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 정희선 석좌교수(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는 "대마가 중독성이 없다면 (정씨가) 161회나 피우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대마는 환각성이 강해 전혀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고, 이를 또 경험하고 싶게 만들어 정신적으로 대마에 심하게 의존하게 하며, 습관적으로 대마를 피우고 싶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대마는 환각성도 강력하지만, 자기제어 능력, 상황 판단능력, 거리감도 상실하게 한다. 지난해 부산에서 대마 흡연 후 대형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가 발생한 것도 대마의 이 같은 작용 때문이다. 정희선 교수는 "대마를 하는 사람들은 흡연 후에도 본인이 괜찮은 상태라고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마를 피우면 환각과 함께 거리감 판단 능력이 상실돼 특히 운전할 때 위험해져, 대마를 허용한 국가에서도 대마흡연 후 운전은 음주운전만큼 강력하게 처벌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대마의 정신적 중독성은 담배와 비교할 수 없으며, 신체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말할 수 없다고도 선을 그었다. 정희선 교수는 "보통 대마를 담배와 비교하면서 담배의 정신적 의존성이 더 크다고 하는데, 대마는 환각성이 있는 물질이라 담배와 직접 비교가 어렵다"고 밝혔다. 대마를 담배와 비교하며, 담배보다 해롭지 않다고 하는 일은 20대 남성과 60대 여성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는 것이다.
그는 "마약의 신체적 중독은 금단현상에 따른 부작용, 내성 등을 의미하는데 대마의 신체적 중독성도 증명이 안 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첫댓글 대마가 중독성이 있음?
성균관대학교 과학수사학과 정희선 석좌교수(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는 "대마가 중독성이 없다면 (정씨가) 161회나 피우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교수는 "대마는 환각성이 강해 전혀 다른 세계를 경험하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고, 이를 또 경험하고 싶게 만들어 정신적으로 대마에 심하게 의존하게 하며, 습관적으로 대마를 피우고 싶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대마는 환각성도 강력하지만, 자기제어 능력, 상황 판단능력, 거리감도 상실하게 한다. 지난해 부산에서 대마 흡연 후 대형 교통사고를 낸 운전자가 발생한 것도 대마의 이 같은 작용 때문이다. 정희선 교수는 "대마를 하는 사람들은 흡연 후에도 본인이 괜찮은 상태라고 하지만, 절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마를 피우면 환각과 함께 거리감 판단 능력이 상실돼 특히 운전할 때 위험해져, 대마를 허용한 국가에서도 대마흡연 후 운전은 음주운전만큼 강력하게 처벌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대마의 정신적 중독성은 담배와 비교할 수 없으며, 신체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말할 수 없다고도 선을 그었다. 정희선 교수는 "보통 대마를 담배와 비교하면서 담배의 정신적 의존성이 더 크다고 하는데, 대마는 환각성이 있는 물질이라 담배와 직접 비교가 어렵다"고 밝혔다. 대마를 담배와 비교하며, 담배보다 해롭지 않다고 하는 일은 20대 남성과 60대 여성을 직접 비교할 수 있다는 말과 같다는 것이다.
그는 "마약의 신체적 중독은 금단현상에 따른 부작용, 내성 등을 의미하는데 대마의 신체적 중독성도 증명이 안 된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근데 대마가 술보다 위험함?
술 담배가 더 위험한 것 같긴 함
@하하하 헤로인이 끝판왕...뭐 이런느낌인건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