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장은 善이고 매장은 惡인가 |
無로 돌아가는 ‘아름다운 죽음’에 대한 단상 |
우리의 현실을 둘러보자. 어느 유명인사가 자신이 죽으면 화장을 해달라고 선언하면 언론이 이를 크게 보도한다. 여고생들이 학급회의를 통해 화장을 집단 결의했다는 기사의 제목은 ‘속 깊은 여고생들 -우리 화장할래요’다. 결국 화장을 선택하면 속 깊은 행동인 반면, 만약 누가 매장을 선택한다면 그것은 은연중에 전근대적이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으로 치부되는 세상이다. 국민의식도 최근 몇 년 사이에 크게 바뀌었다. 1980년대까지 10%대에 머물렀던 화장률이 2001년말 조사에서는 울산이 64.9%로 선두를 달렸고 부산 62.2%, 서울 53.6%, 인천 50.1%, 경기 45.9% 순으로 나타났다. 전남은 16.1%, 제주가 15%로 가장 낮았다. 이쯤 되면 화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넘어서 매장보다 더 선호되고 있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죽음의 역사’의 저자인 필립 아리에스는 죽음에 대한 인식과 그것과 관련된 사회적 행위들은 아주 천천히 변화하기 때문에 유의미한 변화양상을 추적하려면 적어도 천 년의 역사를 살펴봐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서는 불과 몇 년 사이에 장례방식이 엄청나게 변했다. 그 이유로 흔히 유교사상의 퇴조와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 조상숭배 의식이 희박해지고 후손들의 묘지관리를 기대할 수 없게 되면서 화장 비율이 높아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이후 화장률 급상승을 견인한 것은 ‘묘지강산을 금수강산으로’라는 표어처럼, 묘지로 가득차버린 국토를 되살리기 위해 화장을 하자는 사회운동이다. 그 중심에 1998년 창립된 (사)한국장묘문화개혁범국민협의회(이하 ‘장개협’)가 있고 언론도 그에 동조하여 계몽에 앞장섰다. 현재 화장률과 매장률을 비교하더라도 화장장려운동은 대단히 성공적이었다. 이제 화장의 비율이 매장의 비율을 확실히 넘어섰다고 해도 될 정도다. 이 시점에서 화장 증가가 가져온 긍정적 효과는 과연 무엇인지 냉정히 판단해보자. 사회학자 천선영이 지적했듯이, 그 동안 장개협과 그에 동조한 언론의 계몽활동은 거의 폭력적으로 전개됐다. 매장은 ‘악(惡)’이요, 화장은 ‘선(善)’이라는 관점에 서 있다 해도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그 결과 매장은 없어져야 할 장례방식이며, 화장은 바람직한 대안이라는 ‘강제적 계몽성’이 우리 사회를 휩쓸었다. 그에 따라 화장은 급증했으며 화장 위주의 법령이 제정됐고, 대학에는 장례 관련 학과들이 대거 신설됐다. 특히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납골 석재관련업계는 최고 호황기를 맞고 있다. 이들에게 화장장려운동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와 다름없다. 이러한 먹잇감 앞에 종교계까지 뛰어들었다. 처음 화장장려운동을 전개한 분들의 순수성을 의심하지는 않으나 작금의 상황은 그야말로 죽 쑤어 개 좋은 일 시킨 격이다. 본래 왔던 곳으로 돌아가는 과정 풍수학자 황영웅의 논리를 빌려 설명하면, 모든 생명틀은 집합(삶)과 환원(죽음)의 과정으로 되어 있다. 모든 생명체는 원소핵의 집합체이다. 생명체가 죽으면 집합된 것이 이산, 괴멸되어 원래의 자리로 돌아간다. 그것이 환원과정이다. 그러므로 환원이란 집합되어 인간의 몸을 구성하기 이전의 원래 원소로 회귀하는 것을 말한다. 시신을 매장하면 통상 200~300년 후에는 깨끗하게 원래의 원소로 돌아간다. 이처럼 매장이란 죽은 인간의 몸을 땅에 묻음으로써 서서히 환원되는 과정이다. 그에 반해 화장은 시신을 태워서 급속히 환원시키는 방식이다. 그런 면에서 매장과 화장의 본질은 같다. 본래 온 곳으로 되돌아가는 환원이라는 목표가 같기 때문이다. 이처럼 우주 자연의 이치에서 매장과 화장의 본질은 같으나, 여기에 인간의 가치개념이 개입되면 달라진다. 인간은 조상의 시신이 환원되는 과정의 생명에너지를 동조·흡수하여 정신적·육체적으로 생명활동력을 개선 상승시키고자 했다. 그것이 바로 풍수지리의 요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