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개념 잡기가 매우 힘들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일단은 제가 곰곰히 생각해 본 결과
y=f(x)
f(x)=ax+b
라는 함수가 있을때
함수 f 의 정의는
어떤 한 미지수와 반응하여
그 미지수에 a를 곱하고 b를 더하게 하는 미지수이고
x의 정의는
함수 f와 반응하는
미지수
y의 정의는
함수f와 미지수 x가 반응하여
만들어진 결과
라고 결론이 지어졌어요
제가 내린 f,x,y 세 기호들의
정의가 맞다면
()의 역할은 무엇이죠?
그리고
왜 f(x)=y는 함수가 될 수 없고
y=f(x)만 함수가 될 수 있는거죠?
알려주세요
첫댓글 초딩때 보셨을텐데.. x를 f라는 규칙에 의해 y로 변환시키는 것이 함수의 정의입니다. 혹은 적절한 규칙 f에 의해 x, y를 대응시키는 것이기도 하구요. f는 미지수가 아니라 규칙이름, 변수명은 x, y입니다. f(x)=y도 함수를 나타내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제 말을 잘 이해하셨으면 f:X->Y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느껴지실겁니다.
정의는 이미 정의된 용어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미지수'와 같은 용어는 함수의 정의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함수 개념은 정의 그대로 이해하면 됩니다. 즉, 집합들 사이의 대응관계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f(x)와 같은 기호는 좀 헷갈리는 면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즉, 문자 x가 사용된 식을 나타내거나 또는 함수 f에 의해 주어진 집합의 원소 x에 대응되는 다른 집합의 원소를 나타냅니다. 이는 그때그때 판단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첫댓글 초딩때 보셨을텐데.. x를 f라는 규칙에 의해 y로 변환시키는 것이 함수의 정의입니다. 혹은 적절한 규칙 f에 의해 x, y를 대응시키는 것이기도 하구요. f는 미지수가 아니라 규칙이름, 변수명은 x, y입니다. f(x)=y도 함수를 나타내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제 말을 잘 이해하셨으면 f:X->Y라는 표현이 자연스럽게 느껴지실겁니다.
정의는 이미 정의된 용어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미지수'와 같은 용어는 함수의 정의에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함수 개념은 정의 그대로 이해하면 됩니다. 즉, 집합들 사이의 대응관계 정도로 받아들이면 될 것 같습니다.
f(x)와 같은 기호는 좀 헷갈리는 면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즉, 문자 x가 사용된 식을 나타내거나 또는 함수 f에 의해 주어진 집합의 원소 x에 대응되는 다른 집합의 원소를 나타냅니다. 이는 그때그때 판단할 수 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