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계통
산소는 생명유지에 필수이다. 호흡과정은 산소를 포함한 공기가 폐로 들어가서 산소가 혈액내로 전달되고 산소를 가지고 있는 혈액이 전신으로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숨쉬는 것과 폐에서의 가스교환 과정을 호흡이라하고 호흡을 유지하도록 하는 조직, 기관 구조들을 호흡기라고 한다.
우리는 산소를 폐로 들여마시고, 호흡의 부산물인 이산화탄소를 내보내기 위해 공기를 들여마시고 내쉬고 한다. 숨을 쉬는 것이 호흡과 같은 것은 아니다. 호흡이란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고 세포내로 전달되는 과정이다.(인체내에서의 가스교환 과정은 순환계에 기술되어 있다.) 숨을 들여마시면공기가 코와 입을 통해 들어오고 주요 숨길을 통해 폐로 전달된다. 폐에서 공기는 여러 조직을 거쳐 마침내 작은 공기 낭(페포)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산소는 혈액내로 녹아 들어간다. 이산화탄소는 우리가 숨을 내쉬면 박ㄲ으 로 나가고 신선한 산소를 갖고 있는 공기가 다음 호흡할 때 들어오는 것이다.
1. 폐포에서의 가스교환
작은 혈액그물이 폐포를 감싸고 있다. 폐포와 혈관으로 된 얇은 막 사이로 산소가 혈액내로 들어가고 이산 화탄소가 나온다.
2. 기관지 3.
폐
4. 기관 공기는 입과
코를 통해 허파속으로 빨려들어간다. 코는 들여마신 공기를 다뜻하게 하고, 여과하며 수분을 공급한다. 인후는 두 길로 나누어 지는데, 우리가 음식을 삼킬 때는 덮개(후두개)가 숨길을 덮어 음식이나 음료가 흡입되는 것을 막는다. 후두는 후두개 밑에 있다.
호흡은 숨을 들여마시는 것(흡기), 숨을 내쉬는 것(호기), 짧은 호흡정지 상태의 3가지 단계로 나뉘어진다. 숨을 들여 마실 때 가슴의 근육은 흉곽을 확장시켜서 공기를 폐 안으로 들어오게 하며 숨을 내쉴 때는 흉곽의 탄력서에 의해서 안정상태로 되돌아 수축괴면서 공기는 몸밖으로 밀려 나간다. 어느정도 공기느 항상 폐에 남아서 산소를 항상 사용할 수 있게 한다.
1. 호흡곤란을 파악한다. |
출처: ♡스위스쮜리히대학원♡ 원문보기 글쓴이: 예일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