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 fly zone
South Korea’s travel spat with China 한중 비자 분쟁
China uses a row over visas to probe for South Korean weaknesses
Jan 12th 2023
It has been tough these past few years for the shopkeepers around Gyeongbokgung Palace, once home to Korea’s Joseon dynasty and now the most prominent tourist attraction in Seoul. In 2019 6m Chinese tourists visited South Korea, filling the cash registers of local restaurants in the South Korean capital and the shops that rent out hanbok (traditional Korean garb in which tourists pose in the palace grounds as if in their favourite historical drama). With the pandemic, Chinese visits fell to nearly nothing. So when the government in Beijing suddenly abandoned its draconian lockdowns and tight restrictions on foreign travel, Chinese snapped up tickets to South Korea. Expectations in Seoul soared. Now a spat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left Chinese tourists grounded—along with shopkeepers’ hopes.
조선시대 왕궁이자 지금은 서울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명소인 경복궁 주변 상점 주인들은 지난 몇 년 동인 힘든 시간을 보냈다. 2019년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은 600만 명으로 이들은 서울에 있는 음식점과 한복 대여점에서 많은 돈을 썼다. 관광객은 사극에서 본 한복을 입고 경복궁에서 포즈를 취하곤 했다. 코로나 팬데믹과 함께 중국 관광객의 발길도 끊어졌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봉쇄조치와 해외여행 규제를 풀자 중국인들은 앞다퉈 한국행 항공권을 예약하고 나섰다. 한국에서도 중국 관광객을 다시 맞을 기대감이 치솟았다. 그러나 한중 양국 간 불화가 중국 관광객의 발목을 잡았고 한국 상인들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었다.
Worried about the Chinese government’s reluctance to publish accurate covid-19 data, and fearing a fresh outbreak seeded by Chinese visitors, South Korea ruled late last year that travellers from China must test negative both before and after arrival. (Like much of East Asia during the pandemic, South Korea followed strict visa controls and quarantine requirements.) Then on January 2nd it stopped issuing short-term visas to Chinese nationals. This week China responded in kind, refusing to issue even transit visas to South Koreans merely passing through the country.
정확한 코로나19 데이터 공개를 주저하는 중국 정부의 태도와 중국발 유입에 따른 코로나 재유행을 우려한 한국은 작년 말 중국발 입국자의 입국 전후 PCR 검사를 의무화했다(팬데믹 기간 동안 많은 동아시아 국가가 그랬듯, 엄격한 비자 통제 및 격리 요건을 적용). 이어서 1월 2일에는 중국인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했다. 그러자 이번 주 중국은 한국인에 대한 경유 비자 발급을 중단하는 조치로 맞대응을 했다.
Putting on a brave face, South Korea’s prime minister, Han Duck-soo, insisted that China’s decision did not count as “retaliation”. China disagrees. A government spokesperson decried “discriminatory entry restrictions” and described his country’s actions as “reciprocal measures”. China’s measures will be “adjusted” when South Korea corrects its behaviour.
이에 대해 한덕수 국무총리는 태연하게 중국의 조치를 “보복성으로 보지 않는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의 이야기는 다르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한국의 “차별적 입국 규제”를 비난하며 “중국은 이에 대등한 조치를 취했다”라고 밝혔다. 중국은 한국의 대처에 따라 해당 조치를 ‘조정’할 예정이다.
Japan has been treated to similar measures. But dozens of other countries that imposed travel restrictions on travellers from China have managed to avoid being targeted in this way. China, Japan and South Korea share a complicated and often troubled history. South Korea and Japan are used to serving spells in the doghouse when they do not bend to China’s will. For South Korea’s president, Yoon Suk-yeol, who came to power in May, this spell is probably intended to probe for weaknesses.
일본에 대해서도 비슷한 조치가 취해졌다. 그러나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여행 제한 조치를 취한 다른 수십여 국가는 이런 식으로 표적이 되는 상황을 가까스로 모면했다. 한중일 3국은 복잡하고 때로는 골치 아픈 역사를 공유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양국이 중국의 뜻에 굴하지 않을 때는 곤란한 상황에서 술책을 쓰는 데 익숙해 있다. 지난 5월에 취임한 윤석열 대통령 입장에서 이번 조치는 중국의 약점을 찾기 위한 것일 수 있다.
All South Korean presidents walk a fine line. America guarantees the country’s security. But China, which is South Korea’s largest trading partner, underwrites its prosperity. It is hard to keep both powers happy at once. Mr Yoon has drawn closer to America on matters of both security and economics, but also wants a relationship with China based on “mutual respect”. That phrase is often used by China itself in its strong-arm dealings with lesser countries. The tit-for-tat visa restrictions suggest it thinks that respect from South Korea is insufficiently ample and unquestioning.
모든 한국 대통령은 아슬아슬한 외줄을 탄다. 미국은 한국의 안보를 보장하지만 중국은 한국의 최대 교역국으로서 한국의 번영을 책임지고 있다. 그렇다 보니 미중 양국을 동시에 만족시키기는 어렵다. 윤 대통령은 안보와 경제 문제에 있어서 미국과 더 가까워졌지만 ‘상호 존중’에 기반한 중국과의 관계를 원하고 있다. ‘상호 존중’은 약소국과의 강압적 거래에서 중국이 자주 사용하는 표현이다. 맞대응식 비자 제한은 한국의 대중국 존중이 불충분하고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China has stopped visitors coming before. When South Korea agreed to host an American missile-defence system in 2016, the Chinese government initiated a (largely undeclared) consumer boycott of South Korean businesses. Tour groups to South Korea were forbidden. The ban was still in place when the pandemic struck.
중국은 이미 한참 전부터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해왔다. 2016년 한국이 미국의 미사일 방어 체제를 수용하기로 합의하자 중국 정부는 한국 기업에 대한 소비자 보이콧을 시작했다. 중국 단체 관광객의 한국 여행도 금지되었다. 팬데믹이 시작되었을 때도 여행 금지령은 여전히 시행되고 있었다.
Analysts in South Korea think that China is trying to test Mr Yoon’s mettle. South Korea has quietly been looking to move supply chains for critical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batteries away from its overbearing neighbour. The Chinese government has taken note, warning South Korea against “decoupling”.
한국의 분석가들은 중국이 윤 대통령의 ‘깡’을 시험하려는 의도라고 해석하고 있다. 한국은 반도체와 배터리 같은 핵심 산업 공급망의 탈중국화를 조용히 모색해왔다. 중국 정보를 이러한 움직임에 주목하며 한국의 대중국 ‘디커플링’을 경고했다.
Mr Yoon looks to gain by not yielding. Losses for tourism notwithstanding, South Koreans appear happy to be sheltered from any possible outbreak (over a fifth of travellers arriving from China were testing positive). More broadly, recent opinion polls suggest growing dissatisfaction towards China. Stories such as that of a Chinese national who fled a quarantine facility on January 3rd, only to be caught two days later, do not help. The tit-for-tat restrictions will presumably end soon. But Mr Yoon will surely be subjected to other tests in future.
윤 대통령은 양보하지 않고 이득을 취하려 하고 있다. 관광 손실에도 불구하고 한국 국민은 코로나19 유행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반기는 듯하다(중국발 입국자의 1/5 이상이 양정 판정을 받았다). 전반적으로 볼 때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중국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코로나19 확진 후 격리시설에서 도주한 중국인이 이틀 만에 붙잡히는 등의 이야기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중국의 맞대응 조치는 곧 끝날 것이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앞으로 다른 시험에 들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