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새 학생 수 82만명 줄었는데 학원은 3만개 늘었다
이우림입력 2023. 9. 6. 00:01수정 2023. 9. 6. 06:45
경기도 광명시에 사는 직장인 정모(37)씨의 초등학교 3학년 아들은 학원을 5개 다닌다. 영어·수학은 기본이고 바이올린과 줄넘기, 과학실험을 배우는 데 월 200만원 넘는 돈이 들어간다. 학교가 끝난 뒤 매일 3시간 정도 학원에 머물다가 집에 온다. 정씨는 “친구도 사귀고, 악기나 운동 등 여러 가지 활동을 미리 배워보라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서울 강남의 한 고교를 다니는 김모(17)군은 지난 여름방학 동안 기존에 다니던 학원에 과외 2개를 추가했다. 9월 모의고사를 앞두고 국어와 수학 점수를 잡기 위해서다. 김군은 “반 애들이 방학 때마다 족집게 과외를 받고 와 한두 등급씩 뛰곤 해 위기감을 느꼈다”고 말했다.
차준홍 기자
지난 2분기 합계출산율이 역대 최저인 0.7을 기록하는 최악의 저출산 기조에도 학원 수는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자녀 숫자는 줄고 있지만 사교육에 의존하는 수요는 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5일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연평균 전국 교습학원 및 교습소·공부방 수는 2019년 8만8157개에서 해마다 늘어나 올해 6월 11만6681개를 기록했다. 초·중·고교 사교육비 총액도 2020년 19조3532억원에서 지난해 25조9538억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교육인구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학령인구(만 6~21세)가 2019년 807만4000명에서 올해 2023년 725만9000명으로 감소하는 것과 정반대의 흐름이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가구당 아이 수는 줄었고, 1인당 소득이 높아졌다”며 “과거와 비교하면 아무리 형편이 어렵다 해도 부모가 그 정도 사교육 시킬 여력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준홍 기자
교육열이 높아지면서 학원은 세분화됐다. 입시 과정을 예로 들면 학년별·대학별·전공별로 커리큘럼이 나뉘고, 대형 강의보다는 소규모 그룹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피아노·태권도에 국한돼 있던 예체능 학원도 다양화됐다. 임미령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영유아사교육포럼 대표는 “요즘 젊은 엄마들은 문화적인 욕구가 크다 보니 어린 아이들한테 승마·골프까지 가르친다. 사립 유치원·학교에서도 특별활동을 늘리는 기조”라고 설명했다.
돌봄공백을 메우는 데도 학원이 활용된다. 주요 온라인 맘카페에선 ‘맞벌이 아이 케어 방법’을 묻는 글에 ‘일단 돌봄 교실에 보내고 미술학원이나 태권도 학원을 보내는 게 어떻겠냐’는 조언 글이 이어진다. 물론 교육 제도 변화의 영향도 있다. 최근 대입에선 학교 활동 비중이 높은 수시가 줄고 정시가 늘었다. 초등~중학교 1학년까지 시험을 없앴던 것도 영향을 미쳤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육학과 교수는 “교육이라는 게 평가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는 건데 그 평가를 아예 없애버리자 학원에 가야만 내 수준을 알 수 있는 구조로 바뀐 것”이라며 “이런 구조가 바뀌어야 사교육비를 줄여나갈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세종=이우림 기자 yi.woolim@joongang.co.kr
ㅁ
첫댓글 https://v.daum.net/v/20230906000157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