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일신(苟日新)이어든 일일신(日日新)하고 우일신(又日新)하라
성균관 유림에 다니는분 지인 이야기
지인중에 한분은 정년퇴직후에 보람있게 살고 싶다고 하면서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성균관 유림에 등록하여 논어 맹자등을 공부하고 있는데 얼마전에 식사를 같이하면서
덕담으로 고사성어에 나오는 말이라고 하면서 덕담을 구수하게 하였는데 그 내용은
옛날 중국 은나라의 어진 임금이였던 탕왕은 옛날 '탕'이라는 임금은 손을 닦는
세수대야에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이 좌우명을 새겨놓고 곱게 늙기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다고 하면서 그 좌우명은 "구일신(苟日新)이어든 일일신(日日新)
하고 우일신(又日新)하라"는 말로써, 그내용은 "진실로 새로운 삶을 살려면, 나날이
새롭게 하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 라는 뜻이라고 설명을 하면서 나보고도 과거에
모든일을 잊어 버리고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받아 들여서 젊게 살라고 권유를 했다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받아들여야 한다
명심보감에 보면 온고지신 (溫故知新) 이라는 말은 "옛것을 익히고 새것을 알면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다" 정신으로 평생 배운 지식에 더하여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받아들여야 생존을 할수 있을 것이다, 달리 생각하면 옛 것을 고집 하지 말고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여라 변화가 온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새로운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살수가 없는데 컴 이나 전자기기를 배우지 않으면 도퇴되기 마련이다, 그래서
탕 왕처럼 "구일신(苟日新)이어든 일일신(日日新)하고 우일신(又日新)하라" 날로 새롭게
하라는 말씀을 칠순 나이에 우리도 받아 들여야 젊은이들과 어울릴 것이다, 예전에
삼성 다닐때 이건희 회장은 개혁은 오른손을 기부스하고 생활 하는 것처럼 어렵다고
하셨다, 내 생각에도 거쎈 변화의 물결인 휴대폰이나 컴을 가까이 하지 않으면 소통이
안되기에 전자기기 사용을 어렵다고 피하지 말고 정면 돌파 정신으로 실천을 해야 한다
나이들면 모든 것을 조심해야 구설수에 오르지 않는다
어느 철학자가 말했듯이 나이들면 소심해지고 자기 것을 지킬려고 하기에 변화 보다는
현실에 안주하기 마련이다 라고 말씀 하셨는데 나도 전적으로 공감한다, 생각해보면
나도 모르게 꼰대 노릇이나 멘토역활을 할려고 하면서 예전에 내가 젊을때에,,, 라고
말하면 우리 애들부터 질색을 해서 나도 반성을 하는데 쉽게 고처지지가 않는다
누구나 우리나이가 되면 거친 세상을 살왔기에 관상쟁이가 되고 소설을 써도 몇권을
쓸수있는 경험이 있다, 변화를 거부하고 흘러간 과거의 영광을 회상하다보면 반드시
소외되고 퇴보하기 마련이다, 이런일들이 나를 망치게 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 주위에서 보면 술 한잔 하거나 기분이 좋아지면 상대의 말을 듣기 보다는
중간에 말을 가로채거나 자기 주장을 한다, 어느분이 말하기를 물고기는 언제나
입으로 낚이는데 사람도 결국은 입으로 걸리기에 말을 조심해야 한다고 하셨다,
생각해보면 나이 들어서는 말을 줄이고 덕담을 해야 남의 구설수에 오르지 않는다,
어느 유 투브에서 본 "나이들어서 행복해지는 사람들의 특징"
예전에 어느 유 투브에서 보니 나이들어서 행복해지는 사람들의 특징에서도 보면
호기심이 넘처서 배울려고 하는 사람들은 늙지 않는다고 했는데 그 내용을 보고서
느끼는 것이 많았기에 여기에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1, 돈, 사람, 명예에 휘둘리지 말아라,
2, 호기심이 넘처나야 배울려는 의지가 강하고 젊어진다,
3, 나이드는 것을 감사하게 생각하고 동심으로 살아라,
4, 세상 모든일을 낙천적으로 살아라
5, 지금 하고있는 일이 미래를 말해준다,
6, 내 인생 에서 벌어지는 일들의 대부분은 내 책임이다,
7, 사람의 품성은 바뀌지 않으므로 항상 조심 해야한다
8, 사람은 항상 그자리에 머물러 있지 않고 변한다
9, 흘러간 지난날을 자랑하는 사람은 조심해라
결론적으로 생각해보면
공자는 세명이 같이가면 그중에 스승이 한명 있다 라고 하셨는데 지인중에 성균관에
다니는분이 "구일신(苟日新)이어든 일일신(日日新)하고 우일신 (又日新)하라" 는 말은
지인이 저에게 변화를 하라고 화두를 던져준 느낌이 듭니다, 이건희 회장은 "자신이
잘되고 싶다면 다른사람을 소중히 여겨야 한다, 자신의 상사든 부하직원이든 사람을
소중히 여기면 결국 자신이 잘되게 한다, 상대를 망치는 일이 가장 파렴치한 일이다"
라고 하셨는데 결론은 상대방을 잘되게 하는 일이 나를 위하는 일이다 라는 평범한
진리를 모르고 상대방 위에 올라서려는 마음자세부터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내 주변에 변화를 사소한 겻에서 보면 술 줄이기, 책 한번 더 앍기, 지인들 에게 전화
하기, 취미생할 개발하기, 밥값 내가 내기, 등등 할일이 많다고 생각 하는데 문제는
얼마나 지속적으로 실천을 하느냐로 생각합니다, 이제는 잔머리를 굴려서 남에게
호감을 받을 것이 아니라 뜨거운 가슴으로 행동을 하고 누구에게 보다 자신에게
인정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우선 나부터 실천 하겠습니다
~~~~~~~~~~~~~~~~~~~~~~~~~~~~~~~~~~~~~~~
원만한 사회생활을 할려면 조금은 손해봐라 (펌)
게으른 사람에겐 돈이 따르지 않고,
변명하는 사람에겐 발전이 따르지 않는다.
거짓말하는 사람에겐 희망이 따르지 않고,
간사한 사람에겐 친구가 따르지 않는다.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에겐 사랑이 따르지 않고,
비교하는 사람에겐 만족이 따르지 않는 법이다.
빈 깡통은 흔들어도 소리가 나지않고,
속이 가득차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
소리가 나는 깡통은 속에무엇이 조금 들어 있을 때다.
사람도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나,
많이 아는 사람은 아무 말을 하지 않지만,
무엇을 조금 아는 사람이 항상시끄럽게 말을 많이 한다.
세상을 아름답게 살려면 꽃처럼 살면되고,
세상을 편안하게 살려면 바람처럼 살아라.
꽃이란 자신을 자랑하지도 남을 미워하지도 않으며,
바람은 어떤 그물에도 걸리지 않고
험한 산도 아무 생각없이 쉽게 오른다.
고집이란 놈은 제 멋대로 하려고 하는
버릇없는 놈이고 힘이 무척 센 놈이다.
무지개는 잡을 수 없기에 더 신비롭고,
꽃은 피었다 시들기에 더 아름다운 것이다.
젊음은 붙들 수 없기에 더 소중하고,
우정은 깨지기 쉬운 것이기에 더 귀한 것이다.
내 손에 손톱 자라는 것은 보면서,
내마음에 욕심 자라는 것은 보지 못하고,
내 머리에 머리카락 엉킨 것은 보면서,
내 머리속 생각 비뚤어진 것은 보지 못한다.
잘 자라지 않는 나무는 뿌리가 약하기 때문이고.
잘 날지 못하는 새는 날개가 약하기 때문이다.
행동이 거친 사람은 마음이 비뚤어졌기 때문이고,
불평이 많은 사람은 마음이 좁기 때문이다.
하나에 하나를 더하면 둘이 된다는 건 누구나다 알아도,
좋는 생각에 좋은 생각을 더하면복이 된다는 걸 몇 사람이나 알까?
둘에서 하나를 빼면 하나가 된다는 건 누구나다 알아도,
사랑에서 희생을 빼면이기(利己)가 된다는 걸 몇 사람이 알까?
세월이 더하기를 할수록 삶은 자꾸 빼기를 하고,
욕심이 더하기를 할 수록 행복은 자꾸 빼기를 한다.
똑똑한 사람은 더하기만 잘하는 것이 아니라빼기도 잘하는 사람이고,
훌륭한 사람은 벌기만 잘하는 사람이 아니고나누어 주
첫댓글 감사합니다.검제님 .파이팅 사랑합니다.푸하하하
인생 삶에 있어서 명심보감입니다
적어두며 자주 읽어 삶을 성찰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동입니다
참좋은 말의 집대성입니다 이말씀을 다 생활화 해보도록 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