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한국성건강센터/동두천여성상담센터(구)
 
 
 
카페 게시글
◈.....성건강자료 스크랩 911응급구조 - 호흡기계통(1)
라포 추천 0 조회 23 06.08.21 22:0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호흡계통

 

산소는 생명유지에 필수이다. 호흡과정은 산소를 포함한 공기가 폐로 들어가서 산소가 혈액내로 전달되고 산소를 가지고 있는 혈액이 전신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숨쉬는 것과 폐에서의 가스교환 과정을 호흡이라하고 호흡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직, 기관 구조들을 호흡기라고 한다.

 

clover_green.gif 호흡계

우리는 산소를 폐로 들여마시고, 호흡의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기 위해 공기를 들여마시고 내쉬고 한다. 숨을 쉬는 것이 호흡과 같은 것은 아니다. 호흡이란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고 세포내로 전달되는 과정이다.(인체내에서의 가스교환 과정은 순환계에 기술되어 있다.) 숨을 들여마시면공기가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고 주요 숨길을 통해 폐로 전달된다. 폐에서 공기는 여러 조직을 거쳐 마침내 작은 공기 낭(페포)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산소는 혈액내로 녹아 들어간다. 이산화탄소는 우리가 숨을 내쉬면 박ㄲ으 로 나가고 신선한 산소를 갖고 있는 공기가 다음 호흡할 때 들어오는 것이다.

 

1. 폐포에서의 가스교환

 

작은 혈액그물이 폐포를 감싸고 있다. 폐포와 혈관으로 된 얇은 막 사이로 산소가 혈액내로 들어가고 이산 화탄소가 나온다.

 

2. 기관지
숨길에서 갈라져 나와서 작은 기관지(세 기관지)로 나뉘어 내려가 마침내 폐포가 된다.

3. 폐
두 개의 스폰지 모양으로 된 폐조직에는 수백만개의 작은 폐포낭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남자는 6리터, 여자는 4리터정도의 공기를 함유할 수 있다.

 

4. 기관
기관은 후두밑 이하의 숨길이다. 근육과 연골고리가 있어서 숨길은 언제나 열려 있다. 더 내려가면 기관은 두 개의 기관지로 나뉘어진다.

공기는 입과 코를 통해 허파속으로 빨려들어간다. 코는 들여마신 공기를 다뜻하게 하고, 여과하며 수분을 공급한다.

5. 입과 인후(후두)의 공기는 음식과 같은 통로를 지나간다.

인후는 두 길로 나누어 지는데, 우리가 음식을 삼킬 때는 덮개(후두개)가 숨길을 덮어 음식이나 음료가 흡입되는 것을 막는다. 후두는 후두개 밑에 있다.

 

anired09_down.gif 우리는 어떻게 숨을 쉬는가?

호흡은 숨을 들여마시는 것(흡기), 숨을 내쉬는 것(호기), 짧은 호흡정지 상태의 3가지 단계로 나뉘어진다. 숨을 들여 마실 때 가슴의 근육은 흉곽을 확장시켜서 공기를 폐 안으로 들어오게 하며 숨을 내쉴 때는 흉곽의 탄력서에 의해서 안정상태로 되돌아 수축괴면서 공기는 몸밖으로 밀려 나간다. 어느정도 공기느 항상 폐에 남아서 산소를 항상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흡기: 숨을 들여마심

호기: 숨을 내쉼

 

흉곽의팽창으로 기도(숨길)를 통해 공기를 빨아 들인다.

흉곽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고 공기는 밖으로 빠져나간다.

늑골근육

늑골사이 근육(늑간근육)이 수축하여 늑골을 상하로 수축시킨다.

늑간근육이 이완되고 흉곽이 원래상태로(휴식상태)돌아와 공기를 밀어낸다. 횡격막은 다시 휴식상태인 볼록한 모양으로 돌아온다.

늑      골

횡격막은 흉곽과 배 사이의 강한 근육막으로 수축해서 평평해진다.

늑골과 흉골사이의 연골이 흉곽을 오르내리게 한다.

 

anired09_down.gif 무엇이 호흡을 조절하는가?
호흡은 뇌의 호흡중추에서 조절한다. 정상상태에서는 우리는 자동적으로 호흡의 깊이와 속도가 조절되어서,일상 호흡을 하는데 특별한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치 않다. 정상 성인은 일분에 16회 정도, 소아는 일분에 20-30회 정도 호흡한다. 호흡수는 스트레스, 운동, 손상, 질병 등에 따른 호흡중추의 반응에 의해서 변할 수 있다.

 

anired09_down.gif 공기의 성분(구성)
공기는 가스들의 혼합물로 약 80%가 질소, 20%가 산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산소중 일부가 호흡에 쓰여지며 우리가 내뱉는 공기에도 16%의 산소가 있고 소량의 이산화탄소가 있다. 그러므로 호기(내뺕는 공기)에도 다른 사람을 소생시키는데 적절한 산소가 들어있다.

 

anired09_down.gif 구조자가 해야할 일

1. 호흡곤란을 파악한다.
2. 환자의 호흡을 회복시키고 유지하라. 필요하면 소생술의 기본단계를 시행한다.
3. 원인을 제거하고 신선한 공기를 제공한다.
4. 적절한 의료진의 구조를 요청한다. 심한 호흡곤란 환자는 초기처치가 성공적으로 되었더라도 병원에서 진료를 하여야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