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형동검은 주로 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기 때문에 한국형 동검으로 불리우는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동검이다. 이 세형동검은 비파형(요녕식)동검의 형식을 잇고 있다. 즉 비파형 동검의 하반부가 길어지고 칼자루가 없으며 허리 양쪽의 팸이 형식상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세형동검의 가장 큰 특징은 비파형 동검처럼 검몸과 칼자루를 따로 제조해 조립하는 분리식이라는데 있다. 이에 비해 중국식 동검은 검몸과 칼자루를 한꺼번에 만드는 일체식이다. 따라서 세형동검은 분리식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칼자루를 여러 형태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세형동검은 중국식동검보다 발전한 동검으로 인정받고 있다.
세형동검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파형 동검을 맥을 잇고 있는데 기원전 5-4세기경 초기 세형동검이 나타나는 곳은 요서지방이나 북경지역이 아닌 요동지역이다. <한국고대사 속의 고조선사(송호정)>에 따르면 요동지역 윤가촌 2기 문화유적에서 나온 청동단검은 이미 검 끝이 길고 날이 직선형으로 변하며 T자형 칼자루가 보여 비파형 동검 범주에서 벗어난다. 이러한 초기 세형동검은 목양성 일대에서 2점이 나오고 요동반도 대련지역에서도 다수 출토됐으며 요양 양갑산과 심양 정가와자에서도 출토됐다.
물론 한반도 북부와 평양지역에서도 초기 세형동검이 나타나 일부 학자들은 세형동검이 요동지역과 한반도 북부, 평양지역에서 각각 형태를 달리하며 발전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병삼, 황기덕, 임운 등 한국과 중국 대다수 학자들은 요동지역에서 초기 세형동검이 나타난다는데 동의한다. <기원전 3-2세기 고조선 문화와 명도전 유적(박선미 석사논문)>에서도 ‘초기 세형동검은 요동지역과 길림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도 초기 세형동검이 발견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명도전과 세형동검의 분포가 청천강을 경계로 한다는 견해는 재고해 보아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요동지역과 길림 등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세형동검은 요서지역이나 북경이 아니라, 그 반대쪽인 한반도로 확산됐음을 보여준다. 이는 이 세형동검을 처음으로 사용한 요동지역 세력이 연나라에 속해 있었다기 보다는 길림.한반도와 공동체적인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청동기 후반기에 어떤 외부적인 영향으로 그 세력이 평양을 비롯한 한반도 지역으로 옮겨가 세형동검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결국 이 요동지역은 연나라 영역이 아니라 위만조선의 영역이었음을 보여준다.
아래 사진은 <한국 고대사속의 고조선사>에 수록된 초기 세형동검, 대구 비산동에서 출토된 세형동검, 중국형 동검이다. 한국형 동검의 우수성을 비교해 보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