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시황 무덤을 찾아가는 길 / 秦(진)
秦
진나라(진)
( 보통의 벼보다 수확량이)
두(二) 배로 큰(大) 벼(禾)로 농사짓는
二 두(이) 大 큰(대)
禾 벼(화)
진나라(秦)
春 봄(춘)
泰 클(태)
* 이하의 글은
진나라(秦) 시황(始皇)의 무덤을 찾아가는 약도이다.
秦始皇(진시황)
略圖(약도)
溱
물이름(진)
진시황을(秦) 장사 지내러 가는 길은
허난성 밀현에서 발원한(⺡)
河南省(하남성)/허난성
密縣(밀현)
진수(溱)를 따라.
산시성 남쪽의 진령(秦嶺) 사이의 길이며
溱水(진수)
陝西省(섬서성)/산시성
螓
씽씽매미(진)
이마가 넓어 예쁘게 생긴 곤충(虫)
蟲(虫); 벌레(충)
씽씽매미가(螓) 서식하는
蓁
숲.우거질(진)
수풀(⺿)
⺿(풀초밑)
草木(초목)
우거진(蓁) 부근이다.
榛
가시.덤불(진)
진시황을(秦) 장사 지낸 후 개암나무(木) 등
榛 개암나무(진)
가시덤불을(榛) 옮겨 심어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위장하였다.
僞裝(위장)
轃
이를(진)
엄청나게 많은 진시황의(秦) 부장품은 마차로(車) 실어
副葬品(부장품)
이곳에 이르게(轃) 하였는데
臻
이를.모일(진)
물량이 이렇게 많이 이르런(至) 것을
遝至(답지)
至 이를(지)
‘ 폭주병진(輻輳幷臻) ’ 이라 한다.
輻輳(폭주)
→한 곳에 많이 몰려듦
* 이 기록은 아마도 진시황 장례 후
죽임을 당할 것임을 미리 눈치 챈 신하가
주요 지형을 지날 때마다, 그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비밀리에 한 자 한 자씩 적어 전해진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마차로 엄청난 부장품을 실어 나른 것으로 보아
진시황의 무덤은 그리 가파르지 않은 평지로 보여진다.
진시황무덤; 1974년
한 농부가 발견함(서안)
스마트폰으로도 검색이 가능합니다.
스토리텔링 벽운한자 바로 가기 / http://cafe.daum.net/dkswntn
출처: 스토리텔링 벽운한자 원문보기 글쓴이: 벽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