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姓),본관(本貫),본향(本鄕),관적(貫籍),선향(先鄕)
본(本)은 본관(本貫),본향(本鄕),관적(貫籍),선향(先鄕) 등으로도 부르며
시조의 출생지나 정착지 등으로 본을 삼았다.
그러나 시조의 발상지가 아니더라도 봉
군(封君)이나 사관(賜貫)에 의해 본관을 정하기도 했으며,
후손 가운데 어느한 파가 다른 지방에 나뉘어 거주하면서 오래 살게 되면
그 자손들이 독립하여 그 지방을 본관으로 삼은 예도 많았다
이를 분관(分貫) 또는 분적(分籍)이라 한다.
분관의 대표적이 예로는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은 본래 전라도 곡성 출신이었으나
태조로부터 평산을 본관으로 하사받아 평산 신씨의 시조가 되었던 일을 들 수 있다.
성은 같은 조상을 가진 혈통임을 나타내는 이름으로써
다른 혈통의 씨족들과 구별을 하게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성은 같으나 시조가 다른 경우가 많아
씨족의 완전한 구별이 어려웠으므로
성 앞에 본관을 붙여 다른 혈통과 구별하고 있다.
오히려 성이 생기기 전부터
본관이라 할 수 있는 부족 이름을 사용하여 같은 씨족임을 나타냈었다.
이러한 출신지가 성과 결합하여
동족을 다른 종족과 구별하는 표시로서
오늘날과 같은 본관으로 굳어지게 된 것은
대체로 신라 말부터 고려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에는 본관이 곧 신분의 표시였으므로
사족들 사이서만 본관이 일컬어졌지만
후대에 내려오면서 성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일반 서민들까지도 본관을 표시하게 되었다.
원래 같은 성씨라 할지라도
여러 친족 공동체가 있었고
이들은 각기 동성의 중앙 귀족과 유대를 맺고 있었는데
신라 말기 골품 제도가 무너지면서
그런 유대관계가 끊어짐에 따라
지방의 친족 공동체들이 각기 분립하여
직계 선조를 시조로 내세워 본관을 달리하는 현상이 일어난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를 경주 김씨나 경주 박씨에서 찾아볼 수 있다.
경주 김씨는
羅州(나주)김씨, 義城(의성) 김씨, 彦陽(언양) 김씨, 三陟(삼척) 김씨, 江陵(강릉) 김씨, 蔚山(울산) 김씨,光山(광산) 김씨, 安東(안동) 김씨 등으로 갈라졌다
경주 박씨는
密陽(밀양) 박씨, 高靈(고령) 박씨,咸陽(함양), 죽산(竹山), 상산(商山), 전주(全州), 순천(順天), 월성(月城) 박씨등으로 본관이 나누어졌다.
한편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신분과 계급에 따라 거주지가 제한되었으며
양민은 주(州),부(府),군(郡), 현(縣)에서 살았으나
천민들은 향(鄕),부곡(部曲),소(所),처(處),역(驛),섬(島)등에 살았으므로
신분을 표시하는데 그들의 거주지를 사용하였다.
천민의 직업은 대대로 세습되었으며 한 지역에 집단을 이뤄 살았으므로
그 거주지는
그들의 혈연적 집단의 신분을 표시하는 본관의 구실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성은 같아도 본관이 다르면 이족이요,
반드시 성과 본관이 같아야만 동족이 된다고 할 수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원칙론일 뿐 예외가 많아 상당히 복잡하다.
씨족의 연원이 같으면서도
성과 본관이 다른 성씨가 많은가 하면,
이와는 반대로 이족이면서도 성과 본관이 같은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관과 성과의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같은 시조에 같은 본, 같은 성을 사용하는 경우로 이것이 가장 전형적인 형태이다.
같은 시조에 같은 본이나 성을 하사받았으나 그 밖의 이유로 성이 달라진 경우이다.
가락국의 수로왕 후손으로 김해의 본을 쓰면서
김해 김씨와 김해 허씨(金海許氏) 등으로 갈려 가용하는 겨우다.
같은 시조의 후손이면서 본을 다르게 쓰고 있지만 성은 같은 경우다.
파평 윤씨의 시조 신달(莘達)의 후손이면서
남원(南原),함안(咸安),덕산(德山),신령(新寧) 등으로 각각 다른 본을 사용하고 있으나 성은 같은 윤씨를 사용한다
또 신라 알지왕의 후손으로 강릉, 광 등 본은 달라도 성은 같은 김씨를 사용한다.
원래 동족이지만 성과 본관을 다르게 쓰고 있는 경우이다.
김해 김씨와 양천 허씨, 인천 이씨와 문화 유씨, 연안(延安) 차씨 등이 그 예이다.
시조가 다르면서 본과 성이 같은 경우다.
수로왕 계의 김해 김씨와 일본계로 임진왜란 때 귀화한 김충선계 김해 김씨가 그러하며,
남양 홍씨(南陽洪氏)에는 시조가 다르다 하여 당홍(唐洪)이라 부르는 남양 홍씨와
토홍(土洪)이라 부르는 남양 홍씨가 있다.
시조가 각각 다르므로 성이 다르지만 시조의 발상지가 같아서 본이 서로 같은 경우이다.
경주 이씨와 경주 손씨(孫氏), 경주 이씨와 청주 한씨 등의 경우가 그러하다.
시조가 다르므로 본이 다르나 성이 같은 경우다.
파평 윤씨와 해평 윤시(海平尹氏), 안동 장씨와 덕수 장씨, 광주이씨(光州李氏)와 연안 이씨 등이 그러하다.
이족이라면 성과 본관을 다르게 쓰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한 지방에 여러 성씨가 연고를 두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출처] 성(姓),본관(本貫),본향(本鄕),관적(貫籍),선향(先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