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돌: (나무가스+공기) 흡입구================================>>> 굴뚝(배기) 



가스흡입: 나무,짚의 연소 압축: 풍노 공기 압축 팽창: 열(기체,가스)의 고온,고압 방출 배기: 굴뚝 # 한국의 전통 온돌은 고온 고압의 열을 방을 데우는 난방용(적분법) 사용한 반면,내연기관이나, 항공기 가스터빈은 고온 고압의 열을 강력한 추력을 얻기위해 사용했다.기체의 고온 고압에서 발생하는 증폭된 에너지 힘을 하나의 점(Point),엔진으로 집중.(미분법) 반면, 한국의 전통 온돌은 반대로 면적을 작은 에너지로 효율적 으로 방사하는 정반대의 개념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원리는 동일한 것이다.사용 용도의 문제일 뿐이다. 이 원리를 기계에 적용하여 한국이 내연기관을 고안했다면, 산업혁명의 역사는 다시 쓰여 졋을 것이다. 미분과 적분의 개념과 일치한다. 

공기 압축기(풍노) 
다량의 산소를 공급하는 기구 온돌과 내연기관엔진,항공기엔진은 대기중에 산소(O)의 존재와 성질을 알아야 가능한 디자인들이다. 이것이 궁극적인 디자인이다 (=자연진화한 상어 이빨과 인위적인 톱날디자인의 일치) 



 평면 구들(방)을 원형으르 말면,Double pipe같이 고온고압의 대류의 힘을 한곳으로 집중시키는 항공기 엔진,추력으로 전환이 된다. 즉, 적분을 미분으로 전환하는 디자인이다. 


아궁이============>> 열 압축==============>>> 배기( 굴뚝) 반대로, 이 항공기엔진 구조(미분)를 평면으로 펼치면은 한국의 전통온돌 구들(방)이 된다 미분법을 적분법으로 전환하는 디자인이다. 
대장간 풀무 화덕(온돌과 동일한 구조) 
내연기관 

내연기관(연소실구조): 배기(굴뚝)<<================폭발(나무가스) <<======흡입(공기,아궁이) 기체역학.bmp
한국 전통 온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