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롤라이나 도그 (Carolina Dog)
► 이 명 : 네이티브 아메리칸 인디안 도그(Native American Indian Dog), NAID, 노스 아메리칸 네이티브 도그(North American Native Dog), 아메리칸 딩고(American Dingo), 딩고 도그(Dingo Dog), 딕시 딩고(Dixie Dingo), 네이티브 아메리칸 도그(Native American Dog), 사우던 아보리지널 도그(Southern Aboriginal Dog), 옐로 도그(Yellow Dog), 옐러 도그(Yaller Dog), 올드 옐러(Old Yaller)
► 외 관 : 캐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의 크기는 체고 46~66㎝ (18~26 in), 체중 14~27kg (30~60 lb) 정도되는 중형견이다. 그러나 더 북쪽에 있는 개들은 늑대처럼 큰 사이즈도 있으며, 그 크기가 체고 66~81㎝, 체중이 45kg 이상되는 품종도 있다. 귀가 특징적으로 생겼는데, 귀는 곧게 뻗어있고 아주 길며, 다소 큼지막한 폭의 우아한 모습으로 가늘며 뾰족하다. 주둥이와 함께 특히 길쭉한 여우와 같은 귀는 스피츠와 비슷하다. 어떠한 방향에서 들려오는 소리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훌륭한 청각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 개는 날씬하고 우아한 몸매를 가졌지만, 그 체구는 근육질의 몸매를 가졌다. 다리는 갸름하지만 비교적 튼튼하고, 뒷부분의 허벅지는 단단하다. 발이 비교적 크고, 꼬리는 보통 위로 올라가고 종종 꼬리가 낫 모양으로 휘거나 동그랗게 꼬이는 모습을 보인다. 이 개의 털은 보통 짧고 매끈하며 부드럽다. 온화한 기후의 개들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모색은 다양하며, 불그스름한 연한 적갈색(Reddish Ginger), 누런 담황색(Buff, 淡黃色), 엷은 황갈색(Fawn), 검정 바탕에 황갈색(Black and Tan), 보통 흑백의 얼룩무늬(Piebald)가 있거나, 발가락 위, 가슴, 꼬리의 끝부분, 그리고 주둥이 등에 하얀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눈은 비스듬히 있고 아몬드 모양이다. 눈은 색깔이 다양하지만, 보통 짙은 갈색이나 중간 이상의 진한 오렌지색이다. 특히, 눈의 테두리를 따라 도는 부분, 즉 사람으로 말하면 아이라인(Eyeline)의 선이 항상 모든 개가 다 그렇지는 않지만 거의 대다수의 개가 마치 쌍꺼풀을 한 것처럼 독특한 검은색의 라인이 밝은 색깔의 개에게서 대조적으로 더욱 더 뚜렷해지며 돋보인다. 입술은 흔히 검고, 심지어 밝은 색의 개들도 그렇다. 강아지들은 보통 멜라니스틱 마스크(Melanistic Mask, 얼굴에 검은 색소 과다 현상)인데 성견이 되어가면서 털에 그 색소가 희미해져 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설 명 : 케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는 주인에게 매우 충성스럽고, 자신의 영역과 가족들에 대한 보호본능이 강한 개로 낯선 사람들을 보면 수줍어하고 감시와 경계가 강하다. 그러므로 어릴 때부터 이웃의 개들이나 사람들을 자주 접하는 등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개는 지능적이어서 영리하고 다재다능하며, 주변환경이나 기후 등의 조건에 대해 저자극성을 띠고 있어서 적응력이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실내나 개 집에 묶여 갇혀 있을 때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활동성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견주는 이 종의 이러한 성질을 이해해야만 진정한 동반자가 될 수 있다. 평균 수명은 14~18년 정도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4~10마리 정도이다.
캐롤라이나 도그의 원산국은 미국이며, 아메리칸 인디언의 토착견 또는 토종개이다. 사육사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원래 개들의 모습과 다재다능함을 재현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번식되었다고 말한다. 이 견종은 1500년대 중반 스페인 사람들이 말을 소개하기 전에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이용하는 유일한 짐을 나르는 짐승이었고, 마을 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 이들은 가족의 소지품을 실은 운반도구를 끌고 다니며, 사냥과 낚시를 하곤 했으며, 여자들이 베리와 허브를 채집하고 있을 때 아이들과 노인들을 돌봐주는 보모 역할까지 하였다. 선교사, 트래퍼, 탐험가, 기업가들에 의해 작성된 역사적 문헌들은 토박이와 그들의 개들의 삶이 어땠는지 기록했고, 많은 것들이 소묘, 그림, 사진으로 남아 있다. 이러한 문서에서 이 품종이 설립되었고, 1990년대 중반에 Majestic View Kennels, Majustic View Kennels에 의해 이름이 브랜드가 되었다. 오늘날 캐롤라이나 도그는 미국 원주민들이 그들의 조상의 개들에서 감탄했던 특징을 보여주는 국가적으로 인정받고 등록된 개 품종임이 증명되었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강한 편이어서 잔병치레도 거의 하지 않는다.다만 움직임이 많으므로 관절염에 주의해야 하며, 신장염이나 결막염 등 눈병 관리도 수시로 해 주어야 한다. 발바닥의 털도 자주 깎아 주어서 청결을 유지 해 주어야 한다.
낯선 사람에 대한 감시와 경계가 심하므로 반려견으로 키우기 위해서는 어릴 때부터 사회화 훈련과 더불어 서열 정리를 해 두어야 한다. 지능지수가 높아 영리하고 충성심이 강해서 훈련은 비교적 잘 된다. 훈련은 견주와의 교감이 중요하며, 강압적인 훈련은 역 효과가 날 수가 있다.
식탐이 비교적 많은 편이므로 성장이 끝난 시기부터는 철저한 사료 급이량의 관리가 필요하다. 활동적이므로 매일 최대 30분 정도의 운동과 산책은 필수적이다. 운동량이 부족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북방형 스피츠 계열의 견종은 땅을 아주 잘 파므로 이들에게도 그러한 습성을 해소 해 줄 수가 있는 공간을 확보 해 주는 것이 좋다.
털이 이중모 구조이고 털 빠짐도 비교적 많으므로 수시로 빗질을 해서 빠진 털을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잦은 목욕은 오히려 피부병의 원인이 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시켜주면 된다. 특별한 미용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서 추위와 더위에도 비교적 잘 견딘다.
► 기 원 : 캐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의 원산국은 미국이다. 미국 남동부, 특히 왕솔나무(Longleaf Pines)와 사이프러스(Cypress, 키 큰 상록수로 삼나무의 일종) 습지대가 있는 고립된 외딴 곳에 오랫동안 격리되어 살아온 중간 크기의 야생견이다. 캐롤라이나 개들의 재입양은 최근에 인기를 끌었고, 그들은 적절한 사회화를 통하여 좋은 가정용 애완동물로 키워질 수 있다. 2008년부터 이 품종을 캐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라는 견명으로 표기하여 표준화된 품종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인위적인 노력은 두 개의 소규모의 국제 켄넬 클럽에서 인정하고 있으며, 주요 사육 프로그램의 수용으로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다.
북미의 인디언(Indian) 개를 문서화한 최초의 출판물 중 하나는 하버드 대학의 비교 동물학 박물관이 1920년에 출판한 글오버 모릴 알렌(Glover Morrill Allen)의 "미국 원주민의 개(Dogs of the American Aborigines)"라는 기사였다. 앨런은 이 "큰 개 또는 일반적인 인디언 개(Larger or Common Indian Dogs)"가 아시아의 원시적인 개들의 후손이라고 추정했다. 따라서, 이들은 아시아에서 유래되었고, 원시인이 동서로 거주하고 있는 세계의 모든 지역으로 데려갔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주가 홍적세 시대 후기에 시작되었다는 것은 매우 가능성이 있는 것 같다. 알렌은 19세기 후반에 알래스카에서 플로리다, 그레이터 안틸리스(Greater Antilles), 그리고 서쪽으로는 대평원까지 발견될 수 있는 개들의 골격 유적에 대한 연구를 인용하고 있으며, 인디언 무덤에서도 발굴되었다.
코프(Cope, 1893년)는 플로리다 주 세인트 존스 강의 조개무덤에서 무어(Moore)가 채취한 표본에서 이 개의 턱을 처음으로 묘사한 것이다. 그는 첫 번째 아랫부분의 앞어금니가 없어졌고,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또한 열육치(裂肉齒, 고기를 찢기에 알맞은 치아 배열)의 강력한 발달에 주목했다. 플로리다(Florida)와 조지아(Georgia)에서 다양한 탐험 과정에서 무어(Moore)는 이러한 종류의 개들을 발견하였다. 조지아 주 오사보 섬의 큰 언덕에서 그는 1897년 인간과 개의 뼈대를 몇 개 발견했는데, 개는 항상 전신을 그대로 다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개들을 음식으로 사용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비슷한 종류의 다른 개 뼈대들은 사우스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해안의 원주민 무덤에서 무어(Moore)에 의해 1899년 발견되었다. 푸트남(Putnam)은 그들을 더 큰 오하이오 주 매디슨빌(Madisonville)의 개와 똑같은 것으로 간주했다.
이 개들은 조지아 대학교의 사바나 강 생태학 연구소(Savannah River Ecology Laboratory)의 선임 연구 생태학자 I. 레흐 브리스빈 주니어(I. Lehr Brisbin Jr.)에 의해 공개되었는데, 그는 1950년부터 시작된 수 십 년간의 사바나강(Savannah R.) 유적 발굴 작업을 하였으며, 모든 무단 침입과 교통을 차단하여 안전한 지역을 확보하면서 캐롤라이나 개를 처음으로 우연히 발견했다.
1996년 캐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는 공식적인 캐롤라이나 도그의 품종 표준을 상세하게 발표한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에 인정되어 등록되었다. UKC는 사냥견 종(Hunting Dogs)과 다른 작업견(Working Dog)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캐롤라이나 종(Carolinas)을 아프리카의 바센지(Basenji), 타이 리지백 도그(Thai Ridgeback Dog)과 같은 다른 품종들과 함께 싸이트하운드 & 파리아(Sighthound and Pariah) 그룹으로 분류한다. 품종 표준은 미국 희귀종 협회(ARBA)에 의해서도 발행되었다. ARBA는 가나안 도그(Canaan Dog), 뉴 기니아 싱잉 도그(New Guinea Singing Dog)와 함께 5그룹에 캐롤라이나 종(Carolinas)을 포함시킨다.
2017년 7월 미국 최대의 개 품종 등록기관인 아메리칸 켄넬 클럽(AKC)은 공식적인 AKC 품종 인식을 위한 첫 단계인 캐롤라이나 개(Carolina Dog) 번식을 위한 사육 프로그램을 재단 품종관리 서비스에 의해 받아들여지게 하였다. AKC는 이 개를 하운드 그룹(Hound Group) 아래에 등록시켰다.
► 비 고 : 캐롤라이나 도그는 현재까지 세계 애견 연맹(FCI)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아메리칸 켄넬 클럽(American Kennel Club, AKC)에서 재단 품종관리 서비스, 그리고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nited Kennel Club, UKC)으로부터는 시각하운드&파라이(Sighthound & Pariah) 그룹으로 인정받고 있다. 원래 원시품종(Landrace breed)인 캐롤라이나 도그는 1920년대 미국의 개 관련 간행물에 기록되었으나, I. 레흐 브리스빈 주니어(I. Lehr Brisbin Jr.)에 의해 자유로운 개체군으로 길러지는 것이 재발견되었다.
► 참 고 : 2013년 한 연구에서는 케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의 표본과 관련된 미토콘드리아 DNA의 하플로타입 유전자(Haplotypes. 일배체형[一倍體型], 하플로타입, 단상형[單相型], 반수체형[半數體型. 주조직 적합 항원 염색체. 한쪽 어버이에 의하여 기여된 연쇄 유전자의 대립형질군, 또는 한쪽 어버이에 의하여 기여된 반수유전자구성) 표본을 조사했다.
이 연구는 이 개들의 58%가 전 세계에서 찾을 수 있는 일반적인 표본을 갖고 있었으며(A16, A18, A19, B1) 5%는 한국과 일본(A39)과 연관되지 않은 독특한 표본을 지니고 있었으며, 37%는 동아시아에서 유래된 mtDNA 하위 표본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호주 딩고(Australian Dingo)와 뉴 기니아 싱잉 도그(New Guinea Singing Dog)는 하위 그룹인 하플로타입(Haplotype) A29에 속하기 때문에 미토콘트리아 DNA(mtDNA)에는 유전적 관계가 없다. 또한 2013년 미국에서의 몇몇 개 품종에 대한 또 다른 연구는 캐롤라이나 도그(Carolina dog), 페루비안 헤어리스 도그(Peruvian Hairless Dog), 그리고 치와와(Chihuahua)가 아시아에서 고대로부터 이주했음을 보여준다.
2015년 미토콘드리아(암컷 혈통), Y염색체(수컷 혈통), 그리고 보통염색체(普通染色體), 또는 상염색체(常染色體, 성[性]염색체와는 구별되며, 보통 쌍으로 된 염색체 전부. 사람에게는 22쌍의 염색체가 있음)의 유전자 마커(Genetic Markers)를 이용한 연구가 38개국 161 품종에서 순종견(Purebred Dog) 4,676마리와 마을 개(Village Dog) 549마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그 연구는 유럽의 개 품종들과 혼합 정도를 시험했다. 북극 이외의 북미 토착견들에게만 서식하는 YDNA의 하플로타입(Haplotype)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캐롤라이나 개(Carolina dogs)들의 mtDNA는 동아시아 개들과 함께 군집한 콜럼버스 이전(1492년 콜럼버스가 미 대륙을 발견하기 이전)의 조상(mtDNA haplototype A184)의 10~35%가 포함되어있었다.
브리스빈(Brisbin)은 캐롤라이나 개의 조상이 최초의 선사시대의 미국인들과 함께 도착했다고 했다. 2018년 북미 개(North American dogs) 화석과 시베리아 개(Siberian dogs) 화석, 현대의 개(Modern dogs) 화석을 비교한 연구도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이 개들은 4,500년 후 시베리아에서 북미로 들어왔고, 9,000년 동안 격리되었으며, 유럽인들과 접촉한 후 개들이 유라시아 개(Eurasian dogs)들로 대체되면서부터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접촉 전 개들은 또한 현재 사라진 독특한 유전자 표식을 보여주는데, 그들의 가장 가까운 유전적 친척은 북극 품종 개들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세 마리의 캐롤라이나 개(Carolina dogs)들은 최대 33%의 접촉 전 북극 혈통을 보였으나, 이것이 현대의 북극 품종 개들과의 혼합된 결과라는 것을 배제하지 못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