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천집(雲川集) 김용(金涌)생년1557년(명종 12)몰년1620년(광해군 12)자도원(道源)호운천(雲川)본관의성(義城)
雲川先生文集卷之一 / 詩 / 藍山書院移建後吟示諸生 壬寅(1602,선조35)
起廢四賢廟。移來一善傍。英靈如左右。山水更高長。太守謀迂拙。諸生志激昂。願言相勉勵。終始襲餘芳。
............................
雲川先生文集卷之六 / [附錄] / 雲川先生年譜
선조 | 32 | 1599 | 기해 | 萬曆 | 27 | 43 | 1월, 성균관 사성이 되다. ○ 9월, 善山 府使가 되다. |
선조 | 34 | 1601 | 신축 | 萬曆 | 29 | 45 | 8월, 逆魁 吉雲節의 출생지로 善山이 縣으로 강등되면서 부사에서 罷職되다. |
선조 | 35 | 1602 | 임인 | 萬曆 | 30 | 46 | 金烏書院을 藍山으로 移建하다. |
선조 | 36 | 1603 | 계묘 | 萬曆 | 31 | 47 | 3월, 白雲亭에서 賞花하다. ○ 10월, 濟用監 正이 되다. 軍資監 正을 거쳐 侍講院 弼善이 되다. |
二十七年己亥 先生四十三歲 正月。拜成均館司成。仍行督運御使。
諸郡承風恐後事甚辦。未幾。爲不悅者所劾罷。
三月。與嶺伯韓柳川浚謙。上廬江養浩樓。次板上韻。
詩見文集
秋。拜善山府使。
自西厓先生戊戌去國以來。一時良善。皆不在朝。先生亦補外。時新經兵燹。瘡痍未起。絃誦久絶。先生以蘇殘祛弊興學善俗爲務。不數年。里閭復完。儒風始振。
二十八年庚子。先生四十四歲 重修鄕校。
二十九年辛丑。先生四十五歲 重建栗里遺祠。
始朝廷爲吉冶隱立祠以旌之。壬辰亂。爲兵火所殘。先生爲捐俸重修。功未訖。有吉姓者構逆于濟島。先生以本府降號遞。事將不擧。九月。還升爲府。先生復任。冬。廟成。先生親祭妥靈焉。
三十年壬寅。先生四十六歲 移建金烏書院于藍山。
院舊在烏山北麓。地偏土瘠。人不成村。負笈者罕往。人皆病之。先生率郡中名士盧公景任,崔公晛,院長金錫胤等。相地于府東之藍山。士皆樂赴。院旣成。改號曰藍山。崔公記其事。先生有詩。諸人和之。
三十一年癸卯。先生四十七歲 入爲濟用監正。移軍資監正。尋拜侍講院弼善。○三月三日。奉大夫人踏靑。明日。賞花于白雲亭。
有詩見文集。
.........................
인재집(訒齋集) 최현(崔晛)생년1563년(명종 18)몰년1640년(인조 18)자계승(季昇)호인재(訒齋)본관전주(全州)시호정간(定簡)특기사항김성일(金誠一), 정구(鄭逑)의 문인. 이윤우(李潤雨), 노경임(盧景任)과 교유
광해군 | 1 | 1609 | 기유 | 萬曆 | 37 | 47 | 5월, 張顯光을 찾아 뵙고 「周易」과 「太極圖說」을 강하다. ○ 10월, 정언에 제수되었으나 길에서 呈狀하여 체차되다. ○ 12월, 不知巖에서 泗水로 가서 寒岡先生을 뵙고 書院入享事와 喪禮諸條를 논하다. |
訒齋先生文集年譜 / 訒齋先生年譜
三十七年 光海元年 己酉 先生四十七歲
正月十八日辛丑。留玉河館。謁文廟。○癸卯。皇帝特賜銀子,大學衍義,昭代典則。是日發行向通川。○二月初一日癸丑。到永平。望哭大行大王初朞。○戊辰。登十三山。有詩一律 辛巳。到三流河。有詩一律 三月二十日辛丑。復命。旋被拿推。卽蒙宥。以勑書中權署國事未及改正事有臺論。與上副使同被拿推原情後蒙放。 四月。還鄕。○五月。往拜張旅軒于院堂。講周易太極圖說。○又會旅軒于崇巖講易○九月。游金烏山。○十月。拜司諫院正言。在道呈遞。○十二月。自不知巖轉往泗水。拜寒岡先生。
論書院入享事及喪禮諸條。日記略曰。陪話至夜。見朝報數三條。因問曰。移御新宮。臺諫必至於啓請。何如。先生微哂曰。臺論如是。草野何敢議朝廷事乎。余因稟吾鄕書院事曰。
初建冶隱書院于金烏山下。今以地勢不便。移卜洛江之濱。請額之際。瞢然啓達。以金烏賜額。書院。爲冶隱刱建。而以佔畢齋,新堂,松堂幷祀。或言冶隱自稱金烏山人。院號金烏無妨。此議如何。先生曰。今旣移設洛濱。號以金烏。未穩。且幷祀三賢。而獨稱冶隱之號。亦未安。
聞善山有十賢之號。可得聞耶。對曰。前者四先生外。以忠節稱者有金判書澍,李正言孟專,河參判緯地。以學問稱者有金司藝淑滋,金眞樂堂就成,朴龍巖雲耳。先生曰。多乎哉。善山之忠賢也。余曰。或以爲鄕賢宜幷入書院。或以爲四先生旣入書院。其他鄕賢。宜別立廟。何說爲是。先生曰。旣無聞見之詳。又乏可考之事。吾豈敢議爲。必有行狀碑碣等可記者。願見其書。余曰。從當書進。夜深退宿。翌朝入謁。問喪禮數條。日晩辭出。
광해군 | 6 | 1614 | 갑인 | 萬曆 | 42 | 52 | 1월, 金溪에 머물면서 「鶴峯先生遺集」을 校讎하다. ○ 11월, 「冶隱先生行錄」 및 「杜谷先生遺集」을 校讎하다. |
광해군 | 7 | 1615 | 을묘 | 萬曆 | 43 | 53 | 9월, 부인 李氏의 상을 당하다. |
광해군 | 8 | 1616 | 병진 | 萬曆 | 44 | 54 | 1월, 尋源에 가서 머물다. ○ 9월, 還鄕하다. |
광해군 | 10 | 1618 | 무오 | 萬曆 | 46 | 56 | 〈一善誌〉를 완성하다. |
광해군 | 11 | 1619 | 기미 | 萬曆 | 47 | 57 | 4월, 寒岡을 뵙고 鶴峯 行狀을 考訂하다. ○ 7월, 靑松 椒井에서 無語坪으로 돌아오다. |
四十六年戊午 先生五十六歲
正月。往留金陵。○四月。還鄕。○往拜寒岡先生
○十一月。與盧敬菴景任諸友會金烏書院。議定奉安諸規。○一善誌成○往拜寒岡先生。
四十七年己未 先生五十七歲
二月。與金烏山長盧景任宿書院。議定院規。
○三月。與主倅金雲川涌,張旅軒會書院。奉安四賢。書院舊在金烏山下。兵火之後。不免蕩析。地且偏遠。不便於學子往來。故移建于藍山。
四月。拜寒岡先生。考訂鶴峯先生行狀。○往拜張旅軒。請參贊公墓碣。○七月。自靑松椒井還無語坪。○與鄕士友共賞月巖書堂。仍議三仁廟刱建事。三仁卽籠巖金先生澍,丹溪河先生緯地,耕隱李先生孟專也。先生終始主張是役。宜有記事。而時大司諫李偉卿詆先生以作史謗訕朝廷。將欲拿鞫。遂絶筆不書。故無日記可考。
.........................
訒齋先生文集附錄 / [行狀] / 贈純忠補祚功臣,資憲大夫禮曹判書兼知經筵義禁府春秋館事,同知成均館事,弘文館提學,完城君。行通政大夫守江原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訒齋先生崔公行狀[李象靖]。
公諱晛。字季昇。姓崔氏。其先全州人。高麗門下侍中諡文成公諱阿實爲鼻祖。五世至諱水智。比安縣監。贈都承旨。始卜居于善山之海平縣。子孫仍家焉。曾祖諱以淮。司僕主簿。贈通禮院左通禮。祖諱致雲。參奉。贈承政院左承旨。考諱深。贈議政府左參贊。三世皆以公貴也。參贊公隱德不仕。旅軒張先生實銘其墓。妣東萊鄭氏。煕佐之女。德陽奇氏。敎導遇之女。星山李氏。秉節校尉智源之女。正言耕隱先生孟專之曾孫。俱贈貞夫人。嘉靖癸亥六月十日。公生。幼穎秀異凡兒。八歲。受學於杜谷高公應陟。厲志尙學。屬對輒驚人。九歲。貞夫人卒。執禮如成人。
十三。方伯策士於金烏書院。公製居魁。人莫不驚歎。弱冠游鶴峯金先生之門。得聞爲學之方。
선조 | 8 | 1575 | 을해 | 萬曆 | 3 | 13 | 金烏書院에서 공부하다. |
三年乙亥 先生十三歲
肄業於金烏書院 方伯發策。問以性理。先生一揮而篇已就。及課次。先生居首。
.........................
학서집(鶴棲集) 유태좌(柳台佐)생년1763년(영조 39)몰년1837년(헌종 3)자사현(士鉉)호학서(鶴棲), 농아(聾啞)본관풍산(豐山)초명태조(台祚)특기사항강필효(姜必孝), 이희발(李羲發), 유심춘(柳尋春) 등과 교유
鶴棲先生文集卷之九 / 序 / 塤齋集序
道義之門函丈之席。一言之奬。爲士者所至榮。而未遽人人得也。而况筆札之間。手賜講究文義之褒。鄕社之會。心許言行相顧之實。苟非格致之工深有所造。樞機之發實有可稱。能有是乎。塤齋尹先生。以聰悟之姿沉厚之器。八歲受小學。已通大義。甫成童。刻勵大人之學。几案常置心經近思錄諸篇。俯讀仰思。至忘寢食。龍蛇之難。雖在流離倉兄中。奉母夫人竭誠殫孝。天年遭故。服闋撤還之後。築室于養眞洞。靜處一室。與弟篪亭公講討湛樂。一時儒賢如金雲川,金鶴沙,盧敬庵,崔訒齋,朴臥遊,金浴潭,金東籬諸公。皆道義切磋之契也。
金烏院之移建藍山也。公實協贊其事役。廟旣成。僉議欲幷擧十賢之享。就質於寒岡鄭先生。
先生留公數宵。講問經旨。伊後手書之覆。有曰朱書釋義。仰認講究文義之盛意。而恨未得面討。旅軒張先生招集鄕賢於藍山。講論經學。亟稱公言顧行行顧言。仍發魯有君子之歎。兩先生遺集。可按以攷也。嗚呼。兩先生斯文百世之宗主也。道盛而德尊。鑑空而衡平。其必有謝氏切問之學。然後伊川可以點頭。亦必有曾點大意之見。然後夫子所以喟然。尙論之士。以當日往復酬酢。便作己問。與今日耳聞。則慰藉之重。薰沐之榮。顧誠如何哉。公之所以啓發乎文字之蘊奧。從容乎辭氣之沉重。居家而盡孝悌之道。崇賢而殫表章之誠者。卽此而可見矣。是所謂不問可知爲先生弟子。而得夫子而名益彰者也。應擧上庠。爲親暫屈。而晩年靜居。絶意進取。硏業益精。朱書釋義之外。又有心性圖閒居錄等編。而惜乎鬱攸之灾。幷入於煨燼。只有詩賦稟目家狀。九鼎之一臠而已。立齋鄭先生銘其墓。一善士林尸祝於景洛書院。可見一端公議之不泯。而七代孫上舍生宗燮。繼述其先人志。將始遺稿剞劂之役。謬屬弁首之文於台佐。顧此懵陋不文。何敢與聞於闡揚隱德之事。而山仰之忱。竊有所感。略綴數語以歸之。後之讀是稿者。先須玩讀兩先生遺集。遡求其淵源之正斯可矣。
.........................
둔봉집(遯峯集) 김녕(金寧)생년1567년(명종 22)몰년1650년(효종 1)자여화(汝和)호둔봉(遯峯)본관선산(善山)특기사항정구(鄭逑),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최현(崔晛), 노경임(盧景任) 등과 교유
遯峯先生文集 / 遯峯先生年譜
三十三年乙巳 先生三十九歲 八月。哭杜谷先生。比葬又往唁而有祭文輓詩。 十月陪旅軒先生。議定金烏書院移建事。書院舊在金烏山下。兵火之餘。村落絶遠。且居一隅。不便於士子來往。故移建於藍山。而旅軒先生曰䂓模庶事。非汝和之老成。莫可議。必與諮度焉。 金東籬 允安 來訪。因講論朱書。
三十四年丙午 先生四十歲 二月入金烏書院。令植松柳于前川邊。
三十五年丁未 先生四十一歲 五月。承西厓柳先生訃。爲位哭之。○八月陪旅軒先生會話于城洞溪亭。○旅軒先生與崔訒齋,金伴月堂 宗孝 來訪。會話于松林。○十月鄭愚伏 經世 來訪。時愚伏知大丘。
三十六年戊申 先生四十二歲 二月宣祖大王昇遐。先生擧哀成服于家後山。因山前行素。 問考妣忌辰參薦之禮於旅軒先生。旅軒先生答曰自啓殯至卒哭。是初喪例也。今於卒哭前。不敢擧私祀。然用素饌獻單酌。未知如何。
三十七年 光海元年 己酉 先生四十三歲 往拜旅軒先生于遠懷堂。講質心經。○五月入金烏書院。議定鄕賢配享事。○七月崔訒齋與諸公來訪。因留宿講論。○十月中鄕解
○往拜寒岡先生。因質金烏書院院號改定事。先生陪寒岡先生。因稟曰金烏書院改號事。因崔正言晛所稟。已聞命矣。而或以爲金烏山人。乃冶隱自號。則院號金烏似無妨。此議尙未整頓。敢問何如。寒岡先生曰金烏書院初雖爲冶隱刱建。而旣以三賢幷祀。則獨稱冶隱之號似未安。且况移設洛濱則號以金烏亦未穩。翌日辭歸。
선조 | 38 | 1605 | 을사 | 萬曆 | 33 | 39 | 8월, 고응척을 곡하다. ○ 10월, 장현광을 모시고 金烏書院을 移建하는 일을 의정하다. ○ 東籬 金允安이 내방하여 朱書를 강론하다. |
광해군 | 1 | 1609 | 기유 | 萬曆 | 37 | 43 | 遠懷堂에서 장현광을 뵙고 「心經」을 질의하다. ○ 10월, 鄕試에 합격하다. |
三十八年庚戌 先生四十四歲 三月。赴增廣進士初試發解。○閏三月赴省試。中三等第四人。○四月陪旅軒先生于烏院。與李敏善,朴晉慶諸公會話。○陪旅軒先生于月波亭。乘暮泛舟。順流到烏院留宿。
광해군 | 2 | 1610 | 경술 | 萬曆 | 38 | 44 | 윤3월, 진사시에 합격하다. ○ 朴而立이 정구를 誣陷하자 辨誣疏를 올리다. |
四十六年戊午 先生五十二歲 八月。除司憲府監察不赴。○十二月與崔訒齋盧敬菴諸公。會金烏書院。議定奉安諸䂓。○授朝散大夫。
四十七年己未 先生五十三歲 正月。與李石潭訪崔訒齋。○二月入金烏書院議定院䂓。時一鄕諸公先到院。而以先生及崔訒齋未及會。留宿一夜。翌日先生與崔訒齋追會。諸會員已退去。先生與崔訒齋,盧敬菴議定院䂓。因書院錄。
三月與主倅金雲川 涌 旅軒先生會烏院。奉安四賢。四賢卽冶隱吉先生再,佔畢齋金先生宗直,新堂鄭先生鵬,松堂朴先生英也。
因次卽事二首。見文集 李石潭來訪于遯峯齋。講論經義。
○旅軒先生定烏院廟堂齋門之號。又揭白鹿洞䂓。而推先生爲洞主。○除全羅道都事不赴。○與崔訒齋諸公。會月巖書堂。議定三仁廟刱建諸䂓。三仁卽籠巖金先生澍,丹溪河先生緯地,耕隱李先生孟專也。 十月與金東籬金伴月金鶴沙 應祖 申懶齋 悅道。訪崔訒齋同宿講話。○十一月授通訓大夫。
광해군 | 10 | 1618 | 무오 | 萬曆 | 46 | 52 | 8월, 사헌부 감찰이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
광해군 | 11 | 1619 | 기미 | 萬曆 | 47 | 53 | 3월, 金涌, 張顯光과 금오서원에 모여 冶隱 吉再 외에 佔畢齋 金宗直, 新堂 鄭鵬, 松堂 朴英을 추가 봉안하기로 결정하다. ○ 전라도 도사가 되었으나 나아가지 않다. ○ 崔晛 등과 月巖書堂에 모여 籠巖 金澍, 丹溪 河緯地, 耕隱 李孟專을 모신 三仁廟의 창건 규약을 의정하다. |
인조 | 11 | 1633 | 계유 | 崇禎 | 6 | 67 | 月巖書院 三仁廟의 봉안문과 상향축문을 짓다. |
인조 | 12 | 1634 | 갑술 | 崇禎 | 7 | 68 | 5월, 柳袗, 全湜, 趙光璧과 장현광을 모시고 金烏書院을 유람하다. |
十五年壬午 先生七十六歲 往金烏書院。參旅軒先生追享禮。因議定影幀奉安事。先生謂士友曰仁善便是一州。且旅軒先生半世僑寓於元堂。則其在崇報之義。不可無俎豆享於杖屨之所。因奉安影幀。 陞資護軍不赴。○議建洛峯鄕賢祠。鄕賢卽司藝金先生叔滋,眞樂堂金先生就成,龍巖朴先生雲。
인조 | 15 | 1637 | 정축 | 崇禎 | 10 | 71 | 1월, 士友들과 창의하다. ○ 9월, 장현광을 곡하다. |
인조 | 20 | 1642 | 임오 | 崇禎 | 15 | 76 | 장현광을 금오서원에 배향하다. |
.........................
입재집(立齋集) 정종로(鄭宗魯)생년1738년(영조 14)몰년1816년(순조 16)자사앙(士仰)호입재(立齋), 무적옹(無適翁)본관진주(晉州)특기사항이상정(李象靖), 최흥원(崔興遠)의 문인. 남한조(南漢朝)와 교유. 영남 남인의 석학
立齋先生文集卷之四十 / 碣銘 / 塤齋尹公墓碣銘 並序
尹弘宣 | 1573 | 1629 | 平山 | 伯任 | 塤齋 |
公諱弘宣字伯任。塤齋其自號也。尹氏出平山。麗有奉常大夫賜紫金魚袋巨臣爲鼻祖。入我朝刑曹判書尙著。爲七世祖。高祖諱權參奉。自京遷永嘉。復遷一善。曾祖諱希聘。勵節校尉號默軒。祖諱莘起習讀。考諱瑗。妣永川李氏。生員光彥之女。萬曆癸酉十一月。公生于鳳溪里。幼警穎。八歲通小學。稍長與弟篪亭弘濟。勵志爲學。早遊寒旅兩先生之門。著心性圖,朱子書釋疑以質。俱見稱賞。又與同鄕諸名勝。若崔訒齋晛,盧敬庵景任講磨道義。文康公以爲魯多君子。性篤孝。遭先公喪於壬辰亂中。殮葬克致無憾。奉母夫人承順無違。日晨起謁祠堂。訓誨諸子。俾不迷所向。壬子中司馬。因絶意進取。閒居靜養。以爲樂。己巳十一月以疾卒。壽五十七。葬彌洞負庚原。配洪州洪氏。處士國良之女。有二男心傳,義傳。五女適崔允厚,宋時鼎,李志規,宋世杰,李之維。心傳三男商弼,商翊,商耉。義傳一男商老。曾玄以下不錄。公之七世孫上舍永爕。將樹碣公墓。以故左尹金公夢華所撰狀。示余乞爲銘。銘曰。
師大賢友諸益。魯子賤而豈獨。維鳳水秀其毓。
.........................
금대시문초(錦帶詩文鈔) 이가환(李家煥)생년1742년(영조 18)몰년1801년(순조 1)자정조(庭藻)호금대(錦帶), 정헌(貞軒)본관여주(驪州)특기사항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종손(從孫). 남인(南人) 학자(學者). 신유박해(辛酉迫害) 때 순교(殉敎)
錦帶詩文抄[下] / 行狀 / 塤齋尹公行狀
公姓尹氏。諱弘宣。字伯任。平山人。始祖高麗奉常大夫賜紫金魚袋諱巨臣。生諱義補。入聖朝。贈兵曹判書。是生諱尙著。官刑曹判書。三傳有諱權。官參奉。始自京師。徙居安東。復遷于善山。子孫遂爲嶺南人。是生諱希聘。以至行聞。號默軒。是生諱莘起。習讀。是生諱瑗。學生。娶永川李氏。生員光彥之女。以我穆陵癸酉月日。生公于府之鳳溪里第。生有異質。與羣兒嬉戲。不妄語笑。八歲。授小學。必端正。立不跛踦。應唯掃灑。必式古訓。及成童。已知有此事。取心經近思錄等書。俯讀仰思。至忘寢食。每日必晨起。適父母之所。問寢安否。拜家廟。雖風雨。未嘗或廢。壬癸之亂。避地赤蘿。轉入靑鳧。時學生公作省掃。行抵赤蘿之石底村。疾作甚劇。公自靑鳧來。衣不解帶。嘗藥視膳。及學生公卒。附身附棺。必誠必愼。勿之有悔。時寇難搶攘。養生送死。無違禮。人以爲難。服闋。奉大夫人還舊居。居已墟。遂卜築于舊居之傍。名其洞曰養眞。與其弟弘濟。靜處一室。左圖右書。日征月邁。因自號塤齋。弟號箎亭。蚤夜講習。造詣益精。年三十。負笈于旅軒張先生之門。先生一見器重之。
壬寅春。府使金公涌。與旅軒張先生及同時諸賢。議移建金烏書院。院舊祀吉冶隱再,金佔畢宗直,鄭新堂鵬,朴松堂英。至是諸議欲並享金籠巖以下六賢。將就質於寒岡鄭先生。以任重。難其人。咸曰。非公莫可。其爲士林推重。如此。
癸丑。旅軒張先生。至院。與諸生講論經旨。見公所對精切。歎曰。魯有君子。又曰。聽其言。觀其行。可謂言行相顧。公平生以餘力治擧業。四十。成進士。爲親也。旣成進士。絶意進就。不復踏省門。杜門靜居。專精硏究。己巳。示微疾。自知不起。顧二子。囑以善養大夫人。言訖而終。十一月二十日也。葬于府南彌洞庚坐原。配洪州洪氏。後公二年生。先公十一年卒。葬于公墓左。有二男五女。男心傳,義傳。婿崔允厚,宋時鼎,李▣,宋世杰,李之維。心傳二男。商弼,商耉。義傳一男。商老。公天姿旣高。其所以充養之者。甚有次序。其在家塾。兄弟而朋友也。根基旣立。又得明師。以爲依歸。卒乃歸而反求。素履貞吉。以終其身。旅軒先生。豈無所試而輕許之者哉。爲文。平鋪典雅。淡而不厭。有心性圖,朱書釋義等書。編目僅存。而送不傳。嗚呼惜哉。公之六世孫相麟氏。懼其愈久而愈泯。採綴舊聞。使其從弟之子永燮。來求狀德之文。家煥以爲幽光之發。義不可辭。遂取其家狀。序列如右。以俟當世立言之君子。
.........................
여지도서(輿地圖書) 慶尙道 善山都護府
山川
飛鳳山。 在府北十步。 自忠淸道報恩俗離山東來, 過尙州爲淵嶽山來, 作本邑主山。
藍山。 在府東九里。 飛鳳山東麓。 下有金烏書院。
.........................
寒岡先生文集卷之六 / 答問 / [答金烏院生]
金烏院生問。平時金烏書院創立之初。一鄕呈文本府。報于監司。轉啓朝廷。建廟烏山之下。其時鄕先生
金眞樂堂 金監司,崔監司議以
冶隱吉先生,新堂鄭先生,松堂朴先生
三賢奉享。而又有李正言幷入之議。其後李正言之議旋止。而有
佔畢齋不可不入之論。議未决而眞樂堂,金監司皆沒。鄕議互有異同。終以
冶隱,佔畢齋,新堂,松堂四賢幷享。賜額金烏書院。
壬辰亂後。移建于藍山之陽洛江之濱。似當改其額號。而朝廷又仍舊號賜額。今請改與否。未知如何。
書院今旣移建。而朝廷賜額。仍循舊號。則恐不得不具由啓稟。以待朝廷處置也。
籠巖金先生澍。事蹟未著。當初建院時。無入享之議。然鄕中長老。或有傳者。朴龍巖與應敎金振宗最善。應敎內金先生五代孫。必有一家相傳之語。而人不得知者。龍巖因此得聞其朝天不返之事。常加敬歎。時或語其子弟。子演及孫遂一。記其所聞。語于同志。亹亹不已。與一二故老流傳之語相合。近來此說盛行。先生之節益著。今以先生幷入書院。如何。
金先生事蹟。曾亦得聞。而常恨不得其詳。雖切瞻仰欽想。而猶不敢可否於下問。
金先生澍。世居注兒里。或傳先生移卜新谷之籠巖。其子孫亦云如是。近日。鄕人稱以籠巖先生。尹海平至作籠巖傳。已錄於東史纂要。旣非先生自號。而後人遽稱籠巖。未知如何。而若入書院。則亦以此號。書于位版耶。
未知當如何稱號。唯在一鄕諸賢。共與商確。又廣詢於知禮處而爲之。幸甚。
河先生緯地。當初非不知幷入書院。而因時諱不敢。鄕人至今以爲欠事。今則六臣子孫。已許錄用。雖不敢請于朝廷。自鄕中幷入書院。如何。
書院旣爲國學。不請于朝廷。而私爲奉安。恐未安也。
河先生亦無稱號。或云因其所居里。稱以延鳳云。如何。恐未安。
李正言孟專。當魯山朝。見幾勇退。托於靑盲。終身不仕。其韜晦隱遯之義。亦在於故老之相轉。而略見於輿地勝覽,淸白傳,彛尊錄。今與金先生,河司諫幷入享。如何。
李正言幷入之議。自初有之。則僉共更議奉安。未爲不可。而當初旋止之意。亦不可不深究焉。第愚陋淺識。聞見不廣。不敢與聞於其間。
金司藝淑滋。學問道德。平生行事。詳在彛尊錄。更無可考於他書。而先生受業於冶隱。傳授於佔畢。又傳而至寒暄,一蠹兩先生。道學大明于吾東方。先生之功。亦不爲不多。先輩亦已幷論於道統相傳之次第。則似當幷祀於先賢之列。未知如何。
舟川之疏。亦如是矣。然何敢以矇見。得以與論乎。彛尊錄曾有之。而見火之後。末由得見。先生事實。今不能追記。尤不敢强言。
金眞樂堂就成學問道德。一家孝友之政。鄕人子孫之外。先輩多有稱道處。第先生務自韜晦。不喜著書。故他無可考於言語文字之間。或嫌其未博者以此。而或云不可以著書多少。論先賢地位。今幷入書院。未知如何。
深造自得之妙。自少得聞。而爲平生所深仰。然何敢以矇見。與聞於下問之盛乎。
朴龍巖雲。自少與眞樂堂。爲道義交。孝行尤異於人。中年見朴松堂。不覺心服。遂師事而就質焉。晩聞退溪李先生之名。欲往見而竟未果焉。以書反覆問難。又以所著擊蒙一編,紫陽心學至論一編,景行錄一卷,雜著衛生方,三侯傳 諸葛武侯,張中丞文文山 等書。送于退溪。以求訂正。其沒也。退溪先生又作碣文。以美其行。所造深淺。後人雖不敢輕議。而或云退溪先生亦已稱許。其從事於此學。則與眞樂堂。幷入享無妨。未知如何。
篤學進修之盛。常切欽仰。而後生孤陋。猶不得其詳。其何敢奉與於下問乎。
鄕議或以爲十賢學問道德。未知所造之淺深高下。今幷入于書院。若有一毫未盡之物議。則反爲未安。今宜奉享書院之外。別建鄕賢祠。此說如何。或以爲旣立書院。又建鄕賢祠。則有輕重之別。鄕人後生。就此先賢低昂於其間。似爲未安。他鄕書院。亦或有取其一節而入享者。吾鄕十賢。雖或有道德高下學問淺深之可言。而比之於他院。則無愧也。何必別立祠宇。此說如何。
書院賜額之後。則當是國學。如有新加奉安。恐不得不爲之啓稟。而擅自徑奉也。物議如有一毫未盡。反爲未安云者。來諭極是。奉安書院之外。別建鄕賢祠。蓋出於或難具由啓稟。而又未安於未遍當祀之賢。而有此不得已之議也。恐非低昂先賢之意也。然亦難輕擧。宜更精思。或廣詢而爲之。如何。
十賢若幷入書院。則其位次如何。
如不有大段難處。則恐不如以世代爲次也。*위차연대순
[주-D001] 澍 : 湊[주-D002] 澍 : 湊
한강집 제6권 / 문답(問答) / 금오서원(金烏書院) 원생들과의 문답
〔문〕 지난날 금오서원을 창립할 당시에 온 고을 사류들이 본부(本府)에 정문(呈文)하여 감사에게 보고하고, 감사는 또 조정에 아뢰어 오산(烏山) 밑에 사당을 세웠습니다. 그 당시에 향선생(鄕先生) 김진락당(金眞樂堂 김취성(金就成)), 김 감사(金監司), 최 감사(崔監司) 등이 야은(冶隱 길재(吉再)) 길 선생, 신당(新堂 정붕(鄭鵬)) 정 선생, 송당(松堂 박영(朴英)) 박 선생 등 3현을 봉향하자고 논의하고 아울러 이 정언(李正言 이맹전(李孟專))을 함께 넣자는 논의가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그 뒤에 이 정언을 넣자는 논의는 도로 잠잠해지고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를 넣지 않을 수 없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그와 같은 논의가 결정되기 전에 진락당과 김 감사는 다 세상을 떠나, 고을 사류들이 이러쿵저러쿵 여러 말을 하다가 결국 야은, 점필재, 신당, 송당 4현을 함께 봉향하였고, 조정에서 금오서원으로 사액이 내려왔습니다.
임진왜란 뒤에는 남산(藍山)의 남쪽 낙동강 가로 옮겼으므로 마땅히 그 편액의 이름을 고쳐야 할 것 같은데 조정에서는 또 옛 이름대로 사액을 하였습니다. 지금 과연 고쳐달라고 청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답〕 서원을 지금 이미 옮겨 세웠는데도 조정에서 내린 사액이 옛 이름을 그대로 따른 것이라면 아마도 사유를 갖추어 계품하여 조정의 조처를 기다리지 않을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문〕 농암(籠巖) 선생 김주(金湊)의 사적이 세상에 드러나지 않아 당초 서원을 세울 당시에 함께 봉향하자는 논의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우리 고을 어른 가운데 어떤 사람이 그에 관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전하는 자가 있었습니다. 박용암(朴龍巖 박운(朴雲))이 응교(應敎) 김진종(金振宗)과 매우 친하게 지냈는데, 그는 곧 김 선생의 5대손이므로, 반드시 그 집안에서는 대대로 전해 내려오지만 남들은 모르는 일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용암은 김진종에게 물어본 결과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지 않고 그곳에서 죽은 사실을 알고 항상 존경하여 탄복하였으며, 이따금 그의 자제들에게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그의 아들 연(演)과 손자 수일(遂一)이 그들이 들은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고 벗들과 항상 그에 관해 얘기를 나누었는데, 그 내용이 한두 명의 노인이 전하는 말과 서로 들어맞았다고 합니다. 요즘 이와 같은 설이 크게 나돌아 선생의 절개가 더욱 드러났습니다. 지금 선생을 서원의 봉향하는 대상에 함께 포함해 넣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답〕 김 선생의 사적은 나도 일찍이 들은 적이 있는데 좀 더 자세한 내용을 듣지 못하여 항상 유감스러웠습니다. 지금 김 선생을 흠모하는 마음이야 간절하지만 나에게 물어온 일에 대해서는 감히 어떻게 하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문〕 김주 선생의 선조는 대대로 주아리(注兒里)에서 살아왔는데, 어떤 사람이 전하는 말에 따르면 선생이 신곡(新谷)의 농암(籠巖)으로 터를 잡아 이사하였다 하고 그 자손도 그렇게 말합니다. 요즘 고을 사람들은 농암(籠巖) 선생이라 부르고 있으며, 윤 해평(尹海平 윤근수(尹根壽))은 〈농암전(籠巖傳)〉을 짓기까지 하여 그 사적이 이미 《동사찬요(東史纂要)》에 수록되었습니다. 그 호는 선생이 스스로 지은 것이 아니고 뒷사람이 별다른 근거도 없이 농암이라 불렀는지 알 수 없습니다만 만일 서원에 모신다면 이 호를 위판에 써야 하지 않겠습니까.
〔답〕 칭호를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바라건대 고을의 제현들이 함께 상의하고 또 예를 아는 사람에게 널리 물어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문〕 하위지(河緯地) 선생은, 당초에 서원에 함께 모셔야 한다는 것을 모른 것은 아니었으나 그분을 받드는 것이 당시의 금기에 저촉되는 이유로 인해 감히 못하였는데, 고을 사람들이 지금까지도 유감스러운 일로 여기고 있습니다. 이제는 사육신(死六臣)의 자손이 조정에 녹용(錄用)되는 것이 허용되었으니, 비록 감히 조정에 요청하지는 못하더라도 고을 내부에서 서원에 함께 모시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답〕 서원이 이미 국가의 학당이 되었는데 조정에 청하지 않고 사적으로 봉안한다는 것은 온당치 못할 듯합니다.
〔문〕 하 선생도 칭호가 없습니다. 어떤 사람은 그분이 살았던 마을의 이름을 따라 연봉(延鳳)이라 불러야 한다 하는데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답〕 온당치 못할 듯합니다.
〔문〕 정언(正言) 이맹전(李孟專)은 노산(魯山 단종(端宗)) 당시에, 장래에 참화가 일어날 것을 미리 알고 과감하게 물러나 당달봉사를 가탁하고 일생 동안 벼슬살이를 하지 않았습니다. 재능을 숨겨 은둔한 그 의리는 옛날 사람들이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것도 있습니다만 그 사적이 《여지승람(輿地勝覽)》, 《청백전(淸白傳)》, 《이준록(彝尊錄)》에 대강 나타나 있습니다. 지금 김 선생(金先生 김주(金湊)), 하 사간(河司諫 하위지(河緯地))과 함께 봉향하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답〕 이 정언(李正言)을 함께 모시자는 논의는 처음부터 있었으니 여러분들이 함께 의논하여 봉안하더라도 안 될 것은 없습니다만, 당초에 그 논의를 도로 중지한 본의를 또한 깊이 따져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나는 고루한 식견에다 문견이 넓지 못해 그 사이에 감히 간여할 수 없습니다.
〔문〕 사예(司藝) 김숙자(金淑滋)는 학문과 도덕, 평생의 행사가 《이준록》에 자세히 실려 있을 뿐 더 이상 다른 글에서는 상고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선생은 야은(冶隱)에게 학문을 배워 점필재(佔畢齋)에게 전수하였고, 또 전수해 내려가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과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두 선생에 이르러서는 도학이 우리 동방에 크게 밝아졌으니, 선생께서 끼친 공이 또한 많지 않다고 할 수 없습니다. 선배들도 이미 도통(道統)이 전수해 내려온 순서를 논할 때 선생을 포함하였으니, 선현의 대열에 함께 포함하여 향사를 하는 것이 마땅할 듯한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 주천(舟川 강유선(康惟善))의 상소 내용도 그와 같았습니다. 그러나 어찌 감히 나의 어두운 소견으로 이 문제에 참여하여 논할 수 있겠습니까. 《이준록》이 우리 집에 일찍이 있었으나 화재로 인해 없어진 뒤로는 그 책을 볼 길이 없고 선생의 사실에 관해 지금 잘 기억할 수 없는 처지이니, 더욱 감히 억지로 말할 수가 없습니다.
〔문〕 진락당(眞樂堂) 김취성(金就成)은 학문과 도덕이 뛰어나고, 가정에서 효성과 우애를 극진히 한 행실에 대해 고을 사람들과 그의 자손 외에 선배들도 찬양한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선생은 힘써 자신의 존재를 숨겼고 글 쓰기를 좋아하지 않으셨기 때문에 언어와 문자 사이에서는 특별히 상고할 만한 것이 없습니다. 간혹 그 학문이 넓지 못하다고 혐의롭게 여기는 자가 있는 것은 이 때문입니다만,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저서가 많고 적은 것으로 선현의 지위를 논할 수는 없는 것이니 지금 함께 서원에 모셔야 한다.” 합니다. 이 점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 도학이 높고 스스로 깨친 공부가 훌륭하다는 소문을 어릴 적부터 듣고 평소에 깊이 흠앙하고 있습니다만, 어찌 감히 나의 어두운 소견으로 그 질문에 답할 수 있겠습니까.
〔문〕 용암(龍巖) 박운(朴雲)은 어릴 적부터 진락당(眞樂堂)과 도의로 사귀는 벗이 되었고 효행이 남달리 뛰어났으며, 중년에는 박송당(朴松堂 박영(朴英))을 뵙고 크게 감복하여 마침내 스승으로 섬겨 그에게 학문을 배웠습니다. 만년에 퇴계 선생의 이름을 듣고 찾아가 뵈려 하였으나 결국 실행하지 못하고 편지를 주고받으며 학문을 토론하였습니다. 그리고 그가 저술한 《격몽(擊蒙)》 1편(編), 《자양심학지론(紫陽心學至論)》 1편, 《경행록(景行錄)》 1권 및 잡저로서 〈위생방(衛生方)〉과 〈삼후전(三侯傳)〉 - 삼후는 제갈무후(諸葛武侯), 장중승(張中丞), 문문산(文文山)이다. - 등의 글을 퇴계에게 보내 정정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하였으며, 그가 죽자 퇴계 선생께서도 갈문(碣文)을 지어 그 행실을 찬미하였습니다. 그 조예의 천심(淺深)에 대해서는 뒷사람이 감히 함부로 논의할 수는 없으나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퇴계 선생도 이미 그가 도학에 종사하였다고 허여하셨으니 진락당과 함께 모셔와 봉향하는 것이 무방하다.” 합니다. 이 점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 독실히 배우고 덕행을 닦은 것이 훌륭하다는 점은 항상 간절히 흠앙하고 있습니다만, 나는 후생으로서 견문이 고루하여 그 자세한 내용을 모르니 어찌 감히 그 질문에 답할 수 있겠습니까.
〔문〕 고을 사람들의 논의가 두 가지입니다. 어떤 사람은 말하기를 “10현의 학문과 도덕에 대해 그 조예의 천심(淺深)과 고하(高下)를 모르는데 지금 모두 서원으로 모셨다가 만일 조금이라도 흡족하지 못하다는 물의가 일어난다면 도리어 미안한 일이 될 것이다. 그러니 지금 마땅히 서원에 봉향해야 할 인물 이외의 사람에 대해서는 별도로 향현사(鄕賢祠)를 세우도록 하자.” 합니다. 이 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리고 다른 쪽에서는 말하기를 “이미 서원을 세웠는데 또 향현사를 세운다면 경중의 차별이 있게 되는데 지방 고을의 후생이 이들 선현의 수준을 품평하여 정하는 것은 미안한 일일 듯하다. 다른 고을의 서원에서도 절개 하나를 취해 모셔서 봉향하는 경우가 있는데, 우리 고을의 10현은 혹시 도덕이 높고 낮다거나 학문이 깊고 얕은 차이를 거론할 만한 소지가 있다 하더라도 다른 고을의 서원에 견주어 보면 부끄럽지 않다. 어찌 굳이 따로 사우(祠宇)를 세울 것이 있겠는가.” 합니다. 이 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답〕 서원이 나라의 사액을 받은 뒤에는 분명히 국가의 학당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만일 어떤 인물을 새로 봉안해야 할 일이 있을 때 먼저 조정에 계품도 하지 않고 마음대로 지레 봉안할 수는 없을 듯합니다. 물의가 만일에 조금이라도 흡족하게 여기지 않을 경우 도리어 미안한 일이 된다고 한 말은 매우 옳다고 봅니다. 서원에 봉안한 인물 이외의 사람은 별도로 향현사를 세워 봉안하자는 것은, 아마도 조정에 그 사유를 갖추어 계품한다는 것이 어렵기도 하고 또 마땅히 향사할 만한 선현을 두루 포함하지 못하는 것이 미안하기도 하여 이와 같이 부득이한 논의가 나왔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는 선현의 수준을 품평하는 뜻이 아닐 듯합니다. 그러나 이 일은 섣불리 거행하기 어려우니 마땅히 더 깊이 생각하고 널리 의견을 물어 조처하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문〕 10현을 만일 모두 서원으로 모신다면 그 자리의 순서를 어떻게 해야 합니까?
〔답〕 만일 대단히 곤란한 점이 없다면 연대로 순서를 정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주-D001] 금오서원(金烏書院) : 고려의 길재(吉再)와 조선의 김종직(金宗直), 정붕(鄭鵬), 박영(朴英)을 봉향하는 서원으로, 경상북도 선산군(善山郡) 선산읍(善山邑) 원동(院洞)에 있다. 1570년(선조3)에 건립하고 1575년에 사액하였다.
ⓒ 한국고전번역원 | 송기채 (역) | 2001
.........................
세종실록 > 세종 1년 기해 > 4월 12일 > 최종정보
세종 1년 기해(1419) 4월 12일(병술)
01-04-12[04] 고려 문하 주서 길재의 졸기
고려 문하 주서(門下注書) 길재(吉再)가 졸(卒)하였다. 임금이 호조에 명하여 부의로 백미ㆍ콩 15석과 종이 1백 권을 보내고, 따라서 매장할 인부를 마련해 주게 하였다. 길재의 자는 재부(再夫)요, 호는 야은(冶隱)인데, 혹은 금오산인(金鰲山人)이라고도 하였다. 선산부(善山府)에 소속된 해평현(海平縣) 사람이다. 길재는 어릴 적부터 청수하고 영리하였다. 아버지 길원진(吉元進)은 서울에서 벼슬하고, 길재는 어머니 김씨를 따라서 시골에 있었다. 원진이 보성(寶城) 고을 원이 되자, 어머니도 같이 가는데, 봉급이 워낙 박하여, 길재를 외가에 남겨 두니, 그 때 나이 8세였다. 하루는 혼자서 남쪽 시냇가에서 놀다가 가재 한 마리를 잡아 들고 노래 부르기를,
“가재야 가재야, 너도 어미를 잃었느냐. 나는 너를 삶아 먹고 싶지만, 네가 어미를 잃은 것이 나와 같기로 너를 놓아 준다.”
하고 물에 던지며, 너무도 슬피 부르짖으니, 이웃집 할멈이 보고 흐느껴 울었고, 온 고을 사람이 듣고 눈물을 아니 흘리는 자 없었다. 뒤에 원진은 서울로 가고, 어머니는 고향으로 돌아갔다. 원진이 또 노(盧)씨에게 장가들고 어머니를 박대하여, 어머니가 원망하니, 길재는 어머니께 말하기를,
“아내가 남편에게나, 자식이 어버이에게는 비록 불의(不義)의 일이 있을지라도, 그르게 여기는 마음을 조금도 두어서는 안 됩니다. 인륜에 괴변은 옛날 성인도 면하지 못했으니, 다만 바르게 처사하여 정상으로 돌아올 때를 기다릴 따름입니다.”
하니, 어머니는 감동하여, 마침내 원망하는 말을 입 밖에 내지 아니하였다. 길재는 나이 18세에 상주 사록(尙州司錄) 박비(朴賁)를 찾아가서 공부하였다. 집이 몹시 가난하여, 말도 종도 없는데, 하루는 어머니에게 하직하며 하는 말이,
“아버지를 두고 뵙지 못하니, 자식된 도리가 아니라.”
하고, 곧 박비를 따라 서울로 가서 아버지를 섬기어 효성이 지극하였다. 노씨가 사랑하지 아니하나, 길재는 공경과 효도를 다하니, 노씨는 감화되어, 자기가 난 자식과 같이 대접하여, 이웃 마을에서도 칭찬하였다. 드디어 이색(李穡)ㆍ정몽주(鄭夢周)ㆍ권근(權近) 들과 교유하여 배우고 국학에 입학하여 생원ㆍ진사에 합격하였다. 상왕이 잠저(潛邸)에 있을 때 입학하여 글을 읽으니, 길재는 한 마을에 사는 관계로 상종하여 학을 연구하며, 정의가 매우 단란하였다. 신우(辛禑)의 병인년에 과거에 올랐다. 신우가 요동(遼東)을 공격하게 되자, 길재는 시를 짓되,
“몸은 비록 특별난 것 없지마는, 백이ㆍ숙제 수양산에 굶어 죽는 뜻을 가졌다.”
라고 하였다. 기사년에 문하 주서(門下注書)가 되었다. 경오년 봄에 나라가 장차 위태함을 알고서 벼슬을 버리고 시골로 돌아가는 길에 이색에게 들러 하직을 고하니, 이색은 시를 지어 주되,
“구름같은 벼슬 따윈 급급할 바 아니라서, 기러기 아득아득 공중으로 날아가네.”
하였다. 길재는 드디어 선산(善山)의 옛집에 돌아와 여러 차례 불러도 나가지 아니하였다. 신우의 흉보를 듣게 되자, 3년 복을 입고 채과 해장(菜果醢漿)을 먹지 아니하였으며, 어머니를 극진히 봉양하여 혼정 신성(昏定晨省)을 폐하지 아니하고, 반드시 맛있는 음식을 장만해 올렸다. 집안에 양식이 자주 떨어져도 늘 흔연하여 조금도 염려하는 기색이 없었으며, 학도(學徒)를 가르치되 효제 충신(孝悌忠信) 예의 염치(禮義廉恥)를 먼저 하였다. 상왕이 세자가 되자 불러들여 봉상 박사(奉常博士)의 직을 제수하니, 길재는 전문(箋文)을 올려 진정하기를,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한다 하였는데, 신은 초래(草萊)의 태생으로 위조(僞朝)에 신하되어 벼슬까지 받았으니, 다시 또 거룩한 조정에 출사하여, 풍교에 누(累)를 끼칠 수 없습니다.”
하므로, 상왕이 그 절의를 가상히 여겨 후한 예로 대접해 보내고 그 집안에 대해 복호(復戶)해 주었다. 어머니가 세상을 버리게 되자, 상장 제사(喪葬祭祀)를 한결같이 주문공(朱文公)의 《가례(家禮)》에 의하고, 불가의 화장법을 쓰지 아니하였다. 처부(妻父) 신면(申勉)이 일찍이 10여 명의 종이 있었는데, 도피하여 해가 지나도 돌아오지 않으므로, 자손과 약속하기를,
“찾은 자에게 넘겨 주라.”
하니, 길재가 마침 찾아내었다. 그래서 신면은 약속과 같이 하려 하니, 길재는 굳이 사양하므로, 몰래 약속한 바와 같이 증서를 만들어 주었다. 길재는 얼마 뒤에 문서를 뒤지다 그것을 보고 또 굳이 사양하니, 신면은 성내어 하는 말이,
“벼슬도 사양하고 노복도 사양하니, 사람의 처사는 아니다.”
하였다. 길재는 이르기를,
“자손은 조상의 유체(遺體)인데 후박(厚薄)을 두어서는 되겠습니까. 적자(嫡子)가 이미 죽고 없으니, 비록 서자라도 마땅히 제사를 받들어야 하는 것인즉, 소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고, 드디어 나누어 반 이상을 주었다. 권근의 사망을 듣고 눈물을 흘리며,
“사람은 군(君)ㆍ사(師)ㆍ부(父) 세 분으로 사는 이상, 섬기는 것도 한결같아야 한다.”
하고, 3년을 심상(心喪)하였으며, 박비가 죽어서도 이와 같이 하였다. 외종형인 중 설당(雪幢)이 법손(法孫)의 노복을 그 아들 길사순(吉師舜)에게 주니, 길재는 말하기를,
“이미 법손이라 칭할진대, 어찌 족친에게 줄 수 있는가.”
하고, 사순을 시켜 곧 돌려보내게 하였다. 사순이 임금의 부름을 받고 서울에 가게 되어, 길재는 훈계하기를,
“임금이 먼저 신하를 불러 보는 것은 3대 이후의 드문 일이니, 너는 마땅히 내가 고려에 쏠리는 그 마음을 본받아 네 조선의 임금을 섬기도록 하라.”
고 하였다. 길재는 마냥 제삿날을 당하면, 나물밥으로 재(齋)하고 슬피 울기를 초상 때와 같이하며, 늘 남들에게 이르기를,
“사람의 언행이 낮에 착오되는 것은 밤에 주의를 아니하기 때문이라.”
고 하였다. 밤이면 반드시 고요히 앉았다가 밤중에야 잠들며, 혹은 옷깃을 여미고 날을 새기도 하며, 닭이 처음 울면 의관을 갖추고 사당 및 선성(先聖)께 절하고, 자제와 더불어 경서를 강론하며, 비록 병이 들어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아니하였다. 병이 위급하게 되자, 초상 장사를 주문공의 《가례》에 의하도록 부탁하고, 그 말을 마치자 졸하였다. 권근은 일찍이 길재의 시에 서문을 짓기를,
“고려 5백 년에 교화를 배양하여 선비의 기풍을 격려한 효과가 선생의 한몸에서 수확되었고, 조선 억만년에 강상(綱常)을 부식하여 신하된 절개를 밝히는 근본이 선생의 한 몸에서 터를 닦았으니, 명교(名敎)에 유공(有功)함이 이보다 클 수 없다.”
고 하였다.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신호열 (역) | 1968
.........................
세종실록 > 세종 1년 기해 > 12월 14일 > 최종정보
세종 1년 기해(1419) 12월 14일(갑신)
01-12-14[02] 의령 부원군 남재의 졸기
의령 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가 죽었다. 조회와 저자[市]를 3일 동안 정지하고, 부의(賻儀)로서 쌀과 콩 각 70섬, 종이 2백 권을 주고 관에서 장사를 비호(庇護)하고 시호를 충경(忠景)이라 하였는데, 자신을 위태하게 하면서 윗사람을 받든 것이 충이고, 의(義)에서 행하면서 일을 이루는 것이 경이다. 재는 경상도 의령이 본관이다. 젊어서 과거에 급제하고, 지금 일에도 밝고 옛 일에도 통달하였다. 대성(臺省)을 역임하고 중외에 드나들어 경세 제민(經世濟民)하는 재간이 있었다. 〈고려가 조선으로〉 세상이 바뀔 무렵에 〈태조를〉 추대하는 모략이 재한테서 많이 나왔고, 갑술년 사이에 상왕이 왕자로서 명나라에 들어갔을 때 재가 따라갔는데, 그때 함께 갔던 재상이 자못 불공하였으나 홀로 재만은 예로서 공경하였다. 무인년에 그의 아우 남은(南誾)이 정도전(鄭道傳)ㆍ심효생(沈孝生)과 더불어 여러 적자를 없애버리기로 모의하였으나, 상왕이 재는 모의에 간여하지 않았다 하고 사저(私邸)에 두었다가, 사건이 평정된 뒤에 죽음을 면하게 하여 귀양보내고 다시 소환하였다. 여러 번 벼슬이 승진하여 우의정에 이르고 부원군에 봉하게 되었는데, 상왕이 기구 대신(耆舊大臣)으로서 특히 예모(禮貌)를 더하여 대우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병으로 죽으니, 나이 69세였다. 그의 손자 남휘(南暉)는 상왕의 네째 딸 정선 공주(貞善公主)와 결혼하였다. 그가 젊었을 때에는 집이 가난하여 종 하나 말 한 필이었으며, 합문 지후(閤門祗候)로서 아홉 해나 승진하지 못하니, 그의 부옹(婦翁)도 예대(禮待)하지 않았다. 개국 공신이 되자, 세도를 믿고 남의 노비를 많이 탈취하였다. 무인년에 변정 도감(辦定都監) 제조(提調)가 되었을 적에 어떤 사람이 재를 고소한 일이 있는데, 재가 성을 내어 딴 일을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핍박하니, 그 사람은 분해서 죽었다. 그 까닭에 만년에는 재산이 제법 부유하였다. 또 그 아우 남실(南實)과 살림을 다투어서 종신토록 화목하지 못하였으며 남실은 아침 밥을 겨우 먹는데도 구휼하지 않았다.
[주-D001] 갑술년 : 1394 태조 3년.[주-D002] 상왕 : 태종.[주-D003] 무인년 : 태조 7년.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이우성 홍진표 (공역) | 1968
.......................
선조실록 > 선조 39년 병오 > 12월 26일 > 최종정보
선조 39년 병오(1606) 12월 26일(경신)
39-12-26[02] 중건한 천곡ㆍ금오ㆍ쌍계ㆍ남계 등 서원에 사액하다
경상 감사 유영순(柳永詢)이 치계하기를,
“도내(道內) 여러 고을이 선현을 위해 사우(祠宇)를 세워 봄 가을로 제사를 올리고 그 곁에 강당(講堂)과 재사(齋舍)를 지어 선비들의 장수(藏修)하는 곳으로 삼은 곳이 한둘이 아닙니다. 성주(星州)의 천곡 서원(川谷書院)은 그곳에 이천(伊川), 운곡(雲谷)이란 지명이 있는 것을 인연으로 정자(程子)와 주자(朱子)의 위판(位版)을 봉안(奉安)하였고, 선산(善山)의 금오 서원(金烏書院)은 야은 선생(冶隱先生) 길재(吉再)가 살던 곳이고, 현풍(玄風)의 쌍계 서원(雙溪書院)은 한훤 선생(寒暄先生) 김굉필(金宏弼)이 살던 곳이고, 함양(咸陽)의 남계 서원(藍溪書院)은 일두 선생(一蠹先生) 정여창(鄭汝昌)이 살던 곳이라 하여 평시에 온 도내의 선비들이 힘을 합쳐 세우고서 조정에 아뢰자, 특별히 편액(扁額)을 하사했었는데, 불행히도 병화(兵火)에 모두 잿더미가 되었습니다.
지금 선비들이 각기 재력(財力)을 염출하여 지방 관아에서도 힘을 합쳐 도와줌으로써 옛날 모습대로 중건(重建)하여 신주를 모실 곳이 있게 되었으니 매우 가상한 일입니다. 그런데 전날 하사된 편액이 남아 있는 곳이 없어 중건하고서도 아직 서원만 있고 편액이 없으므로 국가에서 표장(表章)하여 높게 걸도록 한 뜻을 보여줄 수 없는 점이 매우 흠입니다. 조정에서 특별히 거듭 내리도록 하여 사문(斯文)을 빛나게 해 주신다면 더없는 다행이겠습니다. 그 중에 남명 선생(南溟先生) 조식(曺植)은 학행과 도덕이 전현(前賢)의 아름다움에 손색이 없으므로 선비들의 흠모도 전현들에 못지 않습니다. 평소에 진주(晉州) 덕산(德山)의 옛날 거처하던 곳 부근에 서원을 세웠었는데 역시 방화에 불타버렸던 것을 지금 중건하였으니 다른 서원의 예처럼 아울러 사액(賜額)하여 조정에서 문헌을 숭상하고 도덕을 높이는 뜻을 보이소서.”
하였는데, 예조에 계하하였다. 예조의 계목에,
“계하(啓下)를 점련합니다. 천곡(川谷)ㆍ금오(金烏)ㆍ쌍계(雙溪)ㆍ남계(藍溪) 등 네 서원은 평소에 특별히 편액을 하사했었으니 편액 이름은 그것으로 쓰되, 본도로 하여금 고증해 계문하게 한 뒤에 특별히 거듭 하사하도록 하는 것이 마땅할 것입니다. 조식의 학행은 전현들의 아름다움에 손색이 없을 뿐더러 지금 서원이 창설되었으니 다른 서원의 예대로 아울러 사액하도록 명하는 것이 문을 숭상하고 도를 높이는 뜻에 참으로 합당하나 은명(恩命)과 관계되니 상께서 재결하여 시행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니, 상이 전교하기를,
“아뢴 대로 윤허한다. 일찍이 이미 사액되었던 곳은 사액하고 새로 세운 곳에 대한 사액은 천천히 하도록 하라.”
ⓒ 한국고전번역원 | 김재열 (역) | 1989
........................
일성록 > 순조 > 순조 8년 무진 > 11월 13일 > 최종정보
순조 8년 무진(1808) 11월 13일(갑술)
08-11-13[03] 이재항(李在沆)을 선산 부사(善山府使)로 삼았다.
일성록 > 순조 > 순조 11년 신미 > 8월 4일 > 최종정보
순조 11년 신미(1811) 8월 4일(경술)
11-08-04[06] 이조가 수령의 고과(考課) 결과를 낮춘 것으로 아뢰었다.
○ 이조가 아뢰기를,
“여러 도의 포폄 계본(褒貶啓本)을 살펴보니, 성주 목사(星州牧使) 서유승(徐有升)에 대해 ‘지위가 성취되는 데에서 게을러진다는 것을 능히 생각하여 이전의 명성이 사라지게 해서는 안 된다.’로 제목을 삼았고,
선산 부사(善山府使) 이재항(李在沆)에 대해 ‘혹여 쇠약해짐을 경계하는 뜻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로 제목을 삼았고,
인동 부사(仁同府使) 이붕석(李朋錫)에 대해 ‘정사는 혹 나약한 데 가깝다.’로 제목을 삼았고, 괴산 군수(槐山郡守) 박화원(朴和源)에 대해 ‘일에 어찌 공적이 없는가.’로 제목을 삼았고, 서산 군수(舒山郡守) 조덕양(趙德壤)에 대해 ‘비방은 용서해야 한다.’로 제목을 삼았고, 가산 군수(嘉山郡守) 박준모(朴俊模)에 대해 ‘사람을 임용함에 혹 비방을 불러들였다.’로 제목을 삼았고, 전주 판관(全州判官) 이현수(李顯綏)에 대해 ‘이곳은 매우 험준하고 사무가 번거로운 고을이니 모름지기 크게 진작시키고 쇄신해야 한다.’로 제목을 삼았고, 소촌도 찰방(召村道察訪) 성해묵(成海默)에 대해 ‘함부로 형장을 가하는 것을 마땅히 경계해야 한다.’로 제목을 삼았으니 모두 하고(下考)에 두어야 마땅한데 중고(中考)에 두었으며, 철원 부사(鐵原府使) 이유수(李惟秀)에 대해 ‘조상의 이름을 욕되게 할까 두렵다.’로 제목을 삼았으니 중고에 두어야 마땅한데 상고(上考)에 두었으니 전혀 전최(殿最)를 엄격하고 공명하게 한다는 뜻이 없습니다. 다섯 도의 도신은 모두 추고하여 경책하고 여덟 고을의 수령과 한 개 역의 찰방은 모두
파출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하여, 윤허하였다.
[주-D001] 전주 판관(全州判官) : 원문은 ‘嘉山郡守’이다. 《승정원일기》 이날 기사에 근거하여 바로잡아 번역하였다.
ⓒ 한국고전번역원 | 최유진 (역) | 2020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求仁齋記[知府李在沆]
直一善府之南。金烏山之下。有所謂大穴洞者。卽高麗注書吉先生隱居之地也。舊甞立祠以祀先生。中毀於兵燹。後乃移建於藍山之陽。而大穴舊里。蕪沒榛莽。無所表識。世代久遠。文獻無徵。未知何年何人刱立。遺墟碑中間毀泐。亦無文蹟。而
崇禎二甲戌。府使金侯萬增改立新碑。
英宗戊子。邑宰閔侯百宗。刱立採薇亭。觀察使李公溵記之。
伊後趙侯載萬。又建求仁齋於其右。以待遠近章甫之來者。
余於莅府之初。卽爲往拜于先生影幀於栗里。則揭明陵御製。雲漢輝暎。榮光動人。轉訪舊躅於採薇亭。則其畔有御賜田。先生手自種竹。至今直榦勁節。蕭森如當日。撫蹟徘徊。不覺竦然增敬。
今年春。不幸遭欝攸之灾。求仁齋舍。盡入灰燼。惟採薇亭。接椽連甍而火不及。巋然獨存。其亦異矣。
府之諸章甫咸曰。有是亭則不可無是齋。遂與先生後孫。聚議改建。發文鳩財於道內。而廵營本府。亦助其力經。始於三月。
斷手於至月。輪奐一新。無替舊觀。士林相賀。謂余忝在知府。請記其事。余惟諸君子之勤於是役固可尙。而一路人士之齊聲樂助。各殫其力。使是齋復完於一年之內者。亦見尊德慕義之誠。不謀而同。是皆當書也。抑余有所諗焉。夫是齋之所以名。蓋取諸夫子求仁得仁之訓。而先生之爲我東夷齊。夫人知之。固無待於言矣。惟是仁之爲德。非可他求。亦惟曰存心處事之際。合乎天理之公正。而無私慾間之而已。苟欲存心處事。合正理而無私慾。則非講學以致其知。力行以踐其實。則不能也。此乃求仁之實事也。今徒知欽仰於先生之節。可追夷齊之仁。而不知從事於古人之學。以求吾心之仁。則惡在其名齋之意。而豈曰能興起於百世之下哉。先生之道。孝於親。忠於君。隆於師。樹綱常於終古。闡名敎於來世。而其本則不越乎學之一字。先生居是鄕也。訓誨後進。躬行而化之。觀乎㸑婢之誦詩。隣女之勵節。緇徒之歸正。可知其觀感之盛。悅服之深也。故嶠南一域。號爲鄒魯。而此邦人才之多。儒賢之輩出。甲於道內者。實因先生而啓之。而圃隱鄭文忠公。始闡性理之學。先生受業於圃隱。由金江湖佔畢父子。以傳于寒暄靜菴。而晦退牛栗繼之。世稱吾東道學正𧖴肇自先生者。非過語也。挽近以來。先賢之澤漸遠。而絃誦幾乎掇響。誠慨然矣。今因是齋之役。推源求仁之義。而遡及乎先輩淵源。以自附於勸學之方。未知諸君子以爲如何。而或能爲勉慕師法之一助否。昔我從叔宰是府。設文會齋以勸課。多士彬彬有興。邑人至今稱誦不已。不佞固無能爲役於前人。然會以文而輔其仁。以進於求仁之功。無負從叔興學之至意。窃有望於今日諸賢焉。
.....................
亦助其力經。始於三月。->亦助其力。經始於三月。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採薇亭上樑文[判書徐命膺]
徐命膺 | 1716 | 1787 | 達城 | 君受 | 保晩齋, 恬溪, 澹翁 | 文靖 |
地有顯晦。桐江得釣石而留名。人無古今。許由與務光而同傳。爰築後賢考槃之地。仍借前聖採薇之稱。蓋冶隱同操於墨胎。而金烏並高於雷首。桐田月上。泣周家之乾坤。竹塢風來。保殷朝之甲子。茹山蔬而講求仁之學。又何怨乎。折籬菊而酹立懦之魂。庶無愧矣。嗟哉時移而世變。漠然山高而水淸。寄香火於栗里田園。寔取地勢之饒沃。
移院宇於紫陽洞府。爲便章甫之往來。
久矣杖屨逍遙之原。尙切荊棘蕪沒之嘆。行人指點。撫舊植而齎咨。歲月侵堙。訪前躅而誰識。荒草古墓。徒聞砥柱之石猶殘。孤竹遺墟。試問淸風之臺何在。肆侯伯博採於羣議。而亭榭爰度於故基。翼翼飛甍。倣碧城之廟貌。煌煌嘉號。移灤河之扁名。曠野之蓬藋芟除。美哉翰奐。高山之鼈芽作止。魂兮歸來。庶幾二三子同歸。永爲千百代瞻仰。往者過來者續。孰不登臨而緬懷。樵人謳牧人歌。亦必躕躇而起感。㫌忠勸節。賢宰知勵民之要崇德象賢。方伯有紹祖之美。凡我秉彜之同得。須知柯鑑之斯存。爰擧修樑。聊伸善頌。拋樑東。扶桑紅日漾江中。烏山一秣孤雲雨。長得峯巓鳳尾叢。拋樑西。黃花猶想祭夷齊。公今合受夷齊祭。誰植黃花滿眼迷。拋樑南。英靈來往此停驂。風淸月白移牀地。隔樹如聞鳥語喃。拋樑北。憶曾叫闔成高躅。俱全身節知尤難。歷數千秋不五六。拋樑上。半天星斗垂簷朗。態魚取舍豈斯須。祗自平居有所養。拋樑下。寄語隣氓勤掃灑。高風凜凜今如攀。過此何人不下馬。伏願上樑之後。神來翺翔。士爭仰止。一方聳勸。知爲善之若斯。千載流傳。歎化俗之有以。與廟院而幷峙。曁碑碣而永垂。風雨攸除。耕耨不及。
保晩齋集卷第十 達城徐命膺君受著 / 上樑文 / 採薇亭上樑文
地有顯晦。桐江得釣石而留名。人無古今。許由與務光而同傳。爰築後賢考槃之所。遂借前聖採薇之稱。盖冶隱同操於墨胎。而金烏幷高於雷首。桐田月上。泣周家之乾坤。竹塢風來。保殷朝之甲子。茹山蔬而講求仁之學。又何怨乎。折籬菊而酹立懦之魂。庶無愧矣。嗟哉時異而世變。漠然山高而水淸。寄香火於栗里田園。寔取地勢之饒沃。移院宇於紫陽洞府。爲便章甫之往來。久矣杖屨逍遙之原。尙切荊棘蕪沒之歎。行人指點。撫舊植而齎咨。歲月浸湮。訪前躅而誰識。荒草古墓。徒聞砥柱之石猶殘。孤竹遺墟。試問淸風之臺何在。肆侯伯博採於羣議。而亭榭爰度於故基。翼翼飛甍。倣碧城之廟貌。煌煌嘉號。移灤河之扁名。曠野之蓬藋芟除。美哉輪奐。高山之虌芽作止。魂兮歸來。庶幾二三子同歸。永爲千百代瞻仰。往者過來者續。孰不登臨而緬懷。樵人謳牧人歌。亦必躕躇而起感。旌忠勸節。賢宰知勵民之要。崇德象賢。方伯有紹祖之美。凡我秉彛之同得。須知柯鑑之斯存。爰擧脩樑。聊申善頌。
拋樑東。扶桑紅日漾江中。烏山一抹孤雲雨。長得峯巓鳳尾叢。
拋樑西。黃花猶想祭夷齊。公今合受夷齊祭。誰植黃花滿眼迷。
拋樑南。英靈來往此停驂。風淸月白移床地。隔樹如聞鳥語喃。
拋樑北。憶曾叫闔成高躅。俱全身節知尤難。歷數千秋不五六。
拋樑上。半天星斗垂簷朗。熊魚取舍豈斯須。祇自平居有所養。
拋樑下。寄語隣氓勤掃灑。高風凜凜今如攀。過此何人不下馬。
伏願上樑之後。神來翺翔。士爭仰止。一方聳勸。知爲善之若斯。千載流傳。歎化俗之有以。與廟院而幷峙。曁碑碣而永垂。風雨攸除。耕耨不及。
......................
......................
張顯光 | 1554 | 1637 | 仁同 | 德晦 | 旅軒 | 文康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金烏書院重修奉安文[旅軒]
惟此善鄕。居嶺南中。山回水合。勢應氣通。儲精鍾淑。代出偉公。倡學鳴道。爲世師隆。夷淸惠和。道雖不同。扶植儒林。異世幷功。士尙餘敎。卿有遺風。愈久彌光。共議欽崇。初焉卜地。負彼烏嵩。廟享有年。多士攸宮。頃酷兵火。無賴蒼穹。絃誦之塲。茂爲蒿蓬。島冦纔退。大小咸恫。旣新聖廟。次及院工。顧厥舊地。區僻靡洪。移龜得此。正會結瀜。若比人身。卽當喉嚨。方位旣定。體勢自䧺。第經亂離。財力未克。經營卄載。今始成終。擇吉奉安。儒冠畢叢。俎豆凈㓗。牲粢肥豊。儼承顧歆。孰不敬躬。道斯益尊。敎垂無窮。昭明永世。佑保彜衷。
여헌선생문집 제11권 / 축문(祝文) / 금오서원(金烏書院)을 중건하고 봉안한 글
이 선산의 고향은 / 惟此善鄕
영남의 한 고을입니다 / 居嶺南中
산이 돌고 물이 합하여 / 山回水合
기세가 응하고 기운이 통하였습니다 / 勢應氣通
정기가 쌓이고 좋은 기운이 모여 / 儲精鍾淑
대대로 훌륭한 분이 나오니 / 代出偉公
학문을 창도하고 도를 밝혀 / 唱學明道
세상의 훌륭한 스승이 되었습니다 / 爲世師隆
백이(伯夷)처럼 깨끗하고 유하혜(柳下惠)처럼 화하니 / 夷淸惠和
도는 비록 똑같지 않으나 / 道雖不同
유림을 붙드오니 / 扶植儒林
세대는 다르지만 공이 똑같습니다 / 異世幷功
선비들은 남은 가르침 우러르고 / 士尙餘敎
시골에는 유풍이 남아 있습니다 / 鄕有遺風
더욱 오랠수록 더욱 빛나오니 / 愈久彌光
함께 흠모하고 높일 것을 의논하였습니다 / 共議欽崇
처음 터를 잡을 적에 / 初焉卜地
저 높은 금오산을 등졌는데 / 負彼烏嵩
사당에서 다년간 제향하였으며 / 廟享有年
많은 선비들이 여기에서 공부하였습니다 / 多士攸宮
지난번 혹독한 병화를 겪어 / 頃酷兵火
하늘에 의뢰함을 받지 못하오니 / 無賴蒼穹
거문고를 타고 글을 외던 마당이 / 弦誦之場
쑥대만이 무성하였습니다 / 茂爲蒿蓬
섬의 오랑캐가 겨우 물러가자 / 島寇纔退
크고 작은 사람들이 모두 애통히 여겨 / 大小咸恫
이미 성묘를 새로 만들고 / 旣新聖廟
다음에 서원의 일에 미쳤습니다 / 次及院工
돌아보건대 이 옛터는 / 顧厥舊址
구역이 너무 궁벽하여 넓지 못하므로 / 區僻靡洪
옮겨 터를 잡아 이 곳을 얻자오니 / 移龜得此
참으로 지기(地氣)가 모인 곳이었습니다 / 正會結融
사람의 몸에 비유하면 / 若比人身
바로 목구멍에 해당하는 곳입니다 / 卽當喉嚨
방위가 이미 정해지니 / 方位旣定
체세가 저절로 웅장하옵니다 / 體勢自雄
다만 난리를 겪어 / 第經亂離
재력이 충실하지 못하므로 / 財力未充
20년을 경영하여 / 經營卄載
이제 비로소 완성하였습니다 / 今始成終
길일을 택하여 봉안하오니 / 擇吉奉安
유관들이 모두 모였습니다 / 儒冠畢叢
조두를 정결히 올리오니 / 俎豆淨潔
희생과 곡식이 살지고 풍성하옵니다 / 牲粢肥豊
엄연히 돌보아 흠향함을 받자오니 / 儼承顧歆
누군들 몸을 공경하지 않겠습니까 / 孰不敬躬
도는 이에 더욱 높아지고 / 道斯益尊
가르침은 후세에 길이 드리워질 것입니다 / 敎垂無窮
영원한 세대에 밝히시어 / 昭明永世
떳떳한 천성을 도와 보전하게 하소서 / 祐保彛衷
[주-D001] 금오서원(金烏書院) : 경북 선산(善山)에 있는 서원. 선조 3년(1570)에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충절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에 소실(燒失)되었다가 복원되고 사액(賜額)되었으며 김종직(金宗直), 정붕(鄭鵬), 박영(朴英), 장현광(張顯光)을 추배(追配)하였다.
ⓒ 한국고전번역원 | 성백효 (역) | 1997
旅軒先生文集卷之十一 / 祝文 / 金烏書院重建奉安文
惟此善鄕。居嶺南中。山回水合。勢應氣通。儲精鍾淑。代出偉公。唱學鳴道。爲世師隆。夷淸惠和。道雖不同。扶植儒林。異世幷功。士尙餘敎。鄕有遺風。愈久彌光。共議欽崇。初焉卜地。負彼烏嵩。廟享有年。多士攸宮。頃酷兵火。無賴蒼穹。弦誦之場。茂爲蒿蓬。島寇纔退。大小咸恫。旣新聖廟。次及院工。顧厥舊址。區僻靡洪。移龜得此。正會結融。若比人身。卽當喉嚨。方位旣定。體勢自雄。第經亂離。財力未充。經營卄載。今始成終。擇吉奉安。儒冠畢叢。俎豆淨潔。牲粢肥豐。儼承顧歆。孰不敬
。道斯益尊。敎垂無竆。昭明永世。祐保彝衷。
李埈1 | 1560 | 1635 | 興陽 | 叔平 | 蒼石, 酉溪 | 文簡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金烏書院移建上樑文[蒼石李埈]
聖人司敎化。設庠序而育英才。後學宗先儒。象儀形而爲準則。故革舊鼎新之會。立揭虔妥靈之祠。竊惟一善䧺藩。實是三韓舊壤。枕淸洛帶甘川。風氣於玆而瀜結。左留鶴右飛鳳。山勢相拱而穹窿。雅稱文物之名區。是宜人材之疊出。蓄絪蘊磅礴之正氣。釀魁梧磊落之偉人。若稽麗代之儒先。曰有冶隱之舊起。當士氣頹靡之際。世自有宗師。逮王業淪喪之時。我罔爲臣僕。能以一身而任王氏五百年宗社之寄。雖在異代而培我朝億萬世風敎之源。雖村婦有聞風而興。豈學者無相觀以善。磨楺漸而浸被厚。淵源有來。造詣深而趍向端。宮牆可入。上有所傳。下有所授。文簡公吾何間然。學不爲人。善不爲名。鄭新堂識其大者。亦有早事乎兜靲。不害晚悟於眞訣。惟民彜好是懿德。其人亡尙有典刑。肆粉袍之協謀。卽烏山而胥宇。廟焉薦俎豆。寓百世羹牆之懷。天旣啓堂壇。作一邦絃誦之地。師儒導迪。立於禮而依於仁。英俊來遊。進其德而修其業。共沐菁莪之化。皆成棫樸之材。靄文運之方亨。荷先哲之遺澤。奈何兵火於辰巳。忍使蔓草於邱墟。如不改修宏規。曷稱多士盛意。思恢拓乎遺制。廟遷于新。日寤寐乎前修。享仍其舊。地與我所。天作神皋。前後莅玆邦。莫不悉心而經紀。首尾閱幾稔。始得斷手於斧斤。揆日測圭。占風雨所交會。背山面洛。選東南之上流。日射綺䟽。喜文明之有象。江回畫棟。流道𧖴於無窮。天際奇峯。卓文筆於霄漢。潭心峭石。聳砥柱於波濤。幾年佳氣之蔥蔥。一朝雕甍之翼翼。管敎鬼護而神呵。任使地久而天長。百年千年於萬年。以永其傳。大書特書不一書。宜頌其美。我從士君子之後。曾服鄕先生之風。當此儒敎之興。可無揄揚之語。敢將善祝。助擧修樑。兒郞偉拋樑東。門前流水絳河通。好待東風雷起蟄。羣魚一一變蒼龍。兒郞偉拋樑西。方知八聖有階梯。須向此中尋正路。莫從方外索旁谿。兒郞偉拋樑南。聖賢經籍貴沈酣。莫把知行爲異致。須將動靜互相涵。兒郞偉拋樑北。燦燦奎文政拱極。賢才培養屬明時。從此皇猷期潤色。兒郞偉拋樑上。太平莫道無形像。泱泱大化篤生賢。濟濟王家公與相。兒郞偉拋樑下。藹藹靑襟時雨化。席珍方見作時需。金玉從來無定價。伏願上樑之後。志顏學尹。崇儒黜邪。歲拔其才。文如班馬蕫賈。鄕多善俗。學則禮樂詩書。壯元坊興今日之壯元。忠烈碑慕往時之忠烈。蘊明體適用之學。經綸我邦。闢索隱行恠之徒。羽翼斯道。正敎大振。文治復明。
蒼石先生續集卷之六 / 上梁文 / 金烏書院上梁文
聖人司敎化。設庠序而育英才。後學宗先儒。象儀形而爲準則。故革舊鼎新之會。立揭虔妥靈之祠。竊惟一善䧺藩。實是三韓舊壤。枕淸洛帶甘泉。風氣於玆而融結。左留鶴右飛鳳。山勢相拱而穹嶐。雅稱文物之名區。是宜人才之疊出。蓄絪縕磅礴之正氣。釀魁梧磊落之偉人。若稽麗代之儒先。曰有冶隱之奮起。當士氣頹靡之際。世自有宗師。逮王業淪喪之時。我罔爲臣僕。能以一身而任王氏五百年宗社之寄。雖在異代而培我朝億萬世風敎之源。雖村婦有聞風而興。豈學者無相觀而善。磨揉漸而浸漬厚。淵源有來。造詣深而趨向端。賢才相繼。上有所傳。下有所授。文簡公吾何間然。學不爲人善不爲名。鄭新堂識其大者。亦有早事乎兜鈐。不害晩悟乎眞訣。惟民彜好是懿德。其人亡尙有典刑。肆粉袍之協謀。卽烏山而胥宇。廟焉薦俎豆。寓百歲羹墻之懷。天旣啓堂壇。作一邦絃誦之地。師儒導迪。立於禮而依於仁。英俊來遊。進其德而修其業。共沐菁莪之化。皆成棫樸之材。藹文運之方亨。荷先哲之遺澤。奈何兵火於辰巳。忍使蔓草於丘墟。如不改脩。宏規曷穪。多士盛意。思恢拓乎遺制。廟遷于新。日寤寐乎前修。享仍其舊。地與我所。天作神皐。前後莅玆邦。莫不悉心而綱紀。首尾閱幾稔。始得斷手於斧斤。揆日測圭。占風雨所交會。背山面洛。選東南之上游。日射綺疏。喜文明之有象。江廻畫棟。流道脉於無窮。天際奇峯。卓文筆於霄漢。潭心峭石。聳砥柱於波濤。幾年佳氣之葱葱。一朝雕甍之翼翼。管敎鬼護而神呵。任使地久而天長。百年千年於萬年以永其傳。大書特書不一書宜頌其美。我從士君子之後。曾服鄕先生之風。當此儒敎之興。可無揄揚之語。敢將善祝。助擧修梁。抛梁東。門前流水絳河通。好待東風雷起蟄。羣魚一一變蒼龍。抛梁西。方知入聖有階梯。須向此中尋正路。莫從方外索旁蹊。抛梁南。聖賢經籍貴沉酣。莫把知行爲異致。須將動靜互相涵。抛梁北。燦燦奎文政拱極。賢才培養屬明時。從此皇猷期潤色。抛梁上。太平莫道無形像。泱泱大化篤生賢。濟濟王室公與相。抛梁下。藹藹靑襟時雨化。席珍方見作時需。金玉從來有定價。伏願上梁之後。志顔學尹。崇儒黜邪。歲拔眞才。文如斑馬董賈。鄕多善俗。學則禮樂詩書。壯元坊興今日之壯元。忠烈碑慕往時之忠烈。蘊明軆適用之學。經綸我邦。闢索隱行恠之徒。羽翼斯道。正敎大振。文德復明。
金應祖 | 1587 | 1667 | 豐山 | 孝徵 | 鶴沙, 啞軒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金烏書院奉安文[鶴沙金應祖]
烏山鵬騫。淑氣蜿蟺。羣賢作焉。時有後先。道實相傳。一𧖴延延。山頹幾年。士林悲纏。狂瀾百川。文不喪天。篤生後賢。仁善地連。潛心究硏。存戒韋弦。薄氷深淵。仰高鑽堅。瀜會貫穿。上下魚鳶。德備才全。矩方䂓圓。糠粃旋乾。遭世迍邅。眷懷林泉。遵養益專。提要鉤玄。發之簡編。人文以宣。南星晦躔。天奪太遄。考德何緣。環東海堧。擧切慕羶。此邦最偏。惟玆洛邊。舊廟新遷。四賢一筵。堂宇靜便。杖屨盤旋。芳塵完然。爰謀吉蠲。合薦豆籩。盛禮無前。鐏疊旣湔。載陳犧牷。藹藹香煙。遐邇騈闐。其儀罔諐。怳承悔鐫。山增而姸。水淸且漣。遺澤綿綿。庶鑑誠虔。牗我眞詮。惠我朝鮮。
송당집(松堂集) 박영(朴英)생년1471년(성종 2)몰년1540년(중종 35)자자실(子實)호송당(松堂)본관밀양(密陽)시호문목(文穆)특기사항정붕(鄭鵬)의 문인
松堂先生文集卷之四 / [附錄] / 金烏書院四先生合享奉安文[金應祖]
선조 | 5 | 1572 | 임신 | 隆慶 | 6 | - | 善山 金烏書院에 享祀되다. |
烏山鵬騫。淑氣蜿蟺。群賢作焉。時有後先。道實相傳。一脈延延。山頹幾年。士林悲纏。狂瀾百川。文不喪天。篤生後賢。仁善地連。潛心究硏。存戒韋弦。薄氷深淵。仰高鑽堅。瀜會貫穿。上下魚鳶。德備才全。矩方規圓。糠粃旋乾。遭世迍邅。眷懷林泉。遵養益專。提要鉤玄。發之簡編。人文以宣。南星晦躔。天奪太遄。考德何緣。環東海堧。擧切慕羶。此邦最偏。惟玆洛邊。舊廟新遷。四賢一筵。堂宇靜便。杖屨盤旋。芳塵宛然。爰謀吉蠲。合薦豆籩。盛禮無前。罇罍旣湔。載陳犧牷。藹藹香煙。遐邇騈闐。其儀罔愆。怳承誨鐫。山增而姸。水淸且漣。遺澤綿綿。庶鑑誠虔。牖我眞詮。惠我朝鮮。
........................
鶴沙先生文集卷之六 / 祭文 / 金烏書院奉安文
烏山鵬鶱。淑氣蜿蟺。群賢作焉。時有後先。道實相傳。一脈延延。山頹幾年。士林悲纏。狂瀾百川。文不喪天。篤生後賢。仁善地連。潛心究姸。存戒韋弦。薄氷深淵。仰高鑽堅。融會貫穿。下上魚鳶。德備才全。矩方規圓。糠粃旋乾。遭世迍邅。卷懷林泉。遵養益專。提要鉤玄。發之簡編。人文以宣。南星晦纏。天奪太遄。考德何緣。環東海堧。擧切慕羶。此邦最偏。惟茲洛邊。舊廟新遷。四賢一筵。堂宇靜便。枎屨盤旋。芳塵宛然。爰謀吉蠲。合薦豆籩。盛禮無前。罇罍旣湔。載陳犧牷。藹藹香煙。遐邇騈闐。其儀罔愆。怳承誨鐫。山增而姸。水淸且漣。遺澤緜緜。庶鑑誠虔。牖我眞詮。惠我朝鮮。
........................
松堂先生文集卷之四 / [附錄] / 金烏書院常享祝文[金應祖]
伏以忠孝本立。精一心傳。迭興隣鄕。續倡絶學。音容雖遠。典刑猶存。數間遺祠。萬古泂酌。謹以粢盛庶品。式陳明薦。尙饗。
.........................
松堂先生文集卷之四 / [附錄] / 答黃澗院儒書[宋時烈] *좌차연대순
伏承僉尊下書。謹審貴鄕將擧縟儀。斯文之幸也。不勝欽嘆。第此下詢之意。則自顧孤陋。不足以仰塞僉意。只增悚縮。第謙光之盛。亦不可終孤。請略獻其愚。惟僉尊財恕焉。蓋惟梅溪,松堂二先生事蹟。昭載國乘。外又有戊午,己卯黨籍。而梅溪則見於景賢錄者。詳矣。松堂則晦齋先生之發揮者。尤盛矣。松堂學問。固有二先生求備之辭。而梅溪亦不免寒暄追責之說。不可以此而輕議先賢之短也。蓋梅溪。旣與寒暄先生。同享於昇平。松堂又俎豆於善山。則今玆貴鄕之崇報。又何疑焉。只
兩先生坐次。則恐當以時世爲序。
蓋自退溪先生。已有此論矣。雖使道德微有高下之可議者。然逆其時世。則以後人而居先進之上者。必有不安之心。則非所以尊奉之意。況梅溪與寒暄諸賢。爲道義之交。不但曰文章而已耶。至若鄕先生二位之或幷或配。則只在貴鄕公取一鄕論議。求其至當而已。非諛聞末學所敢與。故不敢容喙耳。祭文之托。亦知猥甚不敢承。而章甫遠來之勤。僉尊見命之意。亦不敢以不文辭。當俟位次之定。事跡之示。始敢泚筆爾。不宣。
.........................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採薇亭記[左相李溵]
李溵 | 1722 | 1781 | 德水 | 稚浩 | 瞻齋 | 忠穆 |
冶隱吉先生。以夷齊之風。隱居一善之金烏山。先生沒後人爲立祠焉。龍蛇之變。移建于洛江之滸。而今其地鞠爲茂草。噫嘻悲夫。先生之墓。在仁同之烏浦。刻曰砥柱中流。先生之僑居在錦山。又刻曰百世淸風。百世淸風。所以刻於我國淸聖廟者。砥柱中流。所以刻於中州夷齊廟者。而今幷刻之於先生之居與墓。蓋不特後人以先生比夷齊。先生亦甞自况。夷齊有手折黃花祭伯夷之句也。獨金烏舊址。尙無記實之跡。年代寖遠。孰知爲先生俎豆之所乎。今太守閔侯百宗。余之外戚兄也。慨然與多士謀有營度之意。時余按察玆邦。聞而樂之。願相其事。遂令發簡列邑。鳩財助工。爲亭若干楹。名曰採薇亭。一善章甫之爲先生後孫者。請余記之。余於此重有感焉。昔我十二世祖春塘公。作宰善山。錫以官田。世居先生之子孫。八世祖容齋公。以詩頌先生採薇之操。五世祖東岳公。作宰錦山。有祭先生文若詩。王考忠憲公。按察本道。首訪先生之遺昆存恤之。而若余則曾在海西。記朝廷表揭夷齊事。托名淸聖廟。今又托名於斯亭。以續四世之故事。此余所以重有感焉者也。砥柱碑成於萬曆戊子。今三戊子而亭又成。亦有非偶然者矣。
........................
冶隱先生續集卷之中 / 附錄 / 敬慕閣記[知府徐秉淳]
余甞讀伯夷頌。至曰力行而不惑者。千百年乃一人而已。千百年豈獨伯夷一人而已乎哉。吾東有冶隱吉先生。亦力行不惑者。夫善州之南。烏山之下。卽先生杖屨之所也。是墟也有亭曰採薇。有齋曰求仁。亭之北。有遺墟碑。碑之傍。有新建之閣。乃肅廟朝翰墨奉安之所。而力不逮功未就。藏之私室。悚憫久矣。諸吉士請助於余。余欣然諾之。謀所以副其意。馳往省之。巋然之閣。壁不土而門不瓦。柱樑未施朱。欀椽不調靑。余乃畧其助而亟令成之。吉士又曰。太守新來。此閣竟成。則名此閣者太守也。記是事者太守也。願太守記而名之。余辭非其人而不得。乃敢名其閣曰敬慕。蓋欲敬聖朝之玉畫瓊韻。慕先生之邃學大節者也。登斯亭也。折園筍而菜之。拔山蕨而羹之曰。筍是先生昔種之竹。蕨是先生曾甞之草。余顧謂二客之從余者曰。竹何處無筍。山何處無蕨。入此山登此亭。咬斯菜喫斯羹。別有異味者存。怳然若先生昨日之餘饌。豈徒爲牙頰之生香也耶。先生立朝未幾。察天命之有歸。持心不二。憫麗運之已衰。乃以罔僕之心。只修同師之誼。則出處之正大。心迹之光明。眞可與日月爭光。玆夫道學節義之詳。忠孝文章之美。已盡於列聖酹侑之文。又著於羣賢尊慕發揮之章。則後生蔑學。莫敢贊一辭於其間。然凡此至行懿德之兼美者。余亦曰千百年之間。先生一人而已。然則麗末之先生。卽殷家之伯夷也。伯夷之前無伯夷。伯夷之後有先生。先生殆亦百世之師也歟。余於是敢以托名爲榮。謹識如右云爾。
附識[吉文榮]
謹按宸奎尙節帖。奉安于先生影廟矣。歲庚寅。嶺伯李勉昇屬知府徐秉淳。謀所以尊奉之道。捐廩鳩材。刱建三楹閣于御賜種竹之田。名其閣曰敬慕。奧明年辛卯秋。涓吉移奉。靈光燭天。雲章輝暎。以爲臣家世世榮遇。保曲阜之履。不足以喩其寶藏。烏號之弓。不足以比其美。忘其僭猥。敢識其畧耳。奉祀孫文榮。盥手敬識。
........................
신와집(愼窩集) 정재경(鄭在褧)생년1781년(정조 5)몰년1858년(철종 9)자공실(公實)호신와(愼窩), 신신와(愼身窩), 춘신옹(春身翁)본관영일(迎日)특기사항송환기(宋煥箕)의 문인. 송치규(宋穉圭), 오희상(吳熙常), 홍직필(洪直弼), 송달수(宋達洙) 등과 교유
愼窩集卷之五 / 序 / 徐善山士執甫 秉淳 三不惑序
夫酒也色也財也。恒物之大情存焉。故剛者入而屈。明者遇而暗。正者反爲邪。賤而溺而閼而終身莫悟者踵相屬也。噫孰能超然物外。剛而不屈。明而不暗。正而不邪者存乎。試嘗朝評。康成之博洽。子卿之苦節。玄晏之摛藻。權衡一世。軒輊今古。猶不能不惑於之酒之色之財之病。惟楊秉有言曰余有三不惑。曰酒曰色曰財是已。非至剛至明至正。何能自許如是。
吾友徐秉淳士執甫大書特書此三字。揭之壁上。常目在之。夫格言非不多也。至行非不存焉。特於此眷眷者。豈不以名字之相符。有所感慕。自與他倍深者存乎。吾觀士執生長綺紈。歷典郡縣。設彭澤種秫。長卿挑琴。會稽受一餞。未或不可。酒必以先王之終日百拜爲度。色必以先正之禽獸不若爲戒。門庭如水。淸名日高。非直慕其名。亦可謂法其行。則其剛也明也正也。楊秉不得專美於前。而鄭玄,蘓武,皇甫謐之徒。擧不足見穪焉。然難持者心。易失者功。吾未知終能不惑。果如楊秉乎否乎。若有其名而無其實。有其始而無其終。亦非吾所謂不惑也。雖然士之尙志。奚但以是自多爲哉。博洽當如康成。苦節當如子卿。摛藻又如玄晏而後。不惑之所以爲不惑。眞可媿服乎三子者矣。其然乎不然乎。楊氏尙矣。吾未攷焉。今士執友也。有其善。吾當師之。有不能。吾當規之。士執勉乎哉。
.........................
.........................
방촌유고 방촌공은 겸와공의 둘째 아들 [1803-1840(38세)] 芳村遺稿 謙窩公之次子
일선 고을의 원(一善宰) 서병순께서 주신 시의 운에 받들어 화답함 奉和一善宰徐秉淳自況韻 二首-180
원운(일선재 서병순의 시)을 붙여 실음 附原韻-181
원서명저/편자
(국역) 팔거세고 : 八莒世稿 |
八莒世稿 |
도응 (都膺 , 133? ~ 140?) 魯隱先生實紀 저 도명윤 (都明胤 進士公逸稿 저 도처중 (都處中 佐郞公逸稿 저 도덕택 (都德澤 , 1601 ~ 1667) 生員公逸稿 저 도명정 (都命鼎 , 1736 ~ 1815) 四噫窩遺稿 저 도석후 (都錫垕 , 1758 ~ 1799) 松竹軒遺稿 저 도성후 (都成垕 , 1761 ~ 1831) 惺齋逸稿 저 도대주 (都大籌 , 1775 ~ 1829) 謙窩遺稿 저 도병주 (都秉籌 , 1780 ~ 1849) 晩翠軒遺稿 저 도진구 (都鎭龜 , 1803 ~ 1840) 芳村遺稿 저 도우룡 (都右龍 , 1838 ~ 1906) 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