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사이족 신발이 지구를 굴린다
집에서 사준
마사이족 신발
방금 배에서 내린듯
흔들리는 지축
중심을 잘 잡다보면
최후의 한 걸음
최초의 발처럼
낯설은 지상
마사이족처럼 동그란 발길로
소떼를 모는 아프리카 평원
지구를 굴려보면
지평선이 없다
*저는 소로마 선생님이 찾아주신
'봉자네 --'를 쓴 주경림입니다
회원 가입한 기념으로
즉흥시 한 편 올렸습니다
카페 게시글
현대시,시조,동시,한시.
마사이족 신발이 지구를 굴린다
갈피
추천 0
조회 66
08.12.30 11:16
댓글 8
다음검색
첫댓글 갈피 주경림님 봉자네를 읽고 얼마나 봉자네로 달려 가고 싶었는지요 입춘 모임때 봉자네 가서 꼭 막걸리 한잔 마시고싶어요 마사이 신발신고 봉자네서 만나요 봉화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다-김우중>처럼 역동적이어서 울림이 큽니다.청소년들이 애송하며 호연지기를 품는다면 참 좋겠네요
봉회님의 제의에 同意합니다.
12월 30일 오후 6시의 <남강문우회>모임을 점검하다가 해변의 목노집<봉자네 집>이 떠올랐습니다.한달 전에 정대수 박사와 고담준론(?)을 폈던 데이고 더 훨씬 전에는 혜림시인과,정박사와 어울려 街談巷說로 소일했기에 남강문우회의 비트로는 딱이다 싶은데 전화번호를 까먹었습니다.등재가 안돼 전화국,번영회에서도 모르고....인터넷을 여니<봉자네 집>詩가 떴고, 마치 밭갈이 하다 고려청자를 발굴한 기분이었습니다. 수군포질을 허해 주시어서 감사합니다 .
저는 요즘 화두 공안 '뜰앞의 잣나무'처럼, 고정 관념이라든가 지식을 깨버리는 글이 좋아서, 선시 흉내를 내봅니다. '봉자네 집' 마담께서 이런 마음의 세계에 한 가락하시던데요. 맑고 기쁘고 복된 새해를 빕니다. 소로마 선생님을 비록하여.... 주경림
<봉하>선배님 항열이 <봉>자 시니,선배님이 서울 인사동에도 남강 싸롱 하나 만드시어....
지난밤 봉자네 집에서 늦은 시간 쫓겨나야할 사정인데 매상도 안 올리는 호주머니 사정을 아는 주인 아줌마 (봉자 이모?) 가 끝까지 잘 봐 주어서 한잔씩 하고 잘 돌아왔습니다
갈피 주경림님의 회원가입을 환영합니다. 시 '봉자네 집'과 '주막 장산골'도 잘 읽었습니다. 어제 행사 뒤풀이로 그 봉자네 집에 두번 째로 갔는데 님의 시를 떠 올리니 생탁 맛이 한결 칼칼함을 더하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