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든두들 (Goldendoodle)
► 이 명 : 그루들(Groodle), 두들(Doodle)
► 외 관 : 골든두들(Goldendoodle)의 크기는 체고가 수컷 61~66㎝, 암컷 56~58.4㎝ 정도이며, 체중은 20~45 kg 정도되는 중형견 내지는 대형견으로 수컷이 암컷보다는 조금 더 큰 편이다. 골든두들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푸들 부모와 골든 리트리버 부모 사이의 어딘가에 있다. 크기의 범위는 표준형, 중형, 소형(푸들 모체가 축소된 경우)으로 나뉘어진다. 성견이 되면 골든두들의 표준 체중은 27~45kg 정도이다. 중형은 13.6~20.4kg 이고, 소형은 6.8~13.6kg 정도이다. 종종 키가 큰 골든두들은 골든 리트리버로부터 더 많은 유전자를 물려 받았으며, 실질적으로 더 무거운 체중을 가지게 된다. 골든두들이 머리 위에 있는 골든 리트리버 혹(Golden Retriever Bump)을 물려받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
털은 물결 모양의 웨이브(Wavy)와 곧게 뻗은 일직선(Straight)의 털, 그리고 곱슬곱슬한 컬리(Curly) 코트를 가지고 있다. 골든두들(Goldendoodle)의 털은 크게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스트레이트 코트 유형(Straight coat type)은 털이 고르고 평평하며 직선으로 곧게 뻗은 털로 골든 리트리버의 털과 매우 닮았다. 둘째, 웨이브 코트 타입(Wavy coat type)은 푸들의 곱슬거림과 골든 리트리버의 곧게 뻗은 직선의 코트가 혼합되어 있다. 셋째, 컬리 코트 타입(Curly coat type)은 동그랗게 돌돌 말린 꼬불꼬불하고 곱슬곱슬한 코트로 푸들 코트와 아주 흡사한 경향이 있다. 털의 색은 크림(Cream), 골드(Gold), 적색(Red), 흑색(Black), 갈색(Brown), 백색(White), 회색(Grey) 등 다양하다.
► 설 명 : 골든두들(Goldendoodle)은 새로운 품종으로의 창조에 대한 타당한 이유가 부족하여 그렇게 큰 인기는 없다. 이 품종의 긍정적인 성격의 특성은 다양하다. 친절하고 총명하며,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을 의지한다. 보통 매우 다정다감한 이 개는 온순하고 인내심이 많으며, 특히 인간적인 동료애를 즐기기 때문에 멋진 가족의 동반자가 되어준다. 이 품종은 충성스럽고 적절한 훈련을 받으면 고분고분할 수 있다. 장난기가 많은 면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분위기가 만들어진다면 매우 장난꾸러기가 될 수도 있다.
기질은 유전적 특징, 훈련, 사회화를 포함한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기질이 좋은 강아지들은 호기심이 많고 장난기가 많아서 사람들에게 다가가서 붙잡히려고 한다. 다른 모든 개들처럼 골든두들은 어릴 때 많은 다른 사람들, 시각, 소리, 경험에 노출되는 조기 사회화를 필요로 한다. 사회화는 골든두들 강아지가 잘 자란 성견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골든두둘을 강아지 유치원 수업에 등록시키는 것은 좋은 시작이 될 수 있다. 정기적으로 방문객들을 초대하고, 이들을 사람이 많고 복잡 다양한 공원과 개를 허락하는 상점, 그리고 여유롭게 산책을 하면서 이웃들을 만나는 것도 그가 사교 기술을 닦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배에 낳는 새끼 수는 3~12마리 정도이다. 평균 수명은 10~15년 정도이다.
모든 골든두들이 스탠더드 푸들의 저자극성의 코트 유형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골든두들은 털 빠짐이 덜한 논 쉐딩 코트(Non-shedding Coat)를 가지고 있다. 털 손질은 개마다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골든두들은 다른 개들보다 털을 손질할 때 더 적게 빠진다. 푸들의 이러한 자격 요건은 규칙적인 솔질, 목욕, 털 부스러기 등을 포함한다. 골든두들은 털 빠짐이 현저하게 적어서 털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킨다.
► 주 의 : 특별히 알려진 유전적 질환은 없으며, 질병에 대한 내성도 비교적 강한 편이다. 관절 관련 질병에 약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으며, 털이 많아서 지루성 피부염 등에도 노출 되므로 유의해야 한다. 특히 음식 알레르기가 심하므로 사람이 먹는 음식들, 즉 짠 음식 등 자극성이 강한 음식은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 철저한 식단관리가 중요하며, 지루성 피부병이나 알레르기성 피부염증이 발병할 경우에는 심한 탈모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 눈은 백선이나 백내장 등에 잘 걸리므로 항상 눈을 관찰해서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좋다.
충성스럽고 영리하며 호기심이 많은 편이며, 어릴 때부터 충분한 사회화 훈련을 시켜야 훌륭한 반려견으로 거듭날 수 있다. 어릴 때부터 많은 사람들과 접하고, 다른 애완동물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식탐이 비교적 많은 편이지만 운동량도 비교적 많은 편이어서 비만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개체에 다라서 식탐이 강하고 운동량이 부족하면 비만이 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식사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매일 규칙적인 산책이나 운동은 필수적이다.
털 바짐이 적은 편이어서 수시로 비질만 해 주어도 털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 추위에는 강하지만 더위에는 약한 편이므로 여름철에는 시원하게 관리해 주어야 한다. 물을 좋아하므로 수영할 기외를 자주 만들어주면 매우 좋아한다.
► 기 원 : 골든두들(Goldendoodle)은 호주식 영어(Australian English)로 그루들(Groodle)이라고 하며, 스탠더드 푸들(Standard Poodle)과 골든 리트리버(Golden Retriever)를 이종교배하여 생겨난 개의 품종이다. 이 품종과 유사한 래브라두들(Labradoodle)에서 유추해 낸 방식의 이름으로 푸들(Poodle)을 두들(doodle)로 변경한 이 명칭은 1992년에 만들어졌다.
골든두들(Goldendoodle)은 1969년 모니카 디킨스(Monica Dickens)에 의해 처음 길러졌다. 1990년대에 북미와 호주의 사육업자들이 스탠더드 푸들과 골든 리트리버를 이종교배하면서 골든두들에 대한 인기가 증가했다. 이종교배의 원래 목적은 알레르기가 있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적합한 안내견을 개발하기 위해서였다.
푸들(Poodle)은 날리는 털이 다른 견종에 비해서 상당히 자극성이 낮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의 털은 곱슬거리는 털의 특성으로 인하여 잘 빠지지 않고, 털의 알레르기 반응현상도 덜하였다. 비듬은 피부에서 떨어져 나와 사람에게 과민한 신체적 반응 현상인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원인인 단백질이다.
골든두들은 디자이너 도그(Designer dog)이다. 영국의 백과사전은 20세기 후반부터 다른 순종의 품종들과 순혈종의 스탠더드 푸들을 이종교배하기 시작했을 때, 디자이너 도그(Designer dog)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푸들의 털 빠짐이 적고 인체에 알레르기 반응이 덜한 점을 극대화하여 활용하려는 의도에서였다. 물론, 푸들 고유의 특성이 있는 털을 물려받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었지만 말이다.
골든두들에 관한한 이들은 훌륭한 가정견으로 여겨지며, 이것은 그들이 스탠더드 푸들과 이종교배하는 데 이용된 이유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종류의 골든두들을 만들었다. 암컷의 골든 리트리버(Golden Retriever)와 함께 번식한 수컷의 스탠더드 푸들은 F1 골든두들을 생산한다. F1 골든두들을 가지고 번식한 수컷의 푸들을 F1B(F1-back cross)라고 부른다.
► 비 고 : 골든두들(Goldendoodle)는 세계 애견 연맹(FCI)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세계의 어떤 다른 주요 켄넬 클럽으로부터도 표준화 품종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