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불교인드라망 원문보기 글쓴이: 부루나/원더우먼♠
| ||||||||||||||||||||||||||||||||||||
[불교의 리더십을 말한다] 한국불교대학 大관음사 회주 우학 스님, 월세50만원 포교당이 15만 불자의 수행처가 되다 | ||||||||||||||||||||||||||||||||||||
인류 최초의 종합대학인 인도 나란타대학(那蘭陀大學). 굽타왕조의 왕 쿠마라굽타 1세(415~454)를 시작으로 여섯 군주가 수백년 동안 불사를 이어갔던 곳이다. 오래전 석가모니 부처가 전법교화를 펼치기도 했던 곳은 대학이 들어선 후 많은 승려·학자가 했다. 당나라 삼장법사 현장 스님도 이곳에서 유학하며 불교를 배웠다. 나란타대학은 1915년 발굴된 규모만 남북 500m, 동서 250m에 이른다. 대규모의 사역(寺域)에서는 사각형의 수행처와 5동의 사찰, 10동의 승방(僧房)터가 발굴됐다.
한국에도 나란타대학 같은 곳이 있다. 대구 시내 한복판에 자리한 한국불교대학(舊 영남불교대학) 대관음사가 그곳이다. 대구시 남구 봉덕3동 대로변에 자리한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는 연건평이 5000여 평에 이르는 매머드급 도심사찰이다. 지하2층 지상7층 건물에는 법당과 강원, 선방, 출판사, 스튜디오, 박물관, 도서관, 서점, 꽃집, 용품점, 어린이집과 유치원, 노인전문병원, 납골당 등 없는 시설이 없다.
회주 우학 스님은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를 20여 년 전인 1992년 5월부터 신도들과 한마음으로 일궈왔다. 2012년 5월 15일이면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가 창건한 지 20년이 된다. 우학 스님 만의 비전과 리더십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불교대학’ 플랭카드만으로 140명 모아 대구를 지나는데 포교당 한 곳이 운영이 안돼 교회로 넘어간다는 소리를 들었다. ‘부처님이 앉았던 곳에 십자가가 서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스님은 보증금 3000만원에 월세50만원의 포교당 살림을 시작했다. 신도 몇몇이 참기름을 팔며 포교당의 보증금이며 월세를 도왔다.
“당시 해제비로 125만원을 받아 갖고 있었습니다. 100만원은 중고 복사기를 한 대 사고, 나머지 돈으로는 플랭카드 10장을 만들었습니다. 일일이 전봇대에 올라가 걸었습니다.” 우학 스님은 직접 강의했다. 교재도 시중의 책이 아닌 자신이 직접 만든 교재를 신도들에게 나눠줬다. 1시간을 가르치기 위해 10시간 이상 연구하고 준비하며 강의에 혼신의 힘을 다했다.
경전을 가르쳐 신도들의 의식이 깨어도 수행이 뒤따르지 않으면 오래가지 못합니다. 경전을 공부해 길을 알았다면 그 길을 직접 걸으며 수행의 참맛, 참선의 재미를 느껴야 합니다. 한국불교대학과 대관음사가 둘인 듯 둘 아닌 것은 이 때문입니다.” 교리공부가 수행으로, 수행은 봉사로, 봉사는 포교로 한국불교대학은 확실히 자리매김돼 갔다.
스님은 곧바로 어린이 법회도 시작했다. 순식간에 300여 명이 모여들었다.
신도들의 힘은 대단했다. 3년 여 만에 부채를 모두 갚았다. 7층 규모의 현재 법당 불사가 진행되는 동안 보훈병원, 영대병원 등 병원은 물론 교도소, 군부대 법회도 진행했다. 이웃을 돕는 봉사활동도 체계화해야겠다 싶어 2000년에는 복지법인도 만들었다. 현재 복지법인에서는 수십명의 직원이 100여 어르신을 돌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설 증축도 계획 중이다. 우학 스님은 “안거를 지키고 수행에 힘쓴 것이 (지금까지 불사를 이룬) 큰 힘이 됐다”고 말했다. 스님이 안거 중인 동안 신도들은 자율적으로 사찰을 운영했다. 이를 통해 한국불교대학은 저절로 투명하게 운영됐다. 우학 스님은 2004년 백담사 무문관에서도 수행했다. 무문관 수행경험을 살려 단위사찰로는 드물게 감포도량에는 무문관을 열었다. | ||||||||||||||||||||||||||||||||||||
한국불교 일류화 위해서는 네트워크 절실 스님은 사찰 규모가 커지자 단일사찰로는 안되겠다고 생각했다. 2000년 미국을 다녀오면서 우학 스님은 크게 깨친 바가 있었다. 세계 무대에 서 보니 한국불교가 전무하더라는 것. 스님은 네트워크와 국제화를 발원했다. 영남불교대학을 한국불교대학으로, 관음사였던 사명을 대관음사로 바꾼 것도 이때이다. 우학 스님은 네트워크를 위해 대구 대관음사를 중심으로 1000개 도량 건립을 발원해 지금 이 순간에도 실천 중이다.
“불교가 현대사회에서 자생하려면 단일사찰로는 역부족입니다. 형제사찰을 갖고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합니다. 국내는 물론 해외도량과도 연계돼야 한국불교의 세계화, 현대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우학 스님은 인터넷 포교도 빼놓지 않았다. 한국불교대학이 운영중인 다음카폐 불교인드라망(cafe.daum.net/indelamang)은 국내 불교커뮤니티를 손꼽았을 때 빠지지 않는다. 인터넷을 통해 스님은 법문을 동시 방송했다. 대구 대관음사를 비롯해 서울 제기동 도량, 미국, 독일 등 전세계에서 동시에 스님의 법문을 듣는다.
한국불교대학의 3대지표는 근본불교 세계불교 첨단불교이다. 근본불교를 통해 부처님의 정법을 가르치고 전파하며, 세계불교를 통해 불교의 세계화를 이루며, 첨단 문명을 활용해 불교위 현대화를 이루겠다는 목표이다.
미래를 말하기 전 어린이 포교부터
최근 한국불교대학은 NGO단체인 사단법인 참좋은인연 B.U.D.도 결성했다. 네팔 불가촉천민의 마을에 보육원을 지어주기도 했다. 이는 불자라면 당연히 이웃을 도와야 하고 더 많은 이웃을 돕기 위해 조직이 필요하다는 스님의 비전에서 비롯됐다.
우학 스님은 신도교육 만큼이나 승가교육도 중요하다는 생각에 주기적으로 불교계 신문에 행자모집 공고를 낸다. 현재 상좌만 60여 명. 그 중에는 외국인스님도 있다. 우학 스님은 “상좌들이 공부를 원하면 얼마든지 시켜준다”고 말했다.
2040년까지 1000개 분원 세운다 우학 스님은 생활이 곧 불교가 되는 예로 ▷매일 30분 좌선 ▷<금강경> 독경 ▷1시간의 관음정근 ▷이웃을 위한 선행 한가지 ▷1인 두사람 포교하기 등을 꼽았다.
그것을 이룬 곳이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이다. 어린이집, 유치원부터 노인요양센터, 노인병원, 납골당까지 모두 갖춘 이곳은 불교에 관한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한 곳, 새로운 개념의 도심 총림이다. 우학 스님은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의 성공요인을 열린 사고, 수행력, 대중친화력, 투명운영, 부단한 자기성찰로 꼽았다. 스님은 사찰재정의 투명한 운영과 수행에 기반한 신도와의 교감 외에 스스로 자기점검을 철저히 해 매너리즘에 빠지지 말아야한다고 강조했다. 또, 강의와 법문은 쉬울수록 좋다고도 말했다.
한국불교대학 대관음사, 우학 스님은 한국불교의 새로운 성공모델을 오늘도 만들어가고 있다.
| ||||||||||||||||||||||||||||||||||||
|
첫댓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