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 관련 및 중독 장애
카페인 중독
“카페인 음료 자주 마신 20대 사망”....
얼마전 뉴스에서 본 기사입니다. 우리 주위에는 많은 물질 관련 중독 장애를 볼수 있습니다. 오늘은 카페인 관련 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사례: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두통 증상을 보이는 카페인에 중독된 청년 ☜
A씨는 29세의 미혼 남성으로 공인회계사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매달 월말까지는 많은 건수의 소득신고서를 의뢰받았기에 늘 야근하는 일이 잦았습니다. 간단한 저녁 식사 후 관련 사항을 처리하기도 전에 A씨는 벌써 졸리기 시작했고 매일 저녁 마시던 커피 두잔과 카페인 알약 두 개를 먹어야만 일을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가끔 16시간 동안 10잔 이상의 커피를 마신적 도 있고. 이렇게 해야만 피곤함이 줄어드는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일을 마무리하고 퇴근하려고 하면 갑자기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해지며 심장박동이 급하게 뛰는 것을 느끼며 잠시 기대고 휴식을 취해야 하는 상태가 됩니다.
카페인은 커피, 콜라, 홍차, 진통제와 감기약, 코코아, 쵸콜릿 등에 함유되여 있습니다. 보통 하루에 카페인 섭취량이 250mg 이상이면 내성과 금단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하루 1000mg 이상 섭취하면 이상 증세가 눈에 띄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커피를 과다 섭취하게 될 경우, 손이 떨리고 심장이 빨리 뛰는 등 심혈 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아울러 우울증이나 불안증 및 마약중독과 같은 다른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1. 카페인-관련 장애
카페인-관련 장애는 카페인 유발성 장애가 있습니다. 카페인 유발성 장애는 카페인 중독, 카페인 금단, 기타 카페인 유발성 장애로 구분됩니다.
▶2.카페인 중독의 진단기준
*카페인의 기본 250mg 섭취량을 초과한 고용량의 섭취일 경우, 카페인 사용 도중 혹은 직후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1)안절부절 못하고 신경과민인 상태
2)자주 흥분하고 불면증에 걸리는 상태
3)안면홍조나 잦은 소변 및 손이 떨리고 빠른 심장박동 등의 심혈 기능 이상이 생기는 경우
4)근육경련, 정신운동성 초조 등의 상태
▶3.카페인 금단
카페인 금단은 많은 양의 카페인을 섭취하다가 사용을 중단할 경우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로 인하여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기능 영역에서 기능손상 및 심각한 고통을 겪게 될수 도 있습니다.
카페인 금단의 진단기준
1)장시간동안 카페인을 섭취하다가 사용 중지 할 경우, 24시간 이내에 심각한 두통, 피로감 및 불쾌한 기분, 우울등이 나타나는 경우
2)집중곤란
3)갑자기 구토, 근육통의 뻣뻣함, 헛구역질 등이 나타나는 경우
▶4.기타 카페인 유발성 장애
카페인으로 유발된 수면, 불안 장애를 말하며 카페인 섭취로 인하여 불안 장애, 우울증, 수면 장애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5.카페인 중독 장애로 인한 불안증상을 예방 치료하는 방법
1)심리치료
과도한 근육의 긴장, 안절부절못함, 주의력 결핍, 쉽게 피로해지는 불안 장애 증상의 치료방법은 장기적으로 보면 약물치료보다는 심리치료가 더 효과적입니다.
2)인지행동치료
불안이 두드러지면 체계적 둔감화 기법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법으로 인지행동 치료법이 효과적입니다. 특히 환자로부터 불안을 유발하는 이미지를 직면하게 만듬으로써 불안과 걱정을 통제하는 대처기술을 배우게 합니다.
3)긴장이완 훈련 및 운동
불안이나 근육 긴장, 정신이 멍해지는 느낌이 들때에는 긴장이완 훈련이거나 간단한 운동으로 몸의 긴장을 이완 시키는것도 도움됩니다.
4)약물치료
약물치료는 자극에 대한 과민성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 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바로 가기
참고문헌:
1)'카페인 음료 자주 마신 20대 사망'…현실과 동떨어진 약물 교육,2021-05-20 16:28,박정헌기자, 연합뉴스
2)어디선가 풍겨오는 유혹의 향기-카페인 중독, 전형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의학신문, 입력2021.07.24.
3)김은비, 강효진, 원선호, 김지환, 김성영, 김선민, 왕태종, 이나라, 맹정원, 유현정, 권태민, 김인아, 임명호. "고카페인음료 중독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우울, 불안, 소진, 충동성, 자존감."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 (2015): 450-450.
4)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DSM-5, 김청송저자
사진출처:pixabay(재사용가능)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김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