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宛列傳第六十三
大宛1)之跡2)(대완지적) 見自張騫(견자장건) 張騫, 漢中人3)(장건,한중인) 建元中爲郎(건원중위랑)
대원의 사적은 장건으로부터 나타난다. 장건은 한중 사람으로 건원 간에 랑이 되었다.
1) 索隱音宛, 又於袁反,
색은: 宛의 음은 또 於와 袁 의 반절음이다.
2) 正義漢書云: 「大宛國去長安萬二千五百五十里, 東至都護治, 西南至大月氏, 南亦至大月氏, 北至康居.」 括地志云: 「率都沙那國亦名蘇對沙那國, 本漢大宛國.」
정의 한서에서 말한다:「대원국은 장안과의 거리가 만이천오백오십리로 동쪽으로는 도호부 지역에 이르고 서남쪽으로는 대월지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또한 대월지에 이르며 북쪽으로는 강거에 이른다」 괄지지에서 말한다:「율도사나국 또한 이름이 소대사나국이라고도 함, 본래 한의 대완국이다.」
3) 索隱陳壽益部耆舊傳云: 「騫, 漢中成固人.」
색은 진수 익부 기구전에서 말한다:「장건은 한중의 성고 사람이다.」
是時天子問匈奴降者(시시천자문흉노항자) 皆言匈奴破月氏王4)(갸언흉노파원씨왕)
이때 천자가 흉노에서 항복한 자에게 문초하니 모두 흉노가 대월지 왕을 쳐부수고
4) 正義氏音支. 涼、甘、肅、瓜、沙等州, 本月氏國之地. 漢書云「本居敦煌、祈連閒」是也.
정의 씨의 음은 지이다. 량,감,숙,과, 사등의 고을은 본래 월지국의 땅이다. 한서에서 말하기를「본래 돈황과 기련 사이에 살았다.」고 하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以其頭爲飲器5)(이기두위음기) 月氏遁逃而常怨仇匈奴(월씨둔도이상원구흉노)
그의 머리로써 술그릇을 만들었으며 대월지는 달아나 항상 흉노를 원망하여 원수를 갚으려 하나
5) 集解韋昭曰: 「飲器, 椑榼也. 單于以月氏王頭爲飲器.」 晉灼曰: 「飲器, 虎子之屬也. 或曰飲酒器也.」 索隱椑音白迷反. 榼音苦盍反. 案:謂今之偏榼也. 正義漢書匈奴傳云: 「元帝遣車騎都尉韓昌、光祿大夫張猛與匈奴盟, 以老上單于所破月氏王頭爲飲器者, 共飲血盟.」
집해 위소에 말하였다:「마시는 그릇이니, 술통이다. 선우가 월지왕의 머리로 술잔을 만들었다.」 진자에 말하기를「음기는 호자에 속한다하기도 하고 혹자는 술을 마시는 잔이다.」라고 하였다. 색은: 비음은 백미의 반절음, 합의 음은 고와 합의 반절음. 안: 지금의 편합을 말한다. 정의 한서 흉노정에 말하기를:「원제가 거기도위 한창과 광록대부 장맹을 보내 흉노와 결맹하고 노상선우가 쳐부순 월지왕의 머리로 술잔을 만든 것으로 함께 피를 마시고 맹서 하였다.
無與共擊之(무여공격지) 漢方欲事滅胡(한방욕사멸호) 聞此言(문차언) 因欲通使(인욕통사)
함께 공격할 자가 없었다고 말하였다. 한나라도 호를 멸하려고 하였으므로 이 말을 듣자 사신을 통허려고 하였다.
道必更匈奴中6)(도필경흉노중) 乃募能使者(내모능사자)騫以郎應募(건이랑응모)使月氏(사월씨)
그러나 길이 반드시 흉노를 경유하여야 했다. 그래서 능히 사명을 다할 사자를 모집하였으니 장건이 낭으로써 응모하여 대월지에 사신으로 가게 되었다.
6) 索隱更, 經也. 音羹.
색은 갱은 경이고 갱으로 읽는다.
與堂邑氏(故)胡奴甘父여당읍씨(고)호노감부구출농서) 經匈奴,7)(경흉노)
당읍 사람의 호노 감부와 함께 농서를 나와 흉노룰 지나다가
7) 索隱謂道經匈奴也.
색은에서 길이 흉노를 지나야 함을 말한다.
匈奴得之,(흉노득지) 傳詣單于.(전예선우) 單于留之,(선우류지) 曰:(왈)
흉노가 그들을 잡아 선우에게 이르자 선우가 그들을 억류하면서 말하기를
「月氏在吾北,(월씨재오북) 漢何鎰往使?(한하이득왕사)
“대월지는 우리의 북쪽에 있거늘 한나라가 어찌 사자를 보낼수 있단 말인가?
吾欲使越,(오욕사월) 漢肯聽我乎?(한긍청아호)」
우리가 월나라에 사신을 보내고자 한다면 한나라가 우리의 청을 기꺼이 받아들이겠는가?”
留騫十餘歲,(류건십여세) 與妻,(여처) 有子,(유자) 然騫持漢節不失.(연건지한절불실)
장건이 머무르기를 10여년 처를 주어 자식을 가졌다. 그러나 장건은 한나라에 절조를 잃지않고 지켰다.
居匈奴中,(거흉노중) 益寬,(익관) 騫因與其屬亡鄉月氏,(건인여기속망향월씨)
흉노 중에 생활한지 오래되자 조금씩 감시가 느슨하여 장건은 그 부리들과 도망하여 대월지로 향하였다.
西走數十日至大宛.(서주수십일지대완) 大宛聞漢之饒財,(대완문한지요재)
서쪽으로 달리기를 수십일 대완에 이르렀다. 대완은 한나라가 재화가 풍족하다는 말을 듣고
欲通不得(욕통부득) 見騫(견건) 喜(희) 問曰(문왈)
통하려 하였으나 통할 수 없었는데 장건을 만나자 기뻐하며 묻기를
「若欲何之?(약욕하지)」騫曰(건왈)「爲漢使月氏(위한사월지)而爲匈奴所閉道(이위흉노소폐도)
“어디로 가고자 하오? ” 장건이 대답하기를 “한나라의 사신이 되어 대월지로 가려는데 흉노가 길을 막아
今亡(금망) 唯王使人導送我(유왕사인도송아) 鎖至(성득지) 反漢(반한)
지금에야 도망쳤으니 왕께서 사람을 시켜 우리를 인도하여 대월지로 보내주어 사명을 다하고 한나라로 돌아가게 해준다면
漢之賂遺王財物不可勝言(한지뇌견왕재물불가승언)」 大宛以爲然(대완이위연)
한나라는 왕에게 말할 수 없는 재물을 왕에게 줄것입니다.”하였다. 대원은 그럴 것으로 여겨
遣騫,8)(견건) 爲發導繹(위발도역) 抵康居,9)(저강거) 康居傳致大月氏.10)(강거전치대월씨)
장건을 보내면서 안내원과 통역을 내어 강거에 이르러 강거에서 또 대월지까지 보내주었다.
8) 索隱謂大宛發遣騫西也.
색은: 대원은 장건을 서쪽으로 보내주었다.
9) 索隱爲發道驛抵康居. 發道, 謂發驛令人導引而至康居也. 導音道. 抵, 至也. 居音渠也. 正義抵, 至也. 居, 其居反. 括地志云: 「康居國在京西一萬六百里. 其西北可二千里有奄蔡, 酒國也.」
색은: 爲發道驛抵康居는 길을 출발함이요. 역을 출발하면 사람들로 하여금 인도하여 강거에 이르게 함이다. 導의 음은 도이다. 저는 이름이다. 居음은 거이다. 정의: 저는 이름이다. 거는 기거의 반절음. 괄지지에서 말한다.「강거국은 서울에서 서쪽으로 일만육백리에 있다. 그 나라 서북쪽으로 이천리에는 엄채가 있고, 주국이다.」
10) 正義此大月氏在大宛西南, 於媯水北爲王庭. 漢書云去長安萬一千六百里.
정의: 이 대월지는 대원 서남쪽에 있고, 규수 북쪽에 왕궁이 있다. 한서에 장안에서 만일천육백리떨어졌다고 한다.
大月氏王已爲胡所殺(대월씨왕이위호소살) 立其太子爲王.11)(입기태자위왕)
대월지 왕이 이미 흉노에게 죽음을 당하였으나 그들의 태자를 세워 왕을 삼았다.
11) 集解徐廣曰: 「一云『夫人爲王』, 夷狄亦或女主.」 索隱案:漢書張騫傳云「立其夫人爲王」也.
집해서광:「한편 부인이 왕이다. 오랑캐는 혹 여인 임금이 있다.」색은: 한서 장건전에 「그 부인을 세워 왕을 삼는다」하였다.
既臣大夏而居,12)(기신대하이거) 地肥饒(지비요) 少寇(소구) 志安樂(지안락)
이미 대하를 신하로 삼고 그 땅에 거하니 땅은 기름지고 물자가 넉넉하였다. 도둑은 적고 사람들의 마음은 안락하였다.
12) 索隱既臣大夏而君之. 謂月氏以大夏爲臣, 而爲之作君也. 正義既, 盡也. 大夏國在媯水南.
색은:既臣大夏而君之는 대월지가 대하를 신하로삼아 그들을 위한 군을 세웠다. 정의: 既는 모두이다. 대하국은 규수 남쪽에 있다.
又自以遠漢(우자이원한) 殊無報胡之心(수무보호지심) 騫從月氏至大夏(건종월지지대하)
또 한나라로부터는 길이 멀고 구태여 흉노에게 보복할 마음이 없어 졌다고 하자, 장건은 대월지로부터 대하에 도착하였다.
竟不能得月氏要領.13)(경불능득월지요령)
마침내 대월지에서 요령(맹서)을 얻지 못하고
13) 集解漢書音義曰: 「要領, 要契.」 索隱李奇云「要領, 要契也」. 小顏以爲衣有要領. 劉氏云「不得其要害」, 然頗是其意, 於文字爲疏者也.
집해안서음의왈: 「요령은 맹서이다」 색은 이기운에「요령은 맹서이다」소안은 옷에 요령이 있다고 하였다. 유씨는 요해한 곳을 찾지 못하였으나 자못 뜻이 옳은 바가 있으나 글에 엉성한바가 있다.
留歲餘(류세여) 還(환) 並南山,14)(병남산) 欲從羌中歸,15)(욕종강중귀) 復爲匈奴所得(부위흉노소득)
일여년을 머무르다 돌아와 남산을 따라 강으로 해서 돌아오고자 했다. 다시 흉노에게 잡혀서
14) 正義並 白浪反. 南山即連終南山, 從京南東至華山過河, 東北連延至海, 即中條山也. 從京南連接至蔥嶺萬餘里, 故云「並南山」也. 西域傳云「其南山東出金城, 與漢南山屬焉」.
정의: 並은 백랑의 반절음이다. 남산은 곧 종남산에 이어졌다. 경사 남동으로부터 화산에 이르러 하수를 건너 동북으로 이어져 바다에 이르니 바로 중조산이다. 경사로부터 남쪽으로 파미르고원(蔥嶺)의 만여리가 이어 맞닿으니, 그래서 「남산을 둘렀다」하는 것이다. 서역전에 말하기를「남산 동쪽 금성에서 나와, 한의 남산에 속한다.」하였다.
15) 正義說文云: 「羌, 西方牧羊人也. 南方蠻閩從虫, 北方狄從犬, 東方貊從豸, 西方羌從羊.」
정의설문: 「강은 서방의 양치는 사람이다. 남방 만민은 짐승을 따라다니고, 북방 적족은 개를 쫒으며 북방 맥족은 해태를 쫒으며, 서방 강은 양을 쫒아 다닌다.
留歲餘(류세여) 單于死,16)(선우사) 左谷蠡王攻其太子自立(좌록려왕공기태자자립)
머무르기를 1여년 선우가 죽었다. 좌록려왕이 태자를 공격하고 스스로 즉위하려하자
16) 集解徐曰廣: 「元朔三年.」
집해서광왈: 「원산삼년」
國內亂(국내란) 騫與胡妻及堂邑父俱亡歸漢(건여호처급당읍보구망귀한)
국내가 어지웠다. 장건은 호의 처와 당읍부와 함께 도망쳐 한나라로 돌아왔다.
漢拜騫爲太中大夫(한배건위태중대부) 堂邑父爲奉使君.17)(당읍보위봉사군)
한나라에서 장건을 태중대부로 당읍보를 봉사군에 임명하였다.
17) 索隱堂邑父之官號.
색은: 당읍보의 관직이름이다.
騫爲人彊力(건위인강력) 寬大信人(관대신인) 蠻夷愛之(만이애지) 堂邑父故胡人(당읍보고호인)
장건은 사람됨이 강하고 관대하며 사람을 믿었으며 오랑캐들은 그를 사랑하였다. 당읍보는 호인이기 때문에
善射(선사) 窮急射禽獸給食(궁급사금수급식) 初(초) 騫行時百餘人(건행시백여인)
활을 잘 쏘아서 궁핍하면 활로 짐승을 잡아 양식으로 공급하였다. 이전에 장건이 길을 갈 때는 백여 명이었는데
去十三歲(거십삼년) 唯二人得還(유이인득환)騫身所至者大宛(건신소지자대원)大月氏(대월지)大夏(대하)康居(강거)
떠난지 13년 오직 두 사람만이 돌아왔다. 장건이 도착한 곳은 대원, 대월지, 대하, 강거
而傳聞其旁大國五六(이전문기방대국오륙) 具爲天子言之(구위천자언지) 曰(왈):
그리고 인접한 큰나라 5,6국의 전해들은 것을 천자에게 말해주었다.
大宛在匈奴西南(대원재흉노서남) 在漢正西(재한정서) 去漢可萬里(거한가만리)
대원은 흉노의 서남쪽에 있고 한의 정 서쪽에 있으며 한나라와 만여리 떨어져 있습니다.
其俗土著(기속토저) 耕田(경전) 田稻麥(전도맥) 有蒲陶酒(유포도주) 多善馬,18)(다선마)
그들의 풍속은 토착되어 밭을 갈고 밭에는 벼와 보리를 심으며 포도주가 있었고 좋은 말이 많이 있었며
18) 索隱案:外國傳云「外國稱天下有三眾:中國人眾, 大秦寶眾, 月氏馬眾」.
색은안: 외국전에「외국에서 일컽기를 천하에 세가지 많은 것이 있으니 중국에는 사람이 많고, 대진에는 보물이 많고 대월지에는 말이 많다.」하였다.
馬汗血(마한혈) 其先天馬子也.19)(기선천마자야) 有城郭屋室(유성곽옥실)
말은 피로 땀을 흘리고 천마의 종자라고 합니다. 성곽과 건물이 있으며
19) 集解漢書音義曰: 「大宛國有高山, 其上有馬, 不可得, 因取五色母馬置其下, 與交, 生駒汗血, 因號曰天馬子.」
집해한서음의왈: 「대완국에 높은 산이 있으며 그 산에 말이 있으나 잡을 수가 없어 오색 어미 말을 잡아 그아래 두어 교미를 시켜 피 땀을 흘리는 망아지를 낳으니 부르기를 천마자라 하였다.
其屬邑大小七十餘城(기속읍대소칠십여성) 眾可數十萬(중가수십만)
그들의 속읍은 크고 작은 것이 70여성이었으며 백성은 수십만 명이었습니다.
其兵弓矛騎射(기병궁모기사) 其北則康居(기북즉강거) 西則大月氏(서즉대월지)
그들의 군대는 활과 창과 기병이었고 북쪽으로는 강거가 있고 서쪽으로는 대월지가 있으며
西南則大夏(서남즉대하) 東北則烏孫(동북즉오손) 東則扜冞20)(동즉우한) 于窴.21)(우전)
서남은 대하, 동북은 오손, 동은 우한, 우전이고,
20) 集解徐廣曰: 「漢紀曰拘彌國去于窴三百里.」 索隱扜冞, 國名也, 音汙彌二音. 漢紀謂荀悅所譔漢紀. 拘音俱, 彌即冞也, 則拘彌與扜冞是一也.
집해서광왈: 「한기에서 구미국은 우전에서 삼백리 떨어져 있다.」 색은 우미는 나라 이름이다. 음은 우미 두음이다. 한기는 순열이 지은 한기를 말한다. 拘는 俱로 읽는다. 彌는 곧 冞이다.
21) 索隱音殿.
색은: 전으로 읽는다.
于窴之西(우전지서) 則水皆西流(즉수계서류) 注西海(주서해) 其東水東流(기동수동류)
우전의 서쪽은 물이 모두 서쪽으로 흘러 서해로 들어가고 동쪽은 물이 동쪽으로 흘러
注鹽澤.22)(주염택) 鹽澤潛行地下(염택잠행지하) 其南則河源出焉.23)(기남즉하원출언)
염택으로 들어갑니다. 염택에서는 물이 지하로 흘러갑니다. 그 남쪽에 강의 근원이 나오고
22) 索隱鹽水也. 太康地記云「河北得水爲河, 塞外得水爲海」也. 正義漢書云: 「鹽澤去玉門、陽關三百餘里, 廣袤三四百里. 其水皆潛行地下, 南出於積石山爲中國河.」 括地志云: 「蒲昌海一名泑澤, 一名鹽澤, 亦名輔日海, 亦名穿蘭, 亦名臨海, 在沙州西南. 玉門關在沙州壽昌縣西六里.」
색은: 염수이다. 태강지기에서「하북에서 물을 얻으면 하라 하고, 요새 밖에서 물을 얻으면 해다」하였다. 정의 한서에서「염택은 옥문의 양관에서 삼백여리 떨어졌고, 넓이가 사방 삼사백리다. 물은 모두 지하로 흘러 간다. 남쪽 적석산에서 나와 중국의 하가 된다.」하였다. 괄지지에 「포창해는 일명 염택이라 하고 또 보일해라고도 하며 또한 찬란 또는 임해라고도 부르며 사주 서남에 있고 옥문관은 사주 수창현 서쪽 6리이다.
23) 索隱案:漢書西域傳云「河有兩源, 一出蔥嶺, 一出于窴」. 山海經云「河出崑崙東北隅」. 郭璞云「河出崑崙, 潛行地下, 至蔥嶺山于窴國, 復分流岐出, 合而東注泑澤, 已而復行積石, 爲中國河」. 泑澤即鹽澤也, 一名蒲昌海. 西域傳云「一出于闐南山下」, 與郭璞注山海經不同. 廣志云「蒲昌海在蒲類海東」也.
색은안: 한서 서역전에서「하는 두 개의 수원이 있으며 하나는 총령에서 나오고 하나는 우전에서 나온다.」하였다. 산해경에서「하는 곤륜산 동쪽 모퉁이에서 나온다.」하였다. 곽복에서「하는 곤륜에서 나와 땅 밑으로 흘러 총령산 우전국에 이르러 다시 나뉘어 지천으로 흘러 나가다가 합하여 동쪽 요택으로 들어가 이윽고 다시 적석산으로 가서 중국의 河水가 된다. 」하였다. 유택은 염택이다. 일명 포창해이다. 서역전에서「한줄기는 전남산 아래서 나온다.」하였다. 곽복이 산해경에 주석을 단 것과 같지 않다. 광지에서「포창해는 포류해 동편에 있다.」하였다.
多玉石(다옥석) 河注中國(하주중국) 而樓蘭(이누란) 姑師24)(고사) 邑有城郭(읍유성곽)
옥석이 많으며 여기서 강은 중국으로 흐릅니다. 누란과 고사에는 읍에 성곽이 있고
24) 正義二國名. 姑師即車師也.
정의: 두 나라 이름이다. 고사는 곧 거사이다.
臨鹽澤(임염택) 鹽澤去長安可五千里(염택거장안가오천리)
염택에 다다릅니다. 염택은 장안과 오천리 떨어져 있고
匈奴右方居鹽澤印(흉노우방거염택이동) 至隴西長城(지농서장성) 南接羌(남접강)
흉노 오른쪽은 염택의 동쪽이고 농서의 장성에 이르면 남쪽으로 강과 접하며
鬲漢道焉(격한도언) 烏孫在大宛東北可二千里(오손재대원동북가이천리)
한나라의 길을 막고 있습니다. 오손은 대원 동북으로 이천리에 있고
行國,25)(행국) 隨畜(수축) 與匈奴同俗(여흉노동속) 控弦者數萬(공현자수만)
유목하는 국가로 가축을 따라 옮겨 다니며 흉노와 같은 풍속입니다. 궁수가 수만으로
25) 集解徐廣曰: 「不土著.」
집해서광왈: 「땅에 붙어 살지 않음이다.」
敢戰(감전) 故服匈奴(고복흉노) 及盛(급성) 取其羈屬(취기기속) 不肯往朝會焉(불긍왕조회언)
용감하게 싸우며, 흉노에 복속하였으나 성장함에 이르러 예속됨은 취하나 가서 조회함은 즐기지 않습니다.
康居在大宛西北可二千里(강거재대원서북가이천리) 行國(행국) 與月氏大同俗(여월지대동속)
강거는 대원의 서북 이천리 거리에 있으며 유목국가로 대월지와 풍속이 대동소이 합니다.
控弦者八九萬人(공현자팔구만인) 與大宛鄰國(여대원인국) 國小(국소) 南羈事月氏(남기사월지)
활쏘는 자가 팔구만 명이며 대원과 이웃나라이다. 나라가 적어 남쪽은 대월지를 섬기고
東羈事匈奴(동기사흉노) 奄蔡26)在康居西北可二千里(엄채재강거서북가이천리)
동으로 흉노를 섬기고 있습니다. 엄채는 강거에서 서북으로 이천리에 있으며
26) 正義漢書解詁云: 「奄蔡即闔蘇也.」 魏略云: 「西與大秦通, 東南與康居接. 其國多貂, 畜牧水草, 故時羈屬康居也.」
정의한서해고운: 「엄채는 곧 합소이다.」위략에서:「서쪽으로는 대진과 통하고, 동남으로는 강거와 인접하며 그 나라에는 담비가 많고 수초에서 목축을 하며 지난 시절에는 강거에 예속되었다.
行國(행국) 與康居大同俗(여강거대동속) 控弦者十餘萬(공현자십여만) 臨大澤(임대택)
유목하는 나라로 강거와 풍속이 대동소이하다. 활을 쏘는자가 십여만 명으로 대택에 임함이
無崖(무애) 蓋乃北海云(개내북해운) 大月氏27)在大宛西可二三千里(대월지재대원서가이삼천리)
끝이 없으니 아마도 북해인 것 같습니다. 대월지는 대원에서 서쪽으로 이삼천 리 정도에 있습니다.
27) 正義萬震南州志云: 「在天竺北可七千里, 地高燥而遠. 國王稱『天子』, 國中騎乘常數十萬匹, 城郭宮殿與大秦國同. 人民赤白色, 便習弓馬. 土地所出, 及奇瑋珍物, 被服鮮好, 天竺不及也.」 康泰外國傳云: 「外國稱天下有三眾:中國爲人眾, 秦爲寶眾, 月氏爲馬眾也.」
정의의 만진 남주지에서:「천축 북쪽 칠천 리에 있다. 땅이 높고 건조하며 멀리 있다. 국왕은 「천자」라 부르며 나라 안에 타는 말이 수십만 필이고 성곽 궁전이 대진국과 동일하다. 백성들의 피부색은 적백이고 말타고 활쏘기가 익숙하며 토지에서 소출되는 것이 기이하고 진기한 물건이며 피복이 아름다워 천축국도 미치지 못한다.」강태 외국전에서「 외국에서 천하에 많은 세 가지를 말하면 중국에는 사람이 많고 진에는 보물이 많으며 대월지에는 말이 많다.」하였다.
居媯水北(거규수북) 其南則大夏(기남즉대하) 西則安息(서즉안식) 北則康居(북즉강거)
규수 북쪽에 있으며 그 남쪽에 대하가 있고, 서쪽에는 안식이 있으며, 북쪽에는 강거가 있습니다.
行國也(행국야) 隨畜移徙(수축이사) 與匈奴同俗(여흉노동속)
유목하는 나라로 가축을 따라 옮겨 다니는 흉노와 같은 풍속입니다.
控弦者可一二十萬(공현자가일이십만) 故時彊(고시강) 輕匈奴(경흉노) 及冒頓立(급모돈입)
활을 쏘는 자가 일이십만이 되자 이때 강대함을 믿고 흉노를 가벼이 보았으나 모돈이 즉위하여
攻破月氏(공파월지) 至匈奴老上單于(지흉노노상선우) 殺月氏王(살월지왕)
대월지를 공격하여 쳐부수었으며 흉노의 노상선우에 이르러 대월지 왕을 죽이고,
以其頭爲飲器(이기두위음기) 始月氏居敦(시월지거돈) 祁連閒,28)(기련한)
그 머리로 술잔을 만들었습니다. 이전에 대월지는 돈황과 기련 사이에 있었으나,
28) 正義初, 月氏居敦煌印, 祁連山以西. 敦煌郡今沙州. 祁連山在甘州西南.
정의: 처음에 월지는 돈황의 동쪽 기련산의 서쪽에 살았다. 돈황군은 지금 사주이고 기련산은 감주 서남쪽에 있다.
及爲匈奴所敗(급위흉노소패) 乃遠去(내원거) 過宛(과원) 西擊大夏而臣之(서격대하이신지)
흉노에게 패하게 되자 멀리 떠나서 대원을 지나 서쪽으로 대하를 쳐서 복속시키고
遂都媯水北((수도규수) 爲王庭(위왕정) 其餘小眾不能去者(기여소중불능거자)
드디어 규수 북쪽에 왕궁을 만들고 도읍하였다. 그 나머지 작은 무리는 떠나지 못하고
保南山羌(보남산강) 號小月氏(호소월지) 安息29)在大月氏西可數千里(안식,재대월지서가수천리)
남산의 강을 보전하면서 소월지라 하였다. 안식은 대월지에서 서쪽으로 수천리 떨어져 있습니다.
29) 正義地理志云: 「安息國京西萬一千二百里. 自西關西行三千四百里至阿蠻國, 西行三千六百里至斯賓國, 從斯賓南行度河, 又西南行至于羅國九百六十里, 安息西界極矣. 自此南乘海乃通大秦國.」 漢書云: 「北康居, 東烏弋山離, 西條枝. 國臨媯水. 土著. 以銀爲錢, 如其王面, 王死輒更錢, 效王面焉.」
정의 지리지:「안식국은 서울에서 서쪽으로 만일천이백리이고, 서쪽 서관으로부터 삼천사백리를 가면 아만국에 이르고 서쪽으로 삼천육백리를 가면 사빈국에 이르며 사빈국으로부터 남쪽으로 하수를 건너 또 서남으로 960리를 가면 우라국에 이르고 안식은 서쪽 경계의 끝이다. 이로부터 남쪽으로 바다를 건너면 바로 대진국과 통한다.」하였다. 한서:「북은 강거, 동은 오익산리, 서쪽은 조지국이다. 나라가 규수에 닿아있고 토착하여 은으로 돈을 만들고 왕의 얼굴과 같게하며 왕이 죽고나면 바로 돈을 바꾸어 왕의 얼굴을 본뜬다.」하였다.
其俗土著(기속토착) 耕田(경전) 田稻麥(전답맥) 蒲陶酒(포도주) 城邑如大宛(성읍여대원)
그 습속은 토착하여 농사를 지으며 보리와 벼를 재배하고 포도주가 있습니다. 성읍은 대원과 같으며
其屬小大數百城(기속소대수백성) 地方數千里(지방수천리) 最爲大國(최위대국) 臨媯水(임규수)
크고작은 성이 수백개가 소속되어 땅은 사방 수천리며 가장 큰 나라며 규수에 닿으면
有市(유시) 民商賈用車及船(민상가용거급선) 行旁國或數千里(행방국혹수천리)
시장이 있고 장사꾼은 수레와 배를 사용하여 이웃 나라 혹은 수천리를 가기도 합니다.
以銀爲錢(이은위전) 錢如其王面,30)(전여기왕면) 王死輒更錢(왕사첩갱전) 效王面焉(효왕면언)
은으로 돈을 만들고 돈은 왕의 얼굴을 본뜬 것과 같이하며 왕이 죽으면 바로 돈을 다시 만들어 왕의 얼굴을 본뜹니다.
30) 索隱漢書云: 「文獨爲王面, 幕爲夫人面.」 荀悅云: 「幕音漫, 無文面也.」 張晏云: 「錢之文面作人乘馬, 錢之幕作人面形.」 韋昭曰: 「幕, 錢背也, 音漫.」 包愷音慢.
색은한서:「글자가 있는 곳에 왕의 얼굴을 본뜨고 뒷면에는 부인의 얼굴을 본떳다.」하였다. 순열:「막의 음은 만으로 읽는다. 글자가 없는 면이다.」하였다. 장안:「돈에 글자가 있는 면에 말을 탄 사람의 형상이고 돈의 뒷면은 사람의 얼굴로 만든다」하였다. 위소:「막은 돈의 뒷면이다. 음은 만으로 읽는다.」하였다. 포개에서 만으로 읽는다고 하였다.
畫革旁行以爲書記.31)(화혁방행이위서기) 其西則條枝(기서즉조지) 北有奄蔡(북유엄채)
가죽에 그림을 옆으로 하여 글을 기록합니다.(가로 쓰기) 그 서쪽에는 조지, 북쪽으로는 엄채.
31) 集解漢書音義曰: 「橫行爲書記.」 索隱畫音獲. 小顏云: 「革, 皮之不柔者.」 韋昭云: 「外夷書皆旁行, 今扶南猶中國, 直下也.」
집해한서음의:「가로 쓰기로 글을 쓴다.」하였다. 색은에서 화는 음을 획으로 읽는다고 하였다. 소안에서:「혁은 가죽의 부드럽지 않은 부분」하였다. 위소:「변방 오랑캐의 글은 모두 가로쓰기이고 지금 부남국은 중국과 같이 세로로 쓰기 이다.
黎軒.32)(여헌)條枝在安息西數千里(조지재안식서수천리) 臨西海(임서해) 暑溼(서습)
여헌이 있습니다. 조지는 안식의 서쪽 수천리에 있습니다. 서해에 다달으면 덥고 습합니다.
32) 索隱漢書作「犁靳」. 續漢書一名「大秦」. 按:三國並臨西海, 後漢書云「西海環其國, 惟西北通陸道」. 然漢使自烏弋以還, 莫有至條枝者. 正義上力奚反. 下巨言反, 又巨連反. 後漢書云: 「大秦一名犁鞬, 在西海之西, 東西南北各數千里. 有城四百餘所. 土多金銀奇寶, 有夜光璧、明月珠、駭雞犀、火浣布、珊瑚、琥珀、琉璃、瑯玕、朱丹、靑碧, 珍怪之物, 率出大秦.」 康氏外國傳云: 「其國城郭皆靑水精爲〔礎〕, 及五色水精爲壁. 人民多巧, 能化銀爲金. 國土市買皆金銀錢.」 萬震南州志云: 「大家屋舍, 以珊瑚爲柱, 琉璃爲牆壁, 水精爲礎舄. 海中斯調(州)〔洲〕上有木, 冬月往剝取其皮, 績以爲布, 極細, 手巾齊數匹, 與麻焦布無異, 色小靑黑, 若垢污欲浣之, 則入火中, 便更精潔, 世謂之火浣布. 秦云定重參問門樹皮也.」 括地志云: 「火山國在扶風南東大湖海中. 其國中山皆火, 然火中有白鼠皮及樹皮, 績爲火浣布. 魏略云大秦在安息、條支西大海之西, 故俗謂之海西. 從安息界乘船直載海西, 遇風利時三月到, 風遲或一二歲. 其公私宮室爲重屋, 郵驛亭置如中國. 從安息繞海北陸到其國, 人民相屬, 十里一亭, 三十里一置. 無盜賊. 其俗人長大平正, 似中國人而胡服. 宋膺異物志云秦之北附庸小邑, 有羊羔自然生於土中, 候其欲萌, 築牆繞之, 恐獸所食. 其臍與地連, 割絕則死. 擊物驚之, 乃驚鳴, 臍遂絕, 則逐水草爲群. 又大秦金二枚, 皆大如瓜, 植之滋息無極, 觀之如用則真金也.」 括地志云: 「小人國在大秦南, 人纔三尺. 其耕稼之時, 懼鶴所食, 大秦衛助之. 即焦僥國, 其人穴居也.」
색은한서:「리근」이라 쓰여 있다. 속한서에 일명「대진」이라 하였다. 살피거니와 삼국이 나란히 서해를 접한다. 후한서:「서해가 그 나라를 두르고 오직 서북으로 육로가 통한다.」하였다. 그러나 한나라의 사자는 오익으로부터 돌아 왔으니 조지에 이른 자가 없습이다. 정의: 상은 力奚의 반절음. 하는 巨言의 반절음. 또 巨連의 반절음. 후한서:「대진은 일명 리건이고 서해의 서쪽에 있다. 동서남북으로 각각 수천 리 이다. 성은 4백여곳이 있으며 땅에는 금은과 같은 기이한 보배가 많으니 야광벽, 명월주, 해계서, 화완포, 산호, 호박, 유리, 랑간, 주단, 청벽 등 진귀한 물건이 대진에서 나온다.」하였다. 강씨외국전:「그 나라의 성곽은 모두 청수정으로 기초를 만들고 오색수정으로 벽을 만들었으며 백성들은 기교가 많아 은을 변화시켜 금을 만들었다. 나라의 시장에서는 모두 금과 은전으로 거래를 하였다.」고 하였다. 만진남주지:「큰집의 건물에는 산호로 기둥을 만들고 유리로 창을 만들었다. 수정으로 만든 기초는 빛이 났고 바다 가운데 모래톱에서는 나무가 자라니 겨울에 가서 껍질을 벗겨 쌓아 두었다가 베를 만드니 지극히 가늘어 수건 몇 필과 맞먹어 마나 파초포와 다름이 없어 색은 약한 청흑으로 만약 때로 더러워져 세탁하고자 하면 불속에 던져 넣으면 바로 다시 청결해지니 세간에서 그것을 화완포라 한다. 진에서는 정중참문문수의 껍질이라 한다.」하였다. 괄지지:「화산국은 부풍 남동 대호해 가운데 있다. 나라 안의 산은 모두 불의 산이다. 그러나 불 가운데 백서피와 수피가 있으니 묶어두었다가 화완포를 만든다. 위략에 대진은 안식과 조지의 서쪽 대해 서쪽에 있고 옛 습속으로 해서라 하며 안식 경계로부터 배를 타고 해서로 바로 가서 순풍을 만나면 3개월이면 도착한다. 바람으로 지연되면 1,2년이 걸린다. 공공이나 개인의 건물은 이층이고 우편과 역참은 중국과 같다. 안식국을 따라 돌아 바다 북쪽 육지가 그나라이다. 백성은 서로 무리지어 살고 십리에 정을 하나씩 두었고 삼십리에 하나의 치를 두었다. 도적이 없고 그 사람들은 키가 크고 평온하고 반듯함이 중국인과 유사 하였으며 호의 복장이었다. 송응이물지에 진의 북쪽에 소읍으로 부속되어 양과 염소를 자연 방목하여 키우다가 그 새끼를 낳으면 담장을 둘러 쌓아 짐승에게 먹히지 않게하니 그 탯줄이 땅에 끌릴 때 잘라주면 죽으니 물건을 치면 놀라고 놀라 울면 탯줄이 드디어 끊어지고 수초를 쫒아 무리를 이룬다. 또 대진금이매는 모두 크기가 호박과 같다. 심어 놓기만 하면 한없이 자라나 살펴서 쓴다면 참된 금이다.」하였다. 골지지:「소인국은 대진의 남쪽에 있고 사람의 키가 겨우 3척으로 놀사를 지을 때 학에게 먹힐까 두렵다. 대진국 사람이 그들을 도우니 곧 초요국(까만 난쟁이 국)이라 하고 사람들은 굴속에서 산다.」하였다.
耕田(경전) 田稻(전답) 有大鳥(유대오) 卵如甕.33)(란여옹) 人眾甚多(인중심다)
농사를 지으며 벼를 심고 큰 새가 있으며 그 알이 마치 항아리와 크기가 비슷합니다. 인구는 매우 많고
33) 正義漢書云: 「條支出師子、犀牛、孔雀、大雀, 其卵如甕. 和帝永元十三年, 安息王滿屈獻師子、大鳥, 世謂之『安息雀』.」廣志云: 「鳥, 鷹身, 蹄駱, 色蒼, 舉頭八九尺, 張翅丈餘, 食大麥, 卵大如甕.」
정의 한서:「조지에는 사자, 코뿔소, 공작이 있고 대작은 그 알이 항아리 만하다. 화제영원십삼년 안식왕 만굴이 사자와 큰 새를 바쳤는데 세간에서 안식국 공작이라 불렀다.」 광지:「새의 몸은 올빼미나 매 같고 발굽이 낙타 같으며 색이 푸르고 머리를 들면 8,9척이나 되었다. 깃을 펴면 한 장이 넘고 대맥을 먹으며 알의 크기는 항아리 만 하다.」하였다.
往往有小君長(왕왕유소군장) 而安息役屬之(이안식역속지) 以爲外國(이위외국)
곳곳에 소군장이 있습니다. 안식이 이를 예속시켜 번병으로 삼았습니다.
國善眩.34)(국선현) 安息長老傳聞條枝有弱水(안식장노전문조지유약수) 西王母(서왕모)
이 나라 사람들은 사람을 잘 현혹시키며 안식의 장노가 전하여 들으니 조지에는 약수와 서왕모가 있다고 하였으나
34) 集解應劭曰: 「眩, 相詐惑.」 正義顏云: 「今吞刀、吐火、殖瓜、種樹、屠人、截馬之術皆是也.」
집해응소:「眩은 서로 속여 정신을 혼미하게 함.」 정의안:「지금 칼을 삼키고 불을 토하며 오이를 번식하고 나무를 심으며 사람을 잡고 말을 타는 재주가 모두 이것이다.」하였다.
而未嘗見.35)(이미상견) 大夏在大宛西南二千餘里媯水南(대하재대원서남이천여리규수남)
일찍이 본적은 없다고 하였습니다. 대하는 대원의 서남쪽으로 2천여 리로 규수 남쪽에 있으며
35) 索隱魏略云: 「弱水在大秦西.」 玄中記云: 「天下之弱者, 有崑崙之弱水, 鴻毛不能載也.」 山海經云: 「玉山, 西王母所居.」 穆天子傳云: 「天子觴西王母瑤池之上.」 括地圖云: 「崑崙弱水乘龍不至. 有三足神烏, 爲王母取食.」 正義此弱水、西王母既是安息長老傳聞而未曾見, 後漢書云桓帝時大秦國王安敦遣使自日南徼外來獻, 或云其國西有弱水、流沙, 近西王母處, 幾於日所入也. 然先儒多引大荒西經云弱水云有二源, 俱出女國北阿耨達山, 南流會於女國東, 去國一里, 深丈餘, 闊六十步, 非毛舟不可濟, 南流入海. 阿耨達山即崑崙山也, 與大荒西經合矣. 然大秦國在西海中島上, 從安息西界過海, 好風用三月乃到, 弱水又在其國之西. 崑崙山弱水流在女國北, 出崑崙山南. 女國在于窴國南二千七百里. 于窴去京凡九千六百七十里. 計大秦與大崑崙山相去幾四五萬里, 非所論及, 而前賢誤矣. 此皆據漢括地論之, 猶恐未審, 然弱水二所說皆有也.
색은위략:「약수는 대진의 서쪽에 있다.」하였다. 현중기:「천하에 약한 것이 곤륜의 약수에 있어 홍모도 실을 수 없다.」하였다. 산해경:「옥산은 서왕모가 있는 곳이다.」하였다. 목천자전:「천자가 서왕모 요지 위에 잔을 바쳤다.」하였다. 괄지도:「곤륜 약수는 용을 타고도 이르지 못하고 삼족신조가 서왕모를 위해 음식을 가져온다.」하였다. 정의에서 이 약수는 서왕모가 이미 안식장노가 전해들었으나 일찍이 보지 못하였다. 후한서에 환제 때 대진국왕 안돈이 사신을 보내 일남에서 멀리 떨어진 외곽에서 조공하였다고 하였다. 혹자가 말하기를 그 나라는 서쪽으로 약수가 있고 모래가 흐르며 서왕모가 거처하며 아마 해가 들어가는 곳에 가깝다 하였다. 그러나 앞서 유가에서 대황서경을 많이 인용하여 약수는 2개의 근원이 있으며 모두 여국 북쪽 아누달산에서 남쪽으로 흘러 여국 동쪽에서 만난다. 여국을 떠나 1리에 깊이는 한 장 정도이고 트인 공간은 6십 보이며 털로 만든 배가 아니면 건널 수 없다. 남쪽으로 흘러 아누달산은 곧 곤륜산이고 대황서경과 합해져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그러나 대진국은 서해바다 가운데 섬위에 있으니 안식 서쪽 경계를 지나 바다로부터 순풍을 만나면 3달이면 바로 도착한다. 약수는 또 그 나라의 서쪽에 있고 곤륜산에서 약수가 흐르며 여국 북쪽으로 흘러 곤륜산 남쪽에서 나온다. 여국은 우전국 남쪽 2천7백리에 있고 우전은 경도에서 무릇 9천6백7십리 떨어졌으며 대진과 대곤륜산은 거의 4십5만리 떨어졌고 논리적으로는 미칠바가 아니며 선현들의 오기이다. 이 모두가 한나라 괄지지에 근거하여 론하였으나 다 살피지 못함이 있을까 두려우나 약수 2곳의 설명은 모두 있다.
其俗土著(기속토저) 有城屋(유성옥) 與大宛同俗(여대원동속) 無大(王)(무대)〔君〕長(장)
그 풍속이 토착하고 성곽과 가옥이 있으며 대원과 풍속이 같습니다. 대군장이 없고
往往城邑置小長(왕왕성읍치소장) 其兵弱(기병약) 畏戰(뇌전) 善賈市(선가시)
곳곳마다 성읍에 소군장이 있습니다. 그들의 군대는 약하고 전쟁을 두려워하나 장사는 잘합니다.
及大月氏西徙(급대월지서사) 攻敗之(공패지) 皆臣畜大夏(개신축대하) 大夏民多(대하민다)
대월지가 서쪽으로 옮겨가 그들을 공격하여 퇴패시키고 대하를 모두 신하로 삼으니 대하는 백성이 많아
可百餘萬(가백여만) 其都曰藍市城(기도왈남시성) 有市販賈諸物(유시판가제물)
백여만을 헤아리고 도읍을 남시서이라 하였으며 시장에는 여러 물건이 판매되고 있었습니다.
其東南有身毒國.36)(기동남유신독국)
그 동남쪽에는 신독국이 있습니다.
36) 集解徐廣曰: 「身, 或作『乾』, 又作『訖』.」 索隱身音乾, 毒音篤. 孟康云: 「即天竺也, 所謂浮圖胡也.」 正義一名身毒, 在月氏東南數千里. 俗與月氏同, 而卑溼暑熱. 其國臨大水, 乘象以戰. 其民弱於月氏. 脩浮圖道, 不殺伐, 遂以成俗. 土有象、犀、玳瑁、金、銀、鐵、錫、鉛. 西與大秦通, 有大秦珍物. 明帝夢金人長大, 頂有光明, 以問群臣. 或曰: 「西方有神, 名曰『佛』, 其形長丈六尺而黃金色.」 帝於是遣使天竺問佛道法, 遂至中國, 畫形像焉. 萬震南州志云: 「地方三萬里, 佛道所出. 其國王居城郭, 殿皆彫文刻鏤. 街曲市里, 各有行列. 左右諸大國凡十六, 皆共奉之, 以天地之中也.」 浮屠經云: 「臨兒國王生隱屠太子. 父曰屠頭邪, 母曰莫邪屠. 身色黃, 髮如靑絲, 乳靑色, 爪赤如銅. 始莫邪夢白象而孕, 及生, 從母右脅出. 生有髮, 墮地能行七步.」 又云: 「太子生時, 有二龍王夾左右吐水, 一龍水暖, 一龍水冷, 遂成二池, 今猶一冷一暖. 初行七步處, 琉璃上有太子腳跡見在. 生處名祗洹精舍, 在舍衛國南四里, 是長者須達所起. 又有阿輸迦樹, 是夫人所攀生太子樹也.」 括地志云: 「沙祗大國即舍衛國也, 在月氏南萬里, 即波斯匿王治處. 此國共九十種. 知身後事. 城有祗樹給孤園.」 又云: 「天竺國有東、西、南、北、中央天竺國, 國方三萬里, 去月氏七千里. 大國隸屬凡二十一. 天竺在崑崙山南, 大國也. 治城臨恆水.」 又云: 「阿耨達山亦名建末達山, 亦名崑崙山. 水出, 一名拔扈利水, 一名恆伽河, 即經稱〔恆〕河者也. 自崑崙山以南, 多是平地而下溼. 土肥良, 多種稻, 歲四熟, 留役駝馬, 米粒亦極大.」 又云: 「佛上忉利天, 爲母說法九十日. 波斯匿王思欲見佛, 即刻牛頭旃檀象, 置精舍內佛坐. 此像是眾像之始, 後人所法也. 佛上天靑梯, 今變爲石, 沒入地, 唯餘十二蹬, 蹬閒二尺餘. 彼耆老言, 梯入地盡, 佛法滅.」 又云: 「王舍國, 胡語曰罪悅祗國. 其國靈鷲山, 胡語曰耆闍崛山. 山是靑石, 石頭似鷲. 鳥名耆闍, 鷲也. 崛, 山石也. 山周四十里, 外周圍水, 佛於此坐禪, 及諸阿難等俱在此坐.」 又云: 「小孤石, 石上有石室者, 佛坐其中, 天帝釋以四十二事問佛, 佛一一以指畫石, 其跡尙存. 又於山上起塔, 佛昔將阿難在此上山四望, 見福田疆畔, 因制七條衣割截之法於此, 今袈裟衣是也.」
집해서광:「身은 혹『乾』이라 쓰여 있기도 하고, 또『訖』이라 쓰여 있기도 하다.」색은에서 身을 乾이라고 읽고, 毒을 篤이라고 읽는다. 맹강:「천축이라고 하는 것은 부처를 믿는 오랑캐이다.」하였다. 정의에서 일명 신독이라 함은 월지 동남쪽 수천리에 있고 풍속은 월지와 동일하며 낮고 습하며 온도가 높고 나라가 큰강가에 있어 코끼리리 타고 전투를 하며 그 백성들은 월지보다 약하고 부처의 도를 믿어 살생을 하지 않으니 드디어 풍속으로 이루어 졌다. 땅에는 코끼리 코뿔소 대모(옥의 한 종류) 금 은 철 주석 아연이 있으며 서쪽으로는 대진과 통하고 대진은 진기한 물건이 많았다. 명제의 꿈에 금으로 된 장대한 사람이 정수리에 밝은 광채가 비추고 있는 것을 보고 신하들에게 묻자 혹자가 서방에 신이 있으니 이름은 부처요 그 모양과 키가 6척장신에 황금의 색이라고 말하였다. 제가 이에 사신을 천축에 보내 부도의 법도를 물어 드디어 중국에 도착하여 형상을 그렸다. 만진남주지에「지방 3만리로 불도가 나온 곳이다. 그 나라왕은 성곽에 머물고 궁전은 전각에는 모두 문자를 조각하였으며 거리 구석 구석과 시장에도 각기 줄을 서고 좌우에 여러 큰 나라가 있으며 무릇 16나이다 모두 이 나라를 받드니 천지의 중심이다.」부도경에「임아국 왕은 은도 태자를 나았으니 아버지는 도두야고 어머니는 막야도다. 피부는 황색이고 모발은 푸른 실 같았으며 젖에 청색이 보였고 손톱은 붉기가 마치 동 같았으며 처음에 막야가 흰 코끼리 꿈을 꾸고 아이를 낳는데 어미의 옆구리로부터 나왔다. 태어나면서 머리털이 있었고 땅에 닿자 7걸음이나 걸었다. 또「태자가 태어날 때 두 마리의 용이 왕의 좌우를 끼고 물을 토해내는데 한 마리는 뜨거운 물을 한 마리는 차거운 물이라 드디어 2개의 연못을 이루어 지금도 하나는 따뜻하고 또 하나는 차다. 처음 7보를 걸은 곳의 유리위에 태자의 발자취가 있어 현재도 보인다. 태어난 곳의 이름은 기원정사라 하고 사위국 남쪽 4리에 있다. 그 곳은 장자가 모름지기 꼭 가보는 곳으로 또 아수가 나무가 있고 이는 부인이 잡고 태자를 낳은 나무이다.」괄지지: 「사기대국은 곧 사위국이다. 월지 남쪽 만리에 있고 파사익왕이 다스리는 곳이고 이 나라는 모두 90종이며 자신의 뒷 일을 안다. 성에는 기수급고원이 있다.」하였다. 또「천축국은 동서남북의 가운데 천축국이 있고 나라는 사방 삼만리이며 월지와는 칠천리 떨어져있고 대국으로 예속된 것이 21나라이고 천축은 곤륜산 남쪽으로 대국이다. 성은 향수에 임해있다.」하였다. 또「아욕달산은 또 이름이 건말달산이라 하고 또 곤륜산이라고도 하며 물이 나오고 일명 발호리수 일명 항가하라고 부르니 곧 경전에서 「항 」하라한다. 곤륜산 남쪽으로부터 평지가 많고 아래는 습하며 땅은 비옥하고 벼를 많이 심었으며 4계절이 덥고 낙타를 부리며 쌀알이 지극히 크다.」또「부처는 도리천에 올라가 어머니를 위해 설법한지 90일 파사익왕이 부처를 보려고 하자 곧 우두전단에 불상을 새겨 정사 안에 불상을 안치하였다. 이 상이 여러 불상의 시초이고 뒤에 사람들이 본받은바 되었다. 부처가 하늘에 오르던 푸른 사다리는 지금 돌로 변하여 땅속에 묻혔으며 오직 12걸음만 남았고 한걸음은 2척 정도가 되었다. 그 곳 노인들이 말하기를 사다리가 땅에 다 들어 가면 불법도 없어지게 된다.」하였다. 또「왕사국은 오랑캐 말로 죄 벗기를 원하는 나라라는 말이고 그 나라 영취산은 오랑캐 말로 기도굴산이며 산은 푸른 돌이고 돌 머리가 수리 같으며 새 이름이 기도였으니 수리를 말한다. 굴은 산의 돌이다. 산의 둘레는 40리고 외부의 둘레는 물로 되었으며 부처는 여기서 좌선하여 여러 아난 등이 모두 여기에서 좌선하게 되었다.」하였다. 또「소고석은 돌 위에 석실이 있고 그 가운데 부처가 앉았다. 천제가 42가지 일로 풀어 부처에게 물으니 부처가 하나하나 돌에 손가락으로 그려 자취가 아직 존재한다. 또 산위에 탑을세워 부처가 예전에 아난에게 이 산 위에서 사방을 바라보게 하다가 풍요로운 밭과 강토를 보고 이를 통해 7벌의 옷을 만들어 나누어 법을 여기에 남겼다. 지금의 가사의가 바로 이것이다.」하였다.
騫曰(건왈)
장건이 말했다.
「臣在大夏時(신재대하시) 見邛竹杖(견공죽장) 蜀布.37)(독포) 問曰(문왈)
신이 대하에 있을 때 공의 죽지팡이 촉의 포를 보았습니다. 묻기를
37) 正義邛都邛山出此竹, 因名「邛竹」. 節高實中, 或寄生, 可爲杖. 布, 土蘆布.
정의: 공도 공산에 이 대나무가 난다. 이름이「공죽」이다. 마디가 높고 가운데가 채워졌으며 혹 자라면 지팡이를 만들 수 있다. 포는 갈대포이다.
『安得此?(안득차)』 大夏國人曰(대하국인왈):『吾賈人往市之身毒(오가인왕시지신독).
〔어디서 이를 구하였소?〕하자, 대하국 사람이〔우리 상인이 신독의 시장에 가서 구한 것입니다.〕하였습니다.
身毒在大夏東南可數千里(신독재대하동남가수천리). 其俗土著(기속토저),
신독은 대하에서 동남으로 수천리 떨어져 있으며 그 풍속은 토착하여
大與大夏同(대여대하동), 而卑溼暑熱云이비습서열운). 其人民乘象以戰(기인민승상이전).
대체로 대하와 동일하며 낮고 습하고 덥습니다. 그 백성들은 코키리를 타고 싸우며
其國臨大水焉.』38)(기국임대수언) 以騫度之(이거도지), 大夏去漢萬二千里(대하거한만이천리),
그 나라는 큰물에 접하고 있다 하였습니다. 제가 헤아리건데 대하는 한 나라에서 만이천리 떨어져 있고
38) 正義大水, 河也.
정의: 대수는 하수를 말한다.
居漢西南(거한서남). 今身毒國又居大夏東南數千里(금신독국우거대하동남수천리),
한나라의 서남쪽에 있으며 지금 신독국은 또 대하 동남 수 천리에 있고
有蜀物(유촉물), 此其去蜀不遠矣(차기거촉불원의).
촉의 물건이 있으며 그 곳은 촉과의 거리가 멀지않습니다.
今使大夏(금사대하), 從羌中(종강중), 險(험), 羌人惡之(강인오지)
지금 대하에 사신을 보내신다면 강중을 따라가면 험하고 강인들이 싫어 할 것이며
少北(소북), 則爲匈奴所得(즉위흉노소득) 從蜀宜徑,39)(종촉의경) 又無寇(우무구).」
조금 북쪽으로 가면 흉노에게 잡힐 것이고 촉을 따라가면 마땅히 지름길이며 또 도적도 없을 것입니다.」
39) 集解如淳曰: 「徑, 疾也. 或曰徑, 直.」
집해여순: 「徑은 빠름이다. 혹자가 말하기를 徑은 바로이다.」하였다.
天子既聞大宛及大夏(천자기문대원급대하)、安息之屬皆大國(안식지속개대국),
천자는 이미 대원과 대하 그리고 안식은 모두 대국에 속하고
多奇物(다기물), 土著(토저), 頗與中國同業(파여중국동업), 而兵弱(이병약),
진기한 물건이 많으며 토착하고 자못 중국과 생업이 같으며 군대가 약하고
貴漢財物(귀한재물) 其北有大月氏(기북유대월지)、康居之屬(강거지속), 兵彊(병강),
한나라의 재물을 귀하게 여기고 그 북쪽에는 대월지와 강거의 무리가 있고 군대가 강하나
可以賂遺設利朝也(가이뇌유설리조야). 且鎖而以義屬之(차성득이이의속지),
재물을 주어 이로 유인하면 입조하게 할 수 있을 것이며 또 진실함을 가지고 의로움으로 복속시키면
則廣地萬里(즉광지만리), 重九譯(중구역),40) 致殊俗(치수속), 威德遍於四海(위덕편어사해).
땅을 만리나 넓힐 수 있고 구역과 수속을 이르게하여 위덕을 사해에 두루 할 것이라는 말을 듣고 있었다.
40) 正義言重重九遍譯語而致.
정의: 겹겹이 9번 말을 통역하여 이른다는 말이다.
天子欣然(천자흔연), 以騫言爲然(이건언위연), 乃令騫因蜀犍爲(내령건인촉건위)41)
천자가 기뻐하며 장건의 말이 옳다고 여겼다. 그래서 장건으로 하여금 촉의 건위에서
41) 正義犍, 其連反. 犍爲郡今戎州也, 在益州南一千餘里.
정의: 犍은 其連의 반절음. 건위군은 지금 계주이고 익주 남쪽 일천여리에 있다.
發閒使(발한사), 四道並出(사도병출) 出駹(출방), 出冉(출염),42) 出徙(출사),43) 出邛僰(출공북)44),
은밀하게 사자를 출발시키니 4길 즉 방에서 또 염에서 또 사에서 또 공북에서 동시에 나가게 하였다.
42) 正義茂州、向州等, 冉、駹之地, 在戎州西北也.
정의: 무주와 향주 등은 염과 방의 땅이고 계주 서북쪽에 있다.
43) 集解徐廣曰: 「屬漢嘉.」 索隱李奇云: 「徙音斯. 蜀郡有徙縣也.」
집해서광: 「漢나라의 嘉에 속한다.」색은이기: 「徙의 음은 斯이고. 蜀郡은徙縣이다.」
44) 正義僰, 蒲北反. 徙在嘉州;邛, 今邛僰, 今雅州:皆在戎州西南也.州;
정의 僰(북)은 蒲北의反절음이다. 徙는 嘉州에 있다;邛은 지금邛僰이고 지금雅州는 모두 계주 서남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