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rsssf.com 홈페이지 기준으로 2017시즌 또는 2016-17 시즌 리그 운영 방식을 취합하여 보았습니다
단순 홈페이지 기준으로 취합하였으니 혹여나 틀릴 수도 있습니다
대한민국 K리그 스플릿 방식과 더불어 유럽 중소리그는 어떤 방식으로 리그 및 스플릿을 운영하고 있는지
확인하여 보기 위해서 직접 손으로 적어가며 만든 자료입니다
스플릿제도가 있는 리그 |
국가 , 리그 | 리그 팀수 | 정규리그 라운드 | 정규리그 경기수 | 스플릿 조합 | 스플릿 경기수 | 총경기수 |
대한민국 K리그 | 12 | 3 | 33 | 6+6 | 5 | 38 |
웨일스 | 12 | 2 | 22 | 6+6 | 10 | 32 |
우크라이나 | 12 | 2 | 22 | 6+6 | 10 | 32 |
보스니아 | 12 | 2 | 22 | 6+6 | 10 | 32 |
불가리아 | 14 | 2 | 26 | 6+4+4 | 10 or 6 | a그룹 36 b,c그룹 32 |
키프러스 | 14 | 2 | 26 | 6+6 & 2자동강등 | 10 | 36 |
덴마크 | 14 | 2 | 26 | 6+4+4 | 10 or 6 | a그룹 36 b,c그룹 32 |
이스라엘 | 14 | 2 | 26 | 6+8 | 10 or 7 | a그룹 36 b그룹 33 |
루마니아 | 14 | 2 | 26 | 6+8 | 10 or 14 | a그룹 36 b그룹 40 |
스코틀랜드 | 12 | 3 | 33 | 6+6 | 5 | 38 |
스플릿 없이 정규리그만 진행되는 리그 |
국가 , 리그 | 팀수 | 정규리그 라운드 | 정규리그 경기수 | 스플릿 조합 | 스플릿 경기수 | 총경기수 |
몬테네그로 | 10 | 4 | 36 | | | 36 |
핀란드 | 12 | 3 | 33 | | | 33 |
헝가리 | 12 | 3 | 33 | | | 33 |
아일랜드 | 12 | 3 | 33 | | | 33 |
크로아티아 | 10 | 4 | 36 | | | 36 |
오스트리아 | 10 | 4 | 36 | | | 36 |
마케도니아 | 10 | 4 | 36 | | | 36 |
카자흐스탄 | 12 | 3 | 33 | | | 33 |
아이슬란드 | 12 | 2 | 22 | | | 22 |
스위스 | 10 | 4 | 36 | | | 36 |
슬로베니아 | 10 | 4 | 36 | | | 36 |
슬로바키아 | 12 | 3 | 33 | | | 33 |
리그 운영 방식에는 정답이 없지만, 여러리그를 연도 별로 찾아본 결과
스플릿이 최근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것은 맞는것 같습니다
우리나라는 스코틀랜드와 똑같은 방식이고 스플릿을 운영하는 대다수의 리그는 3라운드제를 많이 채택하지 않네요
스플릿 흥행에 있어 우리의 고민과 다르지 않을 듯 한데 어떠한 방식으로 변화가 이루어 질지
계속 지켜보고 벤치마킹 할 것은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첫댓글 깔끔하게 10개팀 36경기도 나쁘지 않을것같긴한데..
33경기는 특정팀과 홈or원정 경기가 불균형적으로 되면 형평성 문제가 있고..
@클로이 베넷 네 그래서 전 스플릿 맘에 안들어요..
팀수를 개편하든 어쩌든 간에 빨리 바뀌었음 좋겠어요
14팀 되면 애매하겠네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공감...
경기수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지 않나요,,,
EPL에서 챔스 우승하는 팀의 경우, 컵대회와 FA컵 까지 따지면
리그 경기수 38경기 + 리그컵 1~5경기 + FA컵 우승시 5경기 정도(게다가 컵대회는 비기면 재경기도 가능) + 챔스 우승시 13경기
보통 최대 38경기에서 최대 60경기 내외까지 치룹니다....
그래서 챔스나 유로파 리그 나가는 유럽팀의 경우 더블 스쿼드를 구축하고, 유망주 영입에 열을 올리죠.
선수에게 연봉을 주는 구단은 경기를 많이 치를 수록 좋고, 팬 또한 경기가 많을수록 좋습니다.
선수단이 힘든거야 후보 선수들을 활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후보 선수들도 기회를 얻는 기능도 있고요.
개인적으로,,,
한국은 K리그 2라운드 22경기 + 스플릿 2라운드 10경기 하면 32경기가 되는데,,,
이정도도 적다고 생각해야 하죠,,,
1주일에 1경기 하면, 운 나쁘면 홈경기는 2주에 한번 3~4주에 한번 할수도,,
그렇게 되면 팬들의 집중력이 떨어지죠...
왠만하면 1주에 2번, 최소 2주에 3번 정도 하는 일정이 나와줘야
1주 또는 2주에 한번꼴로 홈경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K리그가 연속성을 갖으려면 경기가 많아야 합니다
@oah123 참애매한게 22경기하고 스플릿을 하면 7위 8위팀들의 동기부여가 문제가 되죠. 우리나라의 경우 주목을 못받는 하위스플릿의 경기수가 많으면 언론의 냉혹한 홀대를 받아야 할거고요.. 단일시즌은 재미가 없다고하고, 스플릿은 B그룹흥행 문제가 있고, 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의 정통성을 떨어뜨리고, 리그시스템을 자주 바꾼다면 연속성도 떨어지고..무엇이 좋은지 참 알수가 없어요 현재로써는 지금방식의 스플릿을 10년이상 장기적으로 실행하면서 조금씩 보완하는 방법을 찾는수밖에요..
@슈퍼마켓 저는 스플릿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고요,
스플릿이 단일리그와 PO의 장단점을 적절하게 섞은 시스템이라고 봅니다.
리그의 연속성을 갖으면서 순위결정전을 하는 팀끼리의 경기수를 증가시켜 승점 6점짜리 경기를 많이 발생시키니까요
단, 저는 경기수가 많이 적고, 1부리그 팀을 14개를 늘리든 어떻게 하든 경기수는 많은게 좋다는걸
이야기 드리고 싶었어요
스플릿B의 단점은 승강제 시스템으로 극복 해야 하는데
강등 당하는 팀을 2개로 늘리고, 강등 플레이오프에 참가하는 팀을 늘리는 식의 보완점이 있겠죠
아무튼 저는 스플릿을 긍정적으로 봅니다
유럽 각리그의 스플릿 제도에 대해 보기편하게 정리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