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강 작물별 병해충 진단과 예방법
❋ 무심코 부르는 병충해
⓵ 오염된 토양
⓶ 발효되지 않은 비료/퇴비
⓷ 무분별한 섞어짓기
⓸ 일방적인 영양투입
⓹ 지나친 수분공급
⑥ 기후에 맞지 않은 작물의 선택
⑦ 외부 유입경로 차단(물, 인간, 바람, 황사 등)
⑧ 씨앗, 모종
⑨ 그 외
❋ 식물 병해충, 생리장해에 대한 이해
■ 병해충의 정의
* 병 - 식물이 어떤 요인에 의해 정상적인 대사활동을 하지 못하는 상태(탄저병, 흰가루병 등)
* 생리장해 - 외부의 물리적, 이화학적 장해에 의한 비정상적인 생리현상(영양과다, 저온 피 해, 염류집적 등)
* 해충 – 식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피해를 끼치는 벌레
■ 식물 건강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 및 생리장해
* 식물체는 광선 기돈, 습도, 바람 등의 환경과 병원균, 해충 등의 영향을 받는다.
❋ 식물을 건강하게 키우려는 노력(예방식물의학)
■ 병해와 생리장해 예방의 기본
* 작물을 튼튼하게 키워야
- 햇빛: 정정 재식거리, 솎아주기
- 통풍: 흩어 뿌림 vs 줄뿌림, 하엽제거, 적엽(가지)
- 배수: 배수로, 높은 이랑
- 균형 시비: 3요소 등 환경 조성
■ 폐자재 활용 간이 멀칭으로 잡초 예방 및 보온 수분 유지
- 천 멀칭, 신문지, 폐 골판지, 등
■ 예방적 병해 관리
* 식물에 발생하는 주요 병해의 대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① 지역 환경에 맞는(저항성) 품종의 선택
② 건전한 종자 선택 및 건전한 육묘
③ 적합한 작부체계 수립
④ 양분의 균형관리
⑤ 적정 유기물 공급
⑥ 재배 방법 개선
⑦ 최선의 물관리
⑧ 천적의 보존 및 증진
⑨ 파종, 재배시기 및 재식 거리 조절
⑩ 포장 청결 등
■ 텃밭에서 잘 발생하는 해충
* 배추흰나비 유충, 잎굴 파리, 진딧물, 벼룩잎벌레, 도둑나방 유충, 맵시 곱추밤나방, 배추 좀 나방, 파밤 나방 등
■ 텃밭에서의 해충 방제
*오지 않게 하는 방법(터널 피복)
- 황색 끈끈이 트랩
- 손으로 잡는 방법
- 친환경자재: 난황유, 식물 추출물 등
- 농약 살포
구분 (생육적온) | 채소 종류 |
고온성 채소 (18-28⁰C) | 가지, 고추, 박, 동아, 생강, 고구마, 부추, 동부, 오이, 호박, 참외, 토마토, 우엉, 강낭콩, 아스파라거스, 머위, 옥수수 등 |
저온성 채고 (10-18) | 배추, 양배추, 무, 순무, 시금치, 파, 완두, 잠두, 딸기, 감자, 당근, 비트, 상추, 미나리, 샐러리, 근대, 마늘 등 |
■ 온도 적응성에 따른 분류
구분 | 채소 종류 |
다소 건조해도 잘 재배되는 채소 | 고구마, 수박, 토마토, 땅콩, 잎들깨, 호박 |
다소 습한 토양에서 재배가 잘되는 채소 | 토란, 생강, 오이, 가지, 배추, 양배추 |
다습을 좋아하는 채소 | 연근, 미나리 |
■ 수분 요구도에 따른 분류
■ 적기에 재배하는 것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텃밭 작물 재배 캘린더, 텃밭 작물 가을 재배 캘린더 등을 이용
* 좋은 꽃봉오리, 진한 녹색엽, 두꺼운 잎, 잘 발달한 근계 등의 우량모 선택
❋ 생리장해의 진단과 예방
■ 생리장해와 병해충 피해의 구별 요령
- 일반적으로 생리장해는 밭 전체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나, 병이나 충해는 일부 한쪽에서 발병하여 점차 번져하는 형태가 많다.
- 생리장해는 보통 잎의 앞과 뒷면에 동시에 증상이 나타나지만, 병해는 한쪽 면에서만 발생 하여 뒷면까지 번지는 경우가 많다.
- 생리장해는 전염되지 않지만, 병은 시간이 니남에 따라 증상이 점점 퍼지거나 비가 오거나 흐린 날에 급속히 번지는 경우가 많다.
- 대부분 생리장해는 냄새가 없는 반면, 병해는 냄새가 나는 경우가 많다.
■ 병 해충이 아닌 생리장해 발생요인
- 영양장해 – 결핍 또는 과잉
- 식물공해 – 대기 오염, 수질 오염
- 토양 장해 – 통기성, 수분 과부족, 수분 급변화, 토양의 반응, 연작, 유해중금속
- 기상재해 – 가뭄해, 수해, 풍해, 서리해, 우박해, 한해, 안개해, 설해, 고온해와 열사 등
■ 작물 생육의 필수 원소와 간이 건강진단
작물 생육에 필요한 필수 원소(16원소) 다량원소: 탄소, 수소, 산소, 질소,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유황 소량원소: 철, 붕소, 아연, 망간, 몰리브덴, 염소, 구리 |
오래된 아래 잎에 결핍 증상이 나타나는 것 | 질소, 인산, 칼륨, 마그네슘, 황 |
새로운 생장점부근에서 결핍증상이 나타나는 것 | 철, 아연, 몰리브덴, 망간, 칼슘, 구리, 붕소 |
■ 열과
* 원인: 과실 표면 생장과 내부 생장의 속도가 다를 때 발생
- 토양 수분의 급변
- 주야간의 온도차
* 방지책: 비대초기에 토양수분의 급변 방지 및 후기 다습에 유의, 야간온도 15⁰C 이상 유지
■ 석회 결핍증
* 증상: 열매의 측면에 약간 함몰된 흑갈색의 반점이 부패(2차로 잿빛 곰팡이병 발생)
- 잎의 가장자리부터 마르기 시작하여 안쪽으로 퍼짐
- 심하면 과실의 배꼽부근이 갈색으로 변하여 부패하고 과일의 내부가 변질되고 선 도유지가 곤란해 짐
■ 칼리결핍증
- 생육이 비교적 빠른 시기에는 잎면으로부터 잎살 부위까지 괴사
- 생육 최성기에는 중위잎 부근의 잎선단으로부터 갈변하여 고사
- 잎색이 이상하게 흑색으로 되며 딱딱해짐
- 먼저 생장이 쇠퇴하게 되고 선단의 잎이 약간 위축
- 늙은 잎은 황색과 갈색으로 변하여 점차 고사
■ 붕소 결핍증
- 생장점 부근의 마디 길이가 짧아지고 위쪼의 잎이 바깥쪽으로 말리며 엽맥에 위축현상
- 잎 가장자리의 일부가 갈변하고 과실에 분비물이 생기며 과실 표피에 코르크화 현상 발생
- 생장점 부근의 위축, 고사는 칼슘 결핍증과 유사 등등
❋ 작목별 병해와 방제
■ 고추
1. 역병
* 조건 및 증상 - 육묘기부터 전 생육기간 특히 7월 이후 강우가 많은 여름에 토양전염으로 도관부를 통해 지상부로 이동하며 암록색의 불규칙한 반점, 병반이 확대되면 낙엽짐
* 방제 – 내병성 품종 재배, 오염되지 않은 토양 이용, 배수 철저, 연작을 피한다.
- 파종시 종자소독 철저, 무병지 종자 사용
2. 풋마름병
* 조건 및 증상 – 고온 고습, 인산질비료의 과용, 칼리질비료의 부족시 나타남
- 뿌리의 갈변, 잎은 급속히 시듬
* 방제 – 이 세균은 뿌리의 상처를 통해 침입하므로 이식 전에 토양해충을 막는 것이 필요
- 철저한 배수, 토양 소독과 윤작 실시
3. 탄저병
* 조건 및 증상 – 고온 다습할 때 많이 발생, 장마기 방제에 유의
- 열매에 주로 발생, 처음에는 작은 반점이 후에 갈색으로 변하고 병든 부위가 움푹 하게 들어감
- 병반이 확대됨에 따라 둥근 무늬를 띠게 되고 중심부는 회갈색으로 변하며, 그 위 에 분생포자 발생
* 방제 – 병든 과일을 소각하고 개화 후부터 수확 때까지 정기 방제 실시
- 종자 소독과 무병지 종자 이용
4. 흰가루병
* 조건 및 증상 – 시설하우스에서 발병이 심하며 저온 건조의 조건일 때 발생
- 초기에는 엽맥을 따라 몇 개의 각이진 흰색포자가 발생, 후기에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처럼 분생포자가 퍼짐
- 공기를 통해 비산 전염되며 발병적온은 15-28⁰C
* 방제 – 하우스 내 건조 주의
- 물을 살포하면 습도를 높여줌과 동시에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음
■ 배추
무름병
* 조건 및 증상 – 상처를 통해 침입 – 토양해충 방제 철저
- 딱딱한 줄기에서는 속에 발생하는데 조직이 수침상으로 연부
- 무는 뿌리의 머리부분이 수침상이 되며 나중에는 중심부가 썩어 속이 비게 됨
* 방제 – 연작시 반드시 토양소독, 발병이 심한 밭은 3년 이상 윤작
- 병원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가 잘 되는 곳에 재배
- 벼룩잎벌레 등의 가해부위로 침입하므로 해충 방제를 철저히
2. 노균병
* 조건 및 증상 – 저온 다습할 때 잎에 주로 발생하나 줄기, Rnceo, 꼬투리, 뿌리에도 발생
- 잎에는 농녹색의 반점이 생기고 그 위에 백색곰팡이가 생기는데, 이들 반점은 점차 담갈색으로 변하고 엽맥을 중심으로 부정형 병반을 형성
* 방제 – 재식거리 유지, 통풍과 배수가 잘되도록
- 상습 발생지에는 윤작
3. 모자이크병
* 조건 및 증상 – 고온 건조, 비료의 부족으로 연약할 때 진딧물에 의해 전염
- 흑갈색의 무수한 반점
- 무는 위축되어 기형이 됨
* 방제 – 내병성 품종 재배
- 유묘시 한랭사 피복, 진딧물 방제 철저히
❋ 어떻게 방제할 것인가?
침입하지 못하도록 차단
철저한 환경관리와 예찰
확산 전 초기 방제
방제시 적정농도로, 제대로
* 제충국/고삼/먹구슬나무 등은 살충, 살균, 탈취효과를 나타냄
■ 최근에 뜨는 천연농약
- 제충국 + 에탄올
- 먹구슬나무 + 에탄올
- 백두홍 + 에탄올
- 15일 발효 후 사용 – 희석 500배 이상
■ 개여귀
- 여귀+물 가득–강한 불에서 가열 ⇀ 끓으면 중불에서 가열 ⇀ 3-4시간 후 건져내고 1시간 동안 불 유지
■ 난항유
병원균 대사 작용 억제, 바이러스 침입 억제, 병원균의 세포막과 원형질 파괴, 작은 해충(흰가루, 응애류)에 효과적
예방시: 10-14일에 1회 치료시: 5-7일에 1회
계란 노른자 1개 + 식용유 60mldp 약간의 물을 섞고 충분히 섞어줌
■ EM, 우유, 고추씨, 담배, 과산화수소, 은행잎 추출액 등 활용
* 자연농약은
- 작물이 어릴 때 박멸보다 기피와 퇴치에 효과적
- 적정량을 자주 살포
- 흐린 날 동트기 전후, 해질 녘, 비온 직후
-액비(깻묵, 쌀뜨물, 오줌)과 함께
* 일주일 되니 열무, 상추, 땅콩의 정체가 확실해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