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지가 필유여경)
積(쌓을 적) 善(착할 선),
之(갈 지) 家(집 가),
必(반드시 필)有(있을 유),
餘(남을 여) 慶(경사 경).
뜻: 선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남는 경사가 있다.
좋은 일을 많이 하면 후손들에게
복이 미친다는 말이다.
천둥 번개 치고 장대비가 퍼붓듯
쏟아지던 어느날 밤, 주막집
사립문 앞에서 누군가 울부짓는
사람이 있었다.
“영업 벌써 끝났소.”
자다가 일어난 주모는 안방 문을
쾅 닫고는 방안으로 들어가버렸다.
그 때 열두어살 먹어 보이는 사동이
나와서 사립문을 열어보니 노인장이
질척거리는 흙바닥에 앉아 있었다.
고주망태가 된 술꾼인 줄 알았는데
술냄새는 나지 않았다.
가시넝쿨 속을 헤맸는지,옷은 찢어 졌고
삿갓은 벗겨졌으며 도롱이는 비에
흠뻑젖어 걸치나 마나였다.
사동이 그를 부축하여 뒤뜰 굴뚝옆에
붙어있는 자신의 쪽방으로 모셔갔다.
내일이 장날이라 장사꾼들이 빼곡하게,
새우잠을 자는 객방에는 자리가
없었을 뿐더러 흙투성이를 손님방에
들게 할 수도 없었다.
사동이 반평도 안되는 자기 방으로
그 분을 모셔가 호롱불 빛에 보니
그 사람은 볼품없는 노인이었다.
동창이 밝았을 때, 노인이 눈을 떠보니
자신은 발가벗겨져 있고 옷은 바짝 말라
머리맡에 개어져 있었다.
그때 사동이 문을 열고 생긋이 웃으며 말했다.
“어르신, 아궁이에 옷을 덮혀 말렸으니 입으세요.”
그 몇일 후, 그 날은 장날이 아니라 일찍 주막문을 닫으려 하는데, 웬 장정이 들어왔다.주모는 바깥나들이를 나갔고 사동 혼자 주막을 지키고 있었다.
“너, 나하고 어디 좀 가야 쓰것다.”
장정이 사동의 손을 잡아 끌었다.
“안돼요. 왜요?”
그렇지만,덩치 큰 장정은 사동을 번쩍 들어
사립문 밖에 매어둔 말에 태웠다.
말은 달리고,사동은 떨어질세라
장정의 허리를 껴안았다.
한 참을 달려 고래 등같은 어느
기와집 앞에서 멈췄다.
사동은 장정에게 이끌려 대문 안
사랑방으로 들어갔고 방안에는
유건을 쓴 대주 어른이 빙긋이
웃으며 사동의 두손을 잡았다.
“내가 누군지 알겠느냐?”
“어? 그날 밤 비를 맞고오신...”
“그래, 그렇다.
내가 어머님 묘소에 갔다가 갑자기
폭우를 만나, 하인은 낭떠러지기에
떨어져 죽고 나혼자 길을 잃고
헤매고 있는 중에 너희 주막에서 너를
만나지 않았더라면 나는 목숨을
잃을 뻔했구나.”
사동의 얼굴에서 두려움이 사라지고
놀라움에 벌린 입은 다물어질 줄 몰랐다.
그날 밤 비를 맞고 주저앉은 노인을 보고,
붓장수일까, 갓장수일까,
아니면 비렁뱅이일까?
온갖 추측을 다 했는데,
이런 큰 기와집 주인이라니...
“너의 바람이 뭐냐?”
“돈을 벌어서 빼앗긴 주막을
도로 찾아 어머님께
돌려드리는 것입니다.”
원래 여우고개 아래 주막은
사동네 것이었다.
그런데 이년 전, 7년이나 장병으로
누워 있던 사동의 아버지가 이승을
하직하자 약값으로 쌓인 빚 때문에
주막은 저잣거리 고리채 영감에게
넘어갔던 것이었다.
그 후 사동의 어머니는 저잣거리
국밥집 찬모로 일하게 됐고,
형은 장터에서 지게꾼으로
일하고 있었으며 지금 주막집 주모는
고리채 영감의 사촌 여동생이다.
사동의 내력을 다 듣고 난
대주 어른이 물었다.
“몇년이나 돈을 모으면
그 주막을 도로 찾을 것 같으냐?”
코흘리개를 겨우 면한 사동이
손가락을 세어 보며 말했다.
“십년 안에는...”
대주 어른이 고개를 끄덕이고는
사동을 말에 태워 돌려 보냈다.
이튿날 대주어른이 저잣거리
고리채 영감을 찾아가, 주막을
사겠다고 흥정을 했다.
이미 주막이 넘어간 가격을
알고 있는데 고리채 영감은
터무니 없이 비싼 값을 불렀다.
며칠 후 나루터 옆에 목수들이
모여들었다.
"뚝딱 뚝딱"하고 집짖는
공사가 시작되었고...
석달 후 춥지도 덥지도 않은 시월상달에,
널직한 기와집 주막이 새로 완공됐다.
대주 어른은 완공식 날,
땅 문서와 집 문서를 열두살
사동에게 줬으며, 손님들이 시설좋고
인심 좋은 새 주막집으로 몰려옵니다.
그후 얼마되지 않아서 옛 주막집은
문을 닫고 말았습니다.
積善之家 必有餘慶
(적선지가 필유여경)
적선하는 집에는 반드시
경사가 넘쳐난다.
"반대로 "적악지가 필유여앙
(積惡之家 必有餘殃)"
이란 말도 있습니다.
선하지 않은 행실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재앙이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선하지 않은 행동을 한 사람의 자손이
나쁜 일을 겪게 되는 일은
우리 역사 속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어린 조카 단종의 왕위를 빼앗았던 조선의
7대 임금 세조가 대표적인 예입니다.
세조는 단종이 죽던 해에 큰 아들이었던
의경 세자를 잃었고,
둘째 아들이었던 예종 역시 25세의
젊은 나이로 죽고 말았습니다.
또한 손자대의 왕인 연산군은 포악한
정치를 펼쳐 폐위되기까지 했습니다.
이 모든 일이 모두 세조 탓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지만
적악지가 필유여앙
(積惡之家 必有餘殃)은
우리에게 보여주는 좋은 교훈 입니다."
남모르는 외지인 불청객이라도
서로 도와가며, 베푸는 인정이
언젠가는 복을 받게 된다는
교훈이 아닌가 싶습니다.
"삼대 거지 없고 삼대 부자 없다"는
속담도 전하지만 ,
역대 경주의 최부자는 12대 진사에
12대 3000석의 부자로 살았던 이유가
흉년이 들며는 가난한 소작인에게
소작료 즉 도주곡을 받지 않았다고 하며
사방 백 리 거리 내에 거주인으로,
식량이 없어 굶주리는 사람이 없게
하였다고 합니다.
또 흉년에는 토지를 매입하지
않았다고 하는데,
이유는 토지 소유자가 일시적 곤란을
참지 못해 논을 팔아버리게 되면
그다음 해에는 곤란한 생활을 면치
못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였다고 합니다.
1998년 미국 하버드 의과대학에서
한 연구팀은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하버드 학생들에게
테레사 수녀가 인도에서 환자를
돌보며 봉사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여준 다음 이들의
면역 항체 수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놀랍게도 수치가 이전보다 50%
이상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후 남을 돕는 활동을 통해 일어나는
정신적 신체적 고양 변화를
마더 테레사 효과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즉 사람들이 선한 일을 생각하거나
그것을 간접적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몸속에서 놀라운 치유력과
면역 항체가 생긴다는 것을
보여준 실험이었습니다.
물론 자신이 직접 타인을 위한 봉사나
선행을 행한다면 그 이상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오니
살아가면서 많은 선을 쌓아가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