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도 1학기 기말>
21. 밑줄친 관형절과 후행 표제명사의 통사적 관계가 다른 하나는?
① 비가 오는 소리가 들린다.
② 그가 웃는 모습이 아름답다.
③ 내가 만나던 사람이 떠났다.
④ 그가 범인인 사실이 밝혀졌다.
해설 - 수식되는 명사와 동일한 명사가 관형절 안에 있으면 관계관형절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보문 관형절(명사구 보문)이 된다.
①[비가 오는] 소리가 들린다. ②[그가 웃는] 모습이 아름답다. ④[그가 범인인] 사실이 밝혀졌다.
: 수식되는 명사와 동일한 명사가 관형절에 존재하지 않음. 공시적인 명사가 없음. '오다', '웃다', '범인이다' 자동사
③[내가 e 만나던] 사람이 떠났다.
: 공시적인 명사 존재. (사람을)이 생략되어 있음. '만나다' 타동사
정답 - ③
<2004년도 1학기 기말>
20. 전성어미에 대한 설명 가운데 옳은 것은?
① 명사형 어미에는 '-(으)ㅁ'과 '-슴', '-기'와 '-지'가 있다.
② '때문, 전(前), 마련'은 '-기' 명사절을 취하고, '까닭, 법, 후(後)'는 일반 관형절을 취한다.
③ 관형사형 어미 '-는'이 형용사에 결합하면 비과거의 의미기능을 나타낸다.
④ 관형사형 어미는 동사와 형용사에 연결될 때 그 쓰임에 차이가 없다.
해설 - ① '슴'이 아니라 '음', '-지'는 '-기'의 옛말
② 눈이 오기 때문에..집에 가기 전에..대가가 있기 마련..'-기'의 관형적 용법.
③ '-는'은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음. 형용사가 가지는 의미 특성 때문.
④ 관형형 어미는 서술어가 형용사 일때 동사의 경우와 쓰임새가 차이가 있다.
정답 - ②
21. 인용절을 관형절로 취할 수 있는 표제명사로만 이루어진 것은?
① 믿음, 주장, 사건, 까닭 ② 가능성, 사실, 모습, 준비
③ 소문, 질문, 명령, 계획 ④ 사건, 준비, 것, 까닭
해설 - 인용절은 관형절으로 취하는 명사는 소문, 질문, 명령, 계획, 믿음 등
이 외에도 말, 충고, 제안, 생각, 의심, 주장 따위가 있음.
정답 - ③
<2005년도 1학기 기말>
55. 명사형 어미에 대한 설명 줄 올바른 것은?
① 명사형 어미 '-(으)ㅁ'은 미정의 일에, '-기'는 기정의 일에 주로 쓰인다.
② 현대국어에서는 '-(으)ㄴ 것'이 '-기'의 기능을, '-(으)ㄹ 것'이 '-(으)ㅁ'의 기능을 대신하기도 한다.
③ '-(으)ㅁ' 명사절과 '-기' 명사절이 관형어로 기능하기도 한다.
④ 문장이 명사형 어미를 취하면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자리에 올 수 있다.
해설 - ① 명사형 어미 '-(으)ㅁ'은 기정의 일에, '-기'는 미정의 일에 쓰임.
② '(으)ㄴ 것'이 '-(으)ㅁ'의 기능을, '-(으)ㄹ 것'이 '-기'의 기능을 대신함.
③ 명사절이 관형어로 기능하려면 '관형격 조사' 필요.
정답 - ④
56. 다음 중 관형사형 어미가 포함되지 않은 문장은?
① 비가 올 가능성이 있다.
② 그 여학생은 웃는 모습이 매우 아름답다.
③ 두 사람은 서로 결혼하기로 약속했다.
④ 이 책은 아버지께서 무척 아끼시던 것 가운데 하나야.
해설 - ① '올'의 '-(으)ㄹ'(미정, 추측)
② '웃는'의 '-는'(현재, 비과거)
④ '아끼시던'의 '-던'(과거 중단)...관형사형 어미
정답 - ③
<2006년 1학기 기말>
56. 다음 중 명사형 어미 '-(으)ㅁ'이 결합된 내포문은 취할 수 있지만 '-기'가 결합된 내포문은 취할 수 없는 서술어는?
① 두렵다 ② 약속하다 ③ 바라다 ④ 발견하다
해설 - '-(으)ㅁ'은 '기정'을, '-기'는 '미정'의 기능이 주된 용법.
'드러나다, 발견하다' 등과 같이 이미 이루어지거나 결정된 일과 관련된 서술어가 쓰인 구문의 경우에 '-(으)ㅁ'을
'두렵다, 기원하다, 약속하다'와 같이 계획되거나 미정된 일의 서술어가 쓰이는 구문에는 '-기'가 쓰이게 된다.
정답 - ④
57. 다음의 예문 중 표제명사와 공지시적인 명사구가 관형절 속에 있는 것은?
① 그 사람이 범인인 사실이 밝혀졌다.
② 여행을 떠날 준비가 다 되었다.
③ 내가 일을 열심히 하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해서이다.
④ 어제 백화점에서 산 옷을 차에서 잃어버렸다.
해설 - 관계 관형절을 찾는 문제.
① [그 사람이 범인인] 사실, ② [여행을 떠날] 준비, ④ [내가 일을 열심히 하는] 것 - 보문 관형절(명사구 보문)
④ [어제 백화점에서 e(옷을) 산] 옷 - 관계 관형절
정답 - ④
<2004년도 동계 계절학기>
29. 다음 중 명사절이 내포된 문장은?
① 보내 주신 선물은 잘 받았습니다.
② 자기가 할 일은 자기가 해야 한다.
③ 선생님이 우리에게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하셨다.
④ 모든 일은 자네가 하기에 달려 있네.
해설 - ① [e(선물을) 보내 주신] 선물, ② [자기가 e(일을) 할] 일 - 관계 관형절
③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 간접 인용절
④ '자네가 하기에' ('-기' 명사형 어미) - 명사절
정답 - ④
30. 다음의 문장들은 모두 관형절을 내포한 문장들이다. 내포된 관형절의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어제 산 책을 벌써 다 읽었니?
② 오늘은 비가 올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 같다.
③ 나는 거북선을 발명한 이순신을 가장 존경한다.
④ 새로운 차만 보면 사고 싶다.
해설 - ① [어제 e(책을) 산] 책, ③ [e(이순신이) 거북선을 발명한] 이순신, ④ [e(차가) 새로운] 차 - 관계 관형절
② [비가 올] 가능성 - 보문 관형절, 명사구 보문([]과 보문명사 '가능성'이 등식 성립)
정답 - ②
<2006년 동계 계절학기>
29. 명사형 어미 '-(으)ㅁ'과 '-기'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으)ㅁ은 '드러나다, 발견하다' 등의 서술어와 잘 어울린다.
② '-기'는 '두렵다, 기원하다, 약속하다' 등의 서술어와 잘 어울린다.
③ '-(으)ㅁ'은 [+기정]의 의미를, '-기'는 [+미정]의 의미를 갖는다.
④ '-(으)ㅁ'은 관용적으로, '때문, 전, 마련' 들의 명사를 수식하기도 한다.
해설 - ④ '-기'에 관한 설명이다.
정답 - ④
30. 다음의 관형형 어미 중 '결정 또는 확정된 사건'과 거리가 먼 기능을 가진 것은?
① -(으)ㄴ ② -(으)ㄹ ③ -던 ④ -는
해설 - '-(으)ㄹ'은 미정, 추측의 사건을 보인다.
정답 - ②
31. 다음 중 인용절의 형식으로 된 관형절을 포함하고 있는 문장은?
① 그 사람이 범인임이 밝혀져졌다.
② 어서 여행을 떠날 준비를 해라.
③ 나는 그에게 가지 말라는 부탁을 했다.
④ 그는 김 감독이 만든 영화는 다 좋아한다.
해설 - ① '그 사람이 범인임' 에서 '-(으)ㅁ' 명사형 어미 - 명사절
② [어서 여행을 떠날] 준비 - 보문 관형절, 명사구 보문
③ '가지 말라는'에서 '라(고 하)는' 인용 구성 - 인용절
④ [김 감독이 e(영화를) 만든] 영화 - 관계 관형절
정답 - ③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
감사~~~ 올려주신 자료 고맙게 보겠습니다.^^ 복 받으실거에요.
잘 보고 갑니다.
곰꼼한 정리 감사해요.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