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부분
병원약사는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의 약제부(병원에 따라 약제과, 약제팀 등으로 명칭이 다르다)에 속하면서 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의약품 조제 및 복약지도, 외래환자에 대한 의약품 조제 및 복약지도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병원약사는 병원이라는 다양한 보건의료 인력이 세분화된 전문직능을 발휘하는 복잡한 구조의 조직사회에서 약과 연관된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전문인이다.
병원에서 약사의 역할은 병우너의 규모, 경영주체 등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주된 업무는 환자를 중심으로 한 업무가 기본을 이루고 있다.
의약분업 이후 병원약사의 업무영역은 조제중심에서 환자중심의 임상약제 업무제공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의약품의 치료학적인 정보제공, 신약개발과 관련된 임상시험약 관리약사로서의 역할, 끊입없는 보수교육과 병원약학 관련 연구 업무, 세부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의료팀내에서 환자의 치료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약사의 전문성을 요구받고 있다.
병원약국에서는 의약품의 구매․조달 등을 담당하는 의약품 관리 업무를 비롯 약무․행정․인력관리업무, 조제(입원, 외래)․감사 및 투약 업무, 복약지도 업무, 조제실 제제 관련 업무, 의약품정보 제공 업무, 주사제 무균 조제 업무(정맥주사, 고영양수액제 및 항암주사제), 원외처방전 관리업무, 마약류관리업무, 임상시험약관리, ADR(약물이상반응모니터링, Aderse Drug Reaction), TPN(영양요법 자문, Clinical Nutrition), 종양약학(Oncology Pharmacy), TDM(임상약동학 업무, Clinical Pharmacokinetics), ACS(항응고약물상담, Anticoagulation Service) 등과 같은 특수질환 복약상담, DUE(약물사용평가, Drug Use Evaluation), 교육․연구활동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약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잘 훈련되고 교육받은 약사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야 한다.
병원약사의 장점과 특징은 약사의 기본기인 약학의 전문성을 살릴 수있는 조직. 약학뿐만 아니라 각각의 주특기를 전문적으로 가져야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조직이다.
개인적 주특기와 기본기로 조직과 함께 성정해 갈 수 있다.
병원약사의 장점은 환자를, 그중에서도 중환자를 직접 케어할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를 통해 약사로서의 자기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고 전문성을 살릴 수 있다.
병원에서 여러 직종의 부류의 사람들과 선의의 경쟁통한 자기발전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하기도 한다.
Ⅰ. 병원 약제부의 구성
대형 종합병원에 속해 있는 약제부를 예로 들면 약제부는 약무과, 조제과, 임상지원과 등으로 나뉘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다.
◇병원 약제부의 일반적인 구성
종합병원 약제부는 이와같이 약무과, 조제과, 임상지원과 등으로 나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며 각과별 주요 업무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약무과
(1)약무․약품관리계
1)기본 운영계획 및 시행
2)대내외 행정업무
3)전산시스템의 유지 및 관리
4)인력운영 및 인사관리
5)약품의 재고관리
6)약물치료학위원회(P&T)관련 업무
7)약품관리위원회(PA)관련 업무
(2)약물정보계
1)약물정보 제공 및 비치문헌 관리
2)약물치료학위원회(P&T) 신약 심의자료 작성
3)약물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 및 관리
4)약물치료관련 정보지(뉴스레터) 발행
5)원내 의약품집 발행
6)교육업무(원내외 약사, 약대생) 주관
7)PDA용 약물정보 제공 서비스
8)의약품 부작용 모니터링
9)원내 사용중인 약물의 재평가
2. 조제과
(1)병동조제계
1)병동약국
①병동 입원 환자 및 응급실 환자에 대한 24시간 조제, 투약 업무
가)처방약 조제 및 공급
나)병동담당 약사제 운영 : 병동 비품약 관리 및 약품관련 정보 제공
다)원내 사용 마약관리
라)응급실 재실 환자 약 조제 및 공급
②제제실
가)조제실 제제 및 특수제제의 조제 및 공급
-시판되지 않는 제제의 생산
-배산, 배용제 및 1회용 포장제의 생산
-각종 소독 및 처치용 약품의 생산
나)제제 관련 연구 및 개발 업무
-조제실제제 품질관리 및 약품관련 실험 실시
-무균제제 및 RO수 품질관리
-주사제 혼합액의 안정성 시험
(2)외래조제계
1)외래약국
:외래 약국의 업무 Flow를 살펴보면 약 처방 조제 전 사전감사 → 조제(산제, 수제, ATC, 계수) → 감사 → 환자에 대한 투약 및 복약지도를 담당하게 된다.
-의약분업 예외환자, 응급실 퇴실환자 약 조제 및 투약 업무
-복약상담 및 당뇨교육 업무
※의약분업 예외환자란?
-응급환자, 정신질환자
-제1종 전염병 환자
-파킨슨병 환자, 나병환자
-1,2급 장애환자
-국가 유공자 상이등급 1급 내지 3급
-장기이식환자
-고엽제 후유증 환자 등
2)처방전 관리실
: 처방전 관리실 업무 Flow는 약처방 스크리닝 → 문제처방 처리, 반납 및 재교부 → 원외처방의 대체, 변경 및 수정처리와 진료과 피드백, 복약상담으로 진행된다.
-외래 원외 처방 사전 스크리닝 및 문제처방 관리
-처방 취소 및 반납처방 처리
-원외처방전 발급 및 복약상담
-대체조제 통보내역 정리
- 처방 수정, 변경 등 처방관련 문의 상담
3)임상시험약국
①임상시험계획서(Protocol) 검토
②Premeeting 참여 및 시험약 투여계획 수립
③시험약 요약정보 작성, 처방코드 등록 및 공지
④시험약품관리(입고, 보관, 반납 등)
⑤임상시험약 처방전 관리 및 투약기록지 작성
⑥임상시험약 조제, 투약, 복약지도
⑦각종 audit 및 inspectin 준비
3. 임상지원과
(1)임상지원계
1)CPS(Clinical Pharmacokinetics Service ; 임상 약물동력학 자문서비스)
①TDM(Therapeutic Drug Monitoring)
②주요 치료약물의 혈중농도 해석 및 자문
-TDM 자문의뢰 환자에 대한 임상 약물동력학 자문 업무 제공
-약사교육 및 원내 의료진에 대한 교육
-연구활동
③TDM 대상약물
-Aminoglycosides : Amikacin, Gentamicin, Tobramycin
-Vancomycin
-Theophyline
-Digoxin
-Quinndine
-Anticonvulsants : Phenytoin, Phenobarbital, Carbamazepine, Valproic acid
-Immunosuppressive Agents : Cyclosporine, Tacrolimus(FK506)
④기대효과
-치료효과 증대
-부작용 감소
-환자치료의 질적향상
-재원일수 단축
2)ACS(Anticoagulation Service, 항응고약물 상담 업무)
①ACS의 역할 및 기능
-복약상담
-혈액응고 검사(PT) 및 INR 결과 확인
-Warfarin 용량 조절
-항응고제에 의한 출혈 또는 형전생성의 부작용 방지
-약물상호작용 모니터링(예: Aspirin, Cimetidine, 한약, Vit.K(케일녹즙) 등)
-의료진과 협진체계 구축(ACS Summary Sheet 제공)
②기대효과
-집중적인 복약상담을 통한 복약순응도 향상
-치료효과 증가 및 부작용 감소
-환자 치료의 질적인 향상
-재원일수 단축
-외래 진료시간의 효율적 사용
-환자 만족도 향상
3)RS(Respiratory Service, 호흡기약물 상담업무)
①소아과, 호흡기 및 알레르기 내과 의뢰 환자 대상
②천식 및 알레르기 비염 등 질환 및 환경관리, 약물 치료의 중요성 등에 대한 복약상담
③호흡기 약물 사용법에 대한 교육 및 지속적인 관리
④복약상담
⑤기대효과
-환자의 복약순응도 향상
-치료효과 증가 및 부작용 최소화
-외래 진료시간의 효율적 사용
-환자 만족도 향상
(2)주사제계
*주사제실 : 일반 주사제, TPN 및 항암제 주사 조제
1)주사제실 업무
①주사제 무균 조제 업무
-외래 환자의 항암제 조제
-혈액종양내과를 제외한 진료과 입원환자의 항암제 조제(소아과, 부인과 등)
-입원 암 환자에게 투여되는 항생주사제․전해질 등의 Ⅳ Admixture
-TPN(Total Parenteral Nutrition) 조제
2)임상 약제 업무
①NST(Nutrition Support Team) 활동
②TPN 자문 및 Follow up
③TPN 관련 회진
④소아과 환자 Chemotherapy regimen 감사 및 회진 참여
⑤외래 단기 Chemo환자 Chemotherapy regimen 감사
⑥각종 약물정보 제공 및 교육
⑦관련 분야 공동 연구 활동
*혈액종양내과 병동약국 : 혈액종양내과 병동 내에 위치한 Satelliter Pharmacy로 Bedside에서 신속한 환자 상태 파악 및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며 임상 약제 업무 제공.
1)임상 약제 업무
①혈액종양내과 환자 Chemotherapy regimen 감사 및 회진 참여
②혈액종양내과 TPN consultation 및 follow up
③각종 약물 정보 제공 및 의료진 교육
2)주사제 무균 조제 업무
①혈액종양내과 환자의 항암제 조제
②일부 무균적 조작이 필요해 의뢰받는 약물 조제
Ⅱ. 전공약사 수련제도
병원약사가 될 수 있는 길은 약사 면허 취득 후 자격을 갖춰 각 병원의 구인광고를 보고 지원하면 된다. 최근에는 전공약사제도를 통해 1년에서 2년 정도의 별도 수련 과정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전공약사를 양성하는 제도가 확산되고 있다.
전공약사 제도는 약학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현 약학대학 교과과정에서 부족한 임상약학 분야에 대해 체계적인 이론과 실습교육을 실시해 자질 있는 병원약사를 양성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대병원이 지난 1983년 처음으로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94년 삼성서울병원, 96년 서울아산병원 97년 성모병원과 강남성모병원, 2004년 분당서울대병원, 2006년 국립암센터, 2008년 세브란스병원 등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공약사는 병원에 따라 1년 또는 2년까지의 수련과정을 두고 있으며 영어와 약물학, 약제학 등의 필기시험과 면접을 통해 선발하고 있다. 1년차의 경우 조제실무와 임상약제업무를 익히며 2년차에는 각 전공분야별로 임상약제 업무를 습득한다.
전공약사제도는 약제업무 전반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및 합리적인 약물요법을 실행하기 위한 약사 고유 직능의 수행 기회를 제공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현재 각 병원의 전공약사 비율도 높아지고 있어 서울아산병원 정규약사의 61%가 전공약사 출신일 정도이다. 또 분당서울대병원도 55%, 성모병원도 44%가 전공약사가 차지하는 등 각 병원의 전공약사제도는 확산되고 있다.
전공약사제도는 병원 약제업무의 질적 향상과 함께 전문성을 가진 약사 양성, 약제부서 내 교육자 자체교육 확대 등을 가져오는 성과를 낳고 있다.
향후 전공약사제도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의사수련제도와 같이 공식적으로 인준 받을 수 있는 제도의 도입과 함께 교과과정의 표준화가 시급하다. 또 현재의 종합병원 등 대형병원 위주에서 벗어나 중소병원으로 확산되기 위한 교육제도 마련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
첫댓글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