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莊子)가 말하는 습관적으
로 저지르는 8가지 과오
1. 자기 할 일이 아닌데 덤비는 것은 주착(做錯)이라 한다.
2. 상대방이 청하지도 않았는데 의견을 말하는 것은 망령(妄靈
)이라 한다.
3. 남의 비위를 맞추려고 말하는 것을 아첨(阿諂)이라 한다.
4. 시비를 가리지 않고 마구 말을 하는 것을 푼수(分數)라고 한다.
5. 남의 단점을 말하기를 좋아하
는 것을 참소(讒訴)라 한다.
6. 남의 관계를 갈라놓는 것을 이
간(離間)질이라 한다.
7. 나쁜 짓을 칭찬하여 사람을 타
락시킴을 간특(姦慝)하다 한다.
8. 옳고 그름을 가리지 않고 비위
를 맞춰 상대방의 속셈을 뽑아보
는 것을 음흉(陰凶)하 다 한다.
나는 사람의 인생은 기본적으로 즐거운 것으로 보고 있다.
고중유락(苦中有樂)이라는 말이 있듯이, 인생은 괴로운 가운데 즐
거운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세계 인구가 이렇
게 많을 수 있겠는가?
그럼 늙고 죽는 것도 즐겁단 말
이오?
아마 이런 반론이 있을 것이다.
글세, 꼭 즐거운 것만은 아니겠지
만 그 의미를 잘 안다면 얼마든지 달관할 수는 있을 것 같다.
장자(莊子)는 아내가 죽었을 때,
항아리를 치며 노래를 불렀다.
고분지통(叩盆之痛) 소동파(蘇東坡)의 시에 ‘죽고 사는 것을 항
상 보니, 이제 눈물이 없네’라는 구절이 있다.
그러나 인생을 즐겁게 보내자면 일정한 계획과 수련이 필요하다.
중국 송나라에 주신중이라는 훌
륭한 인물이 있었는데, 그는 인생
에는 다섯 개의 계획이 있어야 한
다고 했다.
첫째는 생계(生計),
둘째는 신계(身計),
셋째는 가계(家計),
넷째는 노계(老計),
다섯째는 사계(死計)가 그것이
다.
. 생계(生計)는 내 인생을 어떤 모양으로 만드느냐에 관한 것이
고,
. 신계(身計)는 이 몸을 어떻게 처신하느냐의 계획이며,
. 가계(家計)는 나의 집안, 가족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의 문
제이다.
. 노계(老計)는 어떤 노년(老年)
을 보낼 것이냐에 관한 계획이고
. 사계(死計)는 어떤 모양으로 죽을 것이냐의 설계를 말한다.
“당신에게도 노계(老計)가 있소
?”라고 묻는다면, 나는 “있지요”
라고 대답하고 싶다.
“그것이 무엇이오?”라고 물음에
는 ‘소이부답(笑而不答)’ 말을 안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