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가장 가치 있는 것은 무엇일까? 각자의 답변을 가지고 있겠지만, 한국인의 경우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재화’다. 지난 11월 미국의 여론조사기관 퓨 리서치(Pew Research) 센터가 주요 17개국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삶을 가치 있게 만드는 것’ 설문 조사에 따르면, 17개국 평균 결과에서 가족(28%)이 1위에 뽑힌 반면 한국인 응답자들만 물질적 행복(mat0erial well-being)을 1순위(19%)로 꼽았다. 또한, 올해 6월 시장조사기업 칸타의 ‘칸타 글로벌 모니터 2020’ 조사 결과에서도 한국인은 돈(53%)을 시간(20%), 열정(19%)과 비교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자산이라고 응답했다. 한국인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물질에 가치를 더 부여한다는 증거다.
[한국인의 물질만능주의]
대부분의 미디어에서는 인생의 성공과 부의 축적 그리고 행복을 동일시하며, 가뜩이나 취업난과 끝없이 올라간 집값으로 인해 허탈함을 느끼고 있는 대한민국 청년들의 '상대적 박탈감'에 불을 지피고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물질만능주의다.
대한민국 사람의 행복지수는 소득 수준과는 별개인 듯하다. 유엔의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한국의 행복지수(삶의 만족도)는 156개국 가운데 54위로, 2012년(41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낮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은 1990년과 비교해서 4배가 넘게 늘었지만(1인당 GDP $6,516→$29,743), 행복지수는 꾸준하게 하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이미 2011년에 “한국인은 지나치게 물질 중심적이며 사회적 관계의 질이 낮다”라고 말했다. 또한 “이는 한국의 낮은 행복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라고 설명하며, “한국인의 물질중심주의적 가치관은 세계 최빈국인 짐바브웨보다 심하다”라고 강조했다.
[불안감과 물질주의]
그렇다면, 물질주의적 가치관은 어떻게 생기는 것일까? 팀 카서 교수는 “불안감이 물질주의를 부른다”라고 말한다.
이는 왜 현재 대한민국이 점점 물질주의적 가치관에 물들어가는지 설명이 가능한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유행으로 인해 사람들은 건강에 대한 불안감이 늘어나고,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그리고 낮아지는 취업률, 줄어드는 혼인율 등의 사회적 문제로 점점 더 물질주의에 취하게 되는 것이다.
아마 한국의 청년 자살률이 다른 나라들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은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 김형배 원장(인천참사랑병원)은 “청년 자살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안정된 환경에서 정서적 발달을 해야 할 학창 시절에 지적 발달만 강요 당하면서 올바른 정체성 확립이 어려웠을 수 있다. 정서적 발달을 통해 정신적 포용성, 유연함, 사회적 정체성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면 실업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 채 위기를 극복하기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첫댓글 그러면 대한민국은 오마카세,명품 이런게 유행할수록 그만큼 건강에대한 불안감,불투명한 미래,낮은 취업률이 높다는 걸 의미한다는거네
맞는 거 같아 우리나라 명품 사는 사람들 많아졌는데
다 자기만족이다 이러면서 정작 행복지수는 낮은 거 보면 결국 sns힘에 더불어 상대적 박탈감으로 돈으로 더 소비 하는 형태로 나타는 거 같아
이러면 안되지만 짐바브웨랑 비교되니 좀 충격이네
많은 생각을 들게 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