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에서 실제 경험을 쌓으며 일을 하는 것이 캐나다 이민을 시도하는데 가장 선호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선 우선 워크퍼밋을 가져야 하는데요. 외국인들은 워크퍼밋이 있어야만 캐나다에서 근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취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워크퍼밋을 가져야 된다는 사실은 알지만, 여전히 워크퍼밋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분들은 많이 계실 텐데요. 캐나다 워크퍼밋에 관한 10가지 궁금증과 그에 대한 답을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1. 캐나다의 워크퍼밋 종류는?
캐나다 워크퍼밋은 크게 오픈 워크퍼밋과 클로즈드 워크퍼밋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픈 워크퍼밋은 어디에서나 일할 수 있도록 열려있는 비자고 클로즈드 워크퍼밋은 정해진 곳에서만 일할 수 있도록 제한이 있는 비자입니다.
1) 오픈 워크퍼밋
오픈 워크퍼밋은 또 다음과 같이 4가지 종류로 볼 수 있습니다.
▶ 오픈 워크퍼밋 종류
• PGWP (Post-Graduation Work Permit): 공인된 교육기관에서 공부할 경우 최대 3년까지 받을 수 있는 비자
• BOWP (Bridging Open Work Permit): 영주권 신청 중에 발급받는 비자
• Working Holiday: 청년들을 대상으로 2년씩 최대 2차례 발급해 4년까지 캐나다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는 비자
• SOWP (Spousal Open Work Permit): 배우자가 워크퍼밋을 받은 경우 발급되는 오픈 워크퍼밋
2) 클로즈드 워크퍼밋
클로즈드 워크퍼밋은 LMIA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다수인데요. 고용주가 외국인을 고용해야만 하는 상황임이 입증되면 발급해 주는 퍼밋으로 정해진 고용주와 일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국제 이동 프로그램이나 국제 청년 경험 프로그램 IEC 중 차세대 전문가나 국제 인턴십 과정은 LMIA 지원 없이도 퍼밋 발급이 되지만, 정해진 고용주와 일해야 하기 때문에 클로즈드 워크퍼밋으로 분류됩니다.
2. 캐나다에서 오픈 워크퍼밋을 받을 자격은?
캐나다 오픈 워크퍼밋을 받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지정 학습 기관을 졸업하고 졸업 후 PGWP를 받는 것입니다. 보통은 학교에서 공부한 기간에 따라 다르게 받는데, 최대 3년까지 유효한 비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 가장 일반적인 것은 배우자가 현재 워크퍼밋을 받은 경우와 워킹 홀리데이를 통해서 발급받는 것입니다.
▶ 오픈 워크퍼밋 취득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사례
• 지정 학습 기관 졸업
• 빈곤 학생 자격 요건에 부합되는 국제학생
• 캐나다 영주권 신청 중인 지원자
• 영주권을 신청자의 부양가족
• 자격을 갖춘 숙련된 근로자 또는 유학생의 배우자 또는 사실혼 파트너
• 대서양 이민 파일럿 프로그램 신청자의 배우자 또는 사실혼 파트너
• 난민, 난민 신청자, 보호 대상자 또는 그 가족인 경우
• 특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청년 근로자
3. 잡오퍼 없이 캐나다 워크퍼밋을 신청할 수 있나?
오픈 워크퍼밋은 잡오퍼 없이 발급받을 수 있지만, 클로즈드 워크퍼밋은 대부분 LMIA의 지원을 받는 캐나다 고용주의 잡오퍼를 요구합니다.
4. 캐나다 워크퍼밋에 필요한 서류는?
워크퍼밋을 신청하기 위해선 신청서를 비롯해 신분을 증명하는 여권 바이오메트릭, 사진 등이 필요합니다.
▶워크퍼밋 신청 시 필요 서류
• 유효한 여행 서류 또는 여권
• 바이오메트릭 및 사진 제출
• 직업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한다는 증거 (자격증, 경력 등)
• 배우자, 자년 또는 사실혼 파트너 관계 증명서
• 캐나다 외부에서 신청하는 경우, 캐나다 밖에서 작성된 취업 허가서(IMM 1295) 양식 작성 완료
• 완료된 문서 체크리스트(IMM 5488)
• 가족 정보(IMM 5645) 양식
※ 상황에 따라 고용주 요청 서류 제출을 요구할 수도 있음
5. 캐나다에 방문자로 와서 근로자로 신분을 변경할 수 있나?
가끔 캐나다에 방문자 신분이라면 임시 거주 비자를 신청한 후 취업 허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가장 빠른 방법 중 하나는 LMIA를 지원하는 고용주로부터 잡오퍼를 받은 후 워크퍼밋을 신청하는 것입니다.
6. 워크퍼밋으로 캐나다에서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나?
캐나다 워크퍼밋 소지자는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에 맞춤화된 몇 가지 이민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Express Entry 경험 이민으로, 캐나다에서 워크퍼밋을 발급받아 1년 이상의 근무 경험을 쌓으면 시도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경험이민 프로그램에 따라 영주권을 신청하려면 다음과 같은 요구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지원하기 전 3년 중 최소 12개월의 풀타임 업무 경험이 캐나다 내에서 있어야 합니다. 또한 직업이 일정 NOC 기술 수준과 그에 따라 요구되는 언어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밖에도 BC PNP와 같은 주 정부 이민으로도 가능합니다. BC PNP의 경우 숙련직 이민과 비숙련직 이민 모두 경력을 통해 지원할 수 있고 또 캐나다 경력에 대한 점수가 더 높기 때문에 워크퍼밋을 받고 캐나다에서 경력을 쌓는 것이 영주권 취득에 훨씬 유리한 방법입니다.
7. 워크퍼밋으로 누릴 수 있는 혜택은?
워크퍼밋을 발급받는다면, 신청인의 배우자와 부양 자녀 모두가 캐나다로 동반해 입국할 수 있는 자격을 갖게 되며, 배우자는 오픈 워크퍼밋을 발급받을 수 있어 함께 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는 무상으로 공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어 현지 학생들과 같은 조건으로 고등학교 교육까지 마칠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해 캐나다 무상 의료 시스템을 신청자와 그 가족 모두가 누릴 수 있습니다.
이상 워크퍼밋에 관한 궁금증 7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워크퍼밋과 관련해 더 많은 궁금증이 있다면 저희 둥지이민 컨설팅의 카카오 플러스나 비공개 댓글을 통해 문의하세요. 오픈 워크퍼밋은 물론 LMIA를 통한 워크퍼밋 발급, 배우자와 자녀 무상교육 등의 다양한 정보 안내받으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