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stinianus Ⅰ (영)Justinian Ⅰ. 정식 이름은 Flavius Justinianus. 본명은 Petrus Sabbatius.
483 다르다니아 타우레시움(지금의 세르비아 니시의 남쪽인 듯함)~565. 11. 14 콘스탄티노플.
비잔틴의 황제(527~565 재위).
비잔틴 제국정부의 행정기구를 재편하고 유스티니아누스 법전(Codex Justinianus:534)으로 알려진 성문법 제정을 후원한 것으로 유명하다.
초기생애
라틴어를 사용하는 일리리아 사람으로 농민 집안 출신이며 유스티니아누스라는 로마식 이름은 삼촌이었던 유스티누스 1세 황제에게서 딴 것이고 그의 출세는 삼촌의 덕택이었다. 젊었을 때 그의 삼촌이 고위 군사령관직을 맡고 있던 콘스탄티노플로 갔다. 훌륭한 교육을 받았지만 항상 그리스어의 악센트를 잘못 발음했다고 한다. 518년에 유스티누스가 황제가 되었을 때 황제의 총애를 받는 조카로서, 나이들고 자식이 없는 삼촌의 정책에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주도했다. 법적으로 유스티누스의 양자로 입양되었으며 중요한 직책을 맡았다. 525년에 부황제(caesar)의 칭호를 받았으며 527년 4월 4일 공동 황제(augustus)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여배우 출신으로 그에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부인 테오도라는 황후가 되었다. 527년 8월 1일 유스티누스 1세가 죽자 그를 계승해 단독 황제가 되었다.
대외정책과 전쟁
유스티니아누스의 대외정책에서 보였던 2가지 중요한 양상은 페르시아와의 해묵은 분쟁을 계속 이어간 것과 서방의 옛 로마 속주들을 이민족 침략자들에게서 되찾으려고 시도한 것이었다. 유스티니아누스가 제위에 올랐을 때 그의 군대는 유프라테스 강변에서 페르시아의 왕 카바드(코바드) 1세의 군대와 싸우고 있었다. 벨리사리우스를 비롯한 비잔틴 장군들이 상당한 전과를 올린 여러 차례의 전투가 있은 후 531년 9월 카바드가 죽으면서 휴전협정이 진행되었다. 카바드의 후계자인 호스로우 1세가 마침내 타협을 받아들여 532년에 영구평화조약이 비준되었다. 이 조약은 전체적으로 비잔틴에 유리했는데 비잔틴은 영토를 하나도 잃지 않고 라지카(소아시아의 콜치스)의 요충지에 대한 종주권을 페르시아로부터 인정받았다. 그러나 유스티니아누스는 보상금으로 페르시아에 1만 1,000파운드의 황금을 지급해야 했으며 그 대가로 호스로우는 카프카스 지방의 방위에 대한 지원금 주장을 일체 철회했다.
540년에 유스티니아누스가 이탈리아 문제에 골몰해 있을 때 다시 전쟁이 벌어졌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동방의 군대를 다소 소홀하게 방치했으며 그 틈을 타서 호스로우가 540년에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시리아, 비잔틴령 아르메니아로 진격해들어와 주요도시들을 차례로 약탈했고 541년에는 북부의 라지카를 침공했다. 다시 동방군 총사령관에 임명된 벨리사리우스는 541, 542년에 역공세를 개시했으나 이후 이탈리아로 소환되었다. 전쟁은 다른 장군들의 지휘 아래 장기간 질질 끌었으며 얼마간은 선(腺)페스트 발병으로 중단되기도 했다. 545년에 5년간의 휴전협정이 체결되었고 551년 갱신되었으나 라지카는 페르시아인들이 완강하게 반환을 거부함으로써 휴전이 적용되지 않고 산악지대에서 치열한 접전이 간헐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557년 휴전협정이 다시 갱신되면서 이번에는 라지카도 포함되었다. 마침내 561년말경에 50년간의 휴전협정이 타결되었다. 비잔틴은 연간 3만 솔리디(금화)의 공물을 바치는 데 동의했으며 페르시아는 북방의 침략자들을 막아주는 중요한 방벽인 라지카의 그리스도교 소왕국에 대한 모든 권리주장을 철회했다. 이렇게 해서 유스티니아누스는 페르시아 왕의 맹렬한 공세에도 불구하고 동방 속주들을 사실상 온전하게 보전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쪽 전선에서 그가 행한 정책은 결코 실패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유스티니아누스는 빼앗긴 서방의 속주들을 '고통없이' 제국에 되찾아주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여겼으며 이탈리아와 북아프리카에서 아리우스파(그리스도교 이단세력)의 통치 아래 사는 가톨릭교도들이 겪는 시련을 못본 체 할 수도 없었다. 북아프리카의 반달 왕국에서 가톨릭교도들은 걸핏하면 박해를 받았다. 또한 콘스탄티노플과 동맹을 맺고 가톨릭 박해를 중단했던 나이든 반달왕 힐데리히가 530년 겔리메르에게 자리를 내주고 폐위된 이후 왕위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일어났다. 그와 동시에 반달족은 모리타니와 남부 누미디아의 무어 부족들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부하 장수와 각료의 상당한 반대를 무릅쓰고 533년 6월 힐데리히를 돕기 위해 북아프리카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 약 500척의 선박으로 구성된 함대가 전함 92척의 호위를 받으며 출발했다. 8월에 아무런 저지를 당하지 않고 상륙이 이루어졌으며 534년 3월에 벨리사리우스는 왕국을 장악하고 반달 통치자 겔리메르의 항복을 받았다. 북아프리카는 제국의 일부로 재편되어 사르데냐와 코르시카, 발레아레스 제도, 셉템(세우타)까지 포함하게 되었다.
옛 수도 로마가 자리잡고 있는 로마 제국의 본토 이탈리아에서 유스티니아누스는 북아프리카와 비슷하면서도 특히 자기 야망을 실현시키기에 유리한 정세를 맞이했다. 바로 그의 전임자들 당시에 이탈리아는 이민족인 동고트족의 테오도리크(테오도리쿠스)가 통치했는데 그는 사실상 독립적인 권한을 행사했지만 명목상으로는 비잔틴 황제의 대리인이었다. 테오도리크는 아리우스파였으며 처음에는 관용적이고 현명한 군주였으나 재위 말년에 이르러 가톨릭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그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다. 그가 죽고나자 아리우스파인 고트족과 가톨릭교도인 이탈리아인 사이에 대립이 발생했을 뿐만 아니라 동고트족 내에서도 분열이 생겨 일부는 격렬하게 비잔틴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이런 상황이 동료 가톨릭교도를 지원하고 이탈리아 속주에 대한 직접적 지배권을 되찾는 데 좋은 기회라고 판단한 유스티니아누스는 벨리사우스로 하여금 함대를 이끌고 시칠리아를 공격하도록 했으며, 한편으로는 사절을 보내 당시 갈리아에 정착해 있던 강력한 프랑크족의 지지를 얻도록 했다. 540년 동고트 왕 비티기스의 패전과 라벤나의 함락 이후 이탈리아에는 민정총독 아타나시우스의 통치 아래 제국의 행정권이 복원되었다. 그러나 가혹한 재정공출과 병사들의 약탈행위로 인해 새 체제는 대중적 지지를 얻지 못했다. 동고트족 대다수는 끝내 항복하지 않았으며 힐데바트와 에라리크의 짧고 불운했던 치세 이후에 그들은 541년 가을 토틸라(바두일라)를 자신들의 왕으로 선포했다. 토틸라는 유능한 지도자였으며 542년에 남부 이탈리아에서 공세를 벌여 543년 나폴리를 점령했다. 544년에 벨리사리우스가 부족한 병력을 이끌고 토틸라를 치기 위해 파견되었다. 도시들이 연이어 동고트족에게 함락되었으며 나중에는 라벤나·오트란토·앙코나만 겨우 비잔틴의 수중에 남았다. 벨리사리우스는 충분한 증원군이 없는 상황에서 한 걸음도 진격할 수가 없었으며 결국 콘스탄티노플로 소환되었다.
그동안 토틸라는 대지주들과 사이가 멀어지기는 했지만 전국의 행정을 넘겨받았다. 그는 유스티니아누스와 타협하기를 원했으나 552년에 환관 사령관 나르세스의 지휘 아래 그를 치기 위해 막강한 대군이 파견되었다. 토틸라는 우세한 병력과 전략에 밀려 패배하고 부스타갈로룸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었다. 나르세스는 로마에 입성했으며 그 직후 베수비오 남쪽의 락타리우스 산에서 동고트족의 저항군을 격파했다. 553년에 이탈리아를 침공한 프랑크족과 알레만니족의 지원을 받은 소규모의 분산된 저항이 끊이지 않다가 562년에 비잔틴이 이탈리아 전국을 장악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554년의 국사조칙(國事詔勅)으로 일련의 행정조치를 취해 이탈리아의 사회경제적 복지를 되살리고자 했다. 이탈리아는 전쟁으로 너무나 황폐해 있었기 때문에 유스티니아누스의 생애 중에는 정상으로 복귀하는 것이 불가능했으며 그가 죽은 지 3년 만에 국토의 일부분을 또다시 롬바르디아 침략자들에게 빼앗겼다.
발칸 반도 북방의 변경에 있는 로마 속주들은 끊임없이 이민족의 침략을 받았다. 트라키아·다키아·달마치야는 불가르족과 슬라브족(스클라베니라고 알려졌음)에게 시달림을 받았다. 550~551년에 침략자들은 그들을 몰아내려는 군사적 노력에도 아랑곳없이 비잔틴 영토에서 겨울을 나기까지 했다. 559년에 불가르족과 슬라브족은 코트리구르 훈족과 합세해 남쪽으로 테르모필라이까지 장악하고 동쪽으로는 트라키아를 거쳐 콘스탄티노플을 지키는 장성(長城)에까지 이르렀다. 퇴역한 벨리사리우스가 민병대를 모아 이 위기를 막아냈다. 561년에는 아바르족이 침략자들과 합세했으나 보상금을 받고 물러났다. 도나우 강 너머로부터 밀려드는 이같은 공세는 막대한 피해를 가져왔으며 발칸 지방과 그리스에 요새와 방어진지가 구축되고 강화되었지만 비잔틴 사람들은 새로운 침입자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치지도 못하고 동화시키지도 못했다. 슬라브족에 뒤이어 불가르족은 결국 로마 속주 내에 정착하는 데 성공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때때로 그들을 몰아내지 못한 잘못을 저질렀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당시 비잔틴 제국이 가장 영역을 넓혔던 당시의 지도. 약 565년 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