at the ocean and see the waves rolling in and the ships out on the horizon.: 지각동사 see 다음에 오는 목적보어 자리에 현재분사(rolling)를 사용해 동작의 진행을 나타내고 있다.
[어휘]
pick out 고르다. 집어 들다
grain 낟알, 곡물
roll (파도가) 굽이치다
horizon 수평선
distinct 독특한
characteristic 특성
[정답] 3
103.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만점마무리 2회]
In the days before the collapse of Communism it was said that the thing which most differentiated the free world from the totalitarian regimes was its respect for the individual and his or her right to be different. Nowadays, however, people are wondering whether this individuality might be an illusion. Looking at a representative sample in any street I can see a uniform just as anonymous as the gray-clad masses of the Soviet Union. Yes, fashion has become the dictatorship of the Western World. Young people have coined the phrase fashion victim' for anyone who slavishly follows the latest trends regardless of their practicality or purpose. But are we not all fashion victims? A huge industry has evolved telling us what to wear, who to listen to, where to shop, what to eat, when to laugh, perhaps even how to think.
① 어느 사회에서든지 개인의 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② 젊은 사람들은 맹목적으로 패션을 쫓는 경향이 있다.
③ 서구 세계는 개성을 실종한 채 패션의 지배를 받고 있다.
④ 패션을 주도하는 기업은 사회적인 책임을 인식해야 한다.
⑤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해석]
공산주의가 붕괴되기 전에 자유세계를 전체주의 정권과 가장 잘 구별했던 것은 개인에 대한 존중과 서로 다를 수 있는 개인의 권리를 존중하는 것이었다고 이야기됐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이러한 개성이 환상이 될지도 모른다고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다. 어떤 거리에서든지 대표적인 샘플을 보게 될 때, 나는 회색을 걸쳐 입은 소련 연방의 일반 대중처럼 특징이 없는 제복을 볼 수 있다. 그렇다, 패션은 서구 세계의 독재권이 되었다. 젊은 사람들은 실용성이나 목적과는 상관없이 최근의 추세를 맹목적으로 쫓는 사람에 대해 '패션의 희생자' 라는 어구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우리 모두가 패션의 희생자는 아닐까? 거대한 산업은 우리에게 무엇을 입을지, 누구의 말에 귀를 기울일지, 어디에서 물건을 살지, 무엇을 먹을지, 언제 웃을지, 심지어는 어떻게 생각할지 등을 말해주는 데까지 발전해왔다.
[해설]
오늘날의 서구 세계는 마치 전체주의 정권에서처럼 개인의 개성이 사라진 채 모든 사람들이 패션에 예속되어 있다는 취지의 글이므로, '서구 세계는 개성을 실종한 채 패션의 지배를 받고 있다.'가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하다.
[구문]
* it was said that the thing which most differentiated the free world from the totalitarian regimes was its respect for the individual~ : it는 가주어이고, that절이 진주어이다. that절 안에서는 the thing이 주어인데, 관계대명사절 which ~ regimes가 the thing을 수식하고 있다. 한편 that절 안에서의 동사는 was이다.
* Looking at a representative sample in any street I can see a uniform just as anonymous as the gray-clad masses of the Soviet Union.: Looking at ~ in any street은 때의 의미를 나타내는 분사구문이다. 'as ~ as .....'는 '.....처럼 ~한' 이라는 뜻으로 형용사 anonymous가 명사 a uniform을 수식하고 있다.
* A huge industry has evolved telling us what to wear, who to listen, where to shop, what to eat, when to laugh, perhaps even how to think.: telling ~ how to think는 동시 동작의 의미를 나타내는 분사구문이고, 명사구인 6개의 <의문사 + to부정사>가 tell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다.
[어휘]
collapse 무너지다. 붕괴하다
communism 공산주의
differentiate A from B A를 B와 구별하다
totalitarian 전체주의의
regime 정권
individual 개성
illusion 환상
representative 대표적인, 전형적인
anonymous 특징(개성)이 없는, 익명의
clad (보통 복합어를 이루어) 입은, 덮인
the masses 일반 대중
dictatorship 독재(권)
coin (신어를)만들어 내다
phrase 구(句)
slavishly 노예처럼, 맹목적으로 모방하여
trend 경향, 동향, 추세
regardless of ∼에 관계없이
practicality 실용성
purpose 목적
evolve 서서히 발전하다
[정답] ③
104.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만점마무리 2회]
We humans spend millions of dollars every year trying to rid ourselves of insects, but some of those annoying bugs are actually essential to our survival. Some insects perform the vital function of pollinating flowering plants. Without this service, crops could not reproduce. Insects are also essential to maintaining the balance of nature. For example, they help prevent the uncontrolled spread of vegetation. In addition, diseases spread by insects keep wild animal populations from growing out of control and destroying whole ecosystems. Insects also dispose of animal remains and waste. Dung beetles, for instance, have prevented Australia's grazing lands from being ruined by cattle droppings.
① 해충구제로 인한 자연훼손이 심각하다.
② 해충구제로 인해 먹이 피라미드가 깨진다.
③ 곤충들도 생태계유지를 위해 필요한 존재이다.
④ 해충은 약을 쓸수록 생명력이 더욱 강해진다.
⑤ 곤충을 선택적으로 보호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해석]
우리 인간은 곤충들을 제거하기 위해 매년 수백만 달러를 소비하지만 성가신 곤충들 중 어떤 것들은 실질적으로 우리의 생존에 필수적이기도 하다. 어떤 곤충들은 꽃이 피는 식물의 가루받이에 있어 지극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수고가 없다면 곡물은 번식하지 못할 것이다. 곤충들은 또한 자연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식물이 무차별적으로 번식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곤충이 퍼뜨리는 질병은 야생동물의 숫자가 통제할 수 없을 만큼 늘어 모든 생태계를 망가뜨리지 않게 해준다. 곤충은 또한 동물의 유해와 쓰레기를 제거해준다. 예를 들어 말똥풍뎅이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목초지가 소떼의 배설물로 훼손되는 것을 막아준다.
[해설]
곤충이 인간에게 성가신 해충이지만 인간 생존에 필수적인 것들도 있다고 설명하고 그 예를 들어주고 있는 내용이다.
[구문]
* Without this service, crops could not reproduce.: without구는 if절을 대신하여 쓰였으며, If it were not for this service,로 바꾸어 쓸 수 있다.
* diseases spread by insects keep wild animal populations from growing out of control and destroying whole ecosystems. : diseases와 spread 사이에 which are가 생략된 형태이다. diseases가 주어이고, keep A from ~ing(A가 ~하는 것을 막다)가 사용된 문장이다.
[어휘]
rid A of B A에게서 B를 없애다
annoying 성가신
essential 필수적인
survival 생존
perform 수행하다
vital 지극히 중요한
function 기능
pollinate 가루받이하다
flower 꽃피우다
reproduce 재생산하다
maintain 유지하다
balance 균형
uncontroled 통제되지 않은
spread 퍼짐
keep A from ~ing A가 ∼하는 것을 막다
ecosystem 생태계
dispose of ∼을 처분하다. 제거하다
remains 잔존물, 유해
dung beetle 말똥풍뎅이
graze 풀을 뜯어 먹다
dropping 똥
[정답] ③
105. 다음 글에서 필자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만점마무리 3회]
Although women now have the freedom to choose whether or not they have children, it is generally a joint decision between the partners involved. In fact, in cultures which remain strongly traditional, the decision to have a baby may well be affected by society, family, and the man of the family, rather than the mother. Furthermore, in most modern societies, with increasing expectations from both men and women,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major decisions, such as starting a family, to be taken jointly. Thus it is unreasonable to suggest that women are solely responsible for the decision to have a child, and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hat they are solely responsible for bringing the child up.
① 결혼의 의무가 아니라 선택사항이다.
② 국가가 자녀의 양육을 지원해야 한다.
③ 출산과 양육은 부부공동의 책임이다.
④ 결혼은 당사자의 결정에 맡겨야 한다.
⑤ 미래를 위하여 출산을 장려해야 한다.
[해석]
비록 오늘날 여성들에게 자녀를 가질 것인지 그러지 않을 것인지를 선택하는 자유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것은 관련된 부부 사이의 공동 결정 사항이다. 사실상, 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는 문화에서 아기를 가지는 결정은 어머니보다는 오히려 사회, 가족, 그리고 가장에게 당연히 영향을 받는다. 더욱이, 대부분의 현대 사회에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의 기대가 점점 더 늘어나는 것과 함께, 가정을 꾸리는 것과 같은 주요한 결정이 공동으로 이루어져야 할 분명한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여성들만이 아이를 가지는 결정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따라서 여성들만이 아이를 양육하는 책임이 있다는 것도 불합리하다.
[해설]
자녀의 출산과 양육은 여자 혼자가 아니라 부부 공동의 책임이라는 내용의 글이다. 마지막 문장 (그러므로 여성들만이 아이를 가지는 결정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따라서 여성들만이 아이를 양육하는 책임이 있다는 것도 불합리하다.)에 필자의 주장이 잘 나타나 있다.
[구문]
* there is an obvious need for major decisions, such as starting a family, to be taken jointly: 명사 need를 for major decisions ~ to be taken jointly가 수식하고 있는 형태이다. major decisions는 to be taken의 의미상의 주어이다. (cf. take/make a decision: 결정을 내리다) → 가정을 꾸리는 것과 같은 주요한 결정은 공동으로 이루어져야 할 분명한 필요성이 있다.
[어휘]
joint 공동의
partners involved 관련된 부부
may well 당연히 ∼하다
man of the family 가장
start a family 가정을 꾸리다
[정답] ③
106. 다음 글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07학년도 대입수능]
Of all the ways that automobiles damage the urban environment and lower the quality of life in big cities, few are as maddening and unnecessary as car alarms. Alarms are more than just an annoyance; they are a costly public health problem and a constant irritation to urban civil life. The benefits, meanwhile, are nonexistent. Auto makers, alarm installers, insurers, police, and the biggest experts of all ― car thieves ― all agree that alarms do nothing to stop theft. What’s more, there are now a number of good, inexpensive car security devices available on the market. It’s time for us all to reconsider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and to do something about it.
① 자동차 보험 가입을 의무화해야 한다.
② 자동차 오디오의 소음을 규제해야 한다.
③ 자동차 보안 장치의 가격을 낮추어야 한다.
④ 자동차 도난 경보기 사용을 제한해야 한다.
⑤ 차량 절도를 막기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해석]
자동차가 도시 환경을 해치고 대도시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모든 방식 중에서 자동차 도난방지 경보장치만큼 화나게 하고 불필요한 것은 거의 없다. 경보기는 단순한 성가심을 넘어선다. 도난방지 경보장치는 비용이 많이 드는 공중 보건 문제이며 도시 시민 생활에 끊임없는 짜증이다. 한편 이익은 전무하다. 자동차 제조업자, 경보장치 설치자, 보험업자, 경찰, 그리고 이 모든 사람들 중 최고의 전문가인 자동차 절도범들 모두 경보장치가 절도를 막는 데 아무런 역할도 못한다는 데 동의한다. 게다가 이제는 시장에 나와 있는 수많은 품질 좋고 값도 싼 자동차 보안 장치들이 있다. 이제 우리 모두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생각해 보고 이 문제에 대해 무언가 해야 할 때이다.
[해설]
필자는 전국으로 방송되는 대담 프로에서 방송 직전에 소재가 고갈되어 난감한 상황에 처해있다. What are we going to do?라는 말에서 필자의 걱정하는 심경을 유추할 수가 있다.
[어휘]
damage 손상시키다
madden 성나게 하다
car alarm 자동차 도난방지용 경보장치
annoyance 성가심, 귀찮음
civil 시민의
irritation 짜증
meanwhile 그 동안에, 한편
nonexistent 존재하지 않는 것
installer 설치자
insurer 보험업자
theft 절도
what's more 더욱이, 게다가
[정답] 4
[107~108]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2007학년도 대입수능]
107.
Over the past twenty years, I’ve asked thousands of people, “Where are you when you get your best ideas?” The most frequent answers are: ‘resting in bed,’ ‘walking in nature,’ ‘listening to music while driving in my car,’ and ‘relaxing in the bath.’ People rarely get their best ideas at work. What is so special about walking in the woods or resting in bed? Solitude and relaxation. Most people have their best ideas when they are relaxed and by themselves. Leonardo da Vinci once wrote, “If you are alone you are completely yourself, but if you are accompanied by a single companion you are half yourself.”
① 현명한 사람은 말과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
② 혼자만의 시간과 휴식은 최상의 아이디어를 준다.
③ 심신의 건강을 위해 휴식과 체력 관리가 필요하다.
④ 친구는 분주한 사회생활에서 소중한 휴식과도 같다.
⑤ 훌륭한 예술 작품은 공동 작업을 통해 얻을 수 있다.
[해석]
지난 20년에 걸쳐 나는 수천 명의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어디에 있을 때 최상의 아이디어가 떠오릅니까?” 가장 흔한 대답은 ‘침대에 누워 쉬고 있을 때,’ ‘자연 속에서 거닐고 있을 때,’ ‘음악을 들으며 차를 몰고 있을 때,’ 그리고 ‘목욕을 하며 편히 쉴 때’ 등이다. 사람들이 일하고 있는 동안 최상의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경우는 거의 없다. 숲에서 산책하는 것이나 침대에 누워 쉬는 것에 있어서 무엇이 그리도 특별한 것일까? 혼자 있는 것과 휴식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편히 쉬고 혼자 있을 때 최상의 아이디어를 얻는다. 레오나르도다빈치는 다음과 같은 글을 쓴 적이 있다. “혼자 있을 때 당신은 자신의 완전한 면모를 갖추지만, 어느 한 사람과 함께 있게 되면 당신은 자신의 반쪽만 갖추게 된다.”
[해설]
최상의 아이디어를 얻는 때가 언제인지를 조사한 결과 일에 몰두할 때보다는 혼자 쉬고 있을 때일 가능성이 높았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혼자만의 시간과 휴식이 최상의 아이디어를 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어휘]
frequent 빈번한
solitude 고독, 혼자 있는 것
by oneself 홀로, 외로이
accompany 동반하다
companion 동료, 상대
[정답] 2
108.
Every mother and father wants to raise a child with a strong moral character. We want our children to know good from bad, and right from wrong. We hope they’ll learn to behave morally and ethically, and grow up to be honest and considerate. In short, we want our children to develop a conscience ― a powerful inner voice that will keep them on the right path. But a conscience does not develop by itself, so the job of building one is ours. It’s a process parents need to work on day after day, and year after year. We need to constantly distinguish right from wrong, and to model appropriate behavior. Eventually, our children will fully accept our messages, and they will become the essence of their character.
① 선생님의 조언이 학생의 윤리 교육에 필요하다.
② 아동의 인성은 교육보다 천성에 의해 좌우된다.
③ 부모는 자녀에게 지속적으로 윤리 교육을 해야 한다.
④ 청소년 교육을 위해 지역 사회와 학교가 협력해야 한다.
⑤ 기본 윤리 교육은 아동기보다는 청소년기에 이루어져야 한다.
[해석]
모든 부모들은 자녀를 도덕성을 잘 갖춘 아이로 양육하기를 바란다. 우리들은 자녀들이 선과 악, 그리고 옮은 것과 잘못된 것을 구별하기를 바란다. 우리들은 자녀들이 도덕적이고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방식을 배워서 정직하고 사려 깊은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희망한다. 간단히 말해, 우리들은 자녀들이 양심, 즉 그들이 올바른 길을 걷게 할 확고한 내적인 목소리를 계발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양심은 저절로 계발되는 것이 아니어서, 양심을 축적시키는 일은 우리들의 몫이 된다. 그 일은 부모들이 매일 그리고 매년 염두에 두고 노력할 필요가 있는 과정이다. 우리들은 끊임없이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을 구별하고 적절한 행동을 본보기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결국 우리 자녀들은 우리들이 의도하는 뜻을 완전히 받아들이게 될 것이고, 그러한 뜻은 그들의 성격의 바탕이 될 것이다.
[해설]
부모는 자녀에게 도덕성을 함양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옳고 그를 행위를 가르치고 본보기를 보여야 한다는 주장을 담은 글이다.
[어휘]
moral 도덕적인
know A from B A와 B를 구별하다
ethically 윤리적으로
conscience 양심
work on ~ ~를 두고 일하다, 노력하다
distinguish A from B A와 B를 구별하다
appropriate 적절한
essence 본질, 바탕, 핵심
[정답]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