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킹 소다로 청소를 말끔히
1. 소다, 베이킹소다, 베이킹파우더, 이스트의 차이
① 소다: 공업용
② 베이킹 소다(식소다): 소다와 같으나 식용 가능함. 커피향, 레몬향이 나는 과자, 케이크에 사용 (쓴 맛이 강하기 때문에 향이 강한 과자나 케이크에 사용)
③ 베이킹 파우더: 케이크, 과자에 사용 → 소다에 다른 물질 첨가해서 쓴맛을 없앤 것. (바닐라향이나 크림 류의 케이크나 과자에 사용)
④ 이스트: 효모 → 식빵류에 사용
2. 베이킹 소다의 작용
1) 연마 작용: 베이킹소다의 미세한 입자의 긁어내는 효과(물품의 표면에 상처를 입히기 전에 오염 부분만을 녹여서 제거)
2) 중화 작용: 심한 오염이나 기름때는 지방산이라는 산성 물질로 되어 있어 약알칼리성인 베이킹 소다에 의해서 중화되고, 중화되면 수용성으로 성질이 변해 물걸레로 쉽게 닦을 수 있다.
3) 연수 작용
베이킹 소다는 물에 녹으면 칼슘,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이온을 흡착해 물을 보다 부드럽게 만들어준다.
4) 탈취·흡습 작용
베이킹 소다는 불쾌한 악취를 화학적으로 중화한다. 대부분의 악취가 산성 성질을 갖고 있고 약알칼리성인 베이킹 소다가 그 냄새를 없앨 수 있는 것.
5) 발포·팽창 작용
베이킹 소다가 산을 중화할 때 이산화탄소 기포가 발생하며 그 성질을 이용해 밀가루로 빵이나 케이크, 과자 등을 만든다. 베이킹 소다가 밀가루 반죽에 들어가는 우유, 초콜릿, 식초, 레몬즙, 벌꿀 등과 만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면 밀가루의 글루텐이 그 가스를 포착해서 반죽을 부풀리게 되는 원리.
3. 베이킹소다 청소, 기초사용법
1) 용액으로 만들 때- 1리터 물과 4스푼의 소다를 섞는다
2) 젤로 만들 때 - 소다와 물의 비율 3:1 반죽한다
3) 스폰지를 이용할 때 - 물엔 젖은 스폰지에 소다를 뿌려 사용한다
4) 가루를 직접 쓸때 - 소다를 직접 뿌려 젖은 스폰지로 닦아준다.
참조하셔서, 황사와 이기는 봄철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