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은 계란이 있던 기차간 풍경
곽 흥 렬
‘동대구역’이란 이름만 떠올리면 언제나 기적 소리가 환청으로 들려온다. 그만큼 그날의 기적 소리는 어린 나에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처럼 너무도 색다른 인상으로 다가왔었다. 그 모습은 삼십여 년의 시간이 훌홀히 흘러간 지금 이 순간까지도 의식의 심연에 고이 아로새겨져 있다.
초등학교 졸업 기념으로 나섰던 수학여행 길이었다. 시골 무지렁이로 자라오면서 그때 난생처음으로 들어 본 길고도 느릿하던 기적 소리. 그 소리는 외양간의 황소가 영각을 할 때 내는 울음의 서너 배는 됨 직해 보일 만큼 크고 우렁찼다. 오페라 가수의 뱃심에서 뿜어져 나오는 바리톤의 깊고 그윽한 저음과도 같이. “뿌웅~ 뿌웅~” 기적 소리는 몇 차례 여음을 남기며 유성처럼 꼬리를 물고 밤하늘 저편으로 사라져 갔다.
기차라는 탈것도 실물을 보기는 물론 그때가 처음이었다. 산더미만 하다는 표현이 조금도 어색하지 않을 만큼 어린 눈에는 우람한 덩치로 보였다. 그 거구를 이끌고 연신 거친 숨소리를 씩씩거리며 달려와, 꺼벙하게 서 있던 우리 촌뜨기들 앞에 도도한 자태로 멈춰 서던 완행열차. 여태 그저 그림책에서만 보아 왔었던 기차의 형상은 시골 아이들에겐 무척이나 낯설고도 신기한 존재였다. 선생님을 따라 열 지어 플랫폼으로 걸어가던 우리의 모습이 꼭 어미 닭 꽁무니에 붙어 종종거리는 올망졸망한 햇병아리들만 같았다. 그랬던 그날의 정경이 어제 일처럼 기억 속에 생생하다.
당시만 해도 요새같이 민가들이 다닥다닥 들어차 있지 않아 역 주변이 추수 끝난 들판처럼 휑뎅그렁했다. 산이라고 하기에는 도무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야트막한 구릉지와 개간을 하여 일군 비탈진 밭뙈기들 사이사이로 네댓 채씩, 예닐곱 채씩의 한옥들이 띄엄띄엄 따개비같이 납작 엎드려 있을 뿐이었다.
우리는 가지런히 열 지어 늘어선 철길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던 그 야산 언덕배기에서, 타고 갈 열차가 도착하기만을 목을 늘이고 기다렸다. 아마도 시계가 그리 흔치 않은 시절이었기 때문이리라. 지금으로서는 어딘지 알 길 없는 시내 어느 중화요리점에서 늦은 점심을 때운 둥 만 둥 하고는 곧장 그곳으로 달려가 내처 동동거렸으니, 자그마치 서너 시간은 넉넉히 됨 직할 것 같다.
어떠한 기다림이든 끝은 있게 마련인가. 그 길고 지루한 기다림 끝에 마침내 흑룡의 앞머리처럼 요란스런 모양을 한 기차의 동체가 거짓말같이 모습을 드러내었다. 우리는 창가 쪽 양편에 세로로 기다랗게 배열되어 있던 좌석- 그때 당시 완행열차의 내부구조는 입석 버스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으로 우르르 몰려가 서로 먼저 차지하려고 다투느라 한바탕 왁자하니 법석을 떨었다.
그렇게 얼마를 지났을까. 이윽고 마지막으로 승강구에 오르신 선생님의 모습이 먼발치에서 보이고, 기차가 밤하늘을 가르는 긴 기적 소리와 함께 서서히 걸음을 떼놓기 시작하고 나서야, 아이들은 서리 맞은 쑥대들처럼 조용히 물러앉았다. 나의 첫 기차여행은, 이렇게 초조한 기다림과 낯선 풍경에 대한 설렘 그리고 가벼운 흥분으로 시작되었던 것이다.
초행길은 항용 누구에게나 얼마나 지루한 여정인가. 그것도 서울이라는 천리 먼 길 여행이었으니. 사위에 땅거미가 깔리기 시작하는 걸 보고 기차에 올랐건만, 다음 날 여명이 밝아올 때쯤 해서야 종착역 가까운 여인숙에 여장을 풀 수 있었다. 그 기억을 더듬어 보면, 아무리 줄여 잡아도 장장 여덟아홉 시간은 넉넉히 걸린 성싶다.
기차는 온밤을 꼬박 가다 서다 가다 서다를 거듭하며 육중한 몸을 이끌고 마침내 서울의 초입인 용산역에 닿을 수 있었으리라. 그렇게 해서 시작된 삼박사일 일정의 시내 나들이. 어디가 어디였는지는 안개 속처럼 아슴푸레하지만, 아마도 고궁엘 들르고 동물원도 가보고 유적지 같은 곳도 관람했었던 것 같다. 하지만 서둘러 고향집으로 내려가고 싶다는 일념뿐, 지금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이라고는 아무것도 없다. 다만 세상의 수다한 소리들 가운데 밤새껏 간헐적으로 울어대던 기적 소리와 함께 찻간에서 들었던 또 하나의 소리만이 길이 잊히지 아니할 고운 추억거리로 의식의 심연에 깊이깊이 갈무리되어 있을 따름이다.
“닮~은 계란이요 닮~은 계란!”
기차간 들병장수의 외침 소리는 완행열차의 왁자지껄한 공간을 장터처럼 들썩이게 하고 있었다. 그 밤 내내 자그마치 몇백 번이나 들었을까. 나른하도록 정겨웠던 그 목소리가 방금 어디에선가 들려오는 듯 상기도 귓전에 쟁쟁하다. 계란 말고도 술이며 땅콩이며 마른오징어 같은 심심파적 거리들을 대바구니 가득 갖추고 있었으면서도, 어째서 줄곧 ‘닮은 계란’이라고만 외쳐 대었는지는 지금껏 알 수가 없다. 닮은 계란이요 닮은 계란, 아무리 유심히 귀를 모으고 들어봐도 아직 덜 발달했던 나의 청각기관은 도무지 그렇게밖에 인식을 하지 못했다. 꽁무니가 보일락 말락 할 만큼 아득히 열 지어 늘어선 객차의 칸칸마다를 십여 분 간격으로 순회하며 쉴 새 없이 외쳐 대던 그 소리, 참으로 야릇한 흥미는 불러일으키면서도 선뜻 이해가 되어 오질 않았다. 지난날 시내버스가 정거장에 설 때마다, 반쯤 열려진 창문 틈으로 머리를 내밀고서 무슨 뜻 모를 주문呪文을 외듯 행선지를 웅얼거리던 안내양 아가씨의 코맹맹이 소리처럼.
그 희한한 말이 도대체 무슨 뜻일까를 나는 골똘히 생각하기 시작했다. 세상천지에 계란이란 계란은 다 닮았지 어디 닮지 아니한 계란도 있는가. 아니면 기차간에서 파는 계란은 시골 계란과는 다른, 특별히 더 닮은 구석이라도 있단 말인가. 좁은 촌구석에 갇혀 지내다 대처로 나섰을 때의, 낯선 광경에 대한 어떤 경계심 섞인 호기심 같은 것도 은연중 작용하였으리라.
언젠가 북녘 동포들은 구개음화 법칙을 따르지 않아 ‘정거장에 전깃불이 번쩍번쩍’ 하는 말을, ‘덩거당에 던깃불이 번떡번떡’이라고 발음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우스갯소린지 진짜소린지는 모르겠으되, 그게 만일 사실이라면 그 계란장수 역시 이 문법 규칙을 미처 깨치지 못해서 삶은 계란을 두고 닮은 계란이라며 어긋진 발음을 했었던 것일까. 아니면 기차간 들병장수들이 지닌 그들 특유의 언어 습관일까. 어쨌든 기막히게 자연스러운 발음으로 노래처럼 가락을 넣어 외쳐 대던 그 소리에 나는 너무도 깊이 매료되어 버렸다. 닮은 계란이요, 닮은 계란, 이 말은 한동안 무슨 기도문이라도 되는 양 입 안을 뱅글뱅글 끊임없이 맴돌았다.
그것이 닮은 계란이 아니고 삶은 계란이었음은, 그 후 한참의 세월이 흐르고 나서야 비로소 알아차리게 되었다. 이렇게 세상사의 깨달음이란 늘 완행열차의 기적 소리처럼 느릿한 걸음으로 다가오는 것인가 보다. 아니다. 그게 아니다. 사실 벌써부터 어렴풋이 짐작이야 대고 있었을 수도 있다. 다만 그 색다른 목소리에 이끌려 스스로 닮은 계란이라고 굳게굳게 믿고 싶었던 까닭에서인지도 모르겠다.
지금도 운동회나 소풍 같은 특별한 날 아내가 아이들을 위해 준비해 주는 삶은 달걀을 보면, 불현듯 어린 날의 그 ‘닮은 계란’이 있던 기차간 풍경이 선연히 떠오른다. 이럴 때 나는 자신도 모르게 “아, 저 닮은 계란!” 하며 입버릇처럼 되뇐다.
그때 그 시절이 몹시도 그립다. 그것은 ‘완행열차’라는 이름이 가지는 특유의 정서 때문일까, 아니면 찻간을 오가며 외치던 닮은 계란 장수의 감칠맛 나던 독특한 억양 때문일까.
아무튼, 어쩐지 세상살이가 너무 팍팍하고 시틋하게 느껴져 올 때면, 이따금 그 정감 어린 목소리를 떠올리며 지난 시절을 더듬어 보곤 한다. 그러면서 한동안 잃고 있었던 삶의 의욕을 되찾는다.
첫댓글 깊은 울림을 주는 재미 있는 수필 작품입니다. 그때 그 시절은 계란 하나 먹는 것도 특권이었지요. 도시락 밥 위에 계란 부침 하나 올려오는 친구들 보면, 꽁 보리 밥 위에 쌀 밥을 발라서 도시락을 가져가는 처지에서는 그게 엄청 부러웠는데 "우리는 다들 계란처럼 똑 같이 닮았다"는 것이 신기하기도 합니다.
수필 작품을 좋아하는 수필과 좋은 수필로 가른다면, 이 수필은 좋아하는 수필은 될 수 있을지언정 좋은 수필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스스로 판단을 내리고 있습니다.
다만 독자들에게 조금은 재미난 읽을거리를 제공할 것 같기도 하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미를 찾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합니다.
삶은 계란을 하루 종일 외쳐야 하는 사람으로서 발음하기가 힘들었겠지요
그래서 말을 약간 굴리는게
버릇이 되었지 않았나
생각해 봅니다
계랑이 왔어요~
굴고 싱싱한 계랑이왔어요 하며
골목을 누비는
계란 장수처럼
찡계랑~살믄계랑~
심심풀이 땅콩이 왔어요
즐감하고 갑니다
선생님 말씀처럼 아마도 종일토록 똑같은 말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해야 하는 입장이라면 누구라도 조금은 입을 덜 아프게 하는 발음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도 골목골목을 누비며 잡다한 먹거리들을 팔러 다니는 트럭 행상의 마이크 소리에서 그 옛날의 기억을 더듬어 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