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열 네 송이 해바라기 원문보기 글쓴이: 파이란
윌 헌팅은 MIT 공대에서 청소부로 일하며 보스톤 빈민가에서 친구들과 어울려 그저 싸움과 술로 하루하루를 소일하는 청년 입 니다. 비록 정규 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두뇌는 매우 비상합니 다. 어떤 분야의 책을 읽더라도 전문가를 능가하는 지식을 습득 할 수 있어 순식간에 지적 우위를 선점해 권위에 대한 격렬한 저 항을 합니다. 판사에겐 판례로 대항하여 자신을 변호하고, 자신 을 치료하려는 정신과 의사를 분석하여 치료를 포기하게 만들 며, 잘난 척 하며 친구를 무시하는 하버드대 생에겐 압도적 지식 으로 망신을 주는 행동들……. 그러다가도 자신을 통제 하지 못 하는 날에는 경찰에게까지 폭행을 가할 정도로 충동적이고 반항 적이 되기도 합니다.
영화의 시작은 윌이 대학 강의실을 청소하는 도중 수학과 램보 교수 가 학생들에게 숙제로 내주었으나 아무도 풀어내지 못한 수학문제를 완벽하게 풀고 도망가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그 장면을 목격하게 된 램보 교수는 자신의 꿈을 이루어줄 후계자로 키우기로 결심하고 경찰을 폭행하여 구속 위기에 처한 윌을 정신과 의사에게 치료를 받 는다는 조건하에 보석으로 석방시켜 줍니다. 영화를 보다 보면 점차 우리의 마음에 서서히 의문이 싹틈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저렇게 영특 한 젊은이가 왜 세상(보통사람들이 인지하는)에 편입되기를 거부하 고 자학적이기 까지 한 생활에 그토록 매달리려 하는지…. 그럼 여기서 주인공 윌이 갖고 있는 자기애성 인격장애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봅니다.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무감각형(the oblivious narcissist) 과 과민형(tne hypervigilant narcissist) 2가지 유형 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무감각형의 임상양상으로는 자신이 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 는 가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항상 대중에게 연설하듯 이야기를 하는 데, 주로 자신의 업적을 반복하여 이야기 하고, 듣는 사람들이 이내 지루해 하며 자리를 피하기도 하지만 이에 전혀 개의치 않고 항상 자 신만이 이야기를 해야 하며 관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 다. 이들은 타인의 욕구에는 관심이 없고, 심지어 타인이 대화에 끼어 드는 것조차 허용치 않습니다. 말하려고만 할 뿐 들으려 하지 않아 오 직 송신기만 있을 뿐 수신기는 없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하나인 과민형인 경우 이와 정반대로 자신에 대한 타인의 반 응에 지나치게 민감합니다. 무감각형의 환자들이 언제나 자기몰두 (self-absorption)에 빠져있는 반면, 이들의 관심은 늘 타인에게로 향해있고 편집성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타인이 자신을 비판하 지 않나 주의 깊게 귀를 기울이며, 조그마한 비판의 힌트라도 있으면 쉽게 상처를 받습니다. 이들은 부끄러움이 많고 억제되어 있으며 자 신을 숨기려 합니다. 거절이나 모욕을 당하는 것이 두려워 자신을 드 러내지 않으려 하는데 그 내적 세계의 핵심에는 강한 수치감과 자신 을 과시하고 싶은 비밀스러운 소망이 동시에 공존하고 있습니다. 이런 자기애성 인격장애 환자가 갖고 있는 부끄러움(shame)의 중심에는 타고난 결함이 있다는 스스로의 느낌이 존재 합니다. 따라 서 자신의 능력에 결함이 있다는 사실에 직면하였을 경우 창피를 당 했거나 폭로되고 말았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 병적인 자기애를 가진 환자들의 주된 정신병리입니다. 주인공 윌은 어린 시절 여러 차례 다른 양부모에게 입양되며 학대 를 받았던 고통스러운 기억을 간직한 청년입니다. 그래서 윌 내면에 는 늘‘나는 결함이 있기 때문에’‘나는 나쁜 존재이기에’부모에게 버림받고 학대당했다는 무력하고 열등한 자기가 웅크리고 있습니다. 윌은 이런 고통스러운 자기 인식을 피하기 위해 과대한 자기를 발 달시켜 자신을 보호하려고 합니다. 오만하며 다른 사람을 깔보고 과 대한 자기를 유지하기 위해 항상 다른 사람의 갈채가 필요하며 열등 감을 자극하는 사소한 일에도 통제되지 않는 분노반응을 일으킵니다. 내면에는 세상에 대한 깊은 불신과 증오가 자리하며 혹 자신을 버릴지도 모를 사람들에게 비상한 지적 능력을 사용해 한치의 근접 도 허용할 수 없도록 미리 방어막을 쳐버립니다. 가족 같은 친구들의 찬탄과 인정을 받으며 생활하지만 막노동과 청소부로 안주 한 채 세 상 속으로 나오기를 거부합니다. 처음으로 의대생 스칼라를 만나 사 랑이라는 실제적 관계를 시도해 보려 하지만 자신의 결함이 발각되 어 버림받을지도 모른다는 공포감으로 결국 먼저 떠나버리는 극단적 행동을 취하기도 합니다.(영화 말미에는 치료 후 용기를 갖고 비로소 스칼라를 찾아 여행을 시작합니다) 윌은 숀과의 치료를 통하여 고아로 태어나 모진 학대를 받았던 악몽 같던 어릴 적 기억들이 자신의 결함이나 악함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내면 깊숙이 자리잡아 그를 조정해왔던 죄책 감이라는 마음의 실체를 대면하게 되면서 평생 괴롭혀오던 고통의 찌꺼기들을 힘들게 토해내게 됩니다.“ 그래 그건 나의 잘못이 아니었 어”,“ 나의 잘못이 아니었다고”……. 반항과 조소, 분노와 공격성으로 무장된 윌, 그는 실제세상을 어 떤 눈으로 바라보며 또 어떤 심정으로 살아왔을까요? 영화 속에서 윌은 자신을 맡았던 모든 정신과 의사를 공격하여 치료를 포기하게 만들고 램보 교수는 결국 학창시절 라이벌 관계였던 숀을 찾아가 도 움을 청합니다. 처음 숀을 방문한 윌은 숀이 직접그린 그림을 보자마 자 예의 분석적 공격을 가합니다.“ 거대한 폭풍이 몰아치는 속에서 배는 위험을 피해 부두를 찾고 있군요”“당신은 두려움을 이기려고 정신과 의사가 된 거죠?”과연 숀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 정말 윌은 숀을 정확하게 분석한 걸 까요? (영화에서 숀은 보통의 치료자와는 달리 격렬하게 화를 냅니다) ‘ 집채만한 파도가 당장이라도 덮칠 것 같은 절박함 속에서 폭풍우를 헤쳐나갈 시도조차 하지 못한 채 오로 지 안전한 부둣가를 찾아 헤매는 나약하고 조그마한 배’아마도 이 배는 숀이 아닌 윌 자신이었을 겁니다. 우리주위엔 여러 유형의 성격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 아니 나의 마음엔 어떤 그림이 그려져 있는지, 세상은 나에게 어떤 모습으로 투영되고 있는지 한층 궁금해지지 않습니까? 도움말 ·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과 강이헌 교수 02)920-5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