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가지의 기운이 서로 맑다고 하는 것에는 木火의 형상만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예를 든다면 土와 金이 있거나, 金과 水가 있거나, 水와 木이 있거나, 木과 火가 있거나, 火와 土가 있어서 서로 반반의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면 이것은 서로 생하는 관계에 해당하는 다섯 종류라고 하겠고, 다시 木과 土로 이뤄져 있거나, 土와 水로 이뤄져 있거나, 水와 火로 이뤄져 있거나, 火와 金으로 이뤄져 있거나, 또는 金과 木으로 이뤄져 있는 구조로 각기 절반의 세력을 형성하고 있다면 이것도 역시 서로 극하는 국에 해당하는 것이다.
서로 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日干이 생조를 해주는 구조가 좋다고 하는데, 그렇게 되는 이유는 빼어난 기운이 흘러가기 때문이다. 또 상극이 되는 구조에서는 내가 극하기를 요하는 것이니 그래야 일주가 손상을 입지 않기 때문이다. 상생이 되더라도 반드시 균형이 잡혀야 함이 중요하다. 점차로 한쪽으로 기우는 형상을 하고 있다면 필요 없는 이야기일 뿐이다. 상극에서도 물론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어 버린다면 논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만약 金水를 용하는데 火土가 와서 섞이는 것은 마땅치 않은 것이고 水木을 취할 적에는 火金이 와서 서로 싸우는 것도 역시 불가하다. 木火로 형상이 이뤄진 상태에서 가장 두려운 것은 金水가 판을 깨는 것이다. 또 水火가 함께 형상을 이루고 있을 경우에는 土가 와서 水의 흐름을 멈추는 것이 가장 두렵다. 격이 이미 이와 같으니까 운에서 살필 때에도 또한 이에 준하면 된다. 그래서 한가지 길로 맑게 흘러간다면 반드시 지위는 높고 재물도 넉넉할 것이다. 그런데 중간 운에서 혼란해지기라도 한다면 아마도 지위를 잃거나 집안이 기울게 될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구조는 완전히 아름답기는 참으로 어려운 것인데 보는 방법은 귀함을 볼 때에는 참으로 정밀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만약 생조하는 구조에서 다시 생을 만난다면 이것은 유통의 묘함이라고 하며 혹 극을 받을 적에 다시 화하는 구조가 있다면 또한 화합의 기쁨이 있는 것이다. 혹 말하기를 '두 가지의 성분이 모인 구조이니 협소하다'고한다면 열 가지의 격을 분리하는 것을 몰라서 하는 말이니 자세히 생각 하시기 바란다."
【강의】
그러니까 일주를 중심으로 절반은 비겁이고 인성이 절반이 되던지 혹은 식상이 절반을 차지한다면 이것을 일러서 상생(相生)이라고 한다는 말씀이고 또 관살이 절반이든지 혹은 재성이 절반이라면 이것은 상적(相敵)이라고 한다는 말이다. 서로 대립이 되는 경우에는 운의 흐름에서 오랫동안 좋기는 어려운데 운이 좋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흉하게 되 것이므로 잘 살펴야 한다는 정도로 이해를 하면 되겠다..
【徐樂吾增註】
兩神成象格
水木相生格. 水木各占二干二支又名水木淸奇.
木火相生格. 木火各占二干二支又名木火交輝或淸赤父子.
土金相生格. 火土各占二干二支又名火土夾雜.
土金相生格. 土金各占二干二支.
金水相生格. 金水各占二干二支又名金白水淸.
木土相成格. 木土各占二干二支.
土水相成格. 土水各占二干二支又名土局潤下.
水火相成格. 水火各占二干二支又名旣濟未濟.
火金相成格. 火金各占二干二支又名火金鑄印.
金木相成格. 金木各占二干二支.
양신성상격
수목상생격. 수목각점이간이지우명수목청기.
목화상생격. 목화각점이간이지우명목화교휘혹청적부자.
토금상생격. 화토각점이간이지우명화토협잡.
토금상생격. 토금각점이간이지.
금수상생격. 금수각점이간이지우명금백수청.
목토상성격. 목토각점이간이지.
토수상성격. 토수각점이간이지우명토국윤하.
수화상성격. 수화각점이간이지우명기제미제.
화금상성격. 화금각점이간이지우명화금주인.
금목상성격. 금목각점이간이지.
"수목상생격은 水木이 서로 격을 이루는 것은 수목이 각 2간과 2지를 갖고 있는 것을 말하고 다른 이름으로는 '물과 나무가 맑고 기이하다(水木淸奇)'고도 한다.
목화상생격은 木火가 2간 2지로 있으면 되고 다른 이름으로는 '나무와 불이 서로 빛나고 있다(木火交輝)'고 하거나, 푸른 아버지와 붉은 아들(靑赤父子)라고도 한다.
화토상생격은 火土가 각 반반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불과 토가 복잡하게 끼여있다(火土夾雜)'고도 한다.
토금상생격은 토금이 각각 절반을 이루고 있으면 되고,
금수상생격은 금수가 각각 반을 잡고 있는 경우이고 다른 이름으로는 '금은 희고 물은 맑다(金白水淸)'고도 한다.
토목상성격은 木土가 각각 반을 이루고 있으면 되고,
토수상성격은 土水가 반반인데 다른 이름으로는 '토국에 윤하가 겹쳤다(土局潤下)'라고도 한다.
수화상성격은 水火가 반반인데 다른 말로는 기재와 미제(旣濟未濟)라고도 한다.
화금상성격은 火金이 각각 반인데 다른 이름으로는 '불이 금을 녹여서 도장을 만든다(火金鑄印)'고도 한다.
금목상성격은 金木이 각각 반이 되면 성립된다."
【강의】
이 부분은 낙오선생님이 부연설명을 한 것인데, 군살처럼 보이지만 설명을 위한 강의이므로 그대로 언급을 한다. 적천수천미에서는 보이지 않는 내용이다. 이상 열 가지의 경우를 설명했는데, 설명으로 붙어있는 것을 살펴봐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는 않는 내용이다. 그냥 한번 읽어보는 것으로 충분하겠다.
"이 사주는 목화가 반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양기성상격이다. 정화 상관을 취해서 빼어난 기운을 용신으로 삼는데, 사주에 금수가 전무하니 순수하여 볼만하다. 巳火운에서 정화가 관에 임하여 과거에 급제하고 이름이 한원에 높았으나 庚운에서는 관성이 혼잡되니 지현으로 떨어졌는데, 그래도 이 운은 남방의 금이라 오히려 극하는 힘이 부족해서 그 정도였지만 앞으로 서방에서 수까지 만난다면 그 어려움을 말로 다할 수가 없겠다."
【강의】
이러한 구조라면 오행이 갖춰진 것에 비해서 더 좋다고 할 것이 없어 보인다. 운이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치우친 것이 상당히 부담이라고 봐야 하겠다. 그야말로 '굵고 짧게 사는 형상'이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이 사주도 역시 목화가 반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니 양기성상격이다. 앞의 상관의 구조에는 비할 바가 못되는데, 이 사주는 일주가 화에다가 여름에 태어났으니 목은 화의 세력을 따르는 형상이어서 오히려 염상격이 되는 구조이다. 다시 금을 보는 것은 옳지 못한데 인운에서 화가 생조를 만나 절강성의 순무가 되었으나 辛金운의 水年이 되자 목화가 모두 손상되었으니 화를 면하기가 불가능했다. 이른바 '두 사람의 마음이 같다면 그대로 따라야지 거역함은 불가하다'고 하는 경우이다."
【강의】
두 기운이 서로 생하는 형태로 될 적에는 내가 생해 주는 구조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실감나게 하는 사주이다. 더구나 운이 순조롭지 못해서 발전을 하지 못했던 모양이다.
"이 사주는 화토가 반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무토 식신을 취해서 용신으로 삼는데 辛丑대운에서 습토가 불기운을 흡수하여 수기가 흐르게 되니 향방의 벼슬에 올랐고, 壬운의 壬년에는 회시라는 시험에도 붙었는데, 도성에서 죽었으니 대개 水가 丙火를 친 까닭이다. 즉 화가 꺼져버린 것이다. 만약 두 개의 戌이 辰으로 바뀌었더라면 조열한 지경에까지는 이르지 않았을 것이고 또 수운을 만난다고 했더라도 이렇게 대흉으로 가지는 않았을 것을..."
【강의】
이 사주는 조열함이 병이다. 화기운이 너무 강하면 제어가 어려워서 그대로 깨어지는 수밖에 없는 모양이다. 습기가 없어서 아쉽다고 해야 하겠다.
"이 사주는 토금이 반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辛金 상관을 취해서 용신으로 삼는데 반가운 것은 그 운이 곧장 북방으로 간다는 점이다. 수기가 흐르게 되니 소년으로 과거하고 벼슬은 황당(태수)에 이르렀는데, 丙운으로 바뀌자 신금의 용신을 깨어 녹이 떨어지게 되었다. 대저 양기성상격은 일주가 생조해주는 것이 좋으니 식상이 되는데 빼어난 기운이 설기되어 부귀를 이루게 되거니와 부족한 것은 운에서 그 국을 깨어버리게 되었을 경우에는 재앙을 면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金水나 水木의 인수격은 식상이 아니라도 가능하지만 그래선지는 몰라도 또한 부귀 하는 사람도 흔치 않은데, 시험을 해보면 자주 잘 맞더라."
【강의】
운의 기복이 심한 것은 아무래도 치우친 사주의 허물일 것이다. 그리고 丙火운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철초님도 자신도 모르게 대운의 상하를 나눠서 전후 반으로 대입을 시키고 계신다는 것을 느낄 수가 있는데, 이러한 대목은 앞으로도 종종 등장을 한다. 그래서 생각컨데, 비록 이론적으로는 간지를 함께 봐야 한다고 설명을 하시지만 실제로는 나눠서 대입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음을 인정하시는 것으로 받아들여도 되겠다.
"이 사주는 수토가 반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가운 것은 조토에 통근이 되어 있다는 점이다. 재성이 유기한데 다만 세력이 점차로 약해지고 있는 형상이다. 그래서 丙寅대운이 되자 차가운 흙이 양을 만나서 과거에 급제하고 다시 묘하게도 亥水 속의 甲木이 암암리에 생조를 받으니 벼슬이 군수가 되었으며 벼슬길도 순탄했던 것이다."
【강의】
남방 운에 좋았다는 것은 신약했다는 말도 된다. 하긴 점차로 약해지는 형상이라고 하신 말씀에서도 그러한 맛이 난다. 조후의 의미도 포함될 것이다. 무난한 설명이라고 보겠다.
"이 사주는 토수의 극으로 되어 있는 양기성상격이다. 살은 순수한데 제어하는 식상이 없으니 일간이 손상을 받는다. 초운에 火土로 가는 운에서는 칠살을 생조하게 되니 이른바,
'밝은 달 아래 맑은 바람을 누구랑 더불어 즐기며
높은 산의 흐르는 물소리는 아는 사람이 적구나.'
라고 해야 하겠다. 그러다가 乙卯운으로 바뀌자 살을 제하고 권세로 화해서 기이한 인연을 만나 현령으로 뛰어 올랐으니 이로써 보건데 생하는 국은 반드시 식상이 아름다운 것이 틀림없고 인성의 국은 수기가 없어서 아름답기가 부족한 모양이다. 또 재성으로 이뤄지면 일주와 균형을 이뤄야 하고 일주는 손상을 받지 않아야 하며 다시 운에서도 잘 흘러주면 완전히 아름답다고 하겠다. 다만 한번 기신을 만나 국이 깨어지면 곧바로 재앙이 발생하게 되느니....."
【강의】
편중된 구조의 어쩔 수 없는 숙명이라고 해야하겠다. 균형을 이루기가 참 어렵다는 현실을 놓고 본다면 틀림이 없는 이야기이다. 이렇게 양기성상격에 해당하는 자료들을 살펴봤다.
"목으로 이루어진 형상은 식상이 (일간의) 기를 흡수하면 수로서 도와주어야 한다. 관살이 교차되어 극하고 있으면 화하는 운으로 가야하고, 인성이 중첩되어 있을 때에는 토를 용신으로 해서 배양해줘야 한다. 재성이 약하고 비겁이 중하다면 금으로 이뤄줘야 형상이 이뤄지고, 용신이 활동할 지지를 만난다면 거의 편고한 병이 없다고 보는데, 어찌 명예나 이익이 따르지 않을까 염려를 하겠는가. 목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논했지만 오행이 모두 이렇게 형이 이뤄지는 것이니까 또한 미뤄서 공부를 하면 되겠다. 만약 사주에서 형상이 이뤄지지 않았는데, 운에서 이뤄진다면 또한 성공이 가능하겠는데, 이러한 곳도 없다면 즉 일생 별 수 없이 살아갈 것이며 흉한 일은 많이 발생하고 좋은 일은 적으며, 뜻이 있다고 해도 펼쳐보기가 어려울 것이다."
【강의】
내용을 보면서 一行을 독상(獨象)으로 보고 二行을 양상(兩象)으로 본다면 이제 여기에서는 五行象이라고 해야 할 모양이다. 그러니까 3개의 성분 이상이 있으면 이러한 것은 모두 뭉뚱그려서 오행의 상으로 보자는 의미로 해석을 해도 되겠는데, 물론 독상에 대한 이야기는 이어서 나오게 된다.
여기에 해당하는 사주들이 가장 많을 것이고, 대다수라고 해도 될 것이다. 그리고 성분들이 모여 있을 경우에는 그 형상이 해를 당하면 안 된다는 말은 결국 서로 보조를 해줘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별도로 설명을 해야 할 내용은 없다고 봐도 되겠다. 이해가 되는 대목이다.
"이 사주는 목의 세력이 미쳐 날뛰는데 홀로 천간의 무토가 목을 배양하고 있으니, 사주를 평정하는 공을 이뤘다. 그래서 물에 뜨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 무토도 또한 술토의 단단한 뿌리를 의지하여야 하는데, 만약 술토가 아니고 진토였다면 辰土는 습토이니 水를 보면 바로 진흙탕이 되어버려서 무토도 능히 목의 뿌리를 배양하지 못하고 허약해 질 것이다. 뿌리가 없는 토라면 어찌 백천의 근원인 강력한 물을 제어하겠는가. 그래서 이 사주의 중요한 것은 술토의 조열함에 있는 것이다. 다만 겨울 나무가 양을 반기게 되니 반드시 火의 조후가 필요하다. 그러니까 木의 운에서는 발하게 되는 것이고, 그래서 운이 남방의 火가 왕한 계절에서는 수억의 재물을 벌었고 이름도 이루었던 것이다."
【강의】
사주를 보면 식상이 없어서 매우 아쉬운 구조이다. 그래서 棄印就財格의 형태로 나가고 있는 상황인데 용신인 편재도 辰土에 앉아서 무력하다고 봐야 하겠다. 그러니까 사주의 구조를 봐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을 해야 하겠는데 다행히도 운을 잘 타서 소원하는 바를 이루게 되었던 것으로 보면 되겠다. 결국 운에 달렸다고 하는 말을 하게 된다. 그러니까 이 사람은 행운의 사나이였던 셈이다. 만약 운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무엇을 했을까 생각해본다. 별로 할 만한 것이 없지 않았을까...
"이 사주는 지지가 동방으로 비겁들이 많아서 일 점의 미약한 신금으로 용신을 삼기에는 전체의 균형을 잡기가 부족하다고 하겠다. 그래서 어려서 공부를 하지 못했는데, 초운이 火土였던 관계로 해서 그래도 生化의 정은 잃지 않고 재의 뿌리가 되었던 관계로 물질적으로는 큰 불편이 없었다. 운이 庚申 辛酉로 들어가면서 辛金이 통근을 하여 이뤄지니까 색다른 방향에서 공을 이뤄 벼슬이 주목에 도달하게 되었는데 대운이 癸水로 흐르니까 목을 생하고 금을 설하게 되어서 녹을 더 받지 못했던 것이다."
【강의】
목왕절에 갑목이니 매우 강한 것은 틀림이 없는데, 한시간만 당겨 났더라면 화가 용신이 되었을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상관을 썼을 것인데 옛날로 봐서는 별로 좋지 않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지금 같으면 상관이 더 좋았을 것이다. 그리고 時柱가 辛丑이었다면 더욱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도 해본다. 물론 불가능한 일이기는 하지만 여하튼 같은 토를 깔고 있는 辛金이라도 어떤 토에 의지를 하느냐에 따라서 그 품질이 달라진다고 봐서이다. 화운에서는 고생이 많았다고 하더라도 己未대운부터는 활기를 띠게 되었을 것으로 봐도 되겠다. 壬水는 잘 넘겼는데, 계수를 못 넘긴 것은 특별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아마도 戌土 대운이 어느 정도 토의 역할을 해준 것으로 봐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계수도 특히 나빠서라고 하기는 어렵겠고, 그것이 이 사람의 천수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그리고 서향(書香)이라고 하는 말이 가끔 나오는데, 글의 향기라고 해석을 하고 보니까 묵향 또는 먹 냄새의 의미를 그렇게 표시한 것으로 생각이 된다. 그러니까 결국은 먹 냄새를 맡았다는 말은 공부를 많이 했다는 말이고, 서향에 나아가지 못했다고 하는 말이 나오면 공부를 못한 것으로 이해를 하면 되겠다. 가끔 나오는 말이므로 차제에 알아 두시기 바란다.
"이 사주는 土의 성분은 지지에만 있는데, 그 戌土를 자신이 깔고 있으니, 재성이 나를 따른다고 할 정도로 좋다고 해야 하겠다. 그리고 사주에 금이 없이 이뤄져 있고 또 火도 부족한 상태에서 진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다시 亥時에 태어났으니 癸水는 통근이 되면서 겁재를 생조하여 亥卯未가 완전하게 되었으니 겁인(劫刃)이 미쳐 날뛰는 것을 돕는다고 하겠다. 그 세운을 살펴보면 또 용신에 해당하는 운도 없으니 이로 인해서 물려받은 유산은 점차로 줄어들고 처를 극하고 자식도 없었으니, 이로 미뤄서 추리하건데 운명의 중요한 것은 운에 있다고 하겠으니 어찌 운에 대해서 소홀히 하겠는가? 어느 책에 말하기를 '사람에게 구름을 능멸할 정도의 큰 뜻이 있다고 하더라도 운이 없다면 스스로 이룰 수가 없다.'고 했던 것이다."
【강의】
아마도 상관생재의 구조로 살폈던가 싶다. 그러니까 운이 북방으로 가는 바람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해석이 되는 까닭이다. 남방의 운을 탔더라면 뜻을 이뤘을 것으로 보면 되겠다. 그래서 생각을 해보면 철초님의 생각으로는 이렇게 운의 흐름에 따라서 그 사람의 능력이 발휘되고 말고 하는 까닭이라고 봐서 운을 읽을 수 있는 포인트인 용신에 대해서 비중을 두신 이유를 충분히 헤아릴 만 하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격국론에 만 매달려 있다면 그릇이 크다고 하기는 쉬울지 모르겠지만, 언제 성공을 이룰 지에 대해서는 역시 용신의 운에 의해서 결정이 나기 때문에 자칫 하나마나 한 소리가 될 가능성이 많다고 생각을 해서 현실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용신 방향으로 치중을 하신 것으로 이해를 해본다.
"하나 라는 것이 독이 되는데, 이로 인해서 곡직이니 염상이나 하는 것이 발생하게된다. 화한다는 것은 식상을 말하는데 사주 가운데에 식상이 왕성하고 운에서는 다시 그 식상을 화하는 재운이 들어온다면 이름과 이익을 모두 얻게 된다. 사주에 오행이 모두 갖춰지면 좋은 일이라고 하기는 하지만 한가지 형상으로 세력을 잡고 있는 경우에도 또한 그 주인공이 출세를 할 수가 있는 것이다."
【강의】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을 두고 하는 말이다. 즉 한가지의 성분으로 구성된 사주를 두고 하는 말인데, 곡직격이나 염상격 외에도 가색격(稼穡格) 종혁격(從革格) 그리고 윤하격(潤下格)도 여기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는 사주에서는 식상이 사주에 있기를 바란다는 설명인데 당연한 이야기이다. 비겁이 왕할 경우에는 식상으로 흐르는 것이 가장 순응하면서 빼어난 것으로 봐야 하겠기 때문이고, 다시 식상이 운으로 가면서 재성을 보면 그 기운이 결실을 이루는 것이 되므로 부귀공명을 이룬다는 설명이다. 이치적으로 타당하다고 보겠다.
그런데 다시 생각을 해보면 원국에서 이미 식상이 있다면 구태여 독상(獨象)이라고 할 필요가 없다는 점도 고려를 해야 하겠다. 그러니까 식상이 있으면 식신격 또는 상관격이 되는 셈인데 무엇 때문에 구태여 독상으로써 일행득기격이라고 할 필요가 있겠느냐고 생각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니까 괜히 격국에 매여서 일행득기격이라고 하는 말보다는 식신격으로 놓고 재운을 기다리는 것이 더 좋을 것이다. 그러니까 식상도 없어야 비로소 일행득기격 또는 독상이 되는 것이라는 점도 이런 기회에 한번 생각 해봐야 하겠다. 이 항목에 등장을 하는 예문을 보면 충분히 납득이 되실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부터는 임철초 선생님의 말씀이 아니고 서낙오 님의 부연설명이다. 책에는 이러한 구분이 없는데, 적천수천미에는 없는 내용임을 볼 적에 납득이 되고 아무래도 하지 않아도 되는 내용을 자상하게 설명하신 것으로 봐서 그렇게 생각이 된다. 다만 참고를 하시면 되겠다. 이러한 부분이 발견되면 표시를 하도록 하겠다.
"甲乙 일에 태어나 지지에 方이나 局이 완전하고, 금이 섞이지 않으면 곡직인수격이라고 한다. 丙丁 일간이 지지에 方이나 局으로 되어있고 수가 섞이지 않으면 염상격이다. 戊己 일간이 지지에 진술축미로 되어있고 수가 없으면 가색격이다. 庚辛 일간이 지지에 方이나 局으로 되어있고 화가 섞이지 않으면 종혁격이다. 壬癸 일간이 지지에 方이나 局으로 되어있고 토가 섞이지 않으면 윤하격이다.
이 다섯 가지 격은 모두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빼어난 흐름이므로 정격의 일상적인 이치와는 뜻이 다르다. 중요한 것은 반드시 월령을 장악해야 한다는 것이고, 또 왕이나 생을 만나야 한다. 다만 체질이 지나치게 강하므로 모름지기 유통을 시켜야 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기세가 유통이 되니 모름지기 이러한 점에 잘 살펴야 하겠다.
예를 들면 木局이라고 할 적에 운에서 土를 만나면 비록 재성의 자양이 풍부해 지겠지만 보다 먼저 요구되는 것은 사주에 식상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분쟁의 염려가 없는데, 즉 화운을 만나면 수기가 흘러서 재능이 발휘 될 것이다. 그러니까 모름지기 원국에서 재성이 있고 인성이 없다면 바야흐로 극하는 재앙을 면하게 될 것이고 뜻을 이룰 것이다. 그런데 금운을 보게 되면 목국이 깨어지니 흉은 많아도 좋을 일이 없다.
그리고 水運을 보게 된다면 사주에 화가 없을 때에는 다시 강한 일간을 생조하므로 좋다고 하겠는데, 그대로 종강격에 해당하는 구조와 같다고 하겠다. 그러니까 다시 강한 운으로 가도 무난하다고 하는 것인데 만약 사주에 이미 식상이 있다고 한다면 수운을 만나게 되면 틀림없이 흉하게 됨을 면할 수가 없다.
그리고 원국에 파신이 숨이 있다고 한다면 운에서는 합충의 묘한 변화가 발생해서 해소해야 한다. 만약 일간이 월령을 잃은 상태에서 국을 이루고 있다면 운에서는 다시 생왕하게 해주는 운을 만나야 하는데 그러면 다시 공을 어느 정도나마 이루게 되는 까닭이다. 행운에서 다시 극하는 (金)운을 만난다면 독상에서는 흉함을 그 자리에서 보게 될 것인데, 만약 사주에서 식상이 있어서 도리어 금운을 극하게 된다면 바야흐로 해로움이 없다고 판단한다. 한 마디로 말해서 천간의 글자가 점령하고 있는 영역이 양기라면 강하게 되고 음기라면 약하게 되는 점도 고려한다. 또한 지지를 점령하고 있는 글자들에 대해서도 방이 된다면 비교적 힘이 강하고 국이 된다면 힘이 비교적 떨어진다고 본다. 독상이 비록 아름답다고는 하지만 다만 두려운 점은 운에서 금운이 들어오는 것이다. 합상은 비록 난잡하기는 하지만 도리어 제화(制化)의 공을 이루므로 기뻐하는 것이다."
【강의】
이 정도의 부연 설명이다. 특별히 탓을 할 부분은 없다고 하겠지만 없어도 되는 내용이라는 생각은 든다. 그냥 지나는 길에 한번 살펴보는 것으로 충분하겠다.
"지지가 전부 인묘진 동방으로 되어있다. 여기에서 化하는 성분은 丙丁火가 되겠는데, 빼어난 기운을 유통시키니 곡직인수격이 되었다. 어려서 과거에 합격하고 일찍이 벼슬길이 순조로웠다 그리고 재운으로 흐르면서 사주 원국에서 식상이 겁재를 화하는 공덕이 있는데 에다가 금운을 가면서는 또 丙丁火가 원국에서 능히 제어를 하고 보호 해주며, 다시 임수 대운에는 화를 극하여 수기를 상하게 하니 직장에서 밀려나서 집으로 간 다음에 녹을 얻지 못했다."
【강의】
사주는 참 좋았는데, 운에서 마땅치 못해서 능력을 모두 발휘하지 못했던 모양이다. 아쉽게 되었다. 결국 능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운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 사주는 이미 독상(獨象)이 아니라 식신격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낭월이 생각하기엔 아마도 이 항목에 어울리는 사주가 없으니까 적당하게 찾아서 우겨 넣은 것으로 생각이 된다. 철초님이 그 정도의 상황을 몰라서 여기에 넣은 것은 아닐 것으로 봐서이다.
"천간의 무기토가 정화를 만났고, 지지는 축미토로 중중하다. 또 자축이 합하여 토로 변화하는 맛도 있으니 격은 이미 가색격으로 되었는데, 부족한 것은 丑土 속에 辛金을 꺼낼 수가 없다는 점이다. 또 국 중에 정화가 셋이나 있으니 辛金은 암암리에 손상을 당하여 생화(生化)의 묘함을 얻지 못하였다. 그래서 자식을 얻기도 어려웠는데, 만약 천간에 庚金이나 辛金 중에 하나만 투출이 되어 있었거나 지지에 申酉 중에서 하나만 있었더라도 자식이 반드시 많았을 것인데 아쉽게 되었다."
【강의】
기운이 흐른다는 것은 참으로 아름다운 것이라고 하는 점을 이런 사주를 보면서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 금이 하나 있었더라면 이미 독상이 아니었을 것이다. 식신격 또는 상관격이 되는 셈이다. 그리고 이 사주는 어찌 보면 군겁쟁재의 형태도 띠고 있다. 그리고 이미 독상이 아닌 것은 子水가 끼여 있어서이다. 이 정도라면 구태여 독상이라고 할 필요가 없다고 봐서 실은 외격의 구조는 그리 흔한 것이 아니라고 봐야 하겠다.
"이 사주는 지지가 전부 화국인데, 목은 화의 세력을 따라서 염상이 되었다. 아까운 것은 목이 너무 왕해서 토를 극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식상의 기운이 상하게 된다. 그러니 공부도 하기 어려웠고, 무과로 나갔는데, 벼슬은 부장급이 되었다. 운이 申酉의 금운으로 가자 또한 戌未의 조토를 유통시켜서 허물이 없었고, 亥水 대운에서는 다행히 未와 만나고 인과 합이 되는 바람에 직위가 약간 떨어지는 정도였는데, 庚子 대운으로 바뀌자 천간에 식상이 없으니 지지에서 충격을 만나면서 군중에서 죽었다."
【강의】
염상격인 것은 사실이지만 습토가 없는 것이 아쉽고 역시 미토가 있음으로써 오행에서 金水만 빠졌으니 결국 독상은 아니라고 해야 하겠다. 억지로 염상격의 구조를 찾은 것으로 봐야 하겠다. 상관격으로 보고 재운을 기다리는 것으로 해석을 하면 되겠는데, 너무 조열해서 편고하니까 문관은 어렵고 해서 무관으로 진행이 되었던 모양인가 싶다.
"천간에는 을경이 합해서 금으로 변하고 지지는 신유술 방합으로 종혁격이다. 아깝게도 水가 없으니 강력한 살 기운을 띠고 있는 금이 너무 예리하다. 그래서 다만 공부를 못했을 뿐만 아니라 또 좋은 결말도 어렵게 되는데, 보병출신으로 벼슬이 참장까지 이르렀으나 寅木 운으로 바뀌자 군진에서 죽었다. 이것은 사주에서 식상이 없었던 까닭이다. 또 寅戌이 합을 하니 그로 인해서 사주에 왕성한 금의 성질을 건드린 것도 있을 것이다."
【강의】
여전히 土金木이 있으니 독상이라고 하기에는 좀 서운하다. 그렇거나 말거나 식상이 없는 것은 참으로 아쉽다고 하겠다. 그렇다고 화가 뚜렷하게 나와 있는 것도 아니니 용신이 보이지 않는 사주라고 해도 되겠다. 이런 사주는 수운이나 화운이 모두 좋은 것으로 봐도 되겠다. 인목의 운이 寅戌의 작용이 있었을 것이라고는 하셨지만 아무래도 그보다는 군겁쟁재의 작용이 아닌가 싶다. 인술은 실제로 합의 작용이 없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그냥 관습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하셨다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地支는 亥子丑에다가 천간에는 임수와 신금이 있어 윤하격이 이뤄졌다. 반갑게도 운도 어기질 않아서 일찍이 공부를 많이 했고, 甲寅 대운에는 수기가 유행을 하니 수석으로 합격하고 등과했으며 乙卯대운에도 벼슬길이 평탄했다. 그래서 현령으로 시작해서 주목으로 옮겼는데, 병화대운은 원국에서 식상의 유통이 없는 바람에 군겁쟁재가 일어나서 죽었다."
【강의】
여기에서는 군겁쟁재의 탈이라고 이야기를 하니 정확한 설명이라고 보겠다. 원국에서 水가 목을 보지 못했던 탓도 타당하다고 보인다. 그러고 보면 일간의 기운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식상이 없는 상태에서 재운이 오면 좋을 까닭이 없다고 정리를 해도 무리가 없겠다. 다들 그렇게 깨어진 것을 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하겠고, 여기에서 군겁쟁재의 재앙을 느낄 수가 있겠다.
"셋이 있으면 완전하게 된다고 하는데, 일주와 희신과 용신을 두고 하는 말이다. 상관생재격이거나 관인상생격이나 재관격 등이 모두 전상에 해당한다고 보면 되겠다. 상관생재를 두고 본다면 일주가 왕상할 경우에는 재성의 운이 가장 반갑다고 보면 된다. 혹시 사주에 비겁이 너무 많다면 재성이 겁재에게 피해를 당하게 되므로 관성의 운이 반드시 좋은 것이다. 그리고 상관의 운도 당연히 좋다. 모름지기 사주를 보고 그 의중에 따라서 정하면 되겠다.
일주가 왕하고 상관이 약한데 인성이 있다면 재운을 기뻐하고 관성의 운은 반기지 않는다. 또 일주가 왕하고 재성이 약한데 비겁도 있다면 관성은 반갑지만 재성의 운은 덜 반가운 것이다. 재성과 관성이 함께 보이면서 일주도 왕하다면 재운이 반가운데 이때에는 관운은 반갑지 않다. 또 관인상생격을 이뤘을 적에 일주가 허약하다면 인성의 운은 반갑지만 비겁의 운은 반갑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대체로 운명을 논함에는 한가지로 집착을 보이는 것은 불가하다. 모름지기 전체의 상황을 살펴서 일주의 희기를 적당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강의】
여기에서는 희신을 정하는 요령에 대해서 언급이 되어있는 셈이다. 참으로 중요한 대목이라고 하겠는데, 이 대목을 보면서 희신은 무조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용신의 상황을 봐서 결정해야 한다는 것을 헤아리게 된다. 이 대목은 중요하다고 봐서 좀더 부연 설명을 해야 하겠다. 아마도 낙오 선생님께서 중간중간에 부연설명을 하신 것도 이러한 마음으로 시도하셨을 것으로 생각이 된다 부디 군더더기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으로 희신을 정하는 공식 비슷한 것을 만들어 보겠다.
희신을 찾는 요령
1. 인성이 용신일 때
1) 인성이 약하면 관살이 희신이다.
2) 인성이 강하면 비겁이 희신이다.
3) 재성이 많으면 비겁이 희신이다.
4) 식상이 많으면 희신은 관살이니 무력하다.
5) 관살이 많으면 희신은 비겁이니 무력하다.
6) 대체로 비겁이 희신이 된다.
2. 비겁이 용신일 때
1) 관살이나 식상이 많으면 인성이 희신이다.
2) 재성이 많으면 인성이 희신이니 무력하다.
3) 대체로 인성의 희신이 된다.
3. 식상이 용신일 때
1) 식상이 강하면 재성이 용신이다.
2) 식상이 약하면 비겁이 희신이다.
3) 인성이 용신을 극하면 재성이 희신이다.
4) 대체로 재성이 희신이 된다.
4. 재성이 용신일 때
1) 재성이 약하면 식상이 희신이다.
2) 재성이 왕하면 관살도 무방하다.
3) 비겁이 많으면 관살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4) 인성이 많으면 식상이 희신이니 무력하다.
5) 대체로 식상이 희신이 된다.
5. 관살이 용신일 때
1) 관살이 약하면 재성이 희신이다.
2) 관살이 왕하면 재성이 희신이나 중요하진 않다.
3) 식상이 극하면 인성이 희신이다.
4) 대체로 재성이 희신이 된다.
6. 한마디로 요약을 한다면
1) 용신이 극을 받으면 용신의 식상이 희신이고
2) 용신이 약하다면 용신의 인성이 희신이다.
3) 이와 무관한 용신의 상황이라면 희신은 의미가 없다.
이상 몇 가지로 구분을 해봤다. 앞의 철초님 말씀에 부연설명을 한 셈인데, 참고가 되시면 좋겠다. 대체적으로는 같은 맥락을 이루는 내용이다.
"정묘일주가 늦봄에 태어났는데, 상관이 재를 생하고 있는 형상이다. 싫어하는 바는 사주에 목이 너무 왕성하여 토가 허약한 점인데, 공부를 하지 못했으나 다행히도 상관이 겁재를 화하는 것으로 해서 丙火로 하여금 재성을 차지하려는 마음을 없앤다. 그래서 庚申 辛酉의 대운에서 부친의 사업이 비록 미약했지만 스스로 창업하여 규모가 자못 컸는데, 수십 억의 재물을 모았던 것이다."
【강의】
丁卯일주가 왕하다고 봐서 상관생재가 되었는데, 크게 왕하다고는 하지 않더라도 이 정도면 상관을 감당할 만 하다고 하겠다. 그래서 희신으로는 재성이 되는 구조이고, 재성이 토의 보호를 받고 있으니까 안전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재성이 용신이라고 해도 되겠다. 재성을 비겁들이 나눠 먹으려고 싸우는 것이 두려운 점이지만, 식상이 있으니까 염려할 바가 없다고 보겠는데, 참으로 운이 묘하게 흘러서 20년간 재운이 되니까 원하는 바의 사업을 이룩할 수가 있었다고 봐서 틀림이 없겠다.
"불이 미월에 태어나서 지지에는 또 巳午未가 있으니 왕이 극에 달했다. 火土로 상관생재의 구조가 되었는데, 싫은 것은 丁火의 겁재가 천간에 투출된 점이다. 그리고 사주에 습기라고는 전혀 없으니 겁재 들이 더욱 날뛰게 되고 해서 부모의 유산을 지키지 못하고 돌아가시자 어려서부터 고아가 되어 고통이 극심했으며 다시 중운에서도 굶주리고 헐벗었다. 60이 되기 전까지는 운이 東南의 木火운이니 처와 재물과 자식에서 아무 것도 되는 것이 없었다.
그러다가 丑土 대운이 되면서 북방의 습지로 이동을 하니 불을 흡수하고 금을 생하면서 또 금국까지 되니 이로 쫓아서 기이한 좋은 인연을 만나 일을 벌려서 돈을 벌었는데 나이 70에는 또 첩을 사서는 연이어 아들을 둘 두었으며 이어지는 甲子 癸亥의 북방 운에서는 엄청난 돈을 벌었다. 그리고 수명은 90세를 넘겼으니 언에 말하기를(諺云) '그 운이 있다면 반드시 그 복을 얻으리라' 했는데, 믿을 만 한 말이다."
【강의】
참으로 운의 위력에 대해서 달리 할 말이 없는 사주이다. 나이 70이면 누구나 포기를 해야 할 시간이라고 해야 하겠는데, 이렇게 운에 따라서는 20~30년의 행복을 추구할 수도 있다는 것이 참 신기하기만 하다. 이러한 장면을 보면 운이 늦게 들어온다고 한탄을 할 것이 아니라 그 운을 어떻게 요리할 것인가를 궁리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해야 할 모양이다. 사주의 용신은 금이 되는 것으로 봐야 하겠고, 희신은 토인데 너무 조열해서 희신의 역할을 못했다고 봐야 하겠다.
'형상이 완전한 자는 그 넘치는 것을 덜어줘야 하고, 형상에 결함이 있는 자는 그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야 한다.'
"세력이 충분하면 마땅히 덜어내야 하고 세력이 부족하면 마땅히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은 즉 자평명리에서 말하는 抑扶法을 두고 하는 말이다. 그러니까 왕하면 관살이나 식상으로 설하거나 극해야 한다는 말이고, 약할 적에는 인겁으로 도와주는 것을 좋아한다는 말이다. 명리에 관한 서적이 일만 권이라고 하더라도 이 단 두 마디를 벗어나기는 불가능하니 이 글을 읽으면 그 자리에서 너무나 통쾌함을 느낀다. '형전의손 형결의보(形全宜損. 形缺宜補).....' 얼마나 간단하면서도 요긴한 말이냐~! 이렇게 명쾌한 것이 적천수식 자평명리학이라고 해도 되겠다. 그렇게 뚜렷하고 명백하다. 그 심오한 영역까지 연구를 하고 그 속에서 작용하는 이치는 실로 지극하다고 해야 하겠다.
별 수 없는 역술가들은 왕하면 설상을 쓰고 약하면 방조를 쓴다고 말은 하면서도 그 용법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더라. 그러다 보니까 길흉이 뒤바뀌게 되고 그래서 좋고 나쁜 것이 뒤범벅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다시 이 네 글자의 의미를 모름지기 명확히 알아야 하므로 다시 부연설명을 해보도록 하겠다.
설하는 것이 마땅하다(宜洩)는 말은 설하게 되는 것이 묘하다는 말이다. 그리고 극하는 것이 마땅하다(宜傷)는 말은 극해야 공이 된다는 말이다. 설하는 것은 食傷을 의미하고 상하는 것은 官殺을 두고 하는 말이다. 모두 왕할 경우에 쓰는 방법인데, 때로는 설하는 것이 병이 되는 경우도 있는 것이고, 그런 때에는 극해야 유리한 경우가 되는 것이다. 혹은 설하는 것이 유리하고 극하는 것은 오히려 해가 되기도 한다. 그래서 설하고 상하는 두 글자는 잘 분별해서 사용을 해야 하는 것이다.
(比劫으로) 곁들어줘야 할 경우에는(방) 그렇게 하는 것이 공이 되고, (印星으로) 생조를 해야 할 경우라면(助) 또한 그렇게 해야 아름답다. 방은 비겁이고 조는 인성이다. 모두 쇠약할 경우에 해당하는데, 혹 비겁으로 돕는 것이 흉하고 인성으로 돕는 것이 길할 경우가 있고, 혹은 인성으로 돕는 것이 흉하고 비겁으로 돕는 것이 길할 경우도 있으니 이 방과 助의 두 글자도 또한 잘 분별해서 써야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日主가 왕상하고 사주의 재관은 무력한 상황에서 (식상으로) 설하게 되면 관성은 손살을 받게 될 것인데, 이때 (관살로) 극을 하게 되면 비겁이 많은 것도 제어하면서 관성의 부족한 것도 보조하게 되니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관살의 극이 유리하고 식상의 설은 불리하다고 하는 것이다.
일주가 왕한데 관살은 보이지 않고 비겁이 가득하다면 이러한 경우에는 관살로 극하게 되면 오히려 비겁이 격렬해져서 해로움이 되는데, 기세를 따라서 식상으로 설하는 것만 못하게 되니 그래서 극하는 것은 해가 되고 설하는 것이 이롭다고 하는 것이다.
일주가 쇠약한데 사주에는 재성이 가득한 상황이라면 인성으로 돕는다고 할 경우에는 인성이 무슨 힘이 있으랴 그래서 이런 경우에는 비겁으로 도와서 재성의 넘치는 것을 제어하고 일주의 부족한 기운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니 이런 경우에는 비겁으로 돕는 것이 인성으로 생하는 것보다 유리하다.
일주가 쇠약한데 사주에는 관살이 넘쳐나고 살의 세력이 가득하다면 비겁으로 돕는 것은 아마도 극을 받아서 무정하게 될 것이다. 그러니까 인성으로 살의 기운을 화하여 일간을 돕는 것만 못하다고 하는 것이니 비겁으로 돕는 것보다는 인성의 도움이 길한 것이다.
이렇게 보완하는 것은 선배님들이 명확하게 하지 않은 부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그리고 목이 寅卯辰월에 생하거나 화가 巳午未월에 생하면 형상이 완전하다는 말은 또한 치우친 판단이다. 예를 들어 목이 寅卯辰에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천간에 庚辛금이 있고 지지에는 申酉금이 있다면 형상이 완전하니 극해야 한다는 말을 할 수가 있겠는가? 또 火가 巳午未의 남방 계절에 났다고 하더라도 천간에 壬癸수가 투출되고 지지에는 亥子수가 있다면 또한 형상이 완전하니까 극해야 한다고 하지 못할 것이다. 또한 토가 寅卯辰월에 생하여 형상이 결함이라도 하더라도 천간에 丙丁화가 있고 지지에 巳午화가 있다면 또한 형상이 부족하니 생조를 해줘야 한다고 할 것인가? 또 금이 巳午未의 남방에 태어났다고 할 경우에라도 천간에 戊己토가 있고, 지지에 申酉금이 있다면 또한 형상이 부족하니 도와야 한다고 하겠는가?
대저 이렇게 연구하다보면 왕한 가운데에서도 약한 경우가 있고, 약한 가운데에서도 왕하게 변하는 경우도 있으니 한가지 이론에 집착하는 것이 불가한데, 이렇게 실은 극설을 해야 할 것처럼 보이더라도 극을 하게 되면 도리어 해가 되는 경우도 있고, 실은 마땅히 보호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보호를 해줘도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도 많으니 모름지기 자세히 관찰하고 살펴야 한다."
흔히 강호의 선배님들 중에는 상당수가 그렇게들 말씀하신다. '억부법이 전부가 아니라'고, 심지어는 억부를 벗어나지 않으면 햇병아리를 면하지 못한다고도 말한다. 그래서 짐짓 억부에 비중을 두고 연구하는 학인 들에게 압력을 넣기도 한다. 그래서 이러한 명확하게 지적한 내용이 없다면 자칫 흔들리기 쉬운 것이 공부하는 사람의 입장이다. 낭월이에게도 다들 그렇게 시비를 걸었다. 억부만 갖고 공부하는 것을 보니 아직은 멀었다고 생각된다는 식으로 말이다. 그래서 과연 그런지 따져보자고 하면 또한 달리 별 뾰족한 수도 없는 것을 발견하고는 웃어버린다. 철초님이 이렇게 명확하게 설명하신 내용을 읽지 못했다면 아마도 낭월이가 이만큼이나마 명리학을 정리하는 데에는 또 몇 년의 시간이 흘러갔을 지도 모른다. 그런데 다행히도 이렇게 정말 영양가가 넘치는 말씀을 접하게 되었기에 그래도 이 정도에서 정리를 할 수가 있었다고 생각이 되어서 항상 감사하는 마음을 깊이 간직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적천수도 별 것 아녀~!' 라고 하는 부류를 만나면 속으로 슬며시 비웃음이 번진다. 과연 한번이나마 정독을 해보고서 하는 말인지 의심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도 구태여 읽어보라고 권하지는 않는다. 모두가 스스로의 인연일 뿐이라고 간단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렇게 벗님과 인연이 되어서 함께 철초 님의 심경을 즐기고 있으니 이러면 되었지 더 바랄 것이 뭐가 있겠느냐고 생각하고 싶다. 우리는 서로 행운이라고 해야 하겠다. 또 계속해서 설명을 들어보도록 하자.
이러한 내용은 철초님의 입장에서는 원문에다가 추가했으면 좋겠다는 기분으로 쓰신 것이 아닌가 싶은 느낌이 든다. 그만큼 자신감을 갖고서 정리를 하신 대목인데, 구태여 부연설명을 하지 않아도 될 만해서 군소리는 널어놓지 않고 넘어가도록 한다.
"가을 금이 대단히 날카로운데, 관성은 허탈하여 제어가 불가능하다. 재성은 또 절지에 임하고 있으니 어느 겨를에 관성을 돌볼까.... 초운의 土金운에서는 불을 어둡게 하고 금을 생조하니 온갖 고통이 극심해서 볼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丁未 丙午 대운에서 관성이 서서히 힘을 받아서 다시 가업을 세우고 乙巳대운에는 늙으막의 풍경이 아름다웠으니 이른바 '상지유공' 즉 관살로 극하는 공이 되었던 것이다."
【강의】
이 사주는 우선 금이 왕해서 年干의 정관으로 용신을 삼았다고 하는데, 또 달리 생각을 해보면 일지의 상관을 용신으로 삼을 수도 있지 않았겠느냐는 생각도 해봄직 하다고 하겠다. 다만 세운의 남방에서 발했다고 한다면 더 이상 말이 필요 없어서 그대로 관성을 용신으로 삼았다고 하면 되겠지만 혹 경우에 따라서는 상관을 용신으로 삼을 수도 있겠으므로 한번 넌지시 물어보는 것도 좋겠다. 요즘 같으면 상관이 필요한 구조라고 생각도 되어서이다. 왜냐면 생조를 받고 있는 상관이기에 일간의 마음이 온통 이쪽으로 향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물론 예전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당연히 정관을 용신으로 삼았을 것이 틀림없다고 하겠다.
"을목이 경금을 따라 화하고 지지가 서방인데 관성은 보이지 않는다. 또 녹왕에 앉아 있으니 금기운이 독재를 행사하는데, 그 세력이 대단히 강하니 비록 壬水가 있다고는 하지만 戊土가 극을 하고 있으니 금기운을 설하여 살기를 유통시키기에는 부족하다고 하겠다. 처음 癸亥 甲子의 운에서는 흐름에 따라서 재물이 마음을 따라 주었는데, 丙寅운으로 한번 바뀌면서 왕신을 건드렸으니 한번 깨어지니 불꺼진 재와 같았고 의식을 해결하기도 어려워서 목을 매고 죽었으니 이른바 '설기해서 유익한 상황에서는 극하면 해롭다.' 고 하는 말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강의】
용신이 식신생재로 흘러야 하는데, 식신은 인성에게 깨여지고 재성은 겁탈을 당한 형상이어서 먹고살기에도 곤궁했던 모양이다. 오죽하면 자신의 손으로 목을 매었겠는가를 생각해본다. 절박하면서도 처절한 현실을 자평명리를 통해서만 파악하고 이해를 할 수가 있는 일이다. 그래서 사주팔자를 들여다 보노라면 이해를 하지 못할 사람이 없다는 생각이 들고 그야말로 사기꾼이나 살인자라고 해도 사주를 보면 납득이 되는 것이 참으로 팔자를 속일 수가 없는 것인가.... 싶은 생각이 든다.
"이 사주를 일반적으로 말하기는 '丙火가 巳月에 비견을 만나니 반드시 재성을 용신으로 본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庚辛金이 이렇게 중첩되어서 왕성하고 홀로 인성이 손상을 받고 있는 꼴이라니.... 인성이 얼마나 약한지 짐작이 된다. 운이 甲申 乙酉로 가면서 금이 득지하고 목은 무근해서 고통이 극심했고, 丙戌 대운과 丁火의 운까지는 다시 이름을 날렸는데, 이것은 재다신약에서 비겁이 도와준 공이라고 하겠다."
【강의】
그러니까 일반적으로 보기에는 금이 용신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금운에서 손상을 크게 입은 것을 보면 목이 용신이라고 하는 설명이다. 그리고 실제로 丙辰 일주의 특성을 봐서 신약한 형상이다. 여기에서 속론지라고 하는 말은 일반적으로 월지의 상황에 비중을 두고 설명하는 선생들에 대해서 하는 말씀이 아닌가 싶다. 물론 이치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주장을 할 적에 많이 활용하고 있는 스타일의 문구이다. 그러니까 읽어가다가 속론지(俗論之)가 나오면 당시에 세인들이 일반적으로 하던 이야기라고 이해를 하시면 되겠다. 이 사주의 경우에는 재성이 많아서 신약하므로 인성은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실제로 도움을 주는 것은 비겁이라고 하는 것을 이해하면 되겠다.
"천지에 관살이니 일주가 약하다. 비록 식상인 丑土와 辰土가 있지만 습토로서 물을 저장하는 성분일 뿐이지 멈추지는 못하는 형상이다. 초운 甲寅과 乙卯운에서 살을 화해서 일간을 생조해 주므로 일찍이 반궁에서 공부를 했는데, 재물도 많았다. 후에 丙辰 운으로 바뀌면서 일간을 도와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리어 관살로부터 회극을 당하는 형상이니 처자식을 형극하고 가업이 흩어졌다. 그리고 申金에 해당하는 세운에서 신자신의 시국이 되는 바람에 죽었으니 이른바 '인성으로 돕는 것은 길하지만 비겁으로 돕는 것은 흉하다.' 라는 말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강의】
여기에서 반수(泮水)라는 말은 제후들의 자제들이 공부하는 귀족 학교라고 이해를 하면 되겠다. 그러니까 초운에는 잘 나갔다는 말인데 후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 망하게 되었는데, 사주에서 보면 이미 관살이 많음으로 해서 살아가기에도 부담이 되어 보인다. 인성이 없다는 것이 이렇게도 한을 남기게 되는 모양이다. 관살이 많으니 비겁은 별 도움이 안 되는 것은 사실이다.
"이 사주는 일반적으로 말하기를 '신강하고 관살은 약하니 경금을 취해서 용신으로 하는데, 봄의 나무가 금을 만났으니 동량지목을 얻은 것이다.' 라는 말을 할 것이다. 그리고 '책을 읽으면 반드시 출세를 한다'고 권할 것인데 운이 3번을 넘어가도록 책을 읽어도 되는 것이 없었고, 또 가세도 점차로 기울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내가(철초 자신) 생각해보니 앉은자리와 월지에 寅木이 있으니 당령을 하였고, 천간에 壬水가 투출되었으니 왕신을 생조하는 형상이다. 년지의 辰土는 다시 물의 고지이면서 木의 여기이기도 하다. 능히 물을 저장하고 목을 기르지만 금을 생하기는 불가능하다. 일점의 庚金은 이미 허약한 상황에서 다시 午火의 공격을 받고 있으며 壬水는 또 약한 금의 기운을 설하기조차 하니 용신으로 생각을 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니까 도리어 물을 생조하는 기신이 되는 셈이다.
대체로 극히 왕성한 사주에서는 설하는 것이 좋고 극하는 것은 나쁘다고 했는데, 기세에 따르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해야 그 성질에 따른다고 생각을 하게 되어서 午火를 용신으로 하고 장래에 火의 운을 기다려서 비록 부자가 될지는 몰라도 이름이라도 얻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부귀나 이득을 찾는 사주는 명예를 버리고 실리를 찾게 되는 것인데 이로 인해서 선비의 책을 버리고 장사의 길로 나섰다. 그리고 丙午운이 되면서 경금의 병을 날려버리고 십년도 채 되지 않아서 재물을 10억 정도나 벌었으니 경금이 병이 되었던 것이 분명하다고 하겠다."
【강의】
역시 용신의 후보가 둘일 경우에는 월령을 잡은 글자를 용신으로 정한다고 생각하면 더욱 적중률이 좋을 것으로 봐도 되겠다. 여기에서도 봄날의 목은 金보다는 火를 더 좋아했던 것인 분명하다고 봐서 흐름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이러한 경우는 가끔 있는데, 간단히 생각하면 봄날의 甲木이 午時에 태어나면 庚金을 버리고 午火를 취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겠다. 물론 신약하다면 이러한 이야기는 쓸모가 없을 것이다.
"이 사주는 왕성한 수가 금까지 만났으니, 기세가 넘쳐서 범람을 하고 상관 甲木은 시들고 떠있다. 비록 수의 기운을 설한다고는 하지만 그 흐름을 멈추기는 고사하고 도리어 물이 근심이 되니 흐름에 맡기는 것의 아름다움만 못하겠다. 초운에 癸亥에서 왕신을 도와주니 부모 덕이 넉넉했는데 壬戌로 바뀌면서 물이 통근을 하지 못하고 (戌土는) 기세를 거슬리게 되어 고통이 함께 나타났다. 辛酉운과 庚申운은 다시 부모와 가세가 왕성해졌는데 己未 戊午를 보내면서 그 성품을 거역하니 반평생 쌓은 일을 동류에 모두 흘려보내고 처자를 형극하였으며 그 고통을 이루 말로 다할 수가 없었는데 의지를 할 곳도 없었다. 그래서 곤륜의 왕성한 물은 흐름을 거역하지 말고 그대로 둬야 한다는 말이 있는 것이다."
【강의】
이른바 從旺格이 되어버린다는 설명이다. 설명을 봐서는 별로 토를 달 이유가 없어 보이기는 하지만 문제는 현재에 이러한 사주가 있다면 그냥 목을 용신으로 삼아 놓고서 화운을 기다릴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해봐야 하지 않겠느냐는 걱정도 약간 된다. 특히 사주에 금이 있으므로 목을 버리고서 종왕격이 되었다고 생각이 되는데, 그래도 혹 모르므로 이런 사주를 만나신다면 한번 확인을 해보시라고 당부 드린다.
첫댓글 좋은 자료 많이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차근 차근 봐야할텐데... 능력이 모자라서 ㅎㅎ
영인님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인님 만만세~~ 좋은 하루 되십시오~~
철현도 찾았는데요.^^
에공~~ 감사합니다~~
철현님 여기 계시는구나!~~~한라봉 감귤 주!~~~~~~~~~우^^
철현님 혼자 드시지 마시고 하나 안될까여!!...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