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지 (之) : 갈지, 어조사 지.
(ㄱ) 자왈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子曰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
☞ 지(之)는 ‘무의미한 어조사’ 이다. ※ 安之. 信之
(ㄴ) 선왕지도 사위미 소대유지 (先王之道 斯爲美 小大由之):
선왕의 도는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다. 그리하여 작은 일과 큰 일에
모두 이것을 따른 것이다.
☞ ‘先王之道’의 지(之)는 ‘~의’ 로 해석하는 ‘관형격(冠形格) 조사(助詞)이고,
‘小大由之’의 지(之)는 ‘이것을’ 으로 해석하는 ‘지시 대명사’이다.
(ㄷ) 장씨지자 언능사여불우재 (臧氏之子 焉能使予不遇哉):
“장씨(臧氏)의 아들이 어찌 나로 하여금 만나지 못하게 할 수 있겠는가?”
☞ 지(之)는 ‘~의’ 로 해석하는 ‘관형격(冠形格) 조사(助詞)이다.
(ㄹ) 대학지도 재명명덕 (大學之道 在明明德):
대학(大學)의 도(道)는 명덕(明德)을 밝힘에 있으며,
☞ 지(之)는 ‘~의’ 로 해석하는 ‘관형격(冠形格) 후치사(後置詞)’이다.
(ㅁ)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孝悌也者 其爲仁之本與):
효도와 공경이라는 것은 그 인(仁)을 행하는 근본(根本)일 것이다.
☞ 지(之)는 ‘~는’ 으로 해석하는 ‘관형격(冠形格) 조사(助詞)이다.
(ㅂ) 비여북신거기소 이중성공지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拱)之):
“비유하면 북극성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으면 그에게로 향하는 것과 같다
.” ☞ 지(之)는 ‘그’ 로 해석하는 ‘지시 대명사’이다.
(ㅅ) 자왈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 무치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 無恥):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인도하기를 법으로써 하고 가지런히 하기를 형벌로서 하면 백성들이 형벌을 면할 수 있으나 부끄러워함은 없을 것이다.”
☞ 지(之)는 지이 (之以)의 형태의 문장에서 하나의 품사성분으로 단정 하기는 적합하지 않을 것 같다.
지(之)가 앞의 도(道)를 도(導)로 ‘동사’화 하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3구(句)의 민(民)을 지시하는 ‘지시대명사’ 역할 하는 것으로도 보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ㅇ) 문왕지위야 (文王之謂也): “문왕을 이른 것입니다.”
☞ 지(之)는 ‘~을’ 로 ‘목적격 조사’ 조사(助詞)이다.
※ 문법. 지(之)자의 뒤에 ‘~을 말한다, ~이른다.’ 는 위(謂)가
쓰였기 때문이다.
(ㅈ) 맹자왈 부물지부제 물지정야 (孟子曰 夫物之不齊 物之情也):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물건이 똑같지 않음은 물건의 실정이니,”
☞ ‘物之不齊’의 지(之)는 ‘~이’ 로 해석하는 주격조사(主格助詞)이고,
‘物之情也’의 지(之)는 ‘~의’ 로 해석하는 ‘관형격(冠形格) 조사(助詞)이다.
(ㅊ) 단주지불초 순지자불초 (丹朱之不肖 舜之子不肖):
“단주(丹朱)가 불초(不肖)못함에 순의 아들 또한 불초(不肖)했으며,”
☞ ‘丹朱之不肖’의 지(之)는 ‘~가’ 로 해석하는 주격조사(主格助詞)이고,
‘舜之子不肖’의 지(之)는 ‘~의’ 로 해석하는 ‘관형격(冠形格) 조사(助詞)이다.
(ㅋ) 송경 장지초 (宋牼 將之楚):
‘송경(宋牼)이 장차 초나라에 가려고 할 적에,’
☞ 지(之)는 ‘~가다’ 로 해석하는 동사(動詞)이다.
※ 문법. 나라이름이나 지명 앞에 지(之)는 ‘~가다’ 는
동사(動詞)로 쓰인다.
(ㅌ) 맹자왈 선생은 장하지 (孟子曰 先生 將何之):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선생은 장차 어디로 가려 하십니까?”
☞ 지(之)는 ‘~가다’ 로 해석하는 동사(動詞)이다.
(ㅍ) 악정자종어자오 지제 (樂正子從於子敖 之齊):
악정자(樂正子)가 자오(子敖)를 따라 제나라에 갔었다.
☞ 지(之)는 ‘~가다’ 로 해석하는 동사(動詞)이다.
(ㅎ) 부모유기질지우 (父母唯其疾之憂):
부모는 오직 자식이 병들까 근심하신다.
☞ 지(之)는 ‘~까’ 로 해석하는 어조사(語助辭)이다.
※ 倒置法에서 目的語가 동사 앞에 올 때 목적어와 동사 사이에 끼우는 조사로 之를 쓴다.
예문 : 父母唯其疾之憂.
첫댓글 문장에 之字의 해석이 가장 어려운것 같읍니다.
특히 지시대명사로 쓰일경우 가르키는것이 무엇인지 알기가 쉽지 않읍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다시 한번 공부합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가 되시구요...^^*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지(之) : 갈지, 어조사 지, 에 대한
해석하는 동사(動詞)와 어조사(語助辭),
그리고 관형격(冠形格) 조사(助詞)와
후치사(後置詞)를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之(지)의 쓰임은 다양하여 많이 공부해야 할 것 같습니다.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感謝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之=>갈 지, 어조사 지, 字는 무의미한 어조사,관형적助詞, 지시 대명사,관형적 후치사,동사,목적격조사,등으로
쓰임을 잘 배우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알기쉬운 二千字文 文法
162. 지(之):갈 지. 어조사 지.
之는 '무의미한 어조사' *安之. 信之.
之는 '~의'로 해석하는 冠形格 助詞이고
之는 '이것을'으로 해석 하는 지시 대명사 이다.
之는 '~의'로 해석하는 冠形格 後置詞이다.
之는 '그'로 해석 하는 지시 대명사 이다.
之는 '~는'으로 해석 하는 冠形格 助詞이다.
之는 之以의 형태의 문장에서 하나의 품사 성분으로 단정히기는 적합하지 않은것 같다.
之는 '~을'로 목적격 조사이다.
之는 '~이'로 해석 하는 主格助詞이고
之는 '~의로 해석 하는 冠形格 助詞이다.
之는 '~가'로 해석 하는 主格 助詞이고
之는 冠形格 助詞이다.
之는 '~가다'로 해석 하는 動詞이다.
之는 '~까'로 해석 하는 語助詞이다.
之字로 이루어 진 文法은 지금 까지 배운 모든 文法가운데 가장 어렵고 난해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일단 끝까지 따라 읽으며 공부했지만 어렵고 어려웠습니다.~^^
感謝드리면서 잘 배웁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설 명절 잘보내세요.
많이 공부하고 갑니다.고맙습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아 받으세요.
"之"
주연은 당연히 중요하지만
주연이 빛나기 위해서는
틈새의 조연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어렵고 어렵지만
다시 한 번 배웁니다
다른 날 보다 더 많이 쓰고 공부했는데
좋은 자료 찾아서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올 겨울 건강하게 잘 지내시는 것 같아
또 감사 드리며
내일 모레가 설이 돌아오는 설에
가족 분들과 많은 복 받으시고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아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