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22:1
눈에 보이는 것만으로 판단하고 헤아리기 쉽고 그 밖에서 어떤 일이 벌어
지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내가 알 수 없는 곳에서도 신실하게
일하고 계십니다. 당신의 약속을 지키시려 열정적으로 일하시는 하나님을
믿는다면, 백성인 우리의 태도는 어떠해야 할까?
-
사극을 보다보면 살을 쏘는 대목이 종종 나오는데 지금 생각하면 어이없어
보이지만 당시에는 목숨을 걸고 그 일을 한 걸 보면 샤머니즘의 이해가 그리
간단한 건 아닙니다. 폐비윤씨 송이가 성종의 총애를 받기위해 주술로 인형을
만들어 저주한 일로 급기야 폐위가 되었고 훗날 연산군에 의해 전모가 밝혀
-
지면서 주모자이었던 엄숙의, 정숙용이 모두 처형되는 일이 기록되어있습니다.
본문은 이스라엘이 모압 평지에 진을 치자 이에 긴장한 모압의 왕이 당대
영험 한 술사를 통해 저주를 내리게 해서 이스라엘을 물리치려는 계략을 짜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여호와께로부터 지시를 받은 술사는 모압 왕이 보낸
-
사신을 돌려보냅니다. 모압왕 발락은 이스라엘이 아모리 왕 시혼을 이긴
소식을 듣고 심히 두려워하고 번민합니다(2). 그들이 이스라엘을 두려워한
이유는 단순히 병력 때문이 아니고, 이스라엘의 혁혁한 승리 때문입니다.
사실 그럴 필요가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형제국인 모압과
-
암몬 그리고 에돔 족속과는 다투지 말라고 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에돔 땅을 우회하였는데 그러한 진의도 모른 체 그는 지레 겁먹은 것이지요.
어찌 보면 하나님을 인정하는 기회이었는데 발락은 인정하고 굴복하는
대신에 복술가 발람의 저주를 힘입어 이스라엘에 대응하려고 했습니다.
-
발락과 발람은 발음이 유사해서 헛갈리니 주의해야 합니다. 모압 왕 발락이
점쟁인지 선지자인지 분간이 안 가는 발람을 청하기 위해 장로를 보낸 것
입니다. “발람이 그들에게 이르되 이 밤에 여기서 유숙하라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는 대로 너희에게 대답하리라(8). “ 밤에 그곳에서 묵으라고 한 것은
-
여행객에 대한 예의라기보다는 그들이 가져온 복채에 마음이 있어서입니다.
여호와의 이름을 부른 것은 여호와를 경외하기 보다는, 자신이 술사로서
여호와를 안다는 과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는 유명한 복술가로서 하나님
을 단순히 신중의 하나로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 밤에 여호와의 말씀이
-
발람에게 임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것은 필경 꿈이었을 것이다’라고 학자
들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메소포타미아의 유명한 점술사 발람에게 여호와께서
나타나셔 이스라엘 백성들을 저주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한낱 점쟁이
에게 만군의 여호와께서 나타나시지 않아도 됩니다.
-
그의 사주를 받아 복을 빌어 준 사람에게 복을 주고, 저주를 내려달라고
하는 사람에 저주를 내리시는 하나님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사람
들에게 꼭 하고 싶으신 말씀이 있어 방문하셨다고 봅니다. 그것은
이스라엘은 복 받는 사람들이라는 말입니다. 우리가 다 알 듯이 하나님은
-
자기 백성 이스라엘에게 복주시겠다는 약속을 아브라함 때부터 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왕이 되어 이스라엘을 축복하는 자를 축복하고
이스라엘을 저주하는 자를 저주하겠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발락이 발람을
사주하여 이스라엘을 저주하려고 했지만 하나님께서는 허락지 않으셨습니다.
-
한번 거절당한 발락은 더 높은 고관을 보내 더 높은 권력을 발람에게 약속
합니다. 돈으로 안 되자 군력을 제안한 것이지요.
하지만 하나님이 개입하셨으니 발락의 뜻대로 될 리가 없습니다.
-
멈춤 없는 적의 공세, 멈춤 없는 하나님의 은혜, 더 강한 유혹,
나는 하나님의 개입을 요청하기 전에 너무 많은 생각을 하는 것은 아닌가?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위해 모압에서 어떻게 일하셨는가?
-
모압 평지에 도착하는 이스라엘(1-4)
발락의 두려움(5-6)
발락의 발람 초청(7-20)
a.첫 번째 초청과 거절:7-14
b.두 번째 초청과 허락:15-20
-
이스라엘 자손이 또 길을 떠나(1a)
모압 평지에 진을 쳤으니(1b)
요단 건너편 곧 여리고 맞은편이더라(1c)
십 볼의 아들 발락이(2b)
-
이스라엘이 아모리인에게 행한(2c)
모든 일을 보았으므로(2d)
모압이 심히 두려워하였으니(3a)
이스라엘 백성이 많음으로 말미암아(3b)
-
모압이 이스라엘 자손 때문에 번민하더라(3c)
미디안 장로들에게 이르되(4a)
이제 이 무리가 소가 밭의 풀을 뜯어먹음 같이(4b)
우리 사방에 있는 것을 다 뜯어먹으리로다. 하니(4c)
-
그 때에 십 볼의 아들 발락이 모압 왕이었더라(4d)
그가 사신을(5a)
브올의 아들 발람의 고향인(5b)
강 가 브돌에 보내어(5c)
-
발람을 부르게 하여 이르되(5d)
보라 한 민족이 애굽에서 나왔는데(5e)
그들이 지면에 덮여서(5f)
우리 맞은편에 거주하였고(5g)
-
우리보다 강하니(6a)
청하건대 와서(6b)
나를 위하여 이 백성을 저주하라(6c)
내가 혹 그들을 쳐서 이겨 이 땅에서 몰아내리라(6d)
-
그대가 복을 비는 자는 복을 받고(6e)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을 줄을 내가 앎이니라(6f)
모압 장로들과 미디안 장로들이(7a)
손에 복채를 가지고 떠나(7b)
-
발람에게 이르러(7c)
발락의 말을 그에게 전하매(7d)
발람이 그들에게 이르되(8a)
이 밤에 여기서 유숙하라(8b)
-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는 대로(8c)
너희에게 대답하리라(8d)
모압 귀족들이 발람에게서 유숙하니라(8e)
하나님이 발람에게 임하여 말씀하시되(9a)
-
너와 함께 있는 이 사람들이 누구냐(9b)
발람이 하나님께 아뢰되(10a)
모압 왕 십볼의 아들 발락이(10b)
내게 보낸 자들이나이다. 이르기를(10c)
-
보라 애굽에서 나온 민족이 지면에 덮였으니(11a)
이제 와서(11b)
나를 위하여 그들을 저주하라(11c)
내가 혹 그들을 쳐서(11d)
-
몰아낼 수 있으리라 하나이다(11e)
하나님이 발람에게 이르시되(12a)
너는 그들과 함께 가지도 말고(12b)
그 백성을 저주하지도 말라(12c)
-
그들은 복을 받은 자들이니라(12d)
발람이 아침에 일어나서(13a)
발락의 귀족들에게 이르되(13b)
너희는 너희의 땅으로 돌아가라(13c)
-
여호와께서(13d)
내가 너희와 함께 가기를(13e)
허락하지 아니하시느니라(13f)
모압 귀족들이 일어나(14a)
-
발락에게로 가서 전하되(14b)
발람이 우리와 함께 오기를 거절하더이다(14c)
발락이(15a)
다시 그들보다 더 높은 고관들을(15b)
-
더 많이 보내매(15c)
그들이 발람에게로 나아가서(16a)
그에게 이르되 십볼의 아들 발락의 말씀에(16b)
청하건대 아무것에도 거리끼지 말고 내게로 오라(16c)
-
내가 그대를 높여(17a)
크게 존귀하게 하고(17b)
그대가 내게 말하는 것은(17c)
무엇이든지 시행하리니(17d)
-
청하건대 와서 나를 위하여(17e)
이 백성을 저주하라 하시더이다(17f)
발람이 발락의 신하들에게 대답하여(18a)
이르되 발락이 그 집에 가득한(19a)
-
은금을 내게 줄지라도(19b)
내가 능히 여호와 내 하나님의 말씀을 어겨(19c)
덜하거나 더하지 못하겠노라(19d)
그런즉 이제 너희도(19e)
-
이 밤에 여기서 유숙하라(19f)
여호와께서 내게 무슨 말씀을 더하실는지 알아보리라(19g)
밤에 하나님이 발람에게 임하여(20a)
-
이르시되 그 사람들이 너를 부르러 왔거든(20b)
일어나 함께 가라(20c)
그러나 내가 네게 이르는 말만 준행할지니라(20d)
-
주권을 인정하다_recognize sovereignty
신뢰로 의지하라_Rely on trust
하신 일을 기대하라_Look forward to what you've done
-
자기 백성 이스라엘에게 복을 주시겠다는 약속을 지키신 하나님,
발락이 발람을 불러 이스라엘을 저주하라고 부탁할 만큼 적의
공세는 멈추지 않았지만 이 일에 즉각 개입하시어 이스라엘을
지키시는 멈춤 없는 하나님의 모습도 보았나이다. 내가 하나님
앞에 합당하게 산다면 어떤 유혹과 위험으로부터 저를 지켜주실
것을 믿나이다.
2023.5.3.wed. Cl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