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토지사랑모임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요정
바탕화면 정리[데스크탑의 정리] 바탕화면에는 자신이 정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단축아이콘만을 둔다. 너무 많은 아이콘은 찾기도 어지러울 뿐 아니라. 화면 밖으로 벗어나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바탕화면의 아이콘 한 개는 그만큼의 메모리를 적게나마 점유한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도구모음에 집어넣고 자동숨김으로 해놓고 사용해도 좋다. | ||
바탕화면을 깨끗하게 윈도98의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지저분하게 느껴진다면 바탕화면의 모든 아이콘들이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바탕화면의 사용을 아예 막아 놓는 것이다. 다음 레지스트리 키를 연다. | ||
바탕화면의 아이콘 잠그기 누군가 잠시 자리를 비운사이 바탕화면에 잘 정렬해둔 아이콘들을 흐트려 놓는다면 그것도 짜증나는 일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이콘을 잘 배열한 뒤에 재부팅 하고 다음 레지스트리 키를 찾는다. | ||
바탕화면의 아이콘에게 자유를 앞의 팁을 참조하여 시스템 아이콘의 CLSID를 찾아라. 그리고 아래 레지스트리로 이동해 보자. | ||
귀찮은 바탕화면 아이콘 삭제 바탕화면에 별로 사용하지도 않는 아이콘이 있으면 느냥 두어도 상관은 없지만 그래도 눈에 거슬린다면 이렇게 삭제할 수 있다. 다음의 레지스트리 키를 찾는다. | ||
접근할 수 없는 화면배색 항목 고치기 [제어판]-[디스플레이] 애플릿에서 화면배색 탭에서 화면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는데, 몇가지 항목은 바꿀 수가 없도록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레지스트리를 편집하여 이런 부분도 색상을 바꿀 수 있다. 다음 레지스트리 키를 찾는다. | ||
배경그림 위치 임의로 정하기 플러스 팩이 설치된 윈도98은 바탕화면의 배경그림 위치를 3가지(가운데, 바둑판 식, 늘임)로 제공한다. 그러나 배경 그림을 x,y축을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에 놓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다음 레지스트리 키를 찾는다. | ||
윈도우 색상 설정의 저장 시스템을 다시 설치해야해야 하거나 혹은 주변의 바보로 인해 자신이 공들여 만든 색상 구성을 망쳐 버린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왕 망쳐 버린 색상은 어쩔 수 없지만, 앞으로는 다음 레지스트리 키를 항목을 저장함으로써 윈도우의 색상을 저장할 수 있다. | ||
바탕화면에서 아이콘 사용을 막는 방법 | ||
바탕화면에 트루컬러 아이콘을 이용하는 방법 윈도우 95에서는 아이콘의 컬러가 256이다. 윈도우 95에서 트루컬러 아이콘을 이용해보자. | ||
바탕화면에서 사용하는 단축키 바탕화면 또는 시작버튼의 바로가기를 선택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록정보]를 선택한다. "바로가는 키" 필드로 이동한 후 원하는 키를 조합할 수 있다. Ctrl+Alt 혹은 Ctrl+Shift키와 다른 키의 조합으로 단축키를 만들 수 있다. 물론 이 단축키는 바탕화면이 보이지 않아도 실행할 수 있다. 단,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단축키와 충돌할 경우도 있으니 주의한다. 단축키가 충돌하는 경우중 특히 F11을 피한다. 탐색기/IE4 의 전체화면 보기 단축키와 충돌할 경우 윈도가 멈춰 버린다. 스위치를 끄는 수밖에... | ||
모뎀사용자에게 필요없는 네트워크 아이콘 없애기 | ||
화면에 떠있는 한글 토글창을 없애는 방법 | ||
윈도우키를 이용한 단축키 106키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Ctrl키와 Alt키 사이에 놓인 윈도 키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키는 시작 메뉴를 빨리 열어 주는 역할도 하지만 이 키와 다른 키를 조합하면 여라가지 단축키 기능도 한다. | ||
시작 메뉴에서 특별히 추가 할 수 있는 메뉴들 시작메뉴에 윈도98을 설치했을 때 기본적으로 나타나는 메뉴 외에 여러분이 따로 추가할 수 있는 메뉴가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 메뉴에 손쉽게 메뉴를 추가할 수 있는 것과는 달리 이 경우 특별한 CLSID 가 필요하다. 그냥 Control Panel만 추가해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아래는 시작메뉴에 추가할 수 있는 메뉴와 관련된 CLSID를 나타낸다. | ||
HTML 문서를 배경화면으로 사용하기 윈도98의 액티브 데스크 톱의 기능 중 하나로 배경 화면으로 HTML 문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경 화면으로 사용되는 문서에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배경화면에 표시된 링크를 누르면 윈도98은 디폴트로 정의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웹 페이지에 접속할 것이다. 그러나, 링크가 단지 온라인에 있는 페이지만 호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File:///URL을 사용하면 로컬 드라이브의 파일도 마음대로 불러낼 수 있다. | ||
스크랩 파일 만들기 "문서 바로 가기"가 워드97의 문서 이름과 위치를 기억하고 있는 반면, 스크랩 파일은 마우스로 선택한 텍스트를 워드 파일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워드97이나 워드 패드를 실행하여 마우스로 특정 텍스트를 선택한 후 오른쪽 버튼을 눌러 바탕 화면에 던져 넣어보자. 팝업메뉴에서 "스크랩 파일 만들기"를 선택하면 텍스트를 저장한 스크랩 파일 아이콘이 생성된다. [도구모음을 이용한 스크랩 파일 관리] | ||
문서 바로가기는 어떻게 만드나? 워드97을 사용하고 있다면 문서 관리를 위한 멋진 팁을 사용할 수 있다. 우선 워드97을 실행하여 바탕화면이 보이도록 적당한 크기로 창을 조정하라. 마우스로 문자열을 선택하고 선택된 블록 위로 마우스를 옮긴 후 오른쪽 버튼을 눌러 바탕화면으로 끌어온다. 마우스 버튼을 놓으면 컨텐츠 메뉴가 나타날 것이다. 이 메뉴에서 "여기에 문서 바로 가기 만들기"를 선택한다. 바탕화면에 워드97의 문서 바로 가기 아이콘이 생성될 것이다. | ||
바탕화면에 가지 않고 바로 가기 만들기 윈도우 탐색기나 내 컴퓨터를 열어서 바로 가기를 만들 아이콘을 선택한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보내기]메뉴를 눌러 보자. "바탕화면에 바로 가기 만들기"라는 메뉴가 있을 것이다. | ||
채널들을 재정렬하기 모든 윈도우/IE 제품들이 그렇듯이 채널도 끌어서 놓기(Drag & Drop)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로 채널을 끌어서 다른 곳에 놓으려고 할 경우 회색의 수평선이 나타나서 그곳이 채널을 놓기에 적당한 지 알려줄 것이다. | ||
채널 바 다루기 채널 바가 쓸모있다는 것을 알고 난 이후 여러분은 어떤 순간 채널 바를 관리가 상당한 불편하는 것도 알게 될 것이다. 모든 채널은 채널 바에 저장되고 이곳에 층층이 쌓인다. 채널 바의 가장 밑에 있는 채널로 이동하려면 마우스 버튼을 계속 누르고 계속 아래로 스크롤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더 나쁜 것은 주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그 아래로 많은 서브 카테고리가 주루룩 나타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수 백개의 채널을 스크롤하는 것도 장난이 아니게 된다. | ||
트레이의 '작업 스케줄러' 없애기 윈도를 처음 설치하면 트레이에 뭔가 잔뜩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중 '작업 스케줄러' 라는 것은 특정 시간에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디스크 검사와 디스크 조각 모음이 들어 있다. 사실 이러한 기능은 실제로 필요해서 사용하 기보다는 컴퓨터에 이상이 있다 싶을 때 한 번씩 사용해 보는 것이 고작이므로 제거해 버리 는 것이 좋다. | ||
폴더 아이콘을 개성있게 꾸미기 폴더아이콘은 흔히 노란색의 서류철 모양의 그림을 하고 있습니다. 폴더마다 각기 다른 아이콘으로 꾸며주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다음 과정을 따라 폴더에 파일 하나를 만듭니다..
3. 앞과 같이 입력했으면 파일 내용을 저장하고 메모장을 닫도록 한다. 그리고 <윈도 키 + R> 키를 눌러 실행 창을 연다. 이제 실행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한다.
4. 이제 탐색기를 열고 '새로 고침'의 단축키인 [F5]키를 눌러보자. 그러면 화면이 갱신되면서 D:\mp3 폴더의 아이콘이 멋지게 변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어떤 폴더이든 아이콘을 원하는 모양으로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5. 실행 창을 통한 속성 변경이 때로는 잘 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이럴 때에는 도스 창을 열어 상위 폴더에서 3번 과정의 명령을 입력하면 된다. 즉, D:\mp3 폴더의 속성을 바꾸려면 D:\에서 'attrib' 명령을 실행시키면 된다. | ||
윈도 재시작 않고 색상 수 및 해상도 바꾸기 윈도우즈 98은 윈도 95의 플러스 팩에서만 지원되는 'QuickRES'를 포함하고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윈도를 재시작하는 과정 없이 누구나 쉽게 해상도나 색상 수를 바꿀 수 있다. 'QuickRES'는 윈도의 색상 수와 해상도를 재빨리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 ||
바탕화면 아이콘 가지런히 정렬하기 바탕화면에 아이콘들을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면 아이콘들이 원하는 위치에 종류별로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기를 원할 것이다. 하지만 수동으로는 아무리 아이콘을 가지런히 배치하려 해도 정확한 배치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상당히 눈에 거슬린다. | ||
프로그램을 최소화된 상태로 실행하기 실행 파일(*.EXE)을 더블클릭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항상 해당 프로그램의 화면이 가장 위에 오게 된다. 이렇게 새로 실행된 프로그램이 작업하던 창을 가려 작업을 방해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최소화 상태가 되어버린다면 이러한 불편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최소화라는 말이 적당할지는 모르겠지만 여러 개 떠있는 창의 가장 뒷부분(사용자가 보기에)에 프로그램창이 뜨게 되므로, 다른 프로그램 화면들을 가리지 않게 된다.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SHIFT]키를 누른 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더블클릭하여 실행시키면 된다. | ||
<TAB>키 완벽 활용 가이드 가끔 시스템을 부팅했는데 마우스와 모뎀 포트가 충돌하여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이럴 경우 장치 관리자를 통해서 마우스를 제거한 후 윈도를 재시동하여 마우스를 재설치하게 마련인데, 그러려면 윈도 키와 [PAUSE]키를 같이 눌러 시스템 등록 정보 대화상자가 나타나게 해야 한다. | ||
특수 문자를 쓸 수 없는 상황에서 특수 문자 쓰기 아웃룩 익스프레스와 같은 전자우편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다 보면 때로 특수 문자를 넣고 싶을 때가 있다. 특수 문자는 프로그램 자체에서 지원하지 않으면 사용하기 힘들지만, 다른 텍스트 편집 프로그램에서 복사해 온다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새롬 데이타맨의 새롬 편집기나 한글의 특수 문자표를 이용하면 된다. | ||
캡처 프로그램 없이 화면 캡처하는 방법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다 발견한 멋진 장면들을 저장해 놓고 두고두고 즐기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화면 캡처이다. 화면을 캡처할 때에는 페인트샵 프로나 하이퍼스냅과 같이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인데, 때에 따라 캡처 프로그램이 없을 수도 있고, 초보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의 사용 방법을 잘 모를 수도 있다. | ||
'바탕화면 보기'와 '채널 표시'의 아이콘 바꾸기 실행 창에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등록하여 사용하면 한결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방법도 간단하여 등록정보 창을 열어 원하는 아이콘을 바꾸면 되는데, '바탕화면 보기'와 '채널 표시' 아이콘만은 바꿀 수 없게 되어 있다. 이 두 아이콘을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먼저탐색기를 열고 'C:\WINDOWS\Application Data\Microsoft\Internet Explorer\Quick Launch'로 이동하면 '바탕 화면 보기'와 '채널 표시'라는 파일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두 개의 파일을 편집기로 열어보면 'IconFile='라는 명령줄이 보인다. 여기에 아이콘 파일의 정확한 경로명을 입력해주면 원하는 아이콘으로 바꿀 수 있다. 채널 표시 아이콘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바꿀 수 있다. | ||
'바로 가기' 문구가 뜨지 않도록 하는 방법 바탕화면이나 탐색기에서 실행 파일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들게 되면 '∼의 바로 가기'라고 이름이 정해진다. 이때 '바로 가기'라는 문구가 나오지 않는다면 다시 한번 파일 이름을 수정해줄 필요가 없을 것이다. 방법은 간단하다.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고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 | ||
바탕화면의 아이콘 크기를 바꾸자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의 '화면배색' 탭에서 '아이콘'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레지스트리를 편집하여 직접 값을 수정하는 것이다. 한편 바탕화면의 아이콘 크기를 작게 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시스템의 자원 확보와 윈도의 속도 증가이다. 당연히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들이 적으면 적을 수록 윈도 환경은 쾌적해진다. | ||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등록정보'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화면 배색 → 항목 → 아이콘'을 선택한다. 오른쪽에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시켜 줄 수 있는 옵션이 활성화되면 여기에 아이콘의 크기를 입력한다(최소 16, 최대 32). | ||
삭제 확인 메시지를 없애자 윈도 사용자라면 가장 많이 쓰는 도구 중의 하나가 휴지통이다. 파일을 삭제하면 우선 휴지통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는 나중에 복구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휴지통에 들어갈 때마다, '휴지통에 버리시겠습니까?'라는 확인 메시지가 나타나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 메시지가 나타나지 않게 하려면 휴지통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러 '휴지통 등록정보' 대화상자를 연 후에 '삭제 확인 메시지 표시'의 체크를 해제하면 된다. 단, '파일을 휴지통에 버리지 않고 삭제할 때 즉시 제거'라는 옵션은 파일을 휴지통에 임시 보관하지 않고 완전히 지워버리겠다는 것이니 선택하지 말아야 한다. | ||
바이러스 검사 단축 아이콘 만들기 윈도 9x에서 자주 하는 작업이 바이러스 검사일 것이다. V3를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검사하려면 도스창을 열어 V3 C: 만 입력하면 된다. 그러나 하드디스크를 4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떨까? V3 C: 한번 해주고 V3 D: 한번 해주고, 이러한 방식으로 바이러스 검사를 연속으로 4번 해줘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을 바로 가기 아이콘으로 미리 만들어 놓으면 마우스로 클릭하는 것으로만 간편하게 바이러스를 검색해 낼 수 있게 된다. 바탕화면에 "바이러스 검사"라는 이름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만드는 작업을 시작하자. 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새로 만들기 → 바로 가기'를 선택한다. ② '바로 가기 작성' 마법사의 명령 줄에 C:\V3\V3 C: D: E: F: 라고 입력한다. (V3.exe 파일이 C:\V3 폴더 안에 있다고 가정한다) ③ 새로 만들어질 바로 가기 아이콘의 이름을 정해주어야 하는데, 이름을 '바이러스 검사'로 하여 알아보기 쉽게 한다. ④ 바로 가기 아이콘이 사용할 아이콘을 선택해 준다. 맘에 들지 않더라도 아무 것이나 선택하여야 한다. ⑤ 바탕화면에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바로 가기 아이콘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상태만으로는 프로그램이 실행을 마친 후 창이 자동으로 닫히지 않는다. 바이러스가 없다면 창이 자동으로 닫히고 바이러스가 검색되면 자동으로 경고음이 나도록 만들어보자.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등록정보를 선택한다. 그런 다음 '프로그램' 탭을 열고 '종료 시 닫기' 옵션을 체크한다. ★ 바이러스 치료 후에는 반드시 전원을 내린다 바이러스 검사를 하던 중 CIH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는 경고 메시지를 받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이때 감염된 파일을 유심히 살펴보도록 해야한다. 특히 explorer.exe 와 같은 시스템 파일이 CIH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버리면 치료가 전혀 되질 않는다. 이런 경우엔 도스 모드에서 치료를 해야 바이러스를 없앨 수 있다. 바이러스 치료가 끝났다고 해서 바로 리셋이나 <Ctrl + Alt + Del>키를 눌러 시스템을 콜드/웜 부팅하지 말길 바란다. 반드시 전원을 완전히 내려서 메모리에 있는 정보를 모두 초기화시킨 다음 재부팅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
바탕화면 아이콘 모두 바꾸기 이제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을 모두 바꿔보도록 하자. 바탕화면에 있는 내 컴퓨터, 휴지통, 네트워크 환경 등의 아이콘은 윈도 9x의 디스플레이 등록정보 대화상자의 '효과'탭에서 쉽게 바꿔줄 수 있다. ①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등록정보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등록정보가 나타난다.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의 '효과'탭을 선택한다. ② '내 컴퓨터'를 선택하고 '아이콘 변경'을 누르고, '아이콘 바꾸기'대화상자에서 '찾아보기' 버튼을 눌러 '내 컴퓨터'에 사용될 아이콘을 선택하다. 자신이 고른 아이콘을 실제 크기로 확인해 보고 '확인'버튼을 누른다. ③ 디스플레이 대화상자에서 '내 컴퓨터' 아이콘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과정 ② 로 되돌아가 아이콘을 변경하는 일을 되풀이한다. 이런 식으로 내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 내 문서, 휴지통의 아이콘들을 모두 바꿀 수 있다. ④ 멋진 아이콘으로 바뀐 아이콘들이 바탕화면을 더 예쁘게 꾸며줄 것이다. | ||
바탕화면 아이콘 투명하게 바꾸기 이제 바탕화면의 아이콘 배경을 투명하게 처리하는 법을 알아보자. 배경화면의 벽지로 사용될 그림과 아이콘의 글자 배경이 서로 잘 어울리게 하려면 투명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실제로 많은 사용자들이 바탕화면의 아이콘 배경을 투명하게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하려면 Transparent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다. Transparent는 프로그램은 Transparent.exe 외에도 TransparentW.exe, TransparentB.exe, TransparentD.exe 라는 세 개의 파일이 있다. W가 붙은 파일은 배경을 투명하게 하고 글자의 색상을 흰색으로 바꿔준다. 따라서 어두운 배경의 벽지를 사용한다면 TransparentW.exe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B가 붙은 파일은 글자를 검은색으로 변경시켜 주기 때문에 밝은 배경에서 사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D가 붙은 TransparentD.exe 파일은 글자의 색상을 배경화면 색상에 따라 다르게 보이도록 해준다. 필자와 같이 밝은 색의 벽지를 사용한다면 TransparentB.exe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물론 이 파일을 시작 프로그램 그룹에 등록해 두고 사용하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 ||
윈도 98에서 깨진 아이콘들을 복구하는 방법 윈도 98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버그 중에 하나가 데스크톱의 아이콘들이 깨지는 것이다. 윈도 98에서 사용되는 아이콘에 대한 정보는 'C:\Windows' 폴더 안에 있는 'ShellIconCache' 라는 파일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아이콘들이 깨지는 버그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을 지워주면 된다. 파일을 지운 후에 재시동하면 원래의 아이콘들을 제대로 볼 수 있다. | ||
탐색기의 기본 폴더를 맘대로 바꿔보자 탐색기를 실행시키면 기본적으로 'C:\'의 내용을 보게 된다. 이는 탐색기의 바로 가기 등록정보에 설정되어 있는 기본 위치가 C:\이기 때문이다. 윈도 98 사용자라면 시작메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사용하여 손쉽게 탐색기의 등록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윈도 95 사용자는 폴더를 열어서 다음의 과정을 통해 직접 편집해야 한다. ①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다음 '열기'를 선택한다. 명령줄을 편집하기 전에 탐색기의 명령 구문을 먼저 살펴보자. 탐색기의 명령은 c:\Windows\Explorer.exe {/n}, {/e}, {options}, {folder} 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n' 옵션은 새로운 탐색기 창을 열도록 하는 것이며, '/e' 옵션은 기본 폴더의 하위 폴더들을 확장하여 보여주도록 하는 옵션이다. {option] 에서는 '/root' 와 '/select' 두 가지 옵션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root' 옵션은 사용자가 지정한 기본 폴더의 위치를 트리 구조의 최상위 폴더로 표시해주며, '/select' 옵션은 기본 폴더의 루트 폴더를 표시해 준다. 마지막으로 {folder}의 위치에는 탐색기가 실행될 때 처음으로 보여주는 폴더의 위치를 지정한다. 따라서 탐색기를 실행했을 때 처음 열리는 폴더의 위치를 지정하려면 {folder}부분을 편집해 주면 된다. 예를 들어, 명령줄의 기본값인 'C:\WINDOWS\EXPLORER.EXE /n,/e,c:\'을 'C:\WINDOWS\EXPLORER.EXE /n,/e,/root,c:\Mydata'로 바꿔보자. '닫기' 버튼을 눌러 등록 정보 화면을 닫은 후에 다시 탐색기를 실행시키면 C:\Mydata 폴더가 트리의 최상위 위치에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하드디스크 아이콘을 모두 다르게 바꿔보자 탐색기나 내 컴퓨터 폴더에서 보이는 하드디스크의 아이콘들이 모두 같아 여러 개의 드라이브가 있는 경우 심심하기 짝이 없다. 마이크로앤젤로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하드디스크 아이콘을 바꿀 수 있지만 역시 모든 하드디스크 아이콘을 같은 모양으로 바꿀 수밖에 없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하드디스크의 아이콘들을 드라이브마다 전부 다르게 보이도록 해보자. ① 아이콘을 바꿀 디스크 드라이브를 선택하자. 예로 들어 D: 드라이브의 아이콘을 바꿔 보자. | ||
바탕화면의 아이콘 모두 없애기 윈도 98의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이 지저분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들을 모두 사라지게 해보자. 레지스트리 편집기('시작' → '실행'에서 'regedit' 입력)를 열고 'HKEY_USERS\.DEFAULT\SOFTWARE\Microsoft\Windows 만약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하고 싶지 않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어판'에서 '디스플레이' 항목을 더블클릭한다. 그런 다음 '효과' 탭으로 이동하면 '바탕 화면이 웹 페이지 형식일 때 아이콘 숨김(H)'이라는 옵션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체크해 준 다음, 바탕화면을 웹 형식으로 사용하면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모두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다. 다시 보이게 하려면 거꾸로 제어판의 디스플레이 항목에서 아이콘 숨김 옵션을 해제해 주면 된다. | ||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툴바로 바꾸기 윈도 98의 바탕화면에는 '내 컴퓨터', '내 문서', '휴지통', '네트워크'라는 네 가지 기본 아이콘이 있다. 이 아이콘들을 벽에 붙여보자(벽에 붙인다는 것은 툴바처럼 만드는 것을 뜻한다). 먼저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바탕화면의 네 모서리 가운데 아무 곳으로나 드래그하여 보자. 순식간에 '내 컴퓨터'의 내용이 툴바에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 문서, 휴지통도 바탕화면의 벽에 붙여보자. 특히 네트워크 아이콘을 벽에 붙여 툴바로 만들었을 때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이 툴바에 나타나므로 편리하게 네트워크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아이콘을 모두 툴바로 만들어 버리면 그 만큼 데스크톱의 영역이 좁아진다. 따라서 툴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자동숨김' 기능을 사용하면 그러한 불편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다. | ||
특별한 폴더 눈에 띄게 꾸미기 중요한 데이터를 보관한다거나 하여 특별히 관리하는 폴더가 있다면 다른 폴더와 색다르게 꾸며보자. 만약 '내 문서'라는 폴더(C:\My Documents)를 눈에 튀게 꾸미고 싶다면 폴더의 메뉴에서 '보기' → '현재 폴더 사용자 정의(C)'를 선택한다. 그러면 '현재 폴더 사용자 정의'라는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이때 'HTML 문서', '배경화면 그림', '사용자 정의 삭제'의 세 가지 옵션 중에서 '배경화면 그림'을 선택한다. 그러면 폴더의 배경으로 사용될 그림과 텍스트의 색상을 지정할 수 있는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윈도 98의 바탕화면 벽지를 지정하듯이 알맞은 배경 그림을 지정해주고 텍스트 문자열의 색상을 지정해 주자. 그러면 이전보다 훨씬 화려해진 자신만의 폴더를 가지게 될 것이다. | ||
휴지통 기능 멈추기 데이터를 지우려면 휴지통에 넣어야 한다.이때 데이터는 시스템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휴지통에 잠시 보관되는 것이다.나중에 다시 쓰려면 부럴오면 그만이다.이 때문에 데이터를 지워도 하드디스크 용량은 늘어나지 않는다.불필요한 정보라면 이렇게 저장 공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한다. | ||
문서 빠르게 만들기 바탕화면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창이 열린다.마우스 커서를 '새로 만들기(N)'로 가져가면 여러 가지 문서 형식이 뜬다.이중에서 '텍스트 문서'를 선택하면 바탕 화면에 '새로 만들기 텍스트문서.TXT'라는 파일이 생긴다.이 파일을 두 번 빠르게 누르면 메모장이 열리고 바로 편집할 수 있게 된다. | ||
파일 이름으로 데이터 찾기-탐색기에 있는 디렉토리 중 어느 한 곳을 고른 뒤 키보드에서 아무 글자나 쳐보자.A키를 누르면A로 시작하는 파일이, B키를 누르면 첫 글자가 B인 | ||
파일 빠르게 찾기 찾으려는 파일이 담긴 디렉토리를 누른다. F3키를 치면 '찾기:모든 파일'이라는 창이 열린다.이름란에 파일 이름을 써 넣고 오른쪽에 있는 '지금 찾기'버튼을 누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