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화촌중학교21회 동창회 원문보기 글쓴이: 김춘근
영국 왕립 곤충학회의 곤충 주간 사진대회 수상작 발표 - in pictures Insect Week photography awards – in pictures ▲Backlit shot of a mantis religiosa next to a mushroom. # Photograph: Royal Entomological Society 버섯 옆에 있는 유럽 사마귀(Mantis religiosa)의 역광 샷. 영국 왕립 곤충학회는 곤충 주간 사진대회의 우승 사진을 발표했다. 아마추어 사진작가를 위한 연례 대회에는 6개 대륙 34개국에서 700점 이상의 출품작이 참가했으며 올해는 24장의 사진이 수상했다 The winning images from the Insect Week photography competition have been announced by the Royal Entomological Society. The annual competition for amateur photographers attracted more than 700 entries from 34 countries across six continents, with 24 images receiving commendations this year Thu 27 Apr 2023 07.00 BST 1. A spotted tiger beetle (Cicindela sexguttata). These metallic green beetles are native to North America and adults are efficient predators with large mandibles. 육점박이범길앞잡이(Cicindela sexgutta). 이 금속성 녹색 길앞잡이(딱정벌레)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성체는 큰 아래턱을 가진 효율적인 포식자이다. 2. An ashy mining bee (Andrena cineraria) on an old dandelion head. A distinctive early spring bee, females burrow into the ground to make nests, creating a pile of soil by the entrance. Although they are solitary bees there may be many nests in a small area. 오래된 민들레 머리 위에 있는 회색광산벌(안드레나 시네라리아). 독특한 초봄 벌인 암컷은 땅속으로 파고들어 둥지를 만들고 입구 옆에 흙더미를 만든다. 고독한 꿀벌이지만 좁은 지역에 많은 둥지가 있을 수 있다. 👉🏻회색광산벌(안드레나 시네라리아)은 눈에 띄는 검은색과 회색/흰색 표시가 있는 봄에 날아다니는 가장 독특한 단독 꿀벌 중 하나이다. 광산벌의 안드레나과에 속하는 암컷 회색광산벌은 둥지를 만들기 위해 땅에 작은 터널을 파낸다. 그들은 때때로 큰 무리로 둥지를 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지만, 작은 무리나 단일 암컷으로도 발견된다. 서식지, 둥지 및 꽃 선호도는 햇빛이 잘 드는 다양한 장소, 특히 해안 지역, 황무지, 강둑, 열린 삼림 지대, 정원 및 도시 지역을 포함한 모래 토양이 있는 장소에서 자주 발견된다. 암컷은 초목이 희박한 맨땅에 굴을 파서 지하에 둥지를 만든다. 그들은 미나리 아재비, 산사나무, 인목속, 가시금작화, 과수를 포함하여 다양한 봄 꽃과 관목에서 섭식한다. 3. An Aphaenogaster iberica ant depredates on fruit flies pupae in the ground of a citrus orchard. As the name suggests, this ant is native to the Iberian peninsula but also Morocco. 아파노가스터 이베리카 개미는 감귤류 과수원 땅에서 초파리 번데기를 약탈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개미는 이베리아 반도가 원산지이지만 모로코도 원산지이다. 4. A female wasp (philanthus triangulum) nests in sandy soil with a captured and paralysed honey bee before laying an egg. 암컷 말벌(philanthus triangulum, 유럽벌잡이벌)은 알을 낳기 전에 포획되어 마비된 꿀벌과 함께 모래 토양에 둥지를 틀고 있다. 5. Bombus terrestris, a common bumble bee found throughout Europe. It is an excellent pollinator and reared commercially to enhance crop pollination. 꽃부니호박벌(서양뒤영벌)은 유럽 전역에서 발견되는 흔한 뒤영벌이다. 그것은 우수한 꽃가루 매개체이며 작물 수분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업적으로 사육된다. 6. A male orange tip butterfly (Anthocharis cardamines) backlit by the afternoon sun. Only males have the orange tip on the upper forewing. 수컷 유럽갈고리나비(Anthocharis cardamines)가 오후 태양을 역광으로 비추고 있다. 수컷만 위쪽 앞날개에 주황색 팁(끝)이 있다. 7. A twin-lobed deerfly (Chrysops relictus). Like mosquitoes, egg development in the adult female requires a blood meal from cattle, horses or deer. The males are often seen on flowers while feeding on nectar. # Photograph: Marc Brouwer/Royal Entomological Society 쌍엽사슴파리(Chrysops relictus). 모기와 마찬가지로 성체 암컷의 알 성숙에는 소, 말 또는 사슴의 혈액 섭취가 필요하다. 수컷은 종종 꽃에서 꿀을 먹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8. A freshly hatched owlfly, part of the ascalaphidae family. Owlflies are one of the ‘ugly ducklings’ of insects. The grotesque larvae are voracious predators in leaf litter and on trees; they ambush insect prey and capture them directly rather than trapping them in sand pits like their close relatives the antlions. They may attach sand and debris as camouflage. # Photograph: Amith Kiran Menezes/Royal Entomological Society 뿔잠자리과의 일부인 갓 부화한 뿔잠자리 유충. 뿔잠자리(개미 귀신)는 곤충의 '미운 새끼 오리' 중 하나이다. 괴기한 애벌레는 잎사귀와 나무에 있는 게걸스러운 포식자이다. 그들은 곤충 먹이를 가까운 친척인 개미처럼 모래 구덩이에 가두는 대신 매복하여 직접 포획한다. 그들은 위장으로 모래와 파편을 붙일 수 있다. 9. Mating katydids. Although closely related to grasshoppers, bush crickets or katydids are easily distinguished by their long antennae. # Photograph: Amith Kiran Menezes/Royal Entomological Society 짝짓기 중인 중베짱이들. 메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중베짱이 또는 여치류는 긴 더듬이로 쉽게 구분된다. 10. A dune robber fly eating a sulphur beetle. Robber flies are robust predators of other insects. They wait in ambush and catch their prey in flight. Like the dune robber fly (Philonicus albiceps), the sulphur beetle (Cteniopus sulphureus) is a coastal species. # Photograph: Jamie Spensley/Royal Entomological Society 사구파리매가 황딱정벌레를 먹고 있다. 파리매는 다른 곤충의 강력한 포식자이다. 그들은 매복하여 기다리다 날아가는 먹이를 잡는다. 사구파리매(Philonicus albiceps)와 마찬가지로 황딱정벌레(Cteniopus sulphureus)는 연안에 서식하는 종이다. 11. A pink grasshopper with a genetic mutation known as erythrism, which causes a reddish discolouration. This species, the meadow grasshopper (Pseudochorthippus parallelus), shows a wide variation in colours from greens, browns through yellow and black to pink/purple. The rarer pink-purple form occurs in females. # Photograph: Beverley Brouwer/Royal Entomological Society 적색 변색을 유발하는 홍반(erythrism)으로 알려진 유전적 돌연변이가 있는 분홍색 메뚜기. 초원 메뚜기(Pseudochorthippus parallelus)인 이 종은 녹색, 갈색, 노란색, 검정색, 분홍색/자주색 등 다양한 색상을 보인다. 희귀한 분홍색-보라색 형태는 암컷에서 발생한다. 12. This beautiful antlion (Euroleon nostras) found one late night after a rain storm. Antlion larvae dig funnel-shaped pits in sandy, light soil and bury themselves at the bottom. They feed on small arthropods that fall into the pit. # Photograph: Dennis Teichert/Royal Entomological Society 이 아름다운 명주잠자리(Euroleon nostras)는 폭풍우가 몰아친 후 늦은 밤에 발견되었다. 명주잠자리 애벌레는 깔때기 모양의 구덩이를 모래의 가벼운 토양에 파고 바닥에 자신을 묻는다. 그들은 구덩이에 떨어지는 작은 절지 동물을 먹는다. 13. Low-angle shot of a Saga hellenica. These large, predatory bush-crickets feed on other insects. # Photograph: Panagiotis Dalagiorgos/Royal Entomological Society 사가 헬레니카의 로우 앵글 샷. 이 크고 포식자 여치과(중베짱이)는 다른 곤충을 잡아먹는다. 14. 1st place in the Insect Week photography competition: a pair of mating golden-tabbed robber flies (Eutolmus rufibarbis). # Photograph: Pete Burford/Royal Entomological Society 곤충 주간 사진 대회 1위: 짝짓기 한 쌍의 금파리매(Eutolmus rufibarbis). 15. A banded demoiselle (Calopteryx splendens). The male colours are even more vibrant. # Photograph: Bailey Carswell-Morris/Royal Entomological Society 줄무늬물잠자리(Calopteryx splendens). 수컷의 색상이 더욱 선명하다. 16. A hummingbird hawk moth (Macroglossum stellatarum), which has a wing-beat frequency of about 75 times per second, similar to a small hummingbird. # Photograph: Marc Brouwer/Royal Entomological Society 꼬리박각시(Macroglossum stellatarum)는 초당 약 75회의 날개짓 빈도를 가지며 작은 벌새와 유사하다. 17. Two become one. Male and the female moths mate about three times over their 2-3-week life span. # Photograph: Jamie Smart/Royal Entomological Society 둘이 하나가 된다. 수컷과 암컷 나방이 2-3주 동안 약 3번 짝짓기를 한다. 18. A blue-tailed damselfly (Ischnura elegans). The larvae are aquatic and live in still or slow-moving water. # Photograph: Gustav Parenmark/Royal Entomological Society 푸른꼬리실잠자리(Ischnura elegans). 애벌레는 수생이며 잔잔하거나 느리게 움직이는 물에 산다. 19. The New Zealand praying mantis is one of just two mantids established in New Zealand and is the only native species. # Photograph: Rosa Dunbar/Royal Entomological Society 뉴질랜드 사마귀는 뉴질랜드에 서식하는 두 종의 사마귀 중 하나이며 유일한 토착종이다. 20. A red mason bee (Osmia bicornis). Females find existing cavities in which to build mud-lined cells. The cells are provisioned with pollen and nectar before an egg is laid and the cell sealed. # Photograph: Will Scarratt/Royal Entomological Society 빨간메이슨벌(Osmia bicornis). 암컷은 진흙 벌집의 방을 만들 수 있는 기존 구멍을 찾는다. 알을 낳고 벌집의 구멍을 밀봉하기 전에 벌집 방에 꽃가루와 꿀을 제공한다. 21. While red wood ants (Formica rufa) mainly feed on sugary aphid honeydew they are also predatory. This ant may need assistance with such a large prey. # Photograph: Gustav Parenmark/Royal Entomological Society 홍개미(Formica rufa)는 주로 달콤한 진딧물 감로를 먹지만 포식자이기도 하다. 이 개미는 이렇게 큰 먹이를 잡을 때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22. A small damselfly (Ischnura posita), which is native to North America. # Photograph: Benjamin Salb/Royal Entomological Society 북아메리카가 원산인 작은 아시아실잠자리(Ischnura posita)이다. 23. Backlit shot of a European mantis (Mantis religiosa) next to a mushroom. The widely spaced eyes allow three-dimensional vision required for accurate prey capture. Mantids are cannibalistic and well known for females devouring males before, during or after mating. # Photograph: Panagiotis Dalagiorgos/Royal Entomological Society 버섯 옆에 있는 유럽 사마귀(Mantis religiosa)의 역광 샷. 넓은 간격의 눈은 정확한 먹이 포획에 필요한 3차원 시야를 허용한다. 사마귀는 동족을 잡아먹으며 짝짓기 전, 도중 또는 후에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Topics Insects Photography/Wildlife/Animals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출처: 화촌중학교21회 동창회 원문보기 글쓴이: 김춘근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연관검색어
환율
환자
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