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지금은 많이 간소화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에선 설날아침엔 일찍
일어나 세수를 하고 새로 지은옷(설빔)을 입고 세찬과 세주를 마련하여
조상님께 세배 드리는 의식 곧 차례를 지낸다.
차례가 끝나면 어른들께 새해 첫인사를 올리고 나서 차례를 지낸 음식으로
아침을 먹고 일가 친척,이웃어른을 찾아 세배를 드린다.
세배를 받는 쪽에선 손님께 대접하는 음식상을 차린다.
이때 어른에겐 술과 음식을 아이들에겐 과자나 돈을 주고 덕담을 건넨다.
또 설날 새벽에는 가족들이 이명주(耳明酒)라 하여 귀가 밝아지는 약주를
한잔씩 마신다.
설날 음식으로 어느 집에서나 공통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떡국이 있다.
먼저 가래떡을 만들어 적당히 굳으면 썰어 떡국떡을 마련한다.
또 가래떡을 굵게 비벼서 떡살로 문양을 찍어 절편이나 꽃절편을 만들며
쑥이나 송기를 넣어 떡을 만들어 차례상에도 올리고 꿀에도 찍어 먹는다.
차례상에는 메 대신에 떡국을 올린다. 식사 때에는 떡국과 특별히 준비한
음식을 함께 내고 그 밖에는 다과상을 준비한다.
정월의 설날 음식에는 떡으로 만들수 있는 떡국,떡만두국,떡볶음,떡찜,
떡산적,떡잡채 등이 있다.
고기음식으로는 갈비찜,사태찜,생선점,편육,족편,지짐으로 녹두빈대떡,각색전,
채소 음식으로 삼색나물,겨자채,잡채등이 있다.
또 우리나라 음식을 대표할수 있는 신선로와 떡과 함께 먹는 장김치가 있고
후식류로는 약과,다식,정과,엿강정,강정,산자,식혜,절편,꽃절편,인절미,
수정과 등이 있다.
먼저 차례상은 신위나 지방을 북쪽에 두고 신위앞부터 1열로쳐 다섯줄이 기본입니다.
또 설날 차례를 지낼때는 메(제삿밥)대신에 떡국을 올리므로 떡과 국수를 따로 놓지 않아도 됩니다.
1열에는 떡국과 시접(수저놓는 그릇),잔밥(잔과 받침대)를 놓습니다.
2열에는 서쪽부터 국수,전,적(구이),조기 순으로 상을 차립니다.
전은 소전,어전,육전을 조금씩 한접시에 내놓아도 무방합니다.
또 조기외에 다른 생선을 올려놓아도 되지만 갈치와 같이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관례상 놓지 않습니다.
적은 어류가 동쪽,육류는 서쪽에 올리고 어류는 머리가 동쪽으로 놓이게 합니다.
3열에는 탕을 올리는데 소탕,어탕,육탕 대신 세가지를 한그릇에 합친 합탕 하나면 됩니다.
4열에는 왼쪽부터 포,숙채,밥알만뜬 식혜를 올립니다.
포는 어포나 육포중 하나만 골라 쓰면 되고 숙주나물,고사리,시금치등의 삼색나물(숙채)을 한그룻에 담습니다.
또 동치미,나박김치 등의 침채도 준비하여 동쪽에 놓고 나물류는 서쪽에 둡니다.
포는 왼쪽,식혜는 오른쪽에 놓습니다.
5열에는 과일과 과자를 놓으며 밤,대추,곶감등 3과가 기본입니다.
홀수로 놓는 과일은 3개만 올려도 충분하며 붉은색이 동쪽,흰색이 서쪽이며 마른것을 왼쪽,젖은것은 오른쪽에 놓습니다.
접시는 동쪽 잔은 서쪽에 놓습니다. 이때 방향은 제주가 차례상을 바라보는 방향이
기준이 되므로 신위가 놓인 쪽이 북쪽 오른쪽은 동쪽 왼쪽은 서쪽이 됩니다.
제사상
제사상 진설법은 각 지방의 관습에 따라 다른 점이 많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향교에서 권하는 제사상 차리는 법을 많이 따르고 있습니다.
진설하는 위치를 말할 때는 편의상 제사 지내는 신위를 향하여 우편을 동쪽,좌편을 서쪽으로 정합니다.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 앞에 신위를 모실 위패(位牌)와 촛대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리고 진설이 다되면 사진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위패에 붙입니다.
제사상 앞가운데 위치한 향상에는 축문,향로,향합을 올려놓으며 그밑에 모사그릇,퇴주그릇,제주(술)등을 놓습니다.
[ 한분을 모실때의 제사상 차림도 ]
[ 고인의 내외분을 함께 모실때의 제사상 차림도 ]
진설하는 방법에서 기본이되는 몇 가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반서갱동=>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 한다.
즉 산사람의 상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적전중앙=>적은 중앙에 위치한다.
적은 옛날에는 술을 올릴때마다 즉석에서 구워 올리던 제수의 중심 음식이었으나
지금은 다른 제수와 마찬가지로 미리 구워 제상의 한가운데 놓는다.
좌포우혜=>4열 좌측 끝에는 포(북어,문어,전복)를 놓고 우측 끝에는 젓갈을 놓는다.
어동육서=>생선은 동쪽에 놓고 육류는 서쪽에 놓는다.
두동미서=>생선의 머리는 동쪽을 향하게 하고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과일중에 붉은색 과일은 동쪽에 놓고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조율시이=>조율시이라하여 좌측부터 대추,밤,감(곶감),배(사과)의 순서로 놓는다.
좌면우병=>2열 좌측에 국수를 우측에 떡을 놓는다.
생동숙서=>4열 동쪽에 김치를 서쪽에 나물을 놓는다.
건좌습우=>마른것은 왼쪽에 젖은것은 오른쪽에 놓는다.
진설하는 열은 모두 5열로 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니다.
제1열은 술잔과 메(밥),떡국(설),송편(추석)을 놓는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시접(수저와 대접)은
단위제의 경우에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부분에 올린다.
제2열은 적과 전을 놓는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적),어적(어패류적),소적(두부 채소류적)의 순서로 올린다.
적: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전: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후라이 팬에 부친 음식(부침개).
제3열은 탕을 놓는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탕),소탕(두부,채소류탕),어탕(어패류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때는 봉탕(닭,오리탕),잡탕등을 더 올린다. 한가지탕으로 하는 경우도 많이있다.
제4열은 포와 나물을 놓는 줄
좌측 끝에는 포(북어,대구,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식혜나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숙주나물,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삼색나물이라하여 고사리,도라지,시금치나물등을
쓰기도하며 김치와 청장(간장),침채(동치미,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제5열은 과실을 놓는 줄
좌측부터 대추,밤,감(곶감),배(사과)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과일,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