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간화선 현실 참여
결여됐다는 주장 큰 오해
간화선사들 각 시대마다
치열한 현실인식으로
대응하며 일관된 삶
음악ㆍ글쓰기 명상 등
응용분야 연구도 발표
경영위기 극복대안으로
선 유용하다는 주장도 제기
지난 4월25일 연세대에서 열린 한국선학회 춘계학술세미나에서 ‘간화선의 현실 인식과 대응’을 주제로 발표한 박희승 실장(가운데)과 토론자 김종인 교수(왼쪽), 사회자로 나선 동국대 교수 혜원스님. |
역대 간화선 선사(禪師)들이 깊은 산속에서 수행에만 전념한 게 아니라 각 시대마다 치열한 현실인식과 대응으로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다는 주장이 나왔다. 박희승 성철선사상연구원 연구실장은 한국선학회가 지난 4월25일 연세대 외솔관에서 연 춘계학술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 실장은 ‘간화선의 현실 인식과 대응’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최근 ‘간화선에 현실 참여 의식이 결여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는데, 선 실참자의 입장에서 이를 반박하기 위해 나왔다”며 “간화선사들은 자신의 본분에 충실하면서 선을 통해 불교와 사회개혁을 추진했다”고 주장했다.
박 실장은 역사적으로 대표적인 선사들의 삶을 사례로 들며 ‘선에서 현실 대응 방안이 나올 수 없다’거나 ‘깨달음 지상주의가 현실대응에 장애’라는 주장에 반론을 제기했다.
박 실장은 평생 수행에 전념했던 성철스님을 대표적인 사례로 제시했다. 군사독재의 서슬이 시퍼렇던 시절 철저히 현실정치와 거리를 뒀던 스님을 일부에선 “현실도피자”로 비판하기도 했다. 박 실장은 “성철스님은 조선조 이래 수백 년 동안 산중으로 밀려나 겨우 명맥을 이어온 불교를 살리기 위해 인재양성과 교단 쇄신에 노력했다”며 “전체 승려 중 대처가 80%이상이었던 당시 현실에서 봉암사에서 몇몇 비구승들이 결사한다는 것은 큰 도전이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성철스님은 독재정치 현실에서 섣부른 사회참여가 아닌, 산중에서의 선풍진작과 불교 본질 회복이 불법(佛法)을 유지하고 미래를 밝혀나갈 방안이라고 확신하고 실천했다는 것이다.
근현대 선불교 중흥조로 꼽히는 경허스님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박 실장은 1895년 갑오개혁기 수 백 년 만에 처음으로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돼 전국 스님들에게 한양구경이 붐인 시절, ‘경성 땅을 밟지 않겠다’고 말한 선사의 한 마디에 치열한 현실인식이 나타나 있다고 피력했다. 불교의 미래를 도시가 아닌 산중에서 선풍을 재건해 불교의 정체성을 세운 것으로 현실에 대응해 나갔다는 것이다.
1876년 개항 이후 격변기에는 유대치, 오경석 등 재가불자들이 유교의 한계를 느끼고 선(禪) 정신으로 나라 혁신을 도모했음을 덧붙였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김종인 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는 이같은 박 실장의 주장에 동의하며 “일부 학자들이 통속적 윤리관을 갖고 한국 간화선이 현실참여가 결여됐다고 주장하는 것을 보면 어리둥절한 느낌이 든다”며 “문제의식 자체가 1980년대에 머물러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간화선의 현실 인식 문제가 불교계 주요 논쟁점이 된 것은 1980년대 후반부터다. 이후 2000년대 들어 불교학계에서도 이 문제를 제기하게 되고 최근까지 이를 중요한 논의 주제로 삼고 있다. 김 교수는 “세속인들이 불교의 초세속적 삶의 양식에 위안을 얻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승단은 급속히 세속화 되는 것이 현실임을 생각하면 산중에서 수행하는 활동은 더 귀하게 여겨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한편 이번 학술세미나에서는 전통적인 선(禪)을 넘어 실생활에 적용한 생활명상법과 관련된 논문들도 다수 발표됐다.
이날 동국대 박사과정을 수료한 류상윤 씨는 ‘조사선에서 원용하는 경영의 위기관리’를 주제로 선(禪)과 수행이 경영 일선에 유용한 해법으로 쓰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류 씨는 “경영을 성공적으로 이뤄내려면 변화에 대한 감지능력, 선제적 대응, 구성원들의 능동적인 대처가 있어야 하는데, 선은 위기를 돌파하는 굳건한 정신적 토대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성수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는 가정폭력피해자쉼터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글쓰기 명상의 치유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글쓰기 명상은 글을 쓰기 위해 자신의 내면을 주시하고 문자로 드러내 확인하는 과정 전반을 일컫는다. 김 강사는 자신이 직접 경기도의 한 쉼터에서 생활 중인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글쓰기 명상을 실시한 결과, 마음챙김을 강화시키고 우울반응을 효과적으로 저하시키는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최현규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강사는 ‘음악명상과 사마타, 위빠사나 수행의 접점’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음악명상은 행복감을 주는 것은 물론 최적화된 의식 상태로 이끌어주는 훌륭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불교신문3103호/2015년5월6일자]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수많은 사람들이 등산겸 절을 찾아 가건만 오는 사람들한테 부처님 법을 전하는 절을(십수년전) 본적이 없습니다.
시장 바닥에서 힘들게 살아가느 사람들한테 불법을 전하는 경우도 본적이 없습니다. 병원에서 병으로 고통을 받는 사람들한테 마음의 위로가 되는 전법을 전에는 본적도 없습니다. 화두불교의 전적인 폐혜는 깨딸음 지상주의 입니다. 무었때문에 깨딸을려고 하는지 의문을 가진지가 오래 되었습니다. 불법은 연기법입니다. 연기법에 저촉이 되는 어떠한 불법도 불법이라고 할수가 없습니다. 불교의 본질이 이고득락입니다. 법문도 스님들한테 하는 법문 하고 일반재가 불자들한테 하는 법문이 분명 구별되어야 합니다.
뻐뜩하면은 눈먼거북이 토끼의 뿔이니 알수가 없는 선문답을 하는걸 보면은 참으로 한가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부처님은 절대 알아듣지 못하는 그런 어리석은 법문을 한적이 없습니다. 오직 하면은 시중에 선문답이라는 이야기가 나옵니까.
부처님은 맨발로 인도전역으로 한 사람이라도 더 중생을 구제할려고 제자들을 둘이서 동행하지 말라고 하였겠습니까.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부귀빈천이에 지금도 절에서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에 불교가 박해를 받았는것도 따지고 보면 자업자득입니다. 깨딸음 지상주의에서 부처님의 근본사상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스님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