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어는 실질 형태소의 배열 방식이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과 같은가 다른가(일반 통사론의 규칙을 따르는가 아닌가)에 따라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로 나누어진다.
통사적 합성어 - 두 어근이 모두 단어일 때에만 가능한데, 두 단어의 배열 방식이 일반 구(句)와 같은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 단어가 아닌 어근이 섞여 있거나 용언의 어간끼리 결합한 합성어 또는 사이시옷을 개재한 합성어 등으로서
구(句)에서는 전혀 볼 수 없는 구성방식으로 이루어진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는 구(句)가 될 수도 있는 것이 구(句)보다는 더 응결된 새 의미를 가지게 됨으로써 합성어가 된 것이기 때문에, 비통사적 합성어보다는 전체적으로 응결력이 강하지 못하다. |
-> 이 말을 풀이해 보자면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는 띄어쓰기로 그 구분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통사적 합성어는 띄어쓰기를 해도 그 구성이 구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통사적 구성이 되지만, 비통사적 합성어는 띄어쓰기를 하면 통사적 구성이 되지 않습니다.
예> 작은형(작은 형), 새해(새 해), 본받다(본 받다)....일반 구(句)의 구성 = 통사적 구성(통사적 합성어)
굶주리다(*굶 주리다), 늦더위(*늦 더위), 검붉다(*검 붉다)....비통사적 구성(비통사적 합성어)
다음은 바른 국어생활과 문법에서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를 표로 작성한 것입니다..
보시고 공부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성어>
합성명사
통사적
합성명사 |
명사+명사 |
벽돌집, 고무신, 앞치마, 손톱 |
관형사+명사 |
새언니, 첫사랑, 이것, 저것 |
관형사형+명사 |
늙은이, 작은형, 큰집, 굳은살 |
비통사적합성명사 |
명사+ㅅ+명사 |
콧물, 아랫마을, 촛불, 치맛바람 |
어간+명사 |
늦잠, 늦더위, 접칼, 누비옷, 검버섯 |
부사+명사 |
부슬비, 산들바람, 척척박사 |
부사+부사 |
잘못 |
합성동사
통사적
합성동사 |
주어+동사 |
힘들다, 재미나다, 철들다, 겁나다 |
목적어+동사 |
본받다, 힘쓰다, 맛보다, 다리놓다 |
연결형+동사 |
돌아가다, 알아보다, 살펴보다 |
부사어+동사 |
앞서다, 앞세우다, 마주서다, 가로지르다 |
비통사적합성동사 |
어간+어간 |
굶주리다, 오르내리다, 날뛰다, 여닫다, 붙잡다, 감싸다, 얽매다, 헐뜯다 |
합성 형용사
통사적
합성형용사 |
주어+형용사 |
낯설다, 재미있다, 형편없다, 발빠르다 |
부사어+형용사 |
못나다, 잘나다, 손쉽다 |
비통사적
합성형용사 |
연결형+어간 |
쓰디쓰다, 검디검다, 머나멀다 |
어간+어간 |
검붉다, 검푸르다, 굳세다, 재빠르다 |
합성부사
명사+명사 |
밤낮 |
관형사(형)+명사 |
온종일, 그냥, 그런즉, 저만큼 |
부사+부사 |
죄다, 곧잘, 잘못, 더욱더, 골고루, 이리저리 |
첩어, 준첩어 |
반짝반짝, 소곤소곤, 우물쭈물, 싱글벙글 |
|
|
|
|
첫댓글 정충모 학우님 질문: 합성명사중에 새언니는 파생어가 아닌가요?? 헷갈리기 시작.......
'새'를 접두사로 보면 파생어가 되지요. 그런데 원칙이 있습니다. 기존에 쓰이는 품사에 근거해서 '새'라는 관형사가 존재하므로 굳이 '새언니'의 '새'를 접두사로 볼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하여 합성어입니다. '첫사랑', '첫눈'도 마찬가집니다. '첫'이라는 관형사가 존재하므로 이들도 합성어입니다.
그렇군요.. ㅎ.ㅎ
정리가 아주 잘 되어 있어서 프린트해서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헷갈리는 사람 또 있음. 1. (합성명사-비통사적-부사.부사)'좀더'가 부사가 아니라 명사? 2. (합성부사-관.명사)'이토록, 그런즉에서 '토록(조사), 즉(부사)'이 명사? 3. (합성부사-부사.부사) '골고루'는 '고루고루'의 준말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왜 '골'을 찾으면 '고루'의 준말이라는 설명은 없나요?
1.책이 잘못된 건데 그대로 옮겼네요. '좀더'는 빼야겠네요. 그리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좀더'를 한 단어로 보지 않습니다. 2.'이토록'은 명사+조사 구조니 지적하신 게 맞습니다. 역시 교재가 잘못되었네요. '그런즉'은 아무리 비통사적이라고 해도 과연 관형형이 부사를 꾸밀 수 있냐는 문제에 부딪치네요. '즉'이 사전엔 명사로 나와 있지 않지만 '그런' 뒤에서 명사로 전성되었다고 봐야 하진 않을까 조심스레 생각해 봅니다. 3.'고루'가 '골'로 줄 때는 '고루고루'에서뿐이라서 그렇습니다. 가지가지-갖가지의 예와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좀더'랑 '이토록'은 표에서 제외했습니다..ㅋㅋ
헉, 전영복선배님의 글을 보니, 저도 헷갈리는군요. 준말의 여러 양상에 관한 글입니다. '골'에 대해서는 따로 나와있지는 않지만, (제 생각엔) ['마주잡다'->맞잡다]의 경우와는 달리 '고루'라는 말 대신 '골'이 단독으로 사용된 예가 없기 때문에 그런 것 같네요. 참고글에 따르면, '준말이란, 원칙적으로 본딧말이라 생각되는 말이 공시적으로 실존하여 개념의 차이 없이 교체해 쓰이며, 불규칙적이고 수의적인 음절수 줄이기의 관계에 있는 것을 뜻'한다고 되어 있어서요. http://www.hanmalgeul.org/geulteo/zboard.php?id=gwang&page=1&sn1=&divpage=1&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546
동시에 글을 쓰고 있었네요. 맞습니다. 잘 생각하셨네요. '골'이 단독으로 준 예가 없지요. 그런데 '바로바로'는 '발바로'로 줄지 않지요. 참 재밌는 준말의 현상들. 학구적인 지연 후배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우와! 박선배님에 이어 허미진회장님의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또 김지연님의 솜씨는 그 보통보다 더 센 보통. 이거 잠시 한눈 팔다가는 날개도 없는데 추락하겠네요. 대단들 하십니다. 이제 함부로 토도 달기 어려워졌어요. 국어연구회.
아닙니다. 주저 마시고 하세요. 무슨 그런 말씀을...ㅎㅎ 여기 모인 모두의 생각과 손길이 다 국어연구회를 만드는 소중한 모습입니다.
위의 내용은 제가 책이랑 각종 요약본을 보고 만든 거랍니다..저의 순수 실력이 아니거든요..^^저는 아는 것 보다 앞으로 배울 것이 더 많아요..ㅋㅋ