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판: 거룩함과 성결함으로 세우는 예배자의 삶
출애굽기 26장 15~30절 “너는 조각목으로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어 세우되 16 각 판의 길이는 열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반으로 하고 17 각 판에 두 촉씩 내어 서로 연결하게 하되 너는 성막 널판을 다 그와 같이 하라 18 너는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되 남쪽을 위하여 널판 스무 개를 만들고 19 스무 널판 아래에 은 받침 마흔 개를 만들지니 이쪽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고 저쪽 널판 아래에도 그 두 촉을 위하여 두 받침을 만들지며 20 성막 다른 쪽 곧 그 북쪽을 위하여도 널판 스무 개로 하고 21 은 받침 마흔 개를 이쪽 널판 아래에도 두 받침, 저쪽 널판 아래에도 두 받침으로 하며 22 성막 뒤 곧 그 서쪽을 위하여는 널판 여섯 개를 만들고 23 성막 뒤 두 모퉁이 쪽을 위하여는 널판 두 개를 만들되 24 아래에서부터 위까지 각기 두 겹 두께로 하여 윗고리에 이르게 하고 두 모퉁이 쪽을 다 그리하며 25 그 여덟 널판에는 은 받침이 열여섯이니 이쪽 판 아래에도 두 받침이요 저쪽 판 아래에도 두 받침이니라 26 너는 조각목으로 띠를 만들지니 성막 이쪽 널판을 위하여 다섯 개요 27 성막 저쪽 널판을 위하여 다섯 개요 성막 뒤 곧 서쪽 널판을 위하여 다섯 개이며 28 널판 가운데에 있는 중간 띠는 이 끝에서 저 끝에 미치게 하고 29 그 널판들을 금으로 싸고 그 널판들의 띠를 꿸 금 고리를 만들고 그 띠를 금으로 싸라 30 너는 산에서 보인 양식대로 성막을 세울지니라.”
1. 하나님 앞에 서서 예배(禮拜)하라.
1) 하나님께서는 성 막 본체(성소와 지성소)의 벽을 어떻게 지으라고 하셨습니까?
성경은 성 막을 만들고 세우는 것에 대해 여러 가지를 말하고 있는데, 그중에서 아주 중요한 것이 바로 ‘널판’입니다. 이것은 대충 지나가면 안 됩니다. 널판이 없으면 성 막은 서 있을 수가 없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성 막을 영적인 의미로 해석한다면, 널판은 그 모든 것의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5~16절 “너는 조각목으로 성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어 세우되, 각 판의 길이는 열 규빗, 너비는 한 규빗 반으로 하고” 18절 “너는 성 막을 위하여 널판을 만들되 남쪽을 위하여 널판 스무 개를 만들고” 20절 “성 막 다른 쪽 곧 그 북쪽을 위하여도 널판 스무 개로 하고...” 22~23절 “성 막 뒤 곧 그 서쪽을 위하여는 널판 여섯 개를 만들고, 성막 뒤 두 모퉁이 쪽을 위하여는 널판 두 개를 만들되”
성 막 본체의 벽면은 조각목에다가 금으로 입힌 널판지들로 이어 붙혀 만들라고 하셨습니다. 각각의 널판지를 서로 잇대어 두 개의 촉들로 널판을 서로 끼우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때 널판지 한 개의 크기는 높이가 10규빗(4.56m), 가로가 1규빗반(68,4cm), 두께는 0.5규빗(22.8cm)이었습니다.
이것들을 서로 연결 시켜 벽면을 만들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래서 성 막 오른쪽(북쪽) 벽면에도 20개의 널판지를 연결하여 세우라고 하였고, 성 막 왼쪽(남쪽) 벽면에도 20개의 널판지를 연결하여 세우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성 막 뒷쪽(서쪽)에는 6개의 널판지를 서로 끼워 연결했습니다.
그런 다음, 모서리 부분에 각각 1개씩의 널판지를 붙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니, 성 막 본체의 벽면에 들어가는 널판지는 총 48개였습니다. 또한 널판지 아래에도 두 개의 촉을 만들어, 각각 한 개의 은 받침에 2개의 촉을 끼워넣었는데, 각각 한 개의 널판지는 각각 2개씩의 은받침에 끼워맞추개 되는 것입니다.
그리하면 은 받침 2개가 한 개의 널판지에 끼워맞춰져서 바닦에 놓이게 되는 것인데, 참고로 은 받침 한 개의 무게는 34kg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니 널판지들은 견고하게 서 있을 수가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은받침은 몇 개가 사용되었습니까? 북쪽에 20개의 널판지가 있었으니 은 받침은 40개가 들어갔습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남쪽에도 은 받침 40개가 들어갔으며, 서쪽에 널판지가 8개가 있으니, 은 받침도 16개가 들어갔습니다. 벽면에만 도합 96개의 은 받침이 들어갔습니다. 그런데 지성소와 성소를 가르는 휘장을 걸쳐두기 위해서 만들어질 4개의 기둥 밑에도 은받침 4개를 두라고 하셨습니다.
성 막에 소요되는 은 받침은 총 100개였습니다. 참고로, 이 은받침에 사용될 은(銀)은 어디에서 조달한 것입니까? 그것은 이스라엘백성들에게서 조달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바치게 될 반 세겔의 속전을 모아서 그것으로 은받침을 만들라고 하셨습니다(출 30:11~16).
또한, 하나님께서는 널판지들이 서로 넘어지지 않고 더 견고하게 서 있을 수 있도록 한 가지 조치를 더 취하게 하신 것은 띠(가름대)를 북쪽과 남쪽과 서쪽에 각각 5개씩을 만들어 꿰어맞추라고 하였습니다(출 26:26~30). 물론 널판지에는 금고리를 만들어 붙이도록 하였습니다.
그리고, 거기에 띠(가름대)를 끼워 맞추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세 줄로 만드는 띠는 윗부분의 양쪽에 각각 1개씩의 띠를 꿰어맞추게 하였고, 아랫부분의 양쪽에 또 각각 1개씩의 띠를 꿰어맞추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한 개의 띠는 널 판지의 중간에 처음부터 끝까지 꿰어맞추라고 하셨습니다.
널판지 20개씩을 꿰는 2개의 띠와 서쪽에 있는 6개의 널판지를 꿰는 1개의 중간 띠가 있게 되었는데, 널판지들이 이러한 띠(가름대)의 기능으로 인하여 널판지들이 서로 좌우로 변형되는 것을 더 줄 수가 있도록 한 것입니다. 48개의 금으로 입힌 조각목 널판지들과 100개의 은 받침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15개의 가름대가 필요합니다. 그러면 이것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첫째, 48개의 널 판지를 두 촉씩 서로 연결하여 견고한 각 벽면을 만들라고 한 것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가 연합할 때 견고하고 흔들리지 아니한 교회로 세워질 수 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둘째, 48개의 조각목 아래에 두 촉을 두고 거기에 은 받침을 각각 1개씩을 끼우라고 한 것은, 교회의 기초가 주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에 근거한 것이라야 한다는 뜻입니다. 왜냐하면, 성경에서 은(銀)이란 독을 제거하는 보석으로서, 죄의 독을 제거하기 위해 이 땅에 오신 주 예수님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셋째, 널 판지에 가름대까지 끼워 단단히 고정하게 한 것은, 삼겹 줄은 끊어지지 아니한다는 말씀처럼, 교회가 더욱 든든히 세워지려면 목회자 혼자 잘 해서 되는 것이 아니라, 목회자와 직분자들과 그리고 성도들이 한데 어울러져 서로 섬기며 사랑하고 희생할 때 되어진다는 것을 상징합니다.
널판을 남쪽과 북쪽을 위해 각각 스무 개씩, 또 서쪽을 위해 여섯 개, 양 모퉁이용으로 두 개를 만들어 성 막을 세우도록 한 것입니다. 널판으로 벽을 만들어야 비로소 성 막이 세워집니다. 그러므로 성 막을 예배라고 한다면, 이 널판을 세우는 것은 예배에 대한 아주 중요한 메시지를 우리에게 전달합니다.
주님 앞에 서 있다는 것은 주님을 예배한다는 것입니다. 보통 예배하는 모습은 주님 앞에 엎드리거나 무릎을 꿇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런데 찬송가 가사에도 이런 표현이 많이 나옵니다. 성경에는 의외로 예배하는 모습, 특히 감동적으로 드리는 예배를 말할 때 ‘하나님 앞에 서 있다’라고 표현합니다.
그렇습니다. 참된 예배는 이렇게 하나님 앞에 서 있는 것입니다. 이것은 예배의 정말 중요한 요소를 그대로 말해주는 표현입니다. 두손들고 주님께 항복하고 나오는 것입니다. 나는 무지랭이라는 것을 고백하는 것입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하나님의 집에 서 있다’는 표현도 많이 씁니다.
시편 135:2~3절 “여호와의 집 우리 여호와의 성전 곧 우리 하나님의 성전 뜰에 서 있는 너희여. 여호와를 찬송하라 여호와는 선하시며 그의 이름이 아름다우니 그의 이름을 찬양하라” 시편 134:1~2절 “보라 밤에 여호와의 성전에 서 있는 여호와의 모든종들아 여호와를 송축하라. 성소를 향하여 너희 손을 들고 여호와를 송축하라”
출애굽기 33:10절 “모든 백성이 회막 문에 구름 기둥이 서 있는 것을 보고 다 일어나 각기 장막 문에 서서 예배하며” 역대하 20:13절 “유다 모든 사람이 그들의 아내와 자녀와 어린이와 더불어 여호와 앞에 섰더라” 요한계시록 14:1절 “또 내가 보니 보라 어린 양이 시온 산에 섰고 그와 함께 십사만 사천이 서 있는데 그들의 이마에는 어린 양의 이름과 그 아버지의 이름을 쓴 것이 있더라”
할렐루야~! 주님께 영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