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의 양말을 신겨 주세요
이동민
대구 미술의 뿌리를 더듬어 가다 보면 무척 아쉬움이 남는 천재화가를 만난다.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서울서 비껴나 있는 시골 도시(미술의 입장에서)일 뿐인 대구가 한국 미술사에 이름을 드러낼 만한 자료도 흔적도 찾아지지 않는다. 미술의 불모지나 다름없는 대구를 그래도 한국 미술사에 잠시나마 얼굴을 내밀게 하였던 것은 천재 화가 이인성과 김용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김용조는 대구의 변두리에서 찢어지게 가난한 농사꾼 집의 아들로 태어나서 홑어머니 밑에서 유년을 보냈다. 달성보통학교를 다닐 때부터 그림에 소질을 보인 것이 아동문학가인 창주 이응창 선생의 눈에 띄었다. 담임이었던 이응창 선생은 물감도 도화지도 구하지 못하는 그에게 그림을 그리도록 물감을 사주고 격려하였다. 살을 에이도록 추운 겨울날에 맨발로 학교에 나온 김용조를 보고 창주 선생은 자신의 양말을 벗어서 신겨주었다.
보통 학교를 졸업하자 더 이상의 진학은 꿈도 꿀 수 없었다. 어머니를 도와서 농사일을 하였다. 김용조의 소질을 아깝게 여겼던 이응창은 열 다섯 살이 된 김용조를 서동진이 운영하던 ‘대구 미술사‘에 소개해 주었다. 그때 대구 미술사에는 또 한 사람의 천재화가 이인성이 서동진의 도움을 받으면서 미술 공부를 하고 있었다.
당시 대구에 거주하는 일본인 화가들이 미술 모임을 만들자 그들에게 대항하기 위해서 조선 사람들로 구성된 ’향토회‘라는 미술 단체를 결성하였다. 김용조는 열 다섯 나이에 회원으로 가입했다. 그의 명성을 더욱 높여 준 것은 1932년 11회 선전에 출품한 ’풍경‘이라는 작품이 입선한 일이었다. 이인성이 걸어간 길을 김용조가 따라가고 있었다. 사실은 선전이 총독부에서 운영하였음으로 일본 관변의 미술전이었다. 따라서 이인성이 친일이라는 짐도 젊어져야 했다.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으로서는 어쩔 수 없는 운명이기도 하였다.
이후부터 9회에 걸쳐서 16점의 작품이 입선하는 영예를 누렸다. 선전의 입선작에는 ’어선‘ ’흰돛대 배‘ 등 바다를 소재로 한 그림이 많다. 따라서 바다 풍경을 통해서 그의 개성있는 세계를 잘 드러냈다는 평도 듣는다. 하지만 불우한 환경에서 자란 그가 수평선 너머로 미지의 세계를 꿈꾸면서 끝없이 날아가고 싶은 욕구를 표현하였는지도 모른다.
1935년 14회 선전에서 ’그림 책을 보는 소녀‘가 특선을 하였다. 이 그림도 모델을 구하지 못하는 그에게 이응창 선생이 모델을 주선해 주어서 그렸다. 이 일을 계기로 아직은 겨우 스물인 나이의 그가 대구에서 꽤나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선전에서 특선을 한 화가로는 이인성과 김용조 단 두 사람 뿐이었다. 이응창과 서상일은 그가 마음 놓고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조양회관 2층에 화실도 열어 주었다.
백화점(무영당)에 취직하여 미술 도안과 장식일을 맡아보게 하였음으로 이제는 물감을 구하지 못해서 애태우는 일은 없었다. 생활이 안정되었다.
그러나 작은 안일함에 머물고 만다면 천재라는 소리를 들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는 이 모든 것을 접어두고 미술 공부를 더 하기 위해서 일본으로 홀연히 떠났다. 그림에 대한 열정은 그가 대구에 머물 수 없도록 하였다. 일본에 간 그는 낮에는 힘들게 일하여 학비를 벌었고, 밤에는 ’태평양 미술학교‘의 야간부를 다녔다. 생계를 위하여 몸을 아끼지 않고 일해야 했다. 낮의 노동, 밤의 미술학교 수업은 아예 무리였다. 이런 환경에서 그림을 그린다는 지체가 지나친 욕심이었다.
고생으로 쇠약해진 몸을 병마가 가만히 둘 리 없었다. 몸은 하루하루 야위어가고 기침은 더더욱 심해져 갔다. 나중에는 기침할 때 피가 올라왔다.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었다. 그는 병원에 가서 결핵이라는 진단을 받고, 앙상해진 몸으로 대구에 돌아왔다.
1940년에 그린 ’해수욕장‘이란 그림은 강한 색채를 사용하여 야수파 류의 그림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김용조의 작품은 1930년 대의 한국 화단에 의미 있는 그림들을 그렸다. 그의 그림은 상투적인 유화의 기법을 넘어서서 또 다른 유화의 깊이를 보여준다는 평을 들었다. 그러나 아직은 그만의 화풍을 만들어내기에는 나이가 너무 젊었다. 겨우 이십 대인 그가 이인성 만큼 자신의 영역을 만들어내기에는 모자랐다. 후대의 미술사가들이 아쉬워하는 점이다.
그가 귀국하였을 때는 병마에서 벗어나기에는 그의 병이 너무 깊었다. 귀국해서 얼마 되지 않는 1944년에 선전에서 ’어머니의 상‘이 특선을 하였다. 홑어머니 밑에서 가난하게 자랐던 그가 어머니에게 마지막 남긴 선물어었을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지금 이 작품이 어디에 있는지 알 길이 전혀 없다. 언젠가 대구의 어느 화가가 쓴 글을 읽은 기억이 있다. 그 화가가 우연히 동네의 약국에 들렸다가 ’어머니의 상‘으로 보이는 그림이 벽에 걸려 있었다. 그림의 아래 부분은 떨어져나가서 너덜너덜 하였다. 주인에게 슬쩍 물어보았더니, 누구의 작품인지 모른다고 하였다. 어느 아주머니가 약값 대신에 맡아 달라고 하였단다. 다시 찾아가 보아야지 하였는데 차일피일하다가 그만 잊어버렸다고 하였다. 그림의 가치를 모르는 시대를 지나오면서 ’어머니의 상‘은 흔적도 남기지 못하고 사라져버렸다. 이제는 그 그림이 남아있을리 없으리라.
그는 일본에서 귀국하자 말자 만신창이가 된 몸에서 기침을 할 때마다 피가 올라왔다. 동산병원에 입원했다. 그의 병실을 찾아오는 사람도 거의 없었다. ’발이 시려요, 창주 선생님의 양말을 신겨주세요.‘ 헛소리마냥 중얼거렸다. 선생님의 양말을 신은 그날 밤에 김용조는 서러웠던 이 세상을 조용히 떠나갔다. 그의 나이 겨우 스물 여덟이었다.
첫댓글 저는 그림에 대하여 잘 모르지만 안타깝네요.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고단한 삶을 사셨네요.
요즘 젊은이들이 대학 갓 졸업하고 취업도 하고 한창 꽃 피울 나이에 그렇게 가셨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