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馬之智(노마지지)
늙은 말이 지혜롭다는 뜻으로, 세상살이가 경험에 의하여 축적된 지혜가 난관 극복에 도움이 된다. 사물은 자기 特長(특장)이 있음을 이름. 아무리 하찮은 인간도 나름대로의 장점과 특징을 기지고 있음을 이르는 말. 老馬之道(노마지도). 老馬識途(노마식도).
韓非子(한비자) 說林篇(세림편) 실려진 이야기로, 管仲(관중)과 隰朋(습붕)이 제나라 桓公(환공)을 따라 孤竹國(고죽국)을 정벌하려다 길을 잃으니, 관중이 말하기를, 이런 때는 늙은 말이 본능적 감각으로 길을 찾을 수 있다.
늙은 말의 지혜를 이용하는 것이 좋겠다 하고(老馬之智 可用 : 노마지지 가용), 늙은 말을 풀어 놓고 그 뒤를 따라가니 과연 길을 찾는다.
가는 도중 사람도 목이 마르고 말도 물을 먹여야 하는데 그런데 또 물이 보이지 않는다.
이번에는 습붕이 말하길, 개미는 겨울에 산의 양지쪽에 여름이면 음지에 집을 짓는데 개미 둑을 한 치만 되면 그곳에 물이 나온다.
과연 파보니 물이 나왔다.
관중과 습붕이 지혜로운 사람도 자신이 모르는 일에는, 하찮은 늙은 말이나 개미까지 스승으로 모시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지 않으니(不恥下問 : 불치하문),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자신의 어리석음에도 성현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된 일이 아닌가?
환공이 찬탄해 마지않으며 습붕은 과연 성인이로다.
그래서 샘은 聖泉(성천)이라고 하고 伏龍山(복용산)을 龍泉山(용천산)이라 이름을 고쳐 불렀다.
이처럼 미물도 뛰어난 장점이 있듯이 하찮은 사람일 지라도 반드시 뛰어난 점이 있어 適材適所(적재적소)에 배치하여 할 일을 부여한다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성완용/ 법고창신 중에서
첫댓글 이처럼 미물도 뛰어난 장점이 있듯이 하찮은 사람일 지라도 반드시 뛰어난 점이 있어 適材適所(적재적소)에 배치하여 할 일을 부여한다면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