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에 나오는 아람어와 그 뜻은?
성경이 기록된 시기에 아람어는 국제어로 정착되고 있었습니다. 셈어의 조상은 아카드 언어(Akkadian)로 알려져 있으며, 고대근동지역에서 아카드 언어를 대신하여 공용어가된 아람어는 히브리어의 직계 조상입니다. 아람어는 앗수르 제국(주전 1100~600년), 신바벨론 제국(주전 600~540년)에도 꾸준히 공용어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재 히브리어 원어성경에 쓰는 알파벳은 아람어 알파벳으로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람어는 오늘날 시리아 지방, 또 아브라함이 고향을 떠난 하란이 모두 아람어를 사용했으며, 페르샤 시대(주전 540~332년)에 국제 공용어로 계속 사용했습니다. 헬라시대(주전 332~67)가 도래될 때 헬라어가 공용어가 되었지만 여전히 아람어도 널리 사용되어, 예수님 당시에도 일상 언어는 아람어가 우세했습니다. 예수님과 제자들은 갈릴리 사투리를 사용했는데, 갈릴리 사투리는 예루살렘 말과 구별되었습니다(마 26:73). 그래서 성경에는 아람어가 많이 나옵니다.
왕하 18:26과 사 36:11에 기록된 내용으로 보아 그 당시 팔레스타인에 아람어가 공용어로 사용됨을 알 수 있습니다. 주전 701년 앗수르가 예루살렘을 포위했을 때, 앗수르의 장군 랍사게는 유대 백성들을 불안케 하려고 히브리어로 교섭을 요구했습니다. 그러자 유대 관리들은 외교적 통상언어인 아람어로 말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바벨론 포로기 후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귀향민들에게 히브리어 성경을 낭독하고는 그들이 알아 들을 수 있는 아람어로 통역을 해 주었습니다(느 8:8)
에례미야 10:11은 전체가 아람어입니다.
"너희는 이같이 그들에게 이르기를 천지를 짓지 아니한 신들은 땅위에서, 이 하늘 아래서 망하리라 하라"
Thus shall ye say unto them, The gods that have not made the heavens and the earth, even they shall perish from the earth, and from under these heavens.
예레미야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여호와의 권능을 아람어로 고백하게 했던 이유는, 앗수르인과 갈대아인들 앞에서 공개적으로 여호와의 영광을 선포하고 우상을 멸시하는 신앙 고백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에스라서에도 두 곳이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는데, 한 곳은 유대인의 예루살렘 성전과 성벽 재건에 관한 문제를, 지방 관리들과 아닥사스다 왕과 다리오 왕 사이에 서신을 교류하면서 서로 상의하는 모습을 기록한 부분입니다 (4:8 ~ 6:18). 또 다른 곳은 에스라에게 보내는 아닥사스다 왕의 조서를 기록한 부분입니다 (7:12~26).
다니엘서는 절반 이상이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습니다(2:4하 ~ 7:28). 아람어로 기록된 부분에는 느부갓네살의 꿈, 그의 미친 행동,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의 일사각오의 믿음, 벨사살의 잔치 및 멸망, 사자굴 속의 다니엘, 다니엘의 첫 묵시가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가룟 Iscariot ‘도시 사람’ (가룟 유다 Judas Iscariot) 마 10:4
게네사렛 Gennesaret ‘갈릴리 호수의 모양이 현악기 Ginnereth처럼 생김‘
게바 Cephas ‘돌stone, 반석’ (헬라어로는 베드로) 요 1:42, 고전 1:12
겟세마네 Gethsemane ‘감람원, 감람유를 짜는 틀’ 마 26:36, 막 14;32
고르반 Corban ‘(하나님께) 드림’ (마가 7:11)
골고다 Golgotha “해골” 막 15:22
다비다 Tabitha 욥바에 있는 제자의 이름 (행 9:36, 40) 도르가라 함, 선행과 구제에 모범적이었음
다브림몬 Tabrimon 사람 이름 (왕상 15:18)
달리다굼 Talitha Koum ‘소녀야 일어나라’ (야이로 회당장 딸을 살리실 때) 막 5:41
도마 Thomas ‘쌍둥이’ (예수님의 육신의 형제 중 유다와 시몬은 쌍둥이, 유다가 도마로 불리우고, 유다서의 저자, 동방 선교사)
마라나타 Maran-atha ‘주여, 오소서’ 고전 16:22
바나바 Barnabas ‘위로의 아들, 권위자, 권면자’ 구브로 태생의 레위족속 요셉의 별명 행 4:36
바디매오 (디매오의 아들) 여리고의 맹인 걸인
바예수 (예수의 아들)
바요나 Bar-Yonah ‘요한의 아들’ (the son of Jona 베드로를 지칭, 마태 16:17, 요 1:42)
아겔다마 Aceldama ‘피 밭’ (a field of blood) 행 1:19
에바다 Ephphatha ‘열려라’ 막 7:34
에스라 Ezra ‘(하나님의) 도우심’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 Eli Eli lama sabachthani?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 (My God, my God, why hast thou forsaken me?) 마태 27:46, 막 15:34
여갈사하두다 Jegarsahadutha ‘증거의 무더기’ (the heap of witness). 히브리어로 ‘갈르엣 Galeed’ 창 31:47~48 (라반과 야곱사이의 언약체결시)
하사엘 Hazael 왕하 8:8 사람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