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이었습니다. 예배를 이끄는 목회자분들께서는,
'찬양을 드리겠습니다.' 또는 '찬송하겠습니다.'라는 말씀을 혼용하시는데요.
여러분은 이 두 가지 표현 중에서 어느 쪽이 더 자연스러우신가요?
저는 단순히 찬양은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고, 찬송은 노래를 부르는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요. 두 용어 사이에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알지 못했습니다.
물론 두 용어가 거의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지만, 성경은 무엇이라 말하고 있는가 찾아보았습니다.
시편 146편 2절에 보면 "나의 생전에 여호와를 찬양하며 나의 평생에 내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라는 구절은 전반부와 후반부가 결국 같은 내용인데, 앞부분의 '찬양'이라는 용어가 뒷부분에서는 '찬송'으로 대치되는 경우였습니다. 이처럼 '찬양'과 '찬송'은 서로 교호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그러나 두 용어는 분명히 의미상의 차이가 있었습니다.
먼저 '찬양'은 한자로 '기릴 찬', '오를 양'을 써서 '아름답고 훌륭함을 크게 기리고 드러냄'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갖는데요. 즉, '하나님을 높이고 그분께 영광을 돌리는 모든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경에는 다양한 방법의 찬양이 기록되어 있는데요. 예를 들어 마음을 다하여(시 108:1), 감사하는 마음으로(골 3:16), 입술로(시 63:3), 큰 소리로(눅19:37), 나팔 비파 수금 소고 현악 퉁소 제금 등 여러 악기로(시 149:3), 손을 들고(시 134:2), 춤추며(시 149:3), 찬양하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찬양이란 우리의 신체를 이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물을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찬송'이란 어떨까요?
한자로는 '기릴 찬'. '기릴 송'자를 써서 '하나님을 높이고 기리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이는 '노래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 또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노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찬송'이라는 단어는 '찬양'과 같은 의미로 교회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좀 더 구체적으로는 말하자면 '찬송'은 '찬양'의 한 가지 방법이 되는 것입니다. 성경 안에서 '찬양'이라는 단어는 총 90회, '찬송'이라는 단어는 214회가 등장하는데요.
하나님께는 우리에게 찬양받으시는 방법 중 특히 '찬송'으로 받기를 선호하시는 구나 하고 알게 됨과 더불어 또 한 번 하나님의 무한한 사랑을 깨닫게 되는 순간이었는데요.
우리가 노래하며 찬양하는 그 순간, 노래와 음악을 통해 우리의 감정 가운데 흥겨움과 기쁨이 살아나며 우리의 마음이 움직이게 되는 것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인데요. 때문에 많은 간증들에서 '찬양하던 중 그 선율과 가사에 하나님께서 임재하심을 느꼈다'라는 것을 쉽게 들을 수 있습니다.
저는 정말 하나님을 알면 알수록 '정말 끝이 없는 분이시구나.'라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오늘도 주일 예배 중 '찬송'으로 하나님을 '찬양'할 수 있음에 감사하는 하루였습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