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산연씨(谷山延氏) 시조 연수창(延壽菖) 곡산(谷山)은 황해도(黃海道) 북동단에 위치하는 지명(地名)으로, 본래 고구려(高句麗)의 십곡성(十谷城)인데 통일신라(統一新羅) 경덕왕(景德王)이 진서(鎭瑞)로 고쳐서 영풍군(永豊郡 : 평산)의 영현(領縣)으로 삼았으며, 고려(高麗) 초에 곡주(谷州)로 개칭하였다. 조선(朝鮮) 태조조(太祖朝)에 곡산(谷山)으로 고쳐서 부(府)로 승격하였다가 태종(太宗) 때 군으로 격하, 1669년(현종 10) 다시 부로 승격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곡산군(谷山郡)이 되어 개성부(開城府)에 속하였다가 1914년 황해도에 속한 군이 되었다. 별칭은 덕둔홀·고곡(古谷)·진서(鎭瑞)·상산(象山) 등이다. 연씨(延氏)는 본래 중국(中國) 남양(南洋)에서 계출(系出)된 성씨로 고려(高麗) 때 홍농(弘農) 출신인 연계령(延繼笭)의 7세손 연수창(延壽菖)이 제국대장 공주(齊國大長公主 : 고려 충령왕비)를 배종(陪從)하고 고려에 들어와 곡산(谷山)에 정착(定着)하게 된 것이 우리나라 연씨(延氏) 시원을 이루게되었다. 그 후 11세손 주(柱)가 광록대부(光祿大夫)로 삼사 좌사(三司左使)에 올라 조선(朝鮮) 태종(太宗) 때 곡성군(谷城君)에 봉해졌으며, 주(柱) 아들 사종(嗣宗)은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를 거쳐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를 역임하고 곡산부원군(谷山府院君)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이 계령(繼笭)을 시조(始祖)로 하고 본관(本貫)을 곡산(谷山)으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문헌(文獻)에는 연씨(延氏)의 본관(本貫)이 곡산(谷山)외에도 개성(開城)·광주(廣州)·남양(南洋)·서원(西原 : 청주 별호)·충주(忠州) 등 36본이 전하나 이는 모두 곡산 연씨(谷山延氏)의 세거지명(世居地名)에 불과하며 현재의 연씨(延氏)는 곡산(谷山) 단일본으로 전한다. 수창(壽昌)의 아들 경(鏡)은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삼중대광 문하시중(三重大匡門下侍中)과 태사(太師)를 역임한 명신(名臣)이었으며, 당대의 문장가(文章家)로 이름을 날렸다. 또한 숙종(肅宗) 때 文章家로 유명하였던 최적(最績)은 송시열(宋時烈)의 문하에서 수업하고 1682년(숙종 8) 증광문과(增廣文科)에 올라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에 이르었으나 당쟁(黨爭)이 격화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학문(學問)연구에만 전념하였다. 근대(近代)에 와서는 1907년 군대가 해산되자 덕물포(德物浦)와 삭녕(朔寧) 등지에서 많은 전공을 세운 의병대장(義兵大將) 기우(基羽)와, 상해(上海) 임시정부(臨時政府)의 중심 인물로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병호(秉昊) 등이 곡산 연씨(谷山延氏)의 가문(家門)을 빛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곡산 연씨(谷山延氏)는 남한(南韓)에 총 6,300가구, 27,058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곡산연씨(谷山延氏) 시조 연수창(延壽菖)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